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160B1 -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160B1
KR101375160B1 KR1020120088061A KR20120088061A KR101375160B1 KR 101375160 B1 KR101375160 B1 KR 101375160B1 KR 1020120088061 A KR1020120088061 A KR 1020120088061A KR 20120088061 A KR20120088061 A KR 20120088061A KR 101375160 B1 KR101375160 B1 KR 101375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over
housing
preventing member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070A (ko
Inventor
용석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to KR102012008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60B1/ko
Priority to CN201310349330.7A priority patent/CN103573902B/zh
Priority to CN201310349497.3A priority patent/CN103573903B/zh
Publication of KR2014002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8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where gas is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omprising a gas spring with a flexible wall provided within the cylinder on the piston rod of a monotubular damper or within the inner tube of a bitubular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고 피스톤이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한 엔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에 접하여 상기 엔드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충기는 물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장치로서, 차량 및 생산라인 등에서 충격완화용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완충기는 내부에 점성이 큰 작동유체가 수용되어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압축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피스톤이 원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계속되는 충격에도 완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완충기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하우징, 작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엔드 커버,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로드 커버, 그리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엔드 커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작동 로드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 커버는 원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끊어진 스냅링(SNAP RING)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냅링의 내부 둘레면 직경은 상기 엔드 커버의 외부 둘레면 직경보다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엔드 커버의 외부 둘레면에는 상기 스냅링의 내부 둘레면이 결합되는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링의 외부 둘레면 직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직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스냅링의 외부 둘레면이 걸리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냅링을 상기 엔드 커버에 결합하고, 상기 엔드 커버에 결합된 상기 스냅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스냅링의 결합이 다소 불편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877613호 (2008.12.3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10305호 (2003.03.31.)
본 발명은 완충기의 하우징에 결합된 엔드 커버의 구조를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는,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고 피스톤이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한 엔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에 접하여 상기 엔드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에 접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엔드 커버를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드 커버의 외부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실링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 홈에 실링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이 걸리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홈의 일면과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결합 홈의 타면과 상기 엔드 커버의 타측 끝면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 조립체는,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고 피스톤이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완충기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한 엔드 커버,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에 접하여 상기 엔드 커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엔드 커버의 일측면에 접하는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엔드 커버를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 제조 방법은, 내측에 작동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작동 공간의 일측에 작동 로드가 결합된 피스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 공간의 타측에 엔드 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엔드 커버가 상기 작동 공간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이탈 방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엔드 커버의 단부에 접한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일부분이 끊어진 링 형태의 이탈 방지 부재를 오므리어 상기 작동 공간 일측으로 삽입시키고, 오므리어 삽입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벌리어 상기 작동 공간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 홈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일면과 상기 엔드 커버의 끝 면이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 제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한 쪽 끝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엔드 커버를 가리는 단계 및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엔드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 방지 부재가 엔드 커버에 결합되지 않으며, 엔드 커버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탈 방지 부재가 하우징의 링 홈에 결합되므로 이탈 방지 부재를 링 홈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기의 조립 시간을 최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가 적용된 완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드 커버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엔드 커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엔드 커버 결합 순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가 적용된 완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드 커버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엔드 커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 조립체(50)는 완충기의 하우징(10)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엔드 커버 조립체(50)는 엔드 커버(510), 이탈 방지 부재(520), 고정 부재(530), 그리고 연결 부재(540)를 포함한다.
먼저, 엔드 커버 조립체(50)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을 살펴보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작동 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 공간(11)에는 점성을 갖는 작동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작동 유체가 수용된 작동 공간(11)에는 로드를 포함하는 피스톤(20)이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일측에 엔드 커버 조립체(5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피스톤(20)의 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커버(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20)과 엔드 커버 조립체(50) 사이에는 탄성 부재(4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40)는 로드가 하우징(1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20)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한편, 로드 커버(30)와 이웃한 하우징(10)의 작동 공간(11) 둘레면 적어도 일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 유로(14)는 작동 공간(11)의 적어도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하우징 유로(12)는 작동 공간(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공간(11)의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유체 저장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 저장홀(15)은 하우징 유로(14)와 연결되어 있다. 유체 저장홀(15)의 깊이가 하우징 유로(14)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유체 저장홀(15)의 깊이는 하우징 유로(14)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0)에는 하우징 유로(14)와 접하는 피스톤 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 유로(21)는 피스톤(20)의 길이 중 일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피스톤 유로(21)는 피스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피스톤 유로(21)는 엔드 커버 조립체(50)와 마주하는 피스톤(20)의 일측에서 로드 커버(30)와 마주하는 피스톤(20)의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 유로(21)의 단면적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피스톤(20)이 직선 이동하면서 축 회전 할 경우 피스톤 유로(21)는 하우징 유로(14)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피스톤 유로(21)는 유체 저장홀(15)과 항상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 공간(11)의 작동 유체가 피스톤 유로(21)를 통하여 유체 저장홀(15)로 유입될 수 있고, 유체 저장홀(15)의 유체는 하우징 유로(14)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0)의 회전에 의하여 피스톤 유로(21)가 하우징 유로(14)에서 벗어나도 피스톤(20)과 엔드 커버 사이의 작동 유체는 피스톤 유로(21)를 통하여 유체 저장홀(15)에 항상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20)은 엔드 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0)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엔드 커버 조립체(50)가 위치한 작동 공간(11)의 일측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12)의 직경은 작동 공간(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홈(12)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링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링 홈(13)의 직경은 결합 홈(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 홈(12)은 생략될 수 있다.
엔드 커버(510)는 작동 공간(11)에 위치한다. 엔드 커버(510)는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단 형태의 엔드 커버(510) 중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은 결합 홈(12) 부분에 위치한다. 직경이 큰 부분이 결합 홈(12)에 위치하게 되면서 엔드 커버(510)는 작동 공간(11)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피스톤(20)과 마주하는 엔드 커버(510) 일면에는 탄성 부재(40)가 접한다.
아울러, 결합 홈(12)이 생략된 경우 직경이 가장 큰 엔드 커버(510) 부분은 작동 공간(11)의 둘레면에 접한다.
한편, 결합 홈(12)과 접하는 엔드 커버(510) 부분에는 실링 홈(514)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 홈(514)에는 결합 홈(12)과 접하여 압축되는 실링 부재(515)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실링 부재(515)는 작동 공간(11)의 둘레면에 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엔드 커버(510)의 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공(511)의 일측 둘레면에는 나사(5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 공(511)의 타측은 일측보다 직경이 크며, 여기에는 체크 볼(513)이 배치되어 있다. 체크 볼(513)은 관통 공(511)을 통과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단속한다.
체크 볼(513)이 위치한 엔드 커버(510)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공(511) 방향으로 돌출된 함몰부(516)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11) 방향으로 돌출된 함몰부(516)에 의하여 체크 볼(513)은 관통공(511)에서 작동 공간(11)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함몰부(516)에 의하여 체크 볼(513)이 관통공(511)에서 이탈하지 않으므로 스냅링(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체크 볼 고정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체크 볼 고정 수단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완충기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의 조립에 따른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52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520)는 양단부가 끊어진 스냅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스냅링은 링 홈(13)에 결합된다. 링 홈(13)에 결합된 이탈 방지 부재(520)는 엔드 커버(510)의 끝 면(517)에 접한다. 엔드 커버(510)에 접한 이탈 방지 부재(520)는 결합 홈(12)에서 엔드 커버(51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엔드 커버(510)가 결합 홈(12)에 위치한 상태에서 링 홈(13)에 이탈 방지 부재(520)가 결합되므로 이탈 방지 부재(520)를 결합 홈(12)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53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한다. 고정 부재(530)는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단의 고정 부재(530) 중 직경이 작은 부분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직경이 큰 고정 부재(530) 부분은 하우징(1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있다.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된 고정 부재(530)의 일측 부분은 이탈 방지 부재(520)를 관통하여 엔드 커버(510)의 끝 면(517)에 접한다.
고정 부재(53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공(53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공(531)은 직경이 다른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530)의 관통 공(531)은 엔드 커버(510)의 관통 공(511)과 연통되어 있다. 고정 부재(530)의 관통 공(531)의 직경은 엔드 커버(510)의 관통 공(511)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40)는 엔드 커버(510)와 고정 부재(530)를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관통 공(511, 531)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540)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의 머리 부분은 관통 공(531) 내부로 삽입된다. 볼트의 나사 부분은 관통 공(531)을 관통하여 관통 공(511)의 나사에 결합된다. 연결 부재(540)에 의하여 엔드 커버(510)와 고정 부재(530)는 서로 밀착되며, 엔드 커버(510)는 이탈 방지 부재(52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 부재(520) 만으로 엔드 커버(510)를 결합 홈(1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530)와 연결 부재(54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더욱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엔드 커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엔드 커버 결합 순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고하면, 체크 볼(513)이 관통 공(511)에 위치한 엔드 커버(510)를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한다. 이때 엔드 커버(510)의 직경이 큰 부분은 하우징(10)의 결합 홈(12) 위치한다. 엔드 커버(510)의 직경이 큰 부분이 결합 홈(12)의 단부에 접하게 되면 엔드 커버(510)는 작동 공간(11)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링 홈(514)에 위치한 실링 부재(515)는 결합 홈(12)의 내부 둘레면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고하면, 이탈 방지 부재(520)를 스냅링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이탈 방지 부재(520)를 오므린다. 오므려진 이탈 방지 부재(520)의 외부 둘레면 직경은 결합 홈(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 부재(520)는 결합 홈(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520)가 링 홈(13)에 위치하면 공구를 이탈 방지 부재(520)에서 분리한다. 이탈 방지 부재(520)에서 공구를 분리하면 오므려진 이탈 방지 부재(520)는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벌어져 링 홈(13)에 삽입될 수 있다. 링 홈(13)에 삽입된 이탈 방지 부재(520)는 엔드 커버(510)의 끝 면(517)에 접하게 된다. 결합 홈(12)의 단턱과 이탈 방지 부재(520)에 접한 엔드 커버(510)는 결합 홈(12)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엔드 커버(510)가 결합 홈(12)에 배치된 이후에 이탈 방지 부재(520)가 링 홈(13)에 결합하게 되므로 이탈 방지 부재(520)를 하우징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기의 조립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c)를 참고하면, 이탈 방지 부재(520)가 링 홈(13)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단 형태의 고정 부재(530)를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 부재(53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은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이탈 방지 부재(520)의 내부를 관통한다. 이탈 방지 부재(520)를 관통한 고정 부재(530)는 엔드 커버(510)의 끝 면(517)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520)의 직경이 큰 부분은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부재(540)를 관통 공(511, 531)의 삽입시킨다. 이때 연결 부재(540)의 머리 부분은 관통 공(531)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540)의 나사 부분은 관통 공(511)의 나사 부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540)가 관통 공(511, 531)에 결합되면 고정 부재(530)의 직경이 큰 부분은 하우징(10)의 일측면에 더욱 밀착되고, 엔드 커버(510)는 이탈 방지 부재(52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530)가 엔드 커버(5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타측을 통하여 탄성 부재(40), 피스톤, 로드 커버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완충기를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540)를 분리한 상태에서 관통 공(511, 531)을 통하여 작동 공간(11) 내부로 작동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이탈 방지 부재(520)는 엔드 커버(510)에 결합되지 않으며, 엔드 커버(510)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탈 방지 부재(520)가 하우징(10)의 링 홈(13)에 결합되므로 이탈 방지 부재(520)를 링 홈(13)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충기의 조립 시간을 최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완충기 10: 하우징
11: 작동 공간 12: 결합 홈
13: 링 홈 20: 피스톤
30: 로드 커버 40: 탄성 부재
50: 엔드 커버 조립체 510: 엔드 커버
511: 관통 공 512: 나사
513: 체크 볼 514: 실링 홈
515: 실링 부재 520: 이탈 방지 부재
530: 고정 부재 531: 관통 공
540: 연결 부재

Claims (7)

  1. 내부에 작동 유체가 수용되고 피스톤(20)이 움직임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엔드 커버(51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드 커버(5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520)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 홈(12) 및 링 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엔드 커버(510)의 일측은 상기 결합 홈(12)에 걸려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 방지 부재(520)의 일부는 상기 링 홈(13)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링 홈(13)에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이탈 방지 부재(520)의 일면과 상기 엔드 커버(510)의 타측 끝 면(517)은 서로 접하여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완충기.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상기 이탈 방지 부재(520)를 관통하여 상기 엔드 커버(510)의 끝 면(517)에 접하는 고정 부재(530) 및
    상기 고정 부재(530)와 상기 엔드 커버(510)를 결합하는 연결 부재(540)
    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
  3. 제1항에서,
    상기 엔드 커버의 외부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실링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 홈에 실링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완충기.
  4. 제1항에서,
    상기 링 홈은 상기 결합 홈의 둘레면 중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
  5. 내부에 작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 공간의 둘레면에는 링 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작동 공간에 작동 로드가 결합된 피스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 공간에 엔드 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엔드 커버가 상기 작동 공간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링 홈에 이탈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설치는, 적어도 일부분이 끊어진 링 형태의 이탈 방지 부재를 오므리어 상기 작동 공간으로 삽입시키고, 오므리어 삽입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벌리어 상기 링 홈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완충기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일면과 상기 엔드 커버의 끝 면이 접하도록 하는 완충기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한 쪽 끝에 고정 부재를 결합시켜 상기 엔드 커버를 가리는 단계 및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엔드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완충기의 제조 방법.
KR1020120088061A 2012-08-10 2012-08-10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61A KR101375160B1 (ko) 2012-08-10 2012-08-10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310349330.7A CN103573902B (zh) 2012-08-10 2013-08-12 减震器
CN201310349497.3A CN103573903B (zh) 2012-08-10 2013-08-12 减震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61A KR101375160B1 (ko) 2012-08-10 2012-08-10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070A KR20140024070A (ko) 2014-02-28
KR101375160B1 true KR101375160B1 (ko) 2014-03-27

Family

ID=5026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061A KR101375160B1 (ko) 2012-08-10 2012-08-10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7467U (ko) * 1977-04-05 1978-10-31
JP2000227135A (ja) 1999-02-08 2000-08-15 Fuji Seiki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3172392A (ja) 2001-12-10 2003-06-20 Kayaba Ind Co Ltd バルブボディの定着構造
KR100853510B1 (ko) 2007-04-30 2008-08-21 용석필 완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7467U (ko) * 1977-04-05 1978-10-31
JP2000227135A (ja) 1999-02-08 2000-08-15 Fuji Seiki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3172392A (ja) 2001-12-10 2003-06-20 Kayaba Ind Co Ltd バルブボディの定着構造
KR100853510B1 (ko) 2007-04-30 2008-08-21 용석필 완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070A (ko)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695B2 (en) Cord protector for power tools
US7424841B2 (en) Device for locking and releasing a screw bit
US7727003B2 (en) Cord protector for power tools
KR200474814Y1 (ko) 커플링 장치
US9464742B2 (en) Socket and pipe fitting including same
US20140157977A1 (en) Cylinder mechanism
EP2301119A2 (en) Cord protector for power tools
KR101038197B1 (ko) 치즐 고정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US10272499B2 (en) Self-locking drill chuck
KR101375160B1 (ko) 완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056494A1 (en) Punching tool equipped with a guide sleeve
TW201708716A (zh) 流體壓力缸
TWM512073U (zh) 固定裝置
KR101387642B1 (ko) 완충기
US20090064827A1 (en) Quick detaching combining rod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110856911A (zh) 易取型套筒
KR101375407B1 (ko) 스냅 링 장착용 공구
JP5811870B2 (ja) グロメット
JP3135402U (ja) 工具用接続装置
KR20140024488A (ko) 완충기
US10131006B2 (en) Pneumatic device for a pneumatic saw
CN214888222U (zh) 一种便于拆卸的卡接装置
CN114473953B (zh) 插拔销的拔销工具
KR101377199B1 (ko) 볼 조인트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