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059B1 -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 Google Patents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059B1
KR100940059B1 KR1020080004863A KR20080004863A KR100940059B1 KR 100940059 B1 KR100940059 B1 KR 100940059B1 KR 1020080004863 A KR1020080004863 A KR 1020080004863A KR 20080004863 A KR20080004863 A KR 20080004863A KR 100940059 B1 KR100940059 B1 KR 10094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body
frame member
bent
ed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974A (ko
Inventor
고광칠
Original Assignee
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8Metal reinforcements, e.g. metal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위 단프라 박스라고 일컫는 중공구조식의 합성수지재 박스 본체의 상부에서 개방된 부분의 상단 둘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된 테두리부재의 휨을 방지하여 물건을 담은 박스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다단적재시 박스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견고하게 사용하기 위한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중공구조식의 판상 원단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한 다음, 각각의 중첩부분을 서로 고정하여 상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의 상단 둘레를 끼움 설치로 감싸서 마감하는 테두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면이 폐쇄되게 금속재 박판으로 절곡 형성한 양측 지지벽에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양측 지지벽 하단의 끼움돌기가 내측 상부로 구부려져 박스 본체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내향 돌출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프라 박스, 테두리부재, 모서리부재, 지지돌기, 끼움돌기

Description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Frame member for danpla box}
본 발명은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위 단프라 박스(danpla box)라고 일컫는 중공구조식의 합성수지재 박스 본체의 상부에서 개방된 부분의 상단 둘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된 테두리부재의 휨을 방지하여 물건을 담은 박스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다단적재시 박스의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견고하게 사용하도록 보강된 구조의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프라 박스(이하에서는 박스라고 함)는 전기, 전자제품의 부품과 소재 등의 물건을 담아서 운반 및 보관용 박스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박스의 성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는 PP(Polypropylene) 또는 PP 공중합체(Polypropylene Copolymer), PE(Polyethylene)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PP 또는 PP 공중합체, PE를 주성분으로 하여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 중공구조식 또는 골판상 중공구조식의 판상 합성수지 보드로 성형하게 되며, 성형이 완료된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을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다단적재가 가능한 박스(50)를 제조할 경우,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를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재단된 판상의 합성수지 보드를 접으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인 측면과 저면에 고정수단인 접착제(도시생략)나 스테이플(52)로 고정하여 박스 본체(51)를 완성한 후, 상면이 개방된 박스(50)의 상단 둘레에 테두리부재(54)와 상기 테두리부재(54)의 양측단이 끼워지는 모서리부재(55)를 박스(50)의 상부에서 끼우고, 상기 테두리부재(54)와 모서리부재(55)를 다수개의 고정나사(56)로 박스 본체(51)에 고정하면 박스(5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54)와 모서리부재(55)는 물건을 담아서 박스(50)를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 수직방향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박스(50)의 구성에 있어서 모서리부재(55)는 재생 PE 또는 PP를 사용하고 있고,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재(54)는 박스 본체(51)와는 이종의 합성수지, 구체적으로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또는 PVC(Polyvinyl Chloride)를 사용하고 있다(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박스(50)는 박스 본체(51)가 중공구조식으로 되어 있 어 박스(50)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합성수지재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박스의 형태 및 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박스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고 펼 수가 있으며, 다단적재가 가능하므로 공간이용이 효과적이고 산업재해 및 유통 보관시의 비용을 많이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중량의 물건을 담은 박스(50)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박스 본체(50)의 벌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체 역할을 하는 테두리부재(54)를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이나 강판 등의 금속재로 압출성형하여 테두리부재(54)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다.
[문헌 1] KR 10-0328238 B1 2002.02.27 2-4쪽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정한 두께의 평판상으로 되어 끼움 설치가 가능하게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재를 합성수지재인 ABS 또는 PVC로 사용할 경우 또는 금속재 박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중량의 물건을 담은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하였을 때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에 의해 지지체 역할을 하는 테두리부재가 전체적으로 휨이 발생하여 박스 본체의 둘레 벽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벌어지게 됨으로써 박스 파손의 원인을 제공하였고, 특히 금속재 박판으로 된 테두리부재의 경우 휨 발생과 더불어 뒤틀림, 찌그러짐, 찍힘, 부분 눌림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박스 테두리부재로서의 기능상실과 박스 테두리에 손상을 가하게 됨으로써 박스의 수명을 단축시켰으며,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알루미늄 압출성형 제품이나 강판 등의 금속재를 사용하여 테두리부재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중량이어서 실용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박스 자체의 무게와 제조원가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구조식으로 된 합성수지재 박스 본체의 상단 둘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된 테두리부재에 대하여 박스를 다단적재시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속재 박판으로 된 테두리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지지돌기와 끼움돌기를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내구성을 보강함으로써, 박스 본체의 둘레 벽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벌어지는 것에 의한 박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 쉽고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보강된 구조의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부재는 금속재 박판으로 압출성형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하므로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면서도 길이방향으로 강도가 확보되어 테두리부재의 내구성 보강이 가능하므로 소위 단프라 박스(danpla box)라고 일컫는 중공구조식의 합성수지재 박스 본체의 상부에서 상면이 개방된 부분의 상단 둘레를 감싸서 마감하도록 된 테두리부재의 휨을 방지하여 물건을 담은 박스를 다단적재시 지지체 역할을 하는 테두리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의 하중이 박스 본체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박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는, 합성수지재로 된 중공구조식의 판상 원단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한 다음, 각각의 중첩부분을 서로 고정하여 상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의 상단 둘레를 끼움 설치로 감싸서 마감하는 테두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상면이 폐쇄되게 금속재 박판으로 절곡 형성한 양측 지지벽에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양측 지지벽 하단의 끼움돌기가 내측 상부로 구부려져 박스 본체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내향 돌출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는 사다리꼴형, 삼각형, 호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 지지벽 하단의 끼움돌기는 내측 상부로 갈수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테두리부재의 양측 지지벽과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홈형 보강리브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단프라 박스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 두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단프라 박스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중 부호의 기재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박스(150)의 박스 본체(51)에 대한 구성도 전술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100)는 금속재 박판(바람직하게는 두께가 0.6 ~ 0.7㎜로 칼라강판임)을 사용하여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프레스기에 의해서도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테두리부재(100)는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면(10c)이 폐쇄되게 금속재 박판으로 절곡 형성한 양측 지지벽(10a,10b)은 박스 본체(51) 상단 둘레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벽(10a)의 세로방향 길이가 박스 본체(51) 상단 둘레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지지벽(10b)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벽(10a,10b)에는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51)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20a,2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면(10c)과 다수개의 지지돌기(20a,20b)는 물건을 담아서 운반 및 보관을 하기 위하여 다단적재가 가능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일명 단프라 박스라고 일컫는 일체 또는 골판상 중공구조식의 합성수지재 박스(150)의 상부에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억지 끼움 설치하였을 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테두리부재(100) 상면(10c)의 저부는 박스 본체(51)의 상단면에 안착되고, 지지돌기(20a,20b)는 박스 본체(51)의 내,외벽을 지지하게 되면서 밀착고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벽(10a,10b)은 박스 본체(51)의 내,외벽에 대하여 외향 돌출되어 있으므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부에 대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벽(10a,10b)과 지지돌기(20a,20b)에 의한 다수개의 요철 형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였을 때 길이방향의 휨 모멘트를 굴절시켜서 금속재 박판으로 제작된 테두리부재(10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강도가 확보되도록 하므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끼움 설치되는 테두리부재(10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20a,20b)는 도면에는 박스 본체(51)의 내,외벽에 대해 밀착 면적이 넓은 사다리꼴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도시하지 않은 삼각형, 호형, 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지지돌기의 형상 중 삼각형, 호형으로 요홈이 형성되는 지지돌기는 박스 본체(51)의 내,외벽에 대해 밀착 면적은 작으나, 종래의 평판상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테두리부재(54) 보다는 다수개의 지지돌기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요홈 절곡 형성에 의해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휨 모멘트를 굴절시켜서 길이방향으로 강도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끼움 설치되는 테두리부재(10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양측 지지벽(10a,10b) 하단의 끼움돌기(30a,30b)는 내측 상부로 갈수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안내면(31a,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30a,30b)는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끼움 설치할 때 입구기능을 하며, 양측 끼움돌기(30a,30b)의 선단부는 박스 본체(51)의 내,외벽에 견고하게 밀착 지지되어 고정이 되고, 양측 끼움돌기(30a,30b)에 형성된 안내면(31a,31b)의 경사를 따라 테두리부재(100)가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100)를 박스 본체(51)에 조립하고자 할 때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된 테두리부재(100)를 이의 양측 지지벽(10a,10) 하단에 형성된 끼움돌기(30a,30b)를 이용하여 박스(150)의 상부에서 박스 본체(51)의 상단면에 테두리부재(100) 상면(10c)의 저부가 밀착될 때까지 억지 끼움으로 설치한다. 다음에,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양측단부가 각각 끼움 설치되는 박스 본체(51)의 모서리에 박스(150)의 다단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상의 합성수지재 모서리부재(55)를 박스(150)의 상부에서 끼운 후 상기 테두리부재(100)와 모서리부재(55)를 다수개의 고정나사(56)로 박스 본체(51)에 고정하면 테두리부재(100)와 모서리부재(5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다단적재가 가능한 박스(1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테두리부재(100)의 상면이 폐쇄되게 금속재 박판으로 절곡 형성한 양측 지지벽(10a,10b)에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51)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20a,2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벽(20a,20b) 하단의 끼움돌기(30a,30b)가 내측 상부로 구부려져 박스 본체(51)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내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도 6과 도 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 1의 테두리부재(100) 구성에 테두리부재(100)의 양측 지지벽(10a,10b)과 상면(10c)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홈형 보강리브(40)를 더 포함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형 보강리브(40)는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압출성형하여 제작이 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재(100)의 양측 지지벽(10,10b)과 상면(10c)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테두리부재(100) 보다 동일한 폭에 대하여 상부에서 수직방향으 로 압력을 가하는 휨 모멘트를 굴절시키는 단면적을 다수개의 홈형 보강리브(40)에 의해 더 증가시켜주게 되어 테두리부재(100)의 강도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에 끼움 설치되는 테두리부재(100)가 길이방향으로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테두리부재(100)의 내구성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테두리부재가 단프라 박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3은 단프라 박스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단프라 박스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지지벽 20a, 20b : 지지돌기
30a, 30b : 끼움돌기 31a, 31b : 안내면
40 : 보강리브 51 : 박스 본체
52 : 스테이플 55 : 모서리부재
100 : 테두리부재 150 : 박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합성수지재로 된 중공구조식의 판상 원단에서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한 다음, 각각의 중첩부분을 서로 고정하여 상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51)의 상단 둘레를 끼움 설치로 감싸서 마감하도록, 상면이 폐쇄되게 금속재 박판으로 절곡 형성한 양측 지지벽(10a,10b)에 길이방향으로 박스 본체(51)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다수개의 지지돌기(20a,2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벽(10a,10b) 하단의 끼움돌기(30a,30b)가 박스 본체(51)의 두께와 대응하는 폭으로 내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벽(10a,10b) 하단의 끼움돌기(30a,30b)는 내측 상부로 갈수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안내면(31a,31b)이 형성된 단프라박스의 테두리부재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0)의 양측 지지벽(10a,10b)과 상면(10c)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홈형 보강리브(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는 내측 상부로 구부려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KR1020080004863A 2008-01-16 2008-01-16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KR10094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63A KR100940059B1 (ko) 2008-01-16 2008-01-16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63A KR100940059B1 (ko) 2008-01-16 2008-01-16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74A KR20090078974A (ko) 2009-07-21
KR100940059B1 true KR100940059B1 (ko) 2010-02-04

Family

ID=4133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863A KR100940059B1 (ko) 2008-01-16 2008-01-16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54A (ko) 2020-06-23 2021-12-30 심재경 제작 및 재활용이 용이한 단프라 박스
KR20230173902A (ko) 2022-06-20 2023-12-27 박세민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8831U (ko) 1987-04-07 1988-10-18
JPH0378726U (ko) * 1989-12-01 1991-08-09
JPH08284913A (ja) * 1995-04-19 1996-11-01 Honsyu Internatl Packaging Kk 段ボール箱用固定具
JP2006275181A (ja) 2005-03-29 2006-10-12 Mikami Seisakusho:Kk 管体、ケーブル等の固定具等の取付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8831U (ko) 1987-04-07 1988-10-18
JPH0378726U (ko) * 1989-12-01 1991-08-09
JPH08284913A (ja) * 1995-04-19 1996-11-01 Honsyu Internatl Packaging Kk 段ボール箱用固定具
JP2006275181A (ja) 2005-03-29 2006-10-12 Mikami Seisakusho:Kk 管体、ケーブル等の固定具等の取付用ク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54A (ko) 2020-06-23 2021-12-30 심재경 제작 및 재활용이 용이한 단프라 박스
KR20230173902A (ko) 2022-06-20 2023-12-27 박세민 측면 개방구를 가지는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74A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2685A1 (en) Folding assembly box
KR100528304B1 (ko) 두루마리제품의저장및운반용용기
KR100940059B1 (ko) 단프라 박스의 테두리부재
EP1459991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KR101252519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JP6596468B2 (ja) コーナー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CN110562577A (zh) 一种加强型瓦楞纸箱
JP6243198B2 (ja) 運搬用容器
KR101379012B1 (ko) 조립형 박스
JP5183347B2 (ja) ロール状物用組立容器
JP6120485B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5715746B2 (ja) 脚部を有する容器
KR101570426B1 (ko) 팔레트
CN214494026U (zh) 一种减少内装折叠盒摩擦的周转箱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101476636B1 (ko) 보강부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조립방법
JP314222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1252522B1 (ko) 내충격성 보강부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CN211224316U (zh) 一种快速拼装盒体
CN208439609U (zh) 一种易于组装的纸质包装箱
JP5296644B2 (ja) 折り畳み可能な長尺部材の収納用容器
JP4408800B2 (ja) 角型コンテナー用紙製蓋材
US7299923B2 (en) Container for glass parts and accessories
JP4139627B2 (ja) パレットボックス
JPH04410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