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799B1 -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 Google Patents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799B1
KR101374799B1 KR1020130136758A KR20130136758A KR101374799B1 KR 101374799 B1 KR101374799 B1 KR 101374799B1 KR 1020130136758 A KR1020130136758 A KR 1020130136758A KR 20130136758 A KR20130136758 A KR 20130136758A KR 101374799 B1 KR101374799 B1 KR 10137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tch
workpiece
coating
texture
electrodeposi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하이텍
Priority to KR102013013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9/00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 C25D9/02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펄감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펼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제 피도물(10)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텍스처를 형성하는 텍스처형성과정; 텍스처가 형성된 상기 피도물(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과정; 세척된 상기 피도물(10)을 전착도장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도장과정; 및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막건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Electrodeposition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펄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펄감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펼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착도장은 다른 도장방법에 비해 소재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도장이 가능하며, 피도물과 밀착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도료의 손실이 적은 장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자동차를 비롯하여 전기 및 전자제품 등 다양한 제품의 도장에 전착도장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제품의 미려성을 높이기 위해 펄감을 가지는 도막이 요구되기도 하는데, 전착도장으로 펄감을 가지는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착도료에 펄분말을 첨가하여 도장한다.
그러나 펄분말이 입자가 크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펄분말을 도료에 첨가하여 도장을 하는 경우에는 펄분말이 전착도료에 침전된다. 따라서 펄분말이 가라앉지 않도록 도장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조건이 까다롭다.
일반적으로 전착도료는 전착도장 중에 혼입된 불순물을 필터로 걸러서 제거한 다음 재사용한다. 그런데 전착도료에 펄분말이 첨가된 경우에는 펄분말이 필터에 걸려서 필터가 막히게 되므로, 전착도료의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868호(2013.08.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착도료에 펄분말을 첨가하지 않고도 피도물의 표면이 펄감을 가지도록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금속제 피도물(10)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텍스처를 형성하는 텍스처형성과정; 텍스처가 형성된 상기 피도물(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과정; 세척된 상기 피도물(10)을 전착도장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도장과정; 및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막건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텍스처형성과정에서는 상기 피도물(10)의 표면을 샌딩하여, 피도물의 표면을 조면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텍스처형성과정은 연마부재를 상기 피도물(10)의 가로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제1스크랫치(A)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1스크랫치(A)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1스크랫치(A)에 직교되는 제2스크랫치(B)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1스크랫치(A)에 45°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1스크랫치(A)에 대해 45°각도를 가지는 제3스크랫치(C)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3스크랫치(C)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3스크랫치(C)에 직교되는 제4스크랫치(D)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연마부재를 스프링 형태로 원형을 그리면서 상기 제1스크랫치(A)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스프링형태의 제5스크랫치(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텍스처형성과정에서는 상기 피도물(10)의 이송시키면서, 연마부재(20)를 피도물의 표면에 마찰시키되, 연마부재(20)를 피도물(10)의 이송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시켜서, 피도물(10)의 표면에 파형의 스크랫치(F)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착도장과정에서는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 45~60중량%, 야자유(지방산) 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5~15중량%,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가교결합제 30~50중량%를 포함하는 전착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착도장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펄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펄감(반짝임)을 가지도록 피도물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펄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 없이 펄감을 가지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금속제 피도물의 표면에 일정 패턴을 갖는 스크랫치에 의해 텍스처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텍스처에 의해 피도물의 표면 광택 및 광채가 상승되어 피도물 표면의 펄감이 향상됨은 물론이며, 일정 패턴의 스크랫치에 의해 피도물의 표면이 독특한 텍스처를 갖기 때문에 이에 의해 피도물이 종래의 제품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심미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택도가 우수하고, 광택유지력이 우수하며, 부착성, 내염수성, 내용제성, 내황변성 등이 우수한 고품질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텍스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텍스처 형성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피도물의 표면이 광택 및 광채에 의한 펄감(반짝임)을 갖도록 도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처형성과정, 세척과정, 전착도장과정 및 도막건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과정들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1) 텍스처형성과정
이 과정은 금속제 피도물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텍스처를 형성하여, 피도물 표면의 펄감(반짝임), 즉, 광택 및 광채를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텍스처는 피도물의 표면에 스크랫치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스크랫치에 의한 수많은 피크(peak)와 피크들 사이에 형성되는 밸리(valley)에 의해 빛이 난반사되어 피도물의 표면에 광택 및 광채가 증가되고, 펄감, 즉, 반짝임이 향상된다.
텍스처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피도물의 표면을 샌딩하거나 연마부재로 피도면의 표면을 연마하여 이루어진다.
샌딩은 샌딩장치를 이용하여 모래나 연삭제 입자를 피도물의 표면에 부딪혀서 이루어진다. 샌딩에 의해 피도물의 표면에는 불규칙한 스크랫치가 형성되어, 수많은 피크와 밸리에 의해 표면거칠기를 갖는 조면(粗面)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면에 의해 빛이 난반사되어 피도물의 광택 및 광채가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마부재를 피도물의 표면에 마찰시켜서 피도물의 표면에 스크랫치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연마부재가 가로세로 및 대각선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연마장치에 의해 행하여진다.
연마부재는 금강사와 같은 연마입자가 부착된 연마포 또는 연마브러쉬로 이루어지는데, 연마부재는 피도물의 가로, 세로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롤이나 바아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형의 연마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다수개 근접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는 연마부재를 이용하여 피도물에 스크랫치를 형성한 실시예를 보인 것인데, 연마부재를 이용하여 다방향으로 스크랫치를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마부재를 피도물(10)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마부재를 피도물(10)의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피도물(10)의 표면에 가로방향(이하, 제1방향이라 함)의 제1스크랫치(A)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마부재를 피도물의 세로방향, 즉,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피도물(10)의 표면에 상기 제1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이하, 제2방향이라 함)의 제2스크랫치(B)를 형성한다.
이어서, 연마부재를 상기 제1방향에 대해 45°방향(이하, 제3방향이라 함)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제1스크랫치(A)와 45°를 이루는 제3스크랫치(C)를 형성한다.
그리고 연마부재를 상기 제3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이하, 제4방향이라 함)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제3스크랫치(C)에 직교되는 제4스크랫치(D)를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연마부재를 용수철형태로 원형을 그리면서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제1스크랫치(A)와 나란한 방향으로 용수철형태의 제5스크랫치(E)를 형성한다.
연마부재를 용수철형태로 원형을 그리면서 상기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면, 피도물(10)에는 제5스크랫치(E)가 가로로 나란하도록 다수열 형성되는데, 이웃되는 열을 형성하는 제5스크랫치(E)는 상호 겹쳐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웃되는 열을 형성하는 제5스크랫치(E)가 겹쳐지게 형성되면 제5스크랫치(E)가 좀 더 치밀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도면의 난반사율이 한층 더 상승된다.
이와 같이, 제1, 2, 3, 4스크랫치(A,B,C,D) 및 제5스크랫치(E)에 의해 피도물의 표면에는 수많은 피크와 밸리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피도물(10) 표면의 난반사율이 상승되어 피도물의 광택 및 광채, 즉, 펄감(반짝임)이 상승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스크랫치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피도물의 표면은 피도물을 샌딩처리한 경우와는 또 다른 느낌의 텍스처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다른 방법으로 텍스처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서, 연속적인 파형의 스크랫치(F)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물(10)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연마부재(20)를 이용하여 스크랫치를 형성하는데, 피도물(10)을 이송시키면서 상기 연마부재(20)를 피도물(10)의 이송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연마부재(20)의 유동에 의해 피도물(10)의 이동방향으로 연속되는 파형의 스크랫치(F)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형의 스크랫치(F)는 조밀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피도면(10)의 표면에는 수많은 피크와 밸리가 형성되어, 피도물의 광택과 광채, 즉, 펄감(반짝임)이 상승된다.
뿐만 아니라, 파형의 스크랫치(F)가 갖는 골과 마루에 의해 입체적인 느낌의 텍스처가 형성되며,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형성되는 텍스처와는 다른 심미감을 갖는 텍스처가 형성된다.
이러한 텍스처형성과정에서 형성되는 스크랫치들은 실제로는 상당히 조밀하게 형성되나, 도 2 및 도 3에서는 각 스크랫치의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크랫치들의 간격을 인위적으로 이격되게 도시되었다.
2) 세척과정
전술한 방법 중의 하나의 방법으로 처리된 피도물의 표면을 세척한다.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인 전착도장에서 행해지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즉, 피도물을 순수로 세정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알칼리로 탈지한 후, 산수세하고, 순수로 수세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3) 전착도장과정
세척된 피도물의 물기를 제거하고, 피도물을 전착도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전착도장방법으로 도장을 하는데, 전착도료로는 투명 전착도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투명 전착도료로 전착도장을 함에 따라, 투명한 도막이 형성되며, 따라서 피도물의 표면 광택 및 광채가 도막을 통해 외부로 그대로 표출된다.
한편, 투명 전착도료로는 양이온계 전착도료나 음이온계 전착도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 45~60중량%, 야자유(지방산) 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5~15중량%,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가교결합제 30~50중량%로 이루어진 전착도료 조성물을 탈이온수에 수화시켜 제조된 전착도료가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5~15중량%,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10중량%를 부틸아크릴레이트로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산에 의해 중화되어 아민염을 형성하는 수용화기인 아민관능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물에 수화된다. 따라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3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의 수화능력이 저하되어 도료입자가 침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1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수화능력은 향상되나 도장전압이 높아지고 소요되는 수준의 도막두께의 확보가 어려워진다.
또,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도막의 내용제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막의 가교밀도는 높아지나 도막의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되는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가 전체 도료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4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건조도막의 가교밀도가 저하되어 도막의 내용제성들이 저하되고,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막의 내용제성은 향상되나, 전착도장시 도장전압이 상승되고, 도막의 광택저하가 우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야자수(지방산)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는 도막의 내-크레이터링(anti-cratering)성을 향상시켜서 도막의 표면 물성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지방산 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가 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막의 내크레이터링성의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며, 1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는 등 도막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초래된다.
또한,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단 차단된(Half- blocking)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 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가교결합제는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단 차단된(Half- blocking)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트리메틸올프로판과 반응시켜 제조된 것이다.
이러한 가교결합제가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막의 가교밀도가 낮아져 도막의 경도 및 내식성 및 내용제성 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막의 내충격성 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분산액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이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투명 전착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면 광택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택유지력도 우수하고, 피도물에 대한 부착성, 경도, 내염수성, 내용제성, 내황변성 등도 우수한 전착도막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착도료에 염료를 소량 첨가하여 전착도막에 옅은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4) 도막건조과정
도막이 형성된 피도물을 150~180℃의 건조로에서 수십 분간 처리하여, 도막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 피도물은 투명한 도막을 통해 피도물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보이며, 특히, 피도물의 표면에 텍스처를 형성하는 과정에 의해 피도물의 표면이 우수한 광택 및 광채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 펄분말을 사용하여 도장한 것과 같은 반짝임, 즉, 펄감을 갖는 피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메틸이소부틸케톤 34.7중량부를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10℃로 유지한 다음, 부틸아크릴레이트 41.4중량부, (N,N-디메틸)아미노에칠메타크릴레이트 5.9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1.8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액을 115℃에서 4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또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7중량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1.9중량부 혼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고, 1시간 후에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0.7중량부와 메틸이소부틸케톤 1.9중량부 혼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완료 후 3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아민가가 30-40, 고형분이 60%인 아미노기를 갖는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를 제조하였다.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5: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시킨 다음, 이 생성물을 트리메틸올프로판과 3:1의 몰 비율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가교결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와, 야자수(지방산)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차단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사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트리메틸올프로판과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우레탄 가교결합제를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혼합비로 혼합하여 전착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전착도료 조성물 600중량부에 대해 부틸셀로솔브 60중량부, 락트산 17.7중량부, 탈이온수 3600중량부를 부가하여 양이온 전착도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이온 전착도료 분산액을 온도 28℃, 도장전압 150V로 하여 냉간압연강판을 3분간 전착도장하여 두께가 20 ㎛인 전착도막을 얻었다. 그리고 도막의 물성을 테스트한 결과 [표 2]와 같았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전착도료 조성물
(1) 45 50 60 65 35
(2) 10 10 5 10 10
(3) 45 40 35 25 55
*[표 1]에서 (1)은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 (2)는 야자수(지방산)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3)은 폴리우레탄 가교결합제를 나타낸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부착성 ×
내염수성 < 0.5mm < 0.5mm < 0.5mm > 5mm > 5mm
내용제성
내황변성
연필경도(미쯔비시유니) 2H 3H 3H HB HB
광택(60° 광택계) 75 77 80 64 62
광택유지력 ×
* 평가 : 우수◎, 보통△, 불량×
* 부착성 : 가로 1㎝×세로 1㎝ 내에 1㎜×1㎜ cross cut하여 테이핑 테스트하였다
* 내염수성 : 35℃, 5% NaCl 용액에 240시간 침적후 테이핑 테스트를 하 여 테이핑부의 박리폭을 조사하였다.
* 내용제성 : 메틸이소부틸케톤 용제로 왕복 20회 문질러서 도막이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 내황변성 : 전착 도장된 시판 위에 백색의 소부에나멜 도료를 도장하여 150℃×40분 초과 경화 건조시킨 후, 상도의 황변 정도를 평가하였다.
* 광택유지력 : 200℃에서 1시간 방치 후 방치 전후의 광택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착도료는 광택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택유지력, 부착성, 내염수성, 내용제성, 내황변성 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A. 제1스크랫치 B. 제2스크랫치
C. 제3스크랫치 D. 제4스크랫치
E. 제5스크랫치 F. 파형 스크랫치
10. 피도물 20. 연마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금속제 피도물(10)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텍스처를 형성하는 텍스처형성과정;
    텍스처가 형성된 상기 피도물(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과정;
    세척된 상기 피도물(10)을 전착도장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도장과정; 및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막건조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텍스처형성과정은,
    연마부재를 상기 피도물(10)의 가로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제1스크랫치(A)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1스크랫치(A)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1스크랫치(A)에 직교되는 제2스크랫치(B)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1스크랫치(A)에 45°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1스크랫치(A)에 대해 45°각도를 가지는 제3스크랫치(C)를 형성하는 단계;
    연마부재를 상기 제3스크랫치(C)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상기 제3스크랫치(C)에 직교되는 제4스크랫치(D)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연마부재를 스프링 형태로 원형을 그리면서 상기 제1스크랫치(A)와 나란한 방향으로 마찰시켜서 스프링형태의 제5스크랫치(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4. 금속제 피도물(10)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텍스처를 형성하는 텍스처형성과정;
    텍스처가 형성된 상기 피도물(10)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과정;
    세척된 상기 피도물(10)을 전착도장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전착도장과정; 및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도막건조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텍스처형성과정은,
    상기 피도물(10)을 이송시키면서, 연마부재(20)를 피도물의 표면에 마찰시키되, 연마부재(20)를 피도물(10)의 이송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시켜서, 피도물(10)의 표면에 파형의 스크랫치(F)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도장과정에서는,
    아크릴계 양이온 전착수지 45~60중량%, 야자유(지방산) 스티렌-아릴알콜 공중합체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5~15중량%,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틸에틸케톡심으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가교결합제 30~50중량%를 포함하는 전착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착도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KR1020130136758A 2013-11-12 2013-11-12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KR10137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58A KR101374799B1 (ko) 2013-11-12 2013-11-12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758A KR101374799B1 (ko) 2013-11-12 2013-11-12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799B1 true KR101374799B1 (ko) 2014-03-17

Family

ID=5064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758A KR101374799B1 (ko) 2013-11-12 2013-11-12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136A (ko) 2019-07-24 2021-02-03 유동기 자동차 휠의 펄 클리어 도장 방법 및 펄 클리어가 도장된 자동차 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613A (ja) * 1992-08-04 1994-03-04 Dainippon Toryo Co Ltd フォトレジストの電着塗装法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法
JP2000064095A (ja) * 1998-08-24 2000-02-29 Shinto Haabaatsu Automotive Systems Kk 塗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613A (ja) * 1992-08-04 1994-03-04 Dainippon Toryo Co Ltd フォトレジストの電着塗装法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の製造法
JP2000064095A (ja) * 1998-08-24 2000-02-29 Shinto Haabaatsu Automotive Systems Kk 塗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136A (ko) 2019-07-24 2021-02-03 유동기 자동차 휠의 펄 클리어 도장 방법 및 펄 클리어가 도장된 자동차 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68B1 (ko) 연마된 스테인레스 스틸 질감을 갖는 컬러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컬러강판
US9644281B2 (en) Cosmetic and protective metal surface treatments
BRPI0608867A2 (pt) produto de metal revestido, método para produzi-lo e uso do método
CN110770018B (zh) 镀敷钢材
EP1587968B1 (de) Beschichtungsverfahren
CN110268100B (zh) 锌系电镀层钢板
KR20200105697A (ko) 아연계 전기 도금 강판
CN101570403B (zh) 无铜银镜及其生产方法
KR101374799B1 (ko) 펄감을 표현하는 전착도장방법
US20030096062A1 (en) Antimicrobial metal coating process and product
CN107630214B (zh) 一种用于纯银纪念币/章局部上色处理的工艺
DE2419675A1 (de) Kunststoffgusstueck mit satinartigem metallglanz
CN101472851A (zh) 镜子
CN111501078B (zh) 一种有色金属表面处理方法
KR101652603B1 (ko) 자기 세정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0106B1 (ko) 주철 및 알루미늄 제품의 표면 도장방법
CN103397317A (zh) 一种青铜雕塑着色防锈试液及方法
US376605A (en) Geoege matthews
McEwan et al. Coatings to Improve the Tarnish Resistance of Sterling Silver
JPS6092483A (ja) 亜鉛系めつき鋼板の製造方法
EP1601731B1 (de) Beschichtungsverfahren für sanitärgegenstände
CN108866519A (zh) 一种仿镍(无镍镍)无电流无酸性液体化学反应电镀工艺
CN101254497A (zh) 一种锌合金拉手的表面处理工艺
CN115870192A (zh) 喷涂脂肪族丙烯酸聚氨酯磁漆细桔纹的工艺
DE48708A (de) Verfahren, um Thonwaaren, Porzellan u. dergl. mit einem galvanischen Ueberzug zu verse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