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62B1 -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62B1
KR101377062B1 KR1020120060727A KR20120060727A KR101377062B1 KR 101377062 B1 KR101377062 B1 KR 101377062B1 KR 1020120060727 A KR1020120060727 A KR 1020120060727A KR 20120060727 A KR20120060727 A KR 20120060727A KR 101377062 B1 KR101377062 B1 KR 10137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tate
contact
building
exteri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7282A (en
Inventor
한창수
이승훈
길명수
강민성
천보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62B1/en
Publication of KR2013013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7/3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5/28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controlling eve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8Monitoring fou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기 설치된 레일을 주행하면서 상기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레일상태 검출장치로,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레일 접촉부; 상기 레일 접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식이나 전기식으로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ail stat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while traveling on the pre-installed rail, is provided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surface state of the rail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Rail contact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te of the rai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in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rail, that is, whether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compared to the prior ar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optically or electrically.

Description

레일상태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레일상태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detecting a state of a pre-installed rail, that is, whether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이란, 주로 고층 건물에서 건물 외벽에 대해 세척, 도장, 검사(모니터링) 등의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시스템으로, 건물 외벽의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인력에 의한 작업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줄이고 시스템의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is a robot system mainly for cleaning, painting, and inspection (monitoring) of building exterior walls in high-rise buildings. Its main purpose is to minimize work, reduce safety accidents and improve the efficiency and economics of the system.

이러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유지관리장치(예컨대, 세척장치, 도장장치, 검사장치 등)가 장착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한다.Such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generally includes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equipped with a maintenance device (eg, a cleaning device, a painting device, an inspection device, etc.) while traveling along a rail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Perform maintenance work.

그런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레일은 장시간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 바람, 온도 등에 의해 레일이 손상 혹은 파손되거나 레일 내에 먼지나 얼음 등의 이물질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레일의 손상 또는 레일 내에 투입된 이물질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과정에서 큰 외란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외란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탈선, 고장 등의 야기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rail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il is damaged or damaged due to rain, wind, temperature, or the like, an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ice is introduced into the rail. Such damage to the rail o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rail may act as a large disturbance in the process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traveling along the rail, and such disturbance may cause derailment and failur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이러한 측면에서 레일 주행 방식의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88818호(발명의 명칭: 고층 건물의 밖의 유리면과 건물 외벽면을 원격조정으로 닦는 장치, 공고일자: 2006년 06월 19일),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000367호(발명의 명칭: 빌딩 외면의 청소 장치, 공개일자: 2001년 01월 09일) 등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there is a demand for introducing a technology capable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that is, whether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in a rail driving-typ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Related prior art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88818 (name of the invention: an apparatus for wiping the outer glass surface of a high-rise building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a building by remote control, publication date: June 19, 200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2001-000367 (name of the invention: cleaning device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published date: January 09, 2001).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식이나 전기식으로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일상태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in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rail, that is, whether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n the rail compared to the prior art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optically or electrically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레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레일의 손상 또는 레일 내에 투입된 이물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탈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detect the condition of the rail in real time to improve the economics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as well as by the damage of the rail or foreign matter put into the rail It is to provide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that can prevent the derailment, failure, etc.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which can be caused, and ultimately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 설치된 레일을 주행하면서 상기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레일상태 검출장치로,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레일 접촉부; 상기 레일 접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레일상태 검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rail while traveling on a pre-installed rail, the rail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inner surface state of the rail Contact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te of the rai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ressing unit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ail contacting portion such that the rail contacting portion maintains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rail.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접촉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rail contact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t an initial position of the rail contac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rail contac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ail.

상기 레일의 내측면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레일의 단차진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접촉부 각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formed to be stepped, a plurality of rail contact portion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tepped inner surface of the rail, and the signal generato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ail contacts.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상기 레일 접촉부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ail contact portion may be coupled to a hinge shaft and rotated according to a state of an inner surface of the rail.

상기 레일 접촉부는,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바; 및 상기 회동 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rotation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rail; And a contact roll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 bar an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rail.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회동 바에 마련되고 상기 신호 발생부의 입력단과 접촉하여 상기 회동 바의 움직임을 상기 신호 발생부에 전달하는 전달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ail contac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protrusion provided at the rotation bar and contacting an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generation unit to transmit a movement of the rotation bar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상기 전달 돌기는, 상기 회동 바에 형성된 위치조절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바 상에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transfer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a positioning slot formed on the pivoting bar to adjust the position on the pivoting bar.

상기 신호 발생부는, 슬라이드 포텐셔미터(slide potentiomet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a slide potentiometer.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그 지점에서 상기 레일의 내측면이 손상되거나 상기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exists in the rail at the point when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is out of a preset range.

상기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레일 주행 방식의 로봇 시스템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및 상기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의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ther object i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rail running robot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 outer wall, the rail uni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configured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raveling along the rail unit; And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mounted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to detect a state of the rail of the rail unit.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레일 접촉부; 상기 레일 접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tate detecting device may include: a rail contact par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ail and move according to an inner side state of the rail;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state of the rai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가압부; 및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접촉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tate detecting device may include: an elastic pressing unit configur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ail contacting portion so that the rail contacting portion maintains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rail; And a rotation driving part configured to rotate the rail contact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t an initial position of the rail contact part in a state where the rail contact part is inserted into the rail.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그 지점에서 상기 레일의 내측면이 손상되거나 상기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When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at that point and maintains the building exterior wall. The running of the management robot can be stopped.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레일을 주행하면서 레일에 직접 접촉하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레일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광학식이나 전기식으로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tate of the rail by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that directly contacts the rail while traveling on the rail, so that the state of the rail, i.e., the state of the rail is optically or electrically detected. Reliability and accuracy can be improved in determining whether a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레일부을 따라 주행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레일상태 검출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레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레일의 손상 또는 레일 내에 투입된 이물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탈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that runs along the rail portion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thereby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By detecting the condition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s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as well as to prevent derailment and failur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which may be caused by damage to the rail or foreign matter put into the rail. The stability of the system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적용되는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로봇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검출 대상이 되는 레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도 3에 도시된 레일 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obot system for maintenanc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where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ail to be detected by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ail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of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of FIG. 6.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적용되는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로봇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obot system for maintenance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로봇 시스템(이하, '로봇 시스템'이라 함)은, 건물의 수평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수평 레일부(11), 건물의 수직 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수직 레일부(12), 수평 레일부(11)를 따라 건물의 외벽을 주행하도록 마련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 및 수직 레일부(12)를 따라 건물의 외벽을 주행하도록 마련되는 위크 스테이션(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robo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bot system') for maintenance of a building exterior wall may include a horizontal rail unit 11 installed on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in a horizontal or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Vertical rail unit 12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building outer wall maintenance robot 10 provided to travel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long the horizontal rail unit 11, and vertical rail unit 12 It may include a weak station 20 to travel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long.

수평 레일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층별로 건물의 외벽에 대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레일부(11)는 건물의 한 층마다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 아래 한 쌍의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레일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모퉁이 혹은 코너에서 건물의 외벽에 대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레일부(1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horizontal rail unit 11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horizontal rail unit 11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up and dow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ach floor of the building.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rail unit 12 may be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t the corner or corner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vertical rail unit 12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rail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은 건물의 외벽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유지관리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유지관리장치는 건물의 외벽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 건물의 외벽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장치 및 건물의 외벽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유지관리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은 건물의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건물의 외벽에 대해 세척작업, 도장작업 또는 검사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건물의 '외벽'은 건물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유리창, 통상의 콘크리트 벽, 커튼 월(curtain wall), 새시 등의 다양한 건축 요소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may be equipped with a maintenance device for maintaining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Here, the maintenance device may be provided as any one of various maintenance devices, including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coating device for paint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condi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ave.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may perform washing, painting or inspection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ravel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uilding.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used to include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glass windows, ordinary concrete walls, curtain walls, and chassis that constitute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워크 스테이션(20)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과 도킹하여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에 소정의 자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킹(docking)'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과 워크 스테이션(20)이 어떠한 목적을 위해 특정 위치로 이동하여 서로 만나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원(resources)'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이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형태의 에너지 또는 물질을 의미하며, 예컨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을 구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전력,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에 세척장치가 장착된 경우 세척수, 세제 등의 세척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워크 스테이션(20)은 건물의 모퉁이에서 수직 레일부(2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므로, 도킹을 요청하는 ㄱ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이 위치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workstation 20 may dock with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to supply predetermined resources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Here, the term 'docking' means that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and the workstation 20 move to a specific position for some purpose and meet and combin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term 'resources' refers to all types of energy or materials required for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to perform a series of tasks, and for example, energy for driving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As a power source, when the cleaning device is mount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it may include cleaning materials such as washing water and detergent. In this case, since the workstation 20 may travel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rail unit 21 at the corner of the building, the workstation 20 may move to the floor where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requesting docking is loca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where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100)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의 선단부(10a) 및 후단부(10b)에 각각 2개씩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상태 검출장치(10)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의 정/역 방향 주행 동작시 한 쌍의 레일(R, 도 1 참조)에 대해 그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100)의 장착 위치 및 개수는 도 2에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ront end portion 10a and the rear end portion 10b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2) can be mounted on each. Accordingly, 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10 may grasp the state of the pair of rails R (see FIG. 1) in real time during the forward / reverse driving operation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However,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isclosed in FIG. 2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검출 대상이 되는 레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ail to be detected by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레일(1)은 도 1의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에서 수평 레일부(11)를 구성하는 한 쌍의 레일일 수 있다. 레일(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측면(1a,1b,1c)이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레일(1)에서 그 내측면(1a,1b,1c)의 단차 개수는 3개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더 나아가 레일의 구조 및 형상 등은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rail 1 shown in FIG. 3 may be a pair of rails constituting the horizontal rail part 11 i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of FIG. 1. The rail 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nd to have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stepped. Meanwhile, the number of steps of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shown in FIG. 3 is thre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mor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rail are to be applied. Of course,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가 도 3에 도시된 레일 상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레일상태 검출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ail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of FIG. 6,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of FIG. 6. It is a block diagram.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100)는 기 설치된 레일(1)을 주행하면서 레일(1)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레일 접촉부(110), 신호 발생부(120), 탄성 가압부(130), 회전 구동부(140) 및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8, the rail state det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1 while traveling on a pre-installed rail 1, the rail contact part 110, and a signal. The generator 120 may include an elastic pressing unit 130, a rotation driving unit 140, and a controller 150.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로봇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 도 1 및 도 2 참조)에 장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철도 레일을 포함하여 다른 다양한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100 described herein is applied to the robot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as described above, it is mounted 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ee 10, 1 and 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state of various other rails including railway rails.

레일 접촉부(11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의 내측면(1a,1b,1c)에 접촉하여 레일(1)의 내측면(1a,1b,1c)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레일 접촉부(110)는 레일(1)의 단차진 내측면(1a,1b,1c)에 대응하도록, 즉 내측면(1a,1b,1c)의 단차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 접촉부(110)는 레일(1)의 내측면(1a,1b,1c)이 3단으로 단차진 것에 대응하여 3개가 마련되고 있다.As shown in FIGS. 4 to 8,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contacts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It may be arranged to mov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ail contacts 110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tepped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that 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ps of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rail contacts 110 ar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eps in which the inner surfaces 1a, 1b, 1c of the rail 1 are stepped in three stages.

구체적으로, 레일 접촉부(110)는 힌지축(127)에 결합되어 레일(1)의 내측면(1a,1b,1c) 상태에 따라 회동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127)은 신호 발생부(12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레일 접촉부(110)는 힌지축(127)을 통해 신호 발생부(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 접촉부(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111), 접촉 롤러(113) 및 전달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바(111)는 그 일단부(111a)가 힌지축(127)에 결합되고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롤러(113)는 회동 바(111)의 타단부(111b)에 결합되고 레일(1)의 내측면(1a,1b,1c)에 접촉할 수 있다. 전달 돌기(115)는 회동 바(111)에서 돌출되도록 회동 바(111)에 마련되되, 신호 발생부(120)의 입력단(123, 슬라이드 바)과 접촉하여 회동 바(111)의 회동 움직임을 신호 발생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달 돌기(115)는 회동 바(111)의 움직임을 신호 발생부(120)에 신뢰성 있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111)에 형성된 위치조절슬롯(117)에 결합되어 회동 바(111) 상에서 위치 조절이 가능해진다.Specifically,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hinge shaft 127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inner surface (1a, 1b, 1c) of the rail (1). In this case, the hinge shaft 127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gnal generator 120. That is,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ignal generator 120 through the hinge shaft 127. To this end,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may include a rotation bar 111, a contact roller 113, and a transfer protrusion 115 as shown in FIGS. 6 and 7. Rotating bar 111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portion 111a is coupled to hinge shaft 127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rail 1. The contact roller 113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111b of the rotation bar 111 and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The transmission protrusion 115 is provided on the rotation bar 111 so as to protrude from the rotation bar 111, and contacts the input end 123 (slide bar) of the signal generator 120 to signal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bar 111. It may be delivered to the generation unit 120.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protrusion 115 may rotate the rotation bar 111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so as to adjust an optimal position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bar 111 to the signal generator 120 reliably and accurately. It is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ing slot 117 formed in the)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n the rotation bar (111).

한편, 3개의 레일 접촉부(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동 바(111)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의 단차진 내측면(1a,1b,1c)의 서로 다른 높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함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three rail contacts 110 may have different lengths of the rotation bars 111, which is illustrated in FIG. 4. This is to appropriately cope with different heights of the stepped inner surfaces 1a, 1b, and 1c.

이러한 구성을 갖는 레일 접촉부(110)는 레일상태 검출장치(100)가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촉 롤러(113)가 레일(1)의 내측면(1a,1b,1c)과 접촉한 상태로 구르다가 레일(1)의 내측면(1a,1b,1c)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만나거나 이물질을 만나게 되면, 회동 바(111)가 힌지축(127)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움직임은 전달 돌기(115)를 통해 신호 발생부(120)에 전달되어 신호 발생부(120)의 입력단(123, 슬라이드 바)을 소정의 구간 내에서 이동시키게 된다.The rail contact portion 1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contact roller 113 and the inner surfaces 1a, 1b, 1c of the rail 1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100 along the rail 1. When roll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when deformed or damaged parts are encountered on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or when foreign substances are encountered, the rotation bar 111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27. This movemen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generator 120 through the transfer protrusion 115 to move the input terminal 123 (slide bar) of the signal generator 120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신호 발생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접촉부(1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신호 발생부(120)는 레일 접촉부(110)를 구성하는 회동 바(111)의 움직임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신호 발생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 접촉부(110) 각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부(120)는 3개의 레일 접촉부(110)에 대응하여 3개가 마련되고 있다.The signal generator 12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110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ignal generator 12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voting bar 111 constituting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a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12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s of the plurality of rail contacts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signal generators 12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three rail contacts 110.

구체적으로, 신호 발생부(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포텐셔미터(121, slide potentiometer)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포텐셔미터(121)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이라고도 부르는 널리 알려진 전기 부품으로 위치에 따라 비례하는 전압이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라 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포텐셔미터(121)는 슬라이드 바(123)가 직선으로 움직이는 것에 비례하는 저항값을 가지는데, 이때 슬라이드 바(123)의 움직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 접촉부(110)의 회동 바(111)의 움직임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발생부(120)는 레일 접촉부(1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신호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신호 발생부(120)는 슬라이드 포텐셔미터(121)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레일 접촉부(110)의 기계적 움직임에 비례하는 혹은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른 다양한 전기 부품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signal generato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lide potentiometer 121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lide potentiometer 121 is a well-known electrical component, also referred to as a slide variable resisto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measuring a voltage or a resistance value proportional to a position. That is, the slide potentiometer 121 has a resistance value proportional to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123 in a straight line, wherein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123 is the rotation bar 111 of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work with the movement of. Accordingly, the signal generator 120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generator 120 is not limited to being implemented as the slide potentiometer 121, but is proportional to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110 or It may be implemented in any of a variety of other electrical components that generate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한편, 신호 발생부(120)는 회전 구동부(140)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신호 발생부(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140)의 제1 회전축(141)과 결합하는 회전 브라켓(125)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generator 120 is configured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by the rotation driver 140. For this purpose, the signal generator 120 is rotated as shown in FIGS. 5 and 6. It may include a rotary bracket 125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41 of the).

탄성 가압부(130)는 레일 접촉부(110)의 접촉 롤러(113)가 레일(1)의 내측면(1a,1b,1c)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레일 접촉부(11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가압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접촉부(110)와 신호 발생부(120)를 연결하는 힌지축(127)을 에워싸고 양단부가 레일 접촉부(110)와 신호 발생부(120)에 각각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탄성 가압부(13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토션 스프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탄성력을 인가하는 다른 다양한 기계 부품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elastic pressing part 130 may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ail contact part 110 so that the contact roller 113 of the rail contact part 110 maintain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elastic pressing unit 130 surrounds the hinge shaft 127 connecting the rail contacting unit 110 and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0, and both ends of the elastic pressing unit 130 and the rail contacting unit 110 signal. The torsion springs fixed to the generator 120 may be easily implemen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essing unit 130 is not limited to the torsion spring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various other mechanical parts to apply an elastic force.

회전 구동부(140)는 레일 접촉부(110)가 레일(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 접촉부(11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레일 접촉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회전 구동부(140)는 레일 접촉부(110)가 레일(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 접촉부(1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레일 접촉부(11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레일 접촉부(110)의 접촉 롤러(113)가 레일(1)의 내측면(1a,1b,1c)과 접촉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r 140 may rotate the rail contact part 110 to set an initial position of the rail contact part 110 while the rail contact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rail 1. That is, the rotation driver 140 may move the rail contact part 110 to an initial position by rotating the rail contact part 110 by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rail contact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rail 1. . Here, the initial position may refer to a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roller 113 of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contacts the inner surfaces 1a, 1b and 1c of the rail 1.

구체적으로, 회전 구동부(1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접촉부(110)가 결합된 신호 발생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전축(141)과, 제1 회전축(14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 모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부(140)는 회전 모터(145)와 직접 연결되는 제2 회전축(146)과, 제2 회전축(146)의 회전을 제1 회전축(141)으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기어(143,1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43)는 제1 회전축(141)에 일정 간격으로 3개가 마련되고, 제2 기어(147)는 제2 회전축(146)에 일정 간격으로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회전 구동부(140)는 제1 및 제2 회전축(141,146)과 제1 및 제2 기어(143,147)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149)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회전 구동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구성 혹은 메커니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레일 접촉부(110)를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다른 구성 혹은 메커니즘으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to 7, the rotation driver 14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haft 141 rotatably supporting the signal generator 120 to which the rail contact 110 is coupled, and a first rotation shaft. It may include a rotary motor 145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141. In addition, the rotation driver 140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shaft 146 directly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145, and first and second gears configured to transmit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146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41. 143,147). In this case, three first gears 143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141 at regular intervals, and three second gears 147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146 at regular intervals. Meanwhile, the rotation driver 140 may include a frame 149 as shown in FIG. 6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41 and 146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s 143 and 147 are installed. Can be. However, the rotation drive unit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r mechanism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may be changed to another configuration or mechanism that can rotate the rail contact portion 110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50)는 신호 발생부(120)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레일(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신호 발생부(120)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예컨대 전압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그 지점에서 레일(1)의 내측면(1a,1b,1c)이 심하게 손상되거나 레일(1)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러(150)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주행을 정지시킴으로써, 레일(1)의 손상 또는 레일(1) 내에 투입된 이물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의 탈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전술한 회전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rail 1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20.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if the magnitude (for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20 is out of the value of the preset range, the inner surface (1a, 1b) of the rail 1 at that point It may be determined that 1c is severely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stops the running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 (refer to FIGS. 1 and 2), thereby causing damage to the rail 1 or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rail 1. Derailment, failure, etc. of the maintenance robot 10 can be prevented beforehan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er 140 described above.

이러한 컨트롤러(15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레일상태 검출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거나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10)의 제어를 위해 기 설치된 컨트롤러의 기능적인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 processor (Micro Processor), or the like, and may be separately installed to control the rail state detecting apparatus 100 or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 For control of 10) may be provided as a functional part of the pre-installed controll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레일을 주행하면서 레일에 직접 접촉하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레일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광학식이나 전기식으로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레일의 상태, 즉 레일이 손상되거나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함에 있어서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il stat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tate of the rail by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that directly contacts the rail while traveling on the rail, thereby comparing the state of the rail optically or electrically. Reliability and accuracy can be improved in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the rail, i.e.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레일부을 따라 주행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레일상태 검출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레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레일의 손상 또는 레일 내에 투입된 이물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탈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that runs along the rail portion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By detecting the condition of rails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s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as well as to prevent derailment and failure of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which may be caused by damage to the rails or foreign substances put into the rails. Ultimately, the stability of the system can be secur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레일
10 :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100 : 레일상태 검출장치
110 : 레일 접촉부
120 : 신호 발생부
130 : 탄성 가압부
140 : 회전 구동부
150 : 컨트롤러
1: Rail
10: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100: rail state detection device
110: rail contact
120: signal generator
130: elastic pressing unit
140: rotation drive unit
150: controller

Claims (14)

기 설치된 레일을 주행하면서 상기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레일상태 검출장치로,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레일 접촉부;
상기 레일 접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접촉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As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rail while driving the pre-installed rail,
A rail contact part provided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ail to move according to an inner side state of the rail;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rai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And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rail contac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rail contact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rail conta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rail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ail contact portion maintain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내측면은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레일의 단차진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 접촉부 각각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formed to be stepped,
A plurality of rail contact portion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tepped inner surface of the rail,
And a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are provided to generate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movements of the plurality of rail contac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접촉부는,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contact portion,
Rail state detec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is provided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접촉부는,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바; 및
상기 회동 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ail contact portion,
A rotation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And
And a contact roll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bar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회동 바에 마련되고 상기 신호 발생부의 입력단과 접촉하여 상기 회동 바의 움직임을 상기 신호 발생부에 전달하는 전달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ail contact portion,
And a transmiss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rotation bar and transmitting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bar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in contact with an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generat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돌기는,
상기 회동 바에 형성된 위치조절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바 상에서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ransfer projection is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adjusted on the rotation bar is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slot formed in the rotation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슬라이드 포텐셔미터(slide potentiome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gnal generator,
A rail condition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slide potentio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그 지점에서 상기 레일의 내측면이 손상되거나 상기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if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is outside the preset range,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at that point.
건물 외벽의 유지 관리를 위한 레일 주행 방식의 로봇 시스템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건물의 외벽에 대해 유지관리작업을 수행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및
상기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의 레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레일상태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의 내측면 상태에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레일 접촉부;
상기 레일 접촉부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접촉부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
Rail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the building's outer wall
A rail uni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configured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raveling along the rail unit; And
And a rail state detection device mounted to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to detect a state of the rail of the rail unit.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A rail contact part provided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ail to move according to an inner side state of the rail;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ail contac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rail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And
And a rotation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rail contact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t an initial position of the rail contact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contact part is inserted into the rail.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레일 접촉부가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레일 접촉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ail state detection device,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rail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ail contact portion maintains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값을 벗어나면, 그 지점에서 상기 레일의 내측면이 손상되거나 상기 레일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유지관리 로봇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comprising:
If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is outside the prese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is damaged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rail at that point, and the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runs. Building exterior wall maintenance robo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KR1020120060727A 2012-06-07 2012-06-07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KR1013770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7A KR101377062B1 (en) 2012-06-07 2012-06-07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727A KR101377062B1 (en) 2012-06-07 2012-06-07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282A KR20130137282A (en) 2013-12-17
KR101377062B1 true KR101377062B1 (en) 2014-03-24

Family

ID=499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727A KR101377062B1 (en) 2012-06-07 2012-06-07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27B1 (en) * 2015-10-30 2016-03-10 김성호 Rail type vacuum cleaner for controlled horticul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70B1 (en)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Rail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mae
CN110793418A (en) * 2019-11-05 2020-02-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On-spot acceptance device of building site
CN116839460B (en) * 2023-08-29 2023-11-21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Flatness detection device for building curtain w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141A (en) * 2003-02-06 2004-08-26 Honda Motor Co Ltd Rail wear detection device and remaining thickness measuring method for rail using this de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141A (en) * 2003-02-06 2004-08-26 Honda Motor Co Ltd Rail wear detection device and remaining thickness measuring method for rail using this detec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27B1 (en) * 2015-10-30 2016-03-10 김성호 Rail type vacuum cleaner for controlled horticul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282A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6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ail and robot system for maintaining outer wall of building
CN211954433U (en) Cable automated inspection robot
US9802579B2 (en) Vehicle wash system
US9355873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photovoltaic devices
WO2017097065A1 (en) Cleaning device
US11045059B2 (en) Self-propelled robot
JP2019535403A (en) Window cleaning robot
WO2016024304A1 (en) Solar-panel cleaning device
JPH0569350A (en) Maintenance device for track traveling type robot equipment
KR100687304B1 (en) Device for checking defects under bridge
JP6857350B2 (en) Solar panel maintenance equipment
JP2016067139A (en) Overhead wire inspection device
KR102360131B1 (en) Cleaning Device fot Solar Panel
KR101709606B1 (en)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9317456A (en) A kind of insulator cleaning device
CN103608685B (en) Use the scanner diagnosis of three axis accelerometer
JP2004358451A (en) Spray type washing robot which recognizes profile automatically
KR101339852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gondola robot and gondola robot system having the same
PT2185297E (en) Dedusting method and corresponding dedusting device
KR101805518B1 (en) Rota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Obstacle Avoiding Function for Cleaning an Window
KR10091624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edge of strip in cleaning equipment
CN117118346A (en) Cleaning system and cleaning realization method for photovoltaic module
JP2004144710A (en) Wall thickness measuring system of large diameter pipe
CN107064308A (en) Phased array detects servo stepping automatic scanning device
CN205341416U (en) Crooked pipe inner wall cleaning device of high degree of freed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