KR101379012B1 - 조립형 박스 - Google Patents

조립형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012B1
KR101379012B1 KR1020120038263A KR20120038263A KR101379012B1 KR 101379012 B1 KR101379012 B1 KR 101379012B1 KR 1020120038263 A KR1020120038263 A KR 1020120038263A KR 20120038263 A KR20120038263 A KR 20120038263A KR 101379012 B1 KR101379012 B1 KR 10137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joint
coupling member
fitt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09A (ko
Inventor
조규섭
Original Assignee
조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섭 filed Critical 조규섭
Priority to KR102012003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0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6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 B65D11/187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components all walls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o collapse th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rollers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1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a tongue on the edge of one sheet, plate or panel co-operating with a groove in the edge of another sheet, plate or panel
    • F16B5/001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a tongue on the edge of one sheet, plate or panel co-operating with a groove in the edge of another sheet, plate or panel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벽면을 구비한 박스에서 서로 접하는 각각의 벽면들을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구성된 조인트로 결합시켜 박스의 조립이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며, 박스의 조립해체시에도 손쉽게 해체 가능한 조립형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끼움결합 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빈 박스에 대한 공간 대비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박스 {Assembling type box}
본 발명은 조립형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벽면을 구비한 박스에서 서로 접하는 각각의 벽면들을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구성된 조인트로 결합시켜 박스의 조립이 보다 짧은 시간 동안에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며, 박스의 조립해체시에도 손쉽게 해체 가능한 조립형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을 위한 저중량 플라스틱 박스(이하에서는 박스라고 함)는 전기, 전자제품의 부품과 소재 등의 물건을 담아서 운반 및 보관용 박스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중량 박스의 성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P 공중합체(Polypropylene Copolymer), PE(Polyethylene)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PP 또는 PP 공중합체, PE를 주성분으로 하여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 중공구조식 또는 골판상 중공구조식의 판상 합성수지 보드로 성형하게 되며, 성형이 완료된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을 이용하여 도 1과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다단적재가 가능한 박스(1)를 제조할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5)를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재단된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5)를 접으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인 날개면(6) 측면과 저면에 고정수단인 접착제(도시생략)나 스테이플로 고정하여 박스 본체(2)를 완성한 후, 상면이 개방된 박스(1)의 상단 둘레에 테두리부재(3)와 상기 테두리부재(3)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모서리부재(4)를 박스(1)의 상부에서 결합하고, 상기 테두리부재(3)와 모서리부재(4)를 고정수단으로 박스 본체(2)에 고정하면 박스(1)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3)와 모서리부재(4)는 물건을 담아서 박스(1)를 이용할 경우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박스(1)의 구성에 있어서 모서리부재(4)는 재생 PE 또는 PP를 사용하고 있고, 박스 본체(2)의 상단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재(3)는 박스 본체(2)와는 이종의 합성수지, 구체적으로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박스(1)는 박스 본체(2)가 중공구조식으로 되어 있어 박스(1)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합성수지재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박스의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박스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다단적재가 가능하므로 공간이용이 효과적이며 산업재해 및 유통 보관시의 비용을 많이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중량의 물건을 담은 박스(1)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박스 본체(1)의 벌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체 역할을 하는 테두리부재(3)를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이나 강판 등의 금속재로 압출성형하여 테두리부재(3)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정한 두께의 평판상으로 되어 끼움 설치가 가능하게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재(3)를 합성수지재인 ABS 또는 PVC로 사용할 경우 또는 금속재 박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중량의 물건을 담은 박스(1)를 다단으로 적재하였을 때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에 의해 지지체 역할을 하는 테두리부재(3)가 전체적으로 휨이 발생하여 박스 본체의 둘레 벽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벌어지게 됨으로써 박스 파손의 원인을 제공하였고, 특히 금속재 박판으로 된 테두리부재(3)의 경우 휨 발생과 더불어 뒤틀림, 찌그러짐, 찍힘, 부분 눌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박스 테두리부재(3)로서의 기능상실과 박스 테두리에 손상을 가하게 됨으로써 박스의 수명을 단축시켰으며,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 압출성형 제품이나 강판 등의 금속재를 사용하여 테두리부재(3)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중량이어서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박스 자체의 무게와 제조원가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박스(1)는 결합 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체가 불가능해 조립 또는 해체시 발생되는 여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박스(1)는 조립시 접착을 스테이플이나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결합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공정이 단순하지 않다.
더하여, 상기 박스(1)는 해체가 불가능해 부피를 줄일 수 없어 생산 후 출하되기 전까지 빈 박스 상태로 창고에 보관되는 동안 재고 보관 공간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상기 박스(1)가 출하되어 수요지로 수송 시 물류차량에 많은 양이 한번에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상기 박스(1)는 사용 후 회수할 때에도 해체가 불가능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공간 대비 적재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041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끼움결합 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빈 박스에 대한 공간 대비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조립형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스의 조립 또는 해체가 보다 용이하게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공정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조립형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조립 또는 해체가 간편하고, 물건을 적재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강함으로써, 박스 본체의 둘레 벽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벌어지는 것에 의한 박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쉽고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보강된 구조의 조립형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는 평평한 판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측부가 절첩되는 박스의 전개면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첩되는 측부의 바깥쪽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에 기설정된 수준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된 채로 거치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끼움결합 된 후, 상기 조인트부에서 상기 돌기부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의 테두리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한 조인트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편은 상측과 하측의 외경이 상이한 표주박 형태로 형성된 조인트홀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편이 임의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걸림턱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 외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리브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인트편은 상기 조인트편이 부분적으로 상기 조인트부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 외부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돌기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결합되도록 일면에 버섯 형태의 주단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주단부의 좌우에 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방지돌기를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이동방지돌기와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 일부 영역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방지홈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돌기부는 상기 주단부가 배치된 기저면의 일부 영역이 돌출형성된 보조단부를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보조단부와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 일부 영역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결합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립형 박스는 상기 박스가 다단으로 연이어 적재될 때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 조인트부, 돌기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걸림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로 상기 박스의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수직보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끼움결합 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빈 박스에 대한 공간 대비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여러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는 박스의 조립 또는 해체가 보다 용이하게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공정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는 조립 또는 해체가 간편하고, 물건을 적재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구성을 보강함으로써, 박스 본체의 둘레 벽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벌어지는 것에 의한 박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쉽고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박스 조립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의 조인트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의 조인트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의 이동방지돌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의 보조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박스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 각 구성 및 결합 관계나 언급되는 한정적 수치는 당업자의 요구 및 박스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언급된 내용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1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조립형 박스(10)는 평평한 판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측부가 절첩되는 박스의 전개면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400)와 상기 베이스부(400)에서 절첩되는 측부의 바깥쪽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400)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P 공중합체(Polypropylene Copolymer), PE(Polyethylene) 등을 주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부(400)는 종이, 나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부(400)는 상기한 PP 또는 PP 공중합체, PE를 주성분으로 하여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 중공구조식 또는 골판상 중공구조식의 판상 합성수지 보드로 성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조립형 박스(10)는 중공구조식으로 되어 있어 박스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합성수지재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박스의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박스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고 펼 수가 있으며, 다단적재가 가능하므로 공간이용이 효과적이고 산업재해 및 유통 보관시의 비용을 많이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성형이 완료된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다단적재가 가능한 조립형 박스(10)를 제조할 경우, 상기 합성수지 보드를 일측부가 절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전개면으로 형성된 베이스부(400)를 재단하고, 재단된 베이스부(400)를 접으면서 상기 전개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재(20)는 근접한 면과 서로 끼워 고정시키면 조립형 박스(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박스(10)의 구성에 있어서 결합부재(20)는 재생 PE 또는 PP를 사용하고 있고, 베이스부(400)의 상단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결합부재(20)는 베이스부(400)와는 이종의 합성수지, 구체적으로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결합부재(2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결합부재(20)는 일측에 기설정된 수준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30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돌기부가 수용된 채로 거치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조인트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돌기부(300)가 상기 조인트부(100)에 끼움결합 된 후, 상기 조인트부(100)에서 상기 돌기부(300)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한 조인트편(2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돌기부(300)는 상기 조인트부(100)와 끼움결합 되도록 일면에 버섯 형태의 주단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단부(310)는 머리부분의 외경이 목부분의 외경보다 커서 상기 주단부(310)를 조인트부(100)의 홀에 삽입시 상기 주단부(310)의 목부분이 걸림쇠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300)가 구성된 결합부재(20)의 경우 박스 결합 후 수직 방향의 힘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수직보강부(301)를 일체형 혹은 결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보강부(301)는 조인트부(100)가 구성된 결합부재(20)에 결합 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편(200)은 상측과 하측의 외경이 상이한 표주박 형태로 형성된 조인트홀(220), 상기 조인트편(200)이 임의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턱(210), 상기 조인트편(200)이 부분적으로 상기 조인트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외부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편(200)은 끝이 굴곡진 장방형의 작은 편 형태이고, 상부에 조인트홀(220)이 배치되며, 중앙에 걸림턱(210)이 배치되고, 하부에 손잡이부(2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조인트편(200)의 세부 구성은 당업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상기 조인트편(200)의 형태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외에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걸림턱(21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외부에 홈 형태로 리브살(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100)는 표주박 형태인 상기 조인트홀(220)의 외경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홀(220)의 절반의 크기를 갖는 삽입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30)를 상방으로 밀면 상기 조인트부(10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조인트편(200)이 전체적으로 위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인트홀(220)의 하측이 상기 삽입홈(120)과 일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홀(220)은 하측의 외경이 더 넓은 표주박 형태인데, 이런 넓은 외경 때문에 상기 주단부(310)의 머리부분을 상기 삽입홈(120)을 따라 상기 조인트부(100) 내부로 삽입하면서 조인트홀(220)에도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턱(210)은 상기 리브살(110)에 끼움결합되어서 상기 상술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조인트부(100)가 임의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해 상기 주단부(310)가 상기 조인트홀(220)에 걸림 없이 신속히 삽입될 수 있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30)를 하방으로 당기면 상기 조인트편(200)이 전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조인트홀(220)의 상측이 상기 삽입홈(120)에 일치된다. 이때 도 5(b)에서 상기 조인트홀(220)에 삽입되었던 상기 주단부(310)의 목 부분과 상기 조인트홀(220)의 상측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조인트홀(220)의 상측은 외경이 좁기 때문에 주단부(310)의 머리부분이 조인트홀(220)에 걸려서 상기 주단부(310)는 분리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도 5(b)에서 상기 리브살(110)에 결합되었던 상기 걸림턱(210)은 상기 리브살(110)과 분리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도 5(a)에 도시된 갈고리 형태의 걸림턱(210)은 상기 조인트편(200)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리브살(1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인트편(200)이 고정되지만 상기 조인트편(200)이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상기 리브살(110)에 결합되지 않아 상기 조인트편(200)이 고정되지 않고 임의로 움직일 수 있다.
때문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10)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조인트부(100)의 외부에 상기 걸림턱(210)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리브살(110)이 두 곳에 형성되면 상기 조인트편(200)이 임의적으로 상하로 움직이지 못해 이동 위치에 상관없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6(b)처럼 상기 걸림턱(210)은 상기 조인트편(200)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위쪽의 리브살(110)에 결합되므로 외경이 넓은 상기 조인트홀(220)의 하측으로 걸림없이 신속히 주단부(310)를 삽입시킬 수 있으며, 도 6(c)처럼 상기 조인트편(200)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210)이 아래쪽의 리브살(110)에 끼움결합되므로 상기 주단부(310)가 임의적으로 해체될 염려없이 외경이 좁은 상기 조인트홀(220)의 상측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00)와 상기 조인트부(100)가 결합 되어 있을 때 조립형 박스(10)에 외벽이 어긋나도록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조인트편(200)에 삽입된 주단부(310)는 손상되기 쉽다.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단부(310)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주단부(310)의 좌우에 대칭으로 이동방지돌기(32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돌기(320)는 선형, "ㄹ" 형식의 패턴(지그재그), 곡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방지돌기(320)와 대응되는 음각형상으로 상기 조인트부(100)에 이동방지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돌기(320)와 이동방지홈(130)이 끼움결합되면 상기 결합부재(20)의 결합력이 더욱 강력해지고, 상기 이동방지돌기(320)와 이동방지홈(130)은 결합부재(20)와 어긋나게 외면 또는 내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과도한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 이동방지돌기(320)와 이동방지홈(130)은 상기 주단부(310)에 걸리는 힘을 분산시켜 상기 주단부(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량의 물건을 담은 조립형 박스(10)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박스의 외벽이 벌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결합부재(20)를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이나 강판 등의 금속재로 압출성형하여 결합부재(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합성수지재인 ABS 또는 PVC를 사용할 경우보다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중량이어서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박스 자체의 무게와 제조원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ABS 또는 PVC 재질이면서 상하 하중에 따른 결합부재(2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데 도 8은 상기 이동방지돌기(320)의 역할을 확장시킨 보조단부(33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보조단부(330)는 상기 주단부(310)가 배치된 기저면의 일부 영역이 돌출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단부(330)와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일부 영역에 홈 형태로 보조결합홈(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단부(330)가 상기 보조결합홈(140)에 삽입되면 상기 주단부(310)의 기저면이 상기 조인트부(100) 내부에 전체적으로 끼움결합되므로 상기 주단부(310)에 걸리는 외력은 미미해 지는 것과 아울러 외력에 의한 상기 주단부(310)의 손상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결합부재(20)와 어긋나게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하 하중에 따른 결합부재(2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상기 주단부(310)의 손상을 보호하고, 박스 자체의 무게와 제조단가를 낮게 하면서도 강력한 지지체 역할을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립형 박스 20 : 결합부재
100 : 조인트부 110 : 리브살
120 : 삽입홈 130 : 이동방지홈
140 : 보조결합홈 200 : 조인트편
210 : 걸림턱 220 : 조인트홀
230 : 손잡이부 300 : 돌기부
301 : 수직보강부 310 : 주단부
320 : 이동방지돌기 330 : 보조단부
400 : 베이스부 500 : 걸림부

Claims (12)

  1. 평평한 판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측부가 절첩되는 박스의 전개면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400);
    상기 베이스부(400)에서 절첩되는 측부의 바깥쪽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부재(20);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기설정된 수준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300); 및
    상기 결합부재(20)의 타측에 상기 돌기부(300)가 수용된 채로 거치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조인트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돌기부(300)가 상기 조인트부(100)에 끼움결합 된 후, 상기 조인트부(100)에서 상기 돌기부(300)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부(300)의 테두리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한 조인트편(200)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편(200)은
    상기 조인트편(200)이 임의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턱(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편(200)은
    상측과 하측의 외경이 상이한 표주박 형태로 형성된 조인트홀(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걸림턱(210)과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 외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리브살(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편(200)은
    상기 조인트편(200)이 부분적으로 상기 조인트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외부로 연장형성된 손잡이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00)는
    상기 조인트부(100)와 결합되도록 일면에 버섯 형태의 주단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00)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주단부(310)의 좌우에 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방지돌기(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이동방지돌기(320)와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일부 영역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이동방지홈(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300)는
    상기 주단부(310)가 배치된 기저면의 일부 영역이 돌출형성된 보조단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00)는
    상기 보조단부(330)와 끼움결합되기 위해 상기 조인트부(100) 일부 영역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보조결합홈(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가 다단으로 연이어 적재될 때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400), 조인트부(100), 돌기부(300)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걸림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결합부재(20)의 일부로 상기 박스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수직보강부(3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박스
KR1020120038263A 2012-04-13 2012-04-13 조립형 박스 KR10137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63A KR101379012B1 (ko) 2012-04-13 2012-04-13 조립형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63A KR101379012B1 (ko) 2012-04-13 2012-04-13 조립형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09A KR20130115709A (ko) 2013-10-22
KR101379012B1 true KR101379012B1 (ko) 2014-03-27

Family

ID=4963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63A KR101379012B1 (ko) 2012-04-13 2012-04-13 조립형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918Y1 (ko) * 2015-07-20 2016-11-25 농업회사법인 그린합명회사 포장 박스용 코너 보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428U (ja) * 1982-03-15 1983-09-20 株式会社中静鉄工所 コンテナ−
JPH0460832U (ko) * 1990-09-29 1992-05-25
JP2002321734A (ja) * 2001-04-24 2002-11-05 Tokan Kogyo Co Ltd 折畳み式収納箱
JP2009096483A (ja) * 2007-10-15 2009-05-07 Nippon Zeon Co Ltd 組み立て式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428U (ja) * 1982-03-15 1983-09-20 株式会社中静鉄工所 コンテナ−
JPH0460832U (ko) * 1990-09-29 1992-05-25
JP2002321734A (ja) * 2001-04-24 2002-11-05 Tokan Kogyo Co Ltd 折畳み式収納箱
JP2009096483A (ja) * 2007-10-15 2009-05-07 Nippon Zeon Co Ltd 組み立て式コ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09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6094B1 (en) A pallet
US9139334B2 (en) Pallet and method for using the pallet
KR20140112975A (ko) 부분적 교체가 가능한 팔레트
KR101171138B1 (ko) 조립식 파렛트
JP3164095U (ja) 折畳みコンテナ
KR101379012B1 (ko) 조립형 박스
KR20070044882A (ko) 조립식 팔레트
JP5499392B2 (ja) パレットの支持部材の折り畳み方法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WO2013154415A1 (en) Fast assembly plastic pallet
JP5155032B2 (ja) コンテナ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JP2004010128A (ja) 上蓋及びパレットボックス
KR100940059B1 (ko)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JP6243198B2 (ja) 運搬用容器
KR101570426B1 (ko) 팔레트
JP6040586B2 (ja) パレット
KR20130142567A (ko) 박스가 결합 가능한 파렛트
JP2010076784A (ja) 組立式パレット
JP2009073499A (ja) 容器蓋
KR20140103793A (ko) 파렛트용 금속 하판 조립체 및 그 하판 조립체를 구비한 파렛트
JP6431720B2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