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67B1 - 하모니카 - Google Patents

하모니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67B1
KR101378267B1 KR1020120142648A KR20120142648A KR101378267B1 KR 101378267 B1 KR101378267 B1 KR 101378267B1 KR 1020120142648 A KR1020120142648 A KR 1020120142648A KR 20120142648 A KR20120142648 A KR 20120142648A KR 101378267 B1 KR101378267 B1 KR 10137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onica
player
rail
mouthpiec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와, 취주부와, 접순부를 포함하는 하모니카에 관한 것이다.
접순부는 몸체부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슬라이딩부와, 몸체부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슬라이딩부와, 상슬라이딩부와 하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레일은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몸체부에 형성된 홈으로 접순부가 슬라이딩한다. 걸림부는 접순부에 연장형성되고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모니카 연주자의 손은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하모니카 연주자의 입술은 접순부에 밀착한 상태로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접순부가 잘 미끄러져 장시간 연주에 따른 연주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기존에 연주 노하우로 존재하는 타액 바르는 효과를 내면서도 하모니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의 타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모니카 내부의 리드가 녹슬어 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모니카 {Harmonica}
본 발명은 하모니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자의 손은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입술은 하모니카의 취주부 주위에서 매끄럽게 이동이 가능하여 장시간의 연주 부담이 완화되고, 연주자의 타액이 하모니카의 몸체부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몸체부 내부의 리드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여 하모니카의 음색을 청명하게 유지하는 하모니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모니카는 연주자의 호흡에 의해 공명하는 몸체부와, 연주자가 들숨과 날숨을 쉬기 위해 입을 대는 취주부로 이루어졌다. 하모니카의 연주를 위해서는,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리드가 진동하도록 연주자의 들숨과 날숨을 취주부를 통하여 전달하여야 하는데, 취주부에는 리드로 통하는 송풍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높낮이의 소리를 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높낮이의 소리를 내기 위하여 연주자는 하모니카의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입의 위치를 변경하며 연주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테인리스 판으로 제작되는 하모니카의 표면이 입술과 마찰을 일으켜 잘 미끄러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숙련된 연주자가 아닌 경우에는 입의 위치를 쉽게 변경하며 연주하기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하모니카 연주의 노하우로 하모니카의 표면에 윤활제 역할을 하는 타액을 발라가며 연주하는 방법이 전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주 노하우에 의존할 경우, 타액으로 인하여 하모니카의 외관이 지저분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각종 유해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연주자들은 입술 통증 및 알러지에 의한 고통을 호소하게 된다.
2009년 미국 공개특허 제0308223호에는 입의 위치를 쉽게 변경하며 연주할 수 있는 하모니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하모니카는 스테인리스 상판 대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하모니카의 표면을 제작하였기 때문에, 연주자의 입술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하모니카도 타액을 발라 입술이 하모니카의 상부면상에서 잘 미끄러지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타액을 발라 입술이 하모니카의 상부면상에서 잘 미끄러지는 노하우는 필연적으로 타액이 취주부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하모니카 내부의 리드를 녹슬게 한다. 리드가 녹슬게 될 경우, 녹의 무게 및 리드의 미세한 두께 변화로 음의 높낮이가 변화하게 되며 이는 하모니카를 결국 망가트리고 마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모니카 연주자의 손은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하모니카 연주자의 입술은 접순부에 밀착한 상태로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접순부가 잘 미끄러져 장시간 연주에 따른 연주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기존에 연주 노하우로 존재하는 침 바르는 효과를 내면서도 하모니카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주자의 타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모니카 내부의 리드가 녹슬어 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모니카는 연주자의 호흡에 의해 공명하는 몸체부와 연주자가 호흡을 불어넣는 취주부를 포함하는 하모니카에 있어서, 연주자의 입술이 밀착하여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순부를 구비한다.
접순부는 몸체부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슬라이딩부와, 몸체부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슬라이딩부와, 상슬라이딩부와 하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레일은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몸체부에 홈을 내어 형성되고, 레일을 따라 접순부가 슬라이딩한다.
걸림부는 접순부에서 연장형성되고, 걸림부는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접순부는 은나노를 함유한다. 또한 접순부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하모니카에 의하면, 하모니카 연주자의 손은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하모니카 연주자의 입술은 접순부에 밀착한 상태로 하모니카의 표면에서 접순부가 잘 미끄러져 장시간 연주에 따른 연주자의 부담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하모니카 연주 노하우인 타액 바르는 효과를 내면서도 타액에 의하여 하모니카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주자의 타액이 하모니카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모니카 내부의 리드가 녹슬어 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모니카는 연주자의 호흡에 의해 공명하는 몸체부(1100)와, 연주자가 들숨과 날숨을 쉬기 위해 입을 대는 취주부(1200)를 포함하며, 연주자의 입술이 밀착하여 몸체부(11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접순부(1300)를 구비한다.
몸체부(1100)는 하모니카의 몸체로서 전체적인 울림통의 역할을 하며, 리드(Reed)와 함께 음색을 결정한다. 몸체부(1100)는 목재, 플라스틱, 알루미늄, 돌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몸체부(11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관이 아름다우나 소재의 특성상 음의 공명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나무를 사용하여 몸체부(11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음의 공명효과가 뛰어나지만 습기나 충격에 약하고 나무의 특성상 보수가 어려운 특징이 있다. 플라스틱으로 몸체부(1100)를 형성하는 것이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며, 특히 ABS수지를 사용하여 몸체부(1100)를 형성하는 것이 가볍고 휴대성이 좋은 하모니카(1000)를 제공하기에 좋다.
몸체부(1100)의 내부에는 리드(미도시)와 리드를 배열해 놓은 음판(미도시)이 구비된다. 하모니카(1000)의 리드는 음을 조정하는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리드의 재료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게 된다. 리드의 길이와 두께에 의하여 하모니카(1000)의 음의 차이가 결정되는데, 짧고 얇은 리드일수록 높은 음을 내게 되고, 두껍고 긴 리드일수록 낮은 음을 내게 된다. 따라서 리드의 두께 및 무게와 이에 따른 진동수는 하모니카(1000)의 연주에 있어서 정확한 음역과 직결되는데, 기존의 하모니카 연주 노하우로 몸체부(1100)에 타액을 발라가며 연주하는 방법은 타액이 취주부(1200)를 통하여 몸체부(1100) 내부의 리드로 흘러들어가 리드를 녹슬게 하여 손상시키는 경우가 잦다. 따라서 몸체부(1100)에 타액을 발라가며 연주하지 않고도, 연주자의 입술과 몸체부(1100)의 마찰을 줄여 취주부(1200)를 물고 있는 연주자의 입이 자유롭게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어야 안정되고 편안한 연주가 가능하다.
한편, 몸체부(1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판으로 제작되게 되는데, 판의 두께는 0.3~0.5 mm 이며, 나사로 몸체부(1100)에 고정한다. 몸체부(1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소재를 마찰이 적은 매끄러운 소재로 변경하게 될 경우에는, 하모니카를 쥐는 연주자의 손이 하모니카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안정된 연주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모니카 연주자의 손은 하모니카를 미끄럽지 않게 단단히 고정하여 쥘 수 있으면서도 연주자의 입은 하모니카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어야 안정되고 편안한 연주가 가능하다.
취주부(1200)는 리드가 진동되도록 들숨과 날숨이 통과하는 송풍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연주자는 송풍구에 대고 호흡을 하면서 리드의 진동으로 음을 내게 되는데, 원하는 음을 내는 송풍구 쪽으로 입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변경하며 하모니카(1000)의 연주를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모니카(1000)는 하모니카(1000) 연주자의 입술이 직접 닿는 부분인 접순부(1300)를 따로 구비함으로써 하모니카(1000)의 연주시 몸체부(1100)에 입술이 직접 닿지 않아 입술과 몸체부(1100)의 마찰이 없다. 따라서 입술과 몸체부(1100)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몸체부(1100)에 타액을 발라가며 연주하는 기존의 연주 노하우를 따르지 않고도 연주자의 입이 몸체부(1100)상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모니카(1000)가 타액에 노출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리드로 통하는 송풍구가 형성된 취주부(1200)로 타액이 흐를 가능성도 적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모니카(1000)는 접순부(1300)를 구비하여 몸체부(1100)에 타액을 바르지 않아도 매끄러운 연주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몸체부(1100) 내부에 구비된 리드가 타액에 의하여 녹스는 것을 방지하여 하모니카(1000)를 오래도록 좋은 소리가 나도록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외관이 타액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하게 하모니카(1000)를 사용할 수 있다. 접순부(1300)는 몸체부(1100)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슬라이딩부(1310), 몸체부(1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하슬라이딩부(1320), 및 상슬라이딩부(1310)와 하슬라이딩부(1320)를 연결하는 와이어(1330)를 포함한다.
상슬라이딩부(1310)는 몸체부(11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연주자가 윗입술을 밀착하는 곳이다. 상슬라이딩부(1310)는 몸체부(1100)의 상부면과 닿는 부분이 잘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연주자의 입술이 접순부(1300)에 올려진 상태로 몸체부(1100)의 상부면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슬라이딩부(1310)가 몸체부(1100)의 상부면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서는 상슬라이딩부(1310)가 몸체부(1100)의 상부면과 닿는 부분에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하슬라이딩부(1320)는 몸체부(1100)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연주자가 아랫입술을 밀착하는 곳이다. 하슬라이딩부(1320)는 몸체부(1100)의 하부면과 닿는 부분이 잘 미끄러져 연주자의 입술이 접순부(1300)에 올려진 상태로 몸체부(1100)의 하부면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하슬라이딩부(1320)가 몸체부(1100)의 하부면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서는 하슬라이딩부(1320)가 몸체부(1100)의 하부면과 닿는 부분에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와이어(1330)는 신축성이 강한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상슬라이딩부(1310)와 하슬라이딩부(1320)가 하모니카(1000)의 몸체부(1100)에서 슬라이딩할 때 서로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동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슬라이딩부(1310)와 하슬라이딩부(13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상슬라이딩부(1310), 하슬라이딩부(1320), 와이어(1330)를 포함하는 접순부(1300)를 구비하는 하모니카(1000)의 경우, 하모니카(1000)의 표면을 매끄러운 소재로 변경하거나 별도의 윤활제나 타액을 바르지 않았기 때문에 하모니카 연주자의 손은 종전과 같이 하모니카(1000)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도, 입술은 상슬라이딩부(1310)와 하슬라이딩부(1320)에 밀착한 채로 하모니카(1000)의 상부면을 잘 미끄러져 장시간 연주에 따른 연주자의 부담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모니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모니카(1000)는, 몸체부(1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순부(1300)가 슬라이딩하는 레일(1400)과, 접순부(1300)에서 연장형성되고 레일(1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1400)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부(1340)를 구비한다.
레일(1400)은 몸체부(1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몸체부(1100)에 홈을 내어 형성되고, 접순부(1300)가 레일(1400)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레일(14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길게 홀이 형성된 강판이 몸체부(110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0)의 상부면에 홈을 내어 형성된다. 레일(1400)은 레일(140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접순부(1300)가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의 양 끝을 끝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걸림부(1340)는 접순부(1300)가 레일(1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일(14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접순부(130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접순부(1300)를 레일(1400)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1340)는 도 2와 같이 걸림부(1340)가 레일(1400)에 접촉하는 부분이 좁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걸림부(1340)가 레일(1400)에 접촉하는 부분이 넓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걸림부(1340)가 레일(1400)에 접촉하는 부분이 좁게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부(1340)가 몸체부(1100)상을 레일(1400)을 따라서 이동할 때에 마찰이 적어 더욱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걸림부(1340)가 레일(1400)에 접촉하는 부분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부(1340)가 몸체부(1100)상을 레일(1400)을 따라서 이동할 때에 걸림부(1340)가 레일(1400)에 더욱 안정되게 결합되어 빠질 염려가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한편, 접순부(1300)는 입술과 닿는 표면이 은나노가 함유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입술과 닿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은나노는 알러지가 없고, 살균 및 항균 작용이 탁월한 소재로서, 연주자가 오랜시간 접순부(1300)에 입술을 대고 연주를 하여도 가려움, 발진, 수포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은은 대부분의 단세포 세균,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데, 은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면 산소 분자는 산소 원자 형태로 금속 양이온인 은에 달라붙게 되고 이것이 세균, 박테리아의 세포막에 달라붙어 산화시키므로 파괴되어 살균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은을 10-9 m 크기의 미세한 나노 입자로 만들어서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소량으로도 은의 탁월한 항균, 살균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 접순부(130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입술 모양을 본뜬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과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접순부(13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순부(1300)가 곡선을 가지는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모니카 몸체부(1100)와의 마찰면적은 최대한 줄이면서도 연주자가 입술을 접촉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가지도록 접순부(1300)를 형성할 수 있고, 접순부(1300)가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주자가 입술을 보다 편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접순부(1300)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은 접순부(1300)가 몸체부(1100)를 미끄러질 때, 입술과 접순부(1300)의 마찰력을 강화하여 접순부(1300)에서 입술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접순부(1300)의 상슬라이딩부(1310)와 하슬라이딩부(1320)가 몸체부(1100)와 닿는 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되거나 레일(1400)이 구비되어 잘 미끄러지는 것이 접순부(1300)에 올려진 입술이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을 자유로이 이동하는데에 유리하다. 반면, 접순부(1300)가 연주자의 입술과 닿는 면에는 요철이 구비됨으로써 입술이 접순부(1300)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접순부(1300)를 몸체부(1100)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미는 데에 유리하고, 따라서 접순부(1300)에 밀착된 입술이 몸체부(1100)의 길이방향을 자유로이 이동하는 데에 유리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하모니카 1100 : 몸체부
1200 : 취주부 1300 : 접순부
1310 : 상슬라이딩부 1320 : 하슬라이딩부
1330 : 와이어 1340 : 걸림부
1400 : 레일

Claims (6)

  1. 연주자의 호흡에 의해 공명하는 몸체부와 연주자가 들숨과 날숨을 쉬기 위해 입을 대는 취주부를 포함하는 하모니카에 있어서,
    연주자의 입술이 밀착하여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입술과 닿는 면에 요철이 형성된 접순부와,
    상기 접순부가 슬라이딩하는 레일과,
    상기 접순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순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슬라이딩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하슬라이딩부와, 상기 상슬라이딩부와 하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홀이 형성된 강판이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순부는 은나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6. 삭제
KR1020120142648A 2012-12-10 2012-12-10 하모니카 KR10137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48A KR101378267B1 (ko) 2012-12-10 2012-12-10 하모니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48A KR101378267B1 (ko) 2012-12-10 2012-12-10 하모니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67B1 true KR101378267B1 (ko) 2014-03-26

Family

ID=5064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648A KR101378267B1 (ko) 2012-12-10 2012-12-10 하모니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8922U (ko) * 1974-03-11 1975-09-29
JPS53150216U (ko) * 1977-05-02 1978-11-27
JP2006085114A (ja) 2004-09-17 2006-03-30 Hideaki Kato ハーモニカを吹くときのスライド式マウスピース
JP2007219457A (ja) * 2006-02-14 2007-08-30 Kazuhiro Mizumachi 唇のガイド用プレート付きハーモニ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8922U (ko) * 1974-03-11 1975-09-29
JPS53150216U (ko) * 1977-05-02 1978-11-27
JP2006085114A (ja) 2004-09-17 2006-03-30 Hideaki Kato ハーモニカを吹くときのスライド式マウスピース
JP2007219457A (ja) * 2006-02-14 2007-08-30 Kazuhiro Mizumachi 唇のガイド用プレート付きハーモニ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39161T1 (de) Medizinischer führungsdraht
HK1115516A1 (en) Toothbrush that provides enhanced cleaning and comfort
DE602008000423D1 (de) Mundpflegegerät
KR101378267B1 (ko) 하모니카
ATE536120T1 (de) Dynamisches kissen zur entspannung von nackenverspannung
JP2016063940A (ja) 顔筋トレーニング具
JP2016502135A (ja) 弦楽器用演奏補助具
JP5429508B1 (ja) 弦楽器演奏補助器具
US20030047058A1 (en) Guitar stick and pick
JP4521666B1 (ja) 金管楽器用練習器具
CN204192839U (zh) 一种睡眠口罩
JP2022052599A (ja) マスク用クリップ
JP6209805B1 (ja) 鍵盤楽器練習時の手指の支持方法及び手指の支持具
CN205302913U (zh) 一种古筝指甲套
KR101263896B1 (ko)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JP3128975U (ja) 鼾及び歯軋り防止具
US20160217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an instrument pick
JP3218703U (ja) 二胡用弓
CN208974812U (zh) 一种带有留置针固定机构的手环
JP1705829S (ja) 扇風機
JP2005288115A5 (ko)
CN204442462U (zh) 腕式话筒架
JP6077441B2 (ja) 顔面筋鍛錬具のマウスピース
ITMI20110587A1 (it) Plettro da pollice calzante
CN207270616U (zh) 一种体育教学用跳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