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994B1 -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994B1
KR101377994B1 KR1020120044451A KR20120044451A KR101377994B1 KR 101377994 B1 KR101377994 B1 KR 101377994B1 KR 1020120044451 A KR1020120044451 A KR 1020120044451A KR 20120044451 A KR20120044451 A KR 20120044451A KR 101377994 B1 KR101377994 B1 KR 10137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roduct
mold
molded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345A (ko
Inventor
안영태
Original Assignee
안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태 filed Critical 안영태
Priority to KR102012004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9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0Removing moulded articles
    • B29C2043/503Removing moulded articles using ejector pins,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작업이 완료된 성형물을 완제품과 성형시 발생하는 폐 고무와 완전히 분리하여 완제품만 취출시켜 성형된 성형물을 작업자가 직접 만지지 않아도 완제품의 취출이 가능하여 고온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의한 화상의 예방과, 가열된 성형물이 식

Description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작업이 완료된 성형물을 완제품과 성형시 발생하는 폐 고무와 완전히 분리하여 완제품만 취출시켜 성형된 성형물을 작업자가 직접 만지지 않아도 완제품의 취출이 가능하여 고온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의한 화상의 예방과, 가열된 성형물이 식기 전에 완제품과 폐 고무를 분리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성형기 또는 진공 고무 성형기는 고무 소재를 성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제품을 성형하는 것으로, 통상 상 금형과 하 금형에 삽입되어지는 고무소재를 성형함에 있어 대기 중에서의 가압에 의한 성형 작업시 금형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기포로 인한 성형품의 불량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양질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출성형 작업 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분리 배출시키기 위해 진공챔버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고무제품 성형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스기는 관련 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판상의 고무 원재료를 적정중량으로 계량하여 이를 사출용 하금형 위로 올려놓는 원재료 투입공정과, 상기 적정중량의 원재료가 투입된 사출용 하금형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사출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된 상태로 프레스금형을 이루면서 고무제품을 가성형하는 고무제품 가성형 공정과, 상기 프레스금형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가성형된 고무제품을 구워 완전한 형상의 고무제품으로 성형하는 가열공정과, 상기 가열공정에 의해 프레스금형의 형상대로 구워져 성형된 고무제품을 상기 프레스금형에서 분리하는 고무제품 분리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고무제품을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판상의 조각으로 된 고무 원재료를 일차적으로 계량하여 적정중량으로 맞춘 다음 이 계량된 판상의 고무 원재료 조각을 일단 프레스용 하금형 위에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용 하금형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프레스용 상금형과 접촉 결합되면 프레스금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레스금형의 형상대로 고무제품이 가성형된다.
이후 프레스용 하열판과 프레스용 상열판이 가열되어 프레스금형의 온도를 고무제품이 완전하게 성형 될 수 있을 만큼의 온도인 150∼180℃로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면 상기 프레스금형 내의 가성형된 고무제품이 구워지면서 완전한 형상으로 고무제품이 성형 완료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프레스기는 한꺼번에 많은 수량을 성형할 수 있고, 기기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반대로 고무제품의 성형에 들어갈 고무 원재료의 중량을 성형작업 이전에 별도로 맞추어야 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한 형상이거나 크기가 큰 고무제품은 성형이 어려우며, 성형된 고무제품과 고무제품 사이 부분인 제품로스에 들어갈 량 만큼 고무 원재료를 필요로 하므로 상기 고무 원재료의 손실율이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고무 성형기 또는 사출 고무성형기는 150~180℃에서 구워진 고무제품 즉, 완제품을 분리 취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뜨겁게 구워진 제품을 직접 취출하므로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과, 취출시 제품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구워진 제품이 식을 때 까지 기다린 후 완제품을 취출하면 화상에서 벗어나고 완제품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나 작업도중 제품이 식을 때 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다.
이때 구워진 제품이 식을 때 까지 기다린다 하여도 열판이 가열된 상태라 쉽게 식지 않게 되므로 제품이 식을 때 까지 대기할 수 없다는 문제점에 따라 금형에서 식지 않은 제품을 작업자가 빼낸 후 손으로 일일이 취출하여야 하므로 고온에서 구워진 제품에 의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이며 제품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작업이 완료된 성형물을 완제품과 성형시 발생하는 폐 고무와 완전히 분리하여 완제품만 취출시켜 성형된 성형물을 작업자가 직접 만지지 않아도 완제품의 취출이 가능하여 고온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의한 화상의 예방과, 가열된 성형물이 식기 전에 완제품과 폐 고무를 분리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는 고무 원재료를 공급받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을 프레스장치 쪽으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제품 취출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 취출장치는 이송장치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스장치로 하금형을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하금형을 제품 취출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복합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취출장치는 하금형을 상단을 지지하면서 완제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취출장치는 프레스 고무성형기, 사출 고무 성형기등 다양한 성형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는 고무 제품 성형시 발생하는 제품 로스 부분과 완제품을 완벽하게 분리하면서 완제품만 취출하도록 하여 고온에서 가열된 고무 제품을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취출하지 않고도 완제품만 취출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온에 의한 작업자의 화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취출장치는 프레스 고무 성형기, 사출 고무 성형기, 진공 고무 성형기등 다양한 성형기에 적용 가능하여 이에 따라 고무 제품의 생상선이 극대화되고, 고온에서 바로 완제품과 제품 로스 부분을 분리 취출하므로 고품질의 고무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성형기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완제품과 제품 로스 부분을 분리하여 완제품을 취출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프레스 금형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금형의 상세도
도 6은 취출장치의 상세도
도 7은 취출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취출장치와 하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성형기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완제품과 제품 로스 부분을 분리하여 완제품을 취출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취출장치가 프레스 금형으로 이동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금형의 상세도
도 6은 취출장치의 상세도
도 7은 취출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취출장치와 하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본 발명의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표는 고무 성형기에 의하여 성형 완료된 고무 제품을 완제품과 제품 로스 부분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완제품을 취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성형기 성형물 취출장치는 고무 원재료를 공급받는 하금형(200)과, 상기 하금형을 프레스장치(300) 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구성요소와 복합적으로 구성되면서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성형 완료된 고무제품을 외부로 취출하는 제품 취출장치(2)로 하금형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금형(2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하금형을 직선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유공압 실린더(100)가 구비되어 하금형을 프레스장치로 안전하게 이송한다.
이송된 하금형은 프레스장치의 하측에 위치되고 프레스 장치가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하금형에 올려져 있는 고무를 성형한다.
이때 프레스 장치는 150~180℃로 가열되어 고무를 소정시간동안 가열하여 성형하도록 한다.
성형이 완료되면 프레스장치는 상승되고 하금형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빠지게 되고 이때 하금형은 실린더(102)에 의하여 수직 상승하여 취출장치(2)로 향한다.
상기한 취출장치는 고정대(8)에 천공된 홀을 통하여 보울트로 취출바의 상단중심으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하여 취출바(4)를 수직하방으로 복수개 구성되고 취출바(4)는 밀착판(6)에 천공된 홀(10)에 내재되어 하금형(200)의 상면이 밀착판(6)에 접촉지지되면서 밀착판(6)을 상부로 밀어 취출바가 노출되면서 하금형에 놓여지 있는 고무제품 즉, 성형 완제품만 밀어 내면서 제품 로스와 완제품을 분리 취출하도록 한다.
상기한 밀착판(6)은 취출바(4)의 가이드 역할 및 제품 로스 부분만 하금형에 밀착되도록 하여 완제품만 제품 로스와 분리시켜 취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밀착판(6)의 하부면은 취출바(4)의 선단과 거의 일치되도록 고정대(8)에 상하 이동되도록 고정하며 스프링장치등을 이용하여 하금형(200)에 의하여 눌려져 있다가 하금형이 아래로 내려가면 원상복귀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하금형(200)은 분리형 금형으로 제품이 성형되는 금형(202)과 상기 금형(202)의 하측에 금형과 밀착 형성되는 받침대(204)로 구성되어 받침대는 전후 이동을 위한 실린더(100)가 고정되며 금형(202)에는 수직 이동을 위한 실린더(102)가 구성되어 취출장치로 올라갈 때는 이젝터로 금형을 분리하여 올리면 적당한 기점에서 제품을 담을 바구니를 넣고 다시 금형을 올려 사상 완료한다.
상기한 금형(202)은 제품이 성형되는 금형으로 도 5내지 도 6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하로 관통된 성형공간(12)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취출바(4)가 내재되면서 완제품을 밀어내면서 제품 로스와 완제품을 분리 취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금형은 상하 관통된 상태로 구성되나 금형 아래에 받침대가 밀착 고정되므로 성형물을 완벽하게 성형 가능한 것이다.
한편 금형과 받침대로 분리 구성한 것은 금형에 있는 제품을 취출바가 아래로 밀어 제품 로스와 완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금형이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지 않을 경우 즉, 금형이 관통된 상태로 있지 않을 경우 제품과 제품 로스를 분리할 수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취출장치는 주로 원기둥 형태의 성형물에 적합하며 완제품이 아래로 빠지도록 금형을 구성하면 원기둥 형태 이외에 턱이 있는 제품 등 다양한 모양의 성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취출장치 4: 취출바

Claims (3)

  1. 고무 원재료를 공급받기 위한 하금형(200), 상기 하금형은 금형(202)과 받침대(204)로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금형(202)에는 수직이동을 위한 실린더(102)를, 받침대에는 전후 이동을 위한 실린더(100)를 구성하여, 상기 하금형을 프레스장치(300) 쪽으로 이송하여, 프레스장치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고무를 성형하여 성형된 고무를 취출하는 공지의 고무 성형기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취출장치는 고정대(8)에 취출바(4)가 수직하방으로 복수개 구성되고 취출바(4)는 밀착판(6)에 천공된 홀(10)에 내재되어 하금형(200)의 상면이 밀착판(6)에 접촉 지지되면서 밀착판(6)을 상부로 밀어 취출바가 노출되면서 하금형에 놓여져 있는 성형 완제품만 밀어내면서 제품 로스와 완제품을 분리 취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밀착판(6)은 취출바(4)의 가이드 역할 및 제품 로스 부분만 하금형에 밀착되도록 하여 완제품만 제품 로스와 분리시켜 취출하도록 구성하고, 밀착판(6)의 하부면은 취출바(4)의 선단과 거의 일치되도록 고정대(8)에 상하 이동되도록 고정하며 스프링을 이용하여 하금형(200)에 의하여 눌려져 있다가 하금형이 아래로 내려가면 원상복귀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KR1020120044451A 2012-04-27 2012-04-27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KR10137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451A KR101377994B1 (ko) 2012-04-27 2012-04-27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451A KR101377994B1 (ko) 2012-04-27 2012-04-27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45A KR20130121345A (ko) 2013-11-06
KR101377994B1 true KR101377994B1 (ko) 2014-04-01

Family

ID=498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451A KR101377994B1 (ko) 2012-04-27 2012-04-27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214B1 (ko) * 2014-05-12 2014-08-01 김현근 와이어씰 추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8B1 (ko) * 2007-11-30 2009-12-10 송성국 고무 진공 사출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8B1 (ko) * 2007-11-30 2009-12-10 송성국 고무 진공 사출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45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689B1 (ko) 대형 유리성형물 성형장치
CN103404630B (zh) 一种砖茶自动生产设备
RU201214097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клянного изделия, имеющего ручку
CN105562395A (zh) 自动化3d打印牙颌模型清洗固化系统
CN101609807A (zh) 分料机构
KR101377994B1 (ko) 고무 성형기의 성형물 취출장치
US2332937A (en) Molding press
KR20060112625A (ko) 게이트 절단장치
KR101020957B1 (ko) 금형장치
CN105170831A (zh) 一种金属桶盖自动生产方法
KR100743675B1 (ko) 입체적 형상을 갖는 필름형 성형물의 트리밍장치
CN205414411U (zh) 一种改善粉末注射成型耳机滑轨烧结变形的治具
CN102101343A (zh) 手动式半溢式压模
JP6695215B2 (ja) 熱硬化性プラスチックの成形装置
CN205660988U (zh) 一种注塑自动送料机
KR20110000249A (ko)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CN112321136A (zh) 玻璃圆片软化成型系统及其操作方法
CN204054521U (zh) 碗盖注塑模塑件脱出装置
KR200193273Y1 (ko) 고무제품 성형기
KR20180009282A (ko) 전자동 왁스사출기
JP2011037229A (ja) 射出成形型
KR100372028B1 (ko)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
KR101696614B1 (ko) 상부금형이 없는 수평형 사형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사형 제조방법
KR200315524Y1 (ko) 고무성형용 프레스
CN212448224U (zh) 一种物料转移机构和一种自动高频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