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342B1 -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342B1
KR101374342B1 KR1020130132983A KR20130132983A KR101374342B1 KR 101374342 B1 KR101374342 B1 KR 101374342B1 KR 1020130132983 A KR1020130132983 A KR 1020130132983A KR 20130132983 A KR20130132983 A KR 20130132983A KR 101374342 B1 KR101374342 B1 KR 10137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nister
diameter
por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은
Original Assignee
김병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은 filed Critical 김병은
Priority to KR102013013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캐니스터(50)의 외부로 인출되는 연료가스 및 에어가 인출입되는 복수의 포트(51,52)들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일측의 대구경 포트(51)와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51)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에어 노즐(12)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 노즐(12)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헤드(13)의 후진에 의해 상기 에어 노즐(12)과 상기 노즐 헤드(13) 사이의 제1 오링(14)의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51)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1 실링용 실린더(10); 상기 에어 노즐(12)이 상기 대구경 포트(51)의 내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실링용 실린더(10)를 전후진시키는 제1 구동 실린더(20); 상기 캐니스터(50)의 포트(51,52)들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타측의 소구경 포트(52)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52)가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노즐 블록(32)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 블록(32)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가이드(33)의 후진에 의해 상기 노즐 블록(32)과 상기 노즐 가이드(33) 사이의 제2 오링(34)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52)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 상기 노즐 블록(32)의 내부로 상기 소구경 포트(52)가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제2 실링용 실린더(30)를 전후진시키는 제2 구동 실린더(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Leak test apparatus of cani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니스터에 형성되는 증발가스 유출입 포트 및 퍼지 포트로 선택적인 에어 주입이 자동으로 수행되면서 각 포트에서의 실링성을 향상시켜 정확하고 빠르게 리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한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동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연료 공급을 위하여 연료탱크가 구비되며, 이 연료탱크에 저장되는 연료는 자체 휘발성과 외기의 온도에 따라서 증발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는 연료탱크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적절하게 배출시켜야만 하나 대기중에 배출시키게 되면 증발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들에 의해 대기 오염을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연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로부터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흡수, 저장하였다가 엔진 운전 중에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 캐니스터(canister)이다.
캐니스터는 엔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증발가스를 연료탱크로부터 내부의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고 있다 엔진이 구동하게 되면 저장한 증발가스를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여 연소시키므로써 대기 오염은 물론 연료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캐니스터는 내부에 포집된 증발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내부 기밀상태를 확인해야만 한다.
캐니스터에는 통상 연료탱크로부터 유도되는 증발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탱크포트와 내부로 유입된 연료가스를 유도관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퍼지포트 및 외부로부터의 공기 흡입 및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는 캐니스터의 리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통상 증발가스를 연료탱크로부터 유입하게 되는 탱크포트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면서 퍼지포트 및 에어포트를 막고 이때 캐니스터 본체로부터 누설되는 에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육안에 의한 불량 판정은 정확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캐니스터 단위당 검사 진행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269526호(2013.05.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으로 검사가 진행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함께 캐니스터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용 실린더에 의한 오링의 이동에 의해 각 포트에서의 실링성을 향상시켜 보다 정확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포트로 에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 포트에서의 막힘 상태를 동시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는, 캐니스터의 외부로 인출된 일측의 대구경 포트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에어 노즐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 노즐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헤드의 후진에 의해 상기 에어 노즐과 상기 노즐 헤드 사이의 제1 오링의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1 실링용 실린더; 후방에서 상기 에어 노즐이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실링용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제1 구동 실린더; 상기 캐니스터의 외부로 인출된 타측의 소구경 포트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가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노즐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 블록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가이드의 후진에 의해 상기 노즐 블록과 상기 노즐 가이드 사이의 제2 오링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실링용 실린더; 후방에서 상기 노즐 블록의 내부로 상기 소구경 포트가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제2 구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의해 캐니스터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포트에 안정되게 실링이 유지되면서 노즐이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리크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포트에 대해 리크 검사가 순차적으로 자동 수행되게 함으로써 더욱 안정되고 빠른 리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캐니스터의 리크 뿐만 아니라 각 포트의 막힘도 동시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 신뢰도 대폭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용 실린더를 예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예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캐니스터를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 실린더에 의해 제1 실링용 실린더를 이동시킨 작동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용 실린더의 작동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 실린더에 의해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이동시킨 작동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링용 실린더의 작동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는 우선 캐니스터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함께 구비되도록 하며, 이러한 차량용 캐니스터에는 증발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탱크포트와 내부에 포집된 증발가스 이외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포트와 포집된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퍼지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캐니스터에 구비되는 각 포트에 연결되면서 에어가 캐니스터로 공급되거나 포트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유동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니스터에 구비되는 포트의 직경에 따라 각각 포트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포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게 제1 실링용 실린더(10)와 제1 구동 실린더(20)와 제2 실링용 실린더(30)와 제2 구동 실린더(40)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제1 실링용 실린더(10)는 포트들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구경의 포트에 연결되는 구성이고,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구경의 포트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 구동 실린더(20)와 제2 구동 실린더(4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링용 실린더(10)는 제1 실린더 본체(11)로부터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측으로 일정 길이로서 에어 노즐(12)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이 에어 노즐(12)의 선단에는 일정 길이를 전후진하도록 노즐 헤드(13)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용 실린더를 예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 사시도로서, 제1 실링용 실린더(10)의 노즐 헤드(13)는 제1 실링용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1 실린더 본체(11)의 구동에 의해 전후진하는 노즐 헤드(13)도 에어 노즐(12)과 마찬가지로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외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노즐 헤드(13)에는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도록 한 로드(130)가 에어 노즐(12)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에어 노즐(12)과 노즐 헤드(13) 사이의 로드(130)의 외주면에는 제1 오링(14)이 끼워지도록 한다.
로드(130)에 끼워진 제1 오링(14)은 외경이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 노즐(12)의 노즐 헤드(13)측 단면으로는 노즐 헤드(13)의 로드(130)가 삽입되며, 로드(130)가 삽입되는 에어 노즐(12)의 선단측 로드 삽입홀(120)로부터는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확장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의 일정 길이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다.
한편, 제1 실링용 실린더(10)는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와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선단이 에어 노즐(12)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후단은 제1 실린더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노즐 연결부(121)의 형성 길이에 의해 조정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구동 실린더(20)는 제1 실링용 실린더(10)를 일정 길이로서 전후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1 구동 실린더(20)는 피스톤 로드(21)가 제1 실링용 실린더(10)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1 실링용 실린더(10)가 일정 길이를 전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 내부로 에어 노즐(12)이 일정 길이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예시한 요부 확대 반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소구경 포트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크게 제2 실린더 본체(31)와 노즐 블록(32)과 노즐 가이드(33)및 제2 오링(34)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제2 실린더 본체(31)와, 제2 실린더 본체(31)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노즐 블록(32)과, 노즐 블록(32)의 전방으로부터 노즐 블록(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캐니스터의 소구경의 포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하는 노즐 가이드(33)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노즐 가이드(33)측 노즐 블록(32)의 선단은 외주면으로부터 에어홀(320)측으로 일정 경사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테이퍼진 내경으로는 제2 오링(34)이 삽입되도록 한다.
노즐 블록(32)의 전방으로 구비되는 노즐 가이드(33)는 선단부가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이 연장부에는 가이드 로드(330)가 노즐 가이드(33)와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제2 실린더 본체(31)로부터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즉 가이드 로드(330)의 후단부는 노즐 블록(32)과 평행한 위치의 제2 실린더 본체(31)에 연결되도록 하여 제2 실린더 본체(31)의 구동에 의해서 노즐 가이드(33)는 일정 길이로 전후진하도록 한다.
또한 노즐 블록(32)과 마주하는 노즐 가이드(33)의 내경은 노즐 블록(32)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노즐 블록(32)의 외주면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의 단부는 단차지면서 캐니스터의 소구경 포트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 정도로 보다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노즐 블록(32)과 노즐 가이드(23)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부에는 소구경 포트의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는 제2 오링(34)이 삽입되도록 한다.
제2 오링(34)은 노즐 가이드(33)가 노즐 블록(32)측으로 후진함에 의해서 노즐 블록(32)과 노즐 가이드(33) 사이에 압착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도록 한다.
특히 제2 오링(34)은 노즐 가이드(33)에 의해서 노즐 블록(32)의 선단측으로 형성한 경사면을 따라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구동 실린더(40)는 제1 구동 실린더(20)와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제2 구동 실린더(40)에 의해서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가 일정 길이만큼 전후진하도록 한다.
즉 제2 구동 실린더(40)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를 이동시켜 노즐 가이드(33)를 관통하여 노즐 블록(32)의 선단측 에어홀(320) 내로 캐니스터의 소구경 포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캐니스터에 형성되는 포트는 사이즈의 상대적인 의미에서 대구경 포트와 소구경 포트로서 구비되도록 하고 있고, 현재는 통상 2개의 대구경 포트와 1개의 소구경 포트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캐니스터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2개의 대구경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실링용 실린더(10)와 제1 구동 실린더(20)를 각각 2개로 구비하고, 소구경 포트에 연결하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와 제2 구동 실린더(40)는 1개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캐니스터에서의 포트는 제품에 따라 다를 수가 있으며, 포트 형성 위치도 각기 다르게 형성될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성 또한 형성 갯수와 위치는 본 발명에 예시한 도면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링용 실린더(10)와 제1 구동 실린더(20)와 제3 실링용 실린더(30) 및 제4 구동 실린더(40)는 공히 공압 실린더로서 구비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는 우선 검사 지그에 캐니스터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캐니스터에 형성된 각 포트들은 본 발명의 제1 실링용 실린더(10)와 제2 실링용 실린더(3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에 캐니스터를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캐니스터(50)에 형성되는 복수의 포트(51,52)와 각 포트(51,52)에 연결할 실링용 실린더(10)와 구동 실린더(30)는 동일한 수로서 구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 실린더에 의해 제1 실링용 실린더를 이동시킨 작동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캐니스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우선 제1 구동 실린더(20)를 구동하게 되면 제1 실링용 실린더(10)가 전진하면서 노즐 헤드(13)와 함께 에어 노즐(12)이 캐니스터(50)의 대구경 포트(51) 내부로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용 실린더의 작동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링용 실린더(10)의 노즐 헤드(13)와 에어 노즐(12)이 대구경 포트(5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실링용 실린더(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노즐 헤드(13)가 에어 노즐(12)측으로 일정 길이를 이동하게 된다.
노즐 헤드(13)의 이동에 의해 로드(130)에 축연결된 제1 오링(14)이 에어 노즐(12)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밀려나는 제1 오링(14)은 에어 노즐(12)의 선단부측에서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을 타고 직경이 확장되며, 제1 오링(14)의 직경이 확장되면서 제1 오링(14)의 외경이 에어 노즐(12)과 노즐 헤드(13)보다 확장되면서 캐니스터(50)의 대구경 포트(51)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링용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해서 제1 오링(14)이 캐니스터(50)의 대구경 포트(51)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면 에어 노즐(12)과 노즐 헤드(13)사이가 긴밀하게 밀폐되면서 캐니스터(50)의 리크 검사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가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 실린더에 의해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이동시킨 작동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캐니스터(50)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소구경 포트(52)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제2 구동 실린더(40)에 의해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측으로 일정 길이가 이동된다.
도면에서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와 제2 구동 실린더(40)가 서로 다른 중심축선상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캐니스터(50)에 형성되는 포트들의 위치에 따라서 제2 실링용 실린더(30)와 제2 구동 실린더(40)는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제2 구동 실린더(40)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를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하도록 한다.
제2 구동 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제2 실링용 실린더(30)가 이동하면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가 제2 실링용 실린더(30)의 노즐 가이드(33)를 관통하여 노즐 블록(32)으로 일정 깊이가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즉 노즐 가이드(33)와 노즐 블록(32)에 형성한 가이드 홀의 내경을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2 구동 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서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가 제2 실링용 실린더(30)의 노즐 가이드(33)와 노즐 블록(32)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링용 실린더의 작동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동 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를 제2 실링용 실린더(30)에 삽입되도록 하면 제2 실링용 실린더(30)는 다시 노즐 가이드(33)를 노즐 블록(32)측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도록 한다.
제2 실링용 실린더(30)의 구동에 의해 노즐 가이드(33)를 노즐 블록(32)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노즐 가이드(33)와 노즐 블록(32)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오링(34)이 노즐 가이드(33)에 의해 밀려나면서 노즐 블록(32)의 선단에 형성한 경사홈을 타고 미약하게 직경이 축소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2 오링(34)이 노즐 가이드(33)와 노즐 블록(32) 사이에서 양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되면 이들 사이로의 에어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캐니스터(50)에서 대구경 포트(51)에는 제1 실링용 실린더(10)의 에어 노즐(12)과 노즐 헤드(13)가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오링(14)의 직경을 확장시켜 이들 연결부위에서의 에어 누출을 차단하고, 캐니스터(50)의 소구경 포트(52)는 제2 실링용 실린더(30)의 노즐 블록(32)과 노즐 가이드(3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제2 오링(34)의 직경을 축소시켜 이들 연결부위에서의 에어 누출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캐니스터(50)의 각 포트(51,52)에 연결되는 노즐들과의 접속 상태가 항상 견고한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포트들을 통한 에어의 선택적인 유동 단속에 의하여 캐니스터(50)의 리크 및 각 포트의 막힘 등의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들이 캐니스터(50)의 각 포트(51,52)와 결합 시 제1 오링(14)과 제2 오링(34)의 각 포트(51,52)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오링의 내구력을 향상시켜 실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캐니스터(50)의 각 포트(51,52)들을 통해 에어가 유동하도록 하는 노즐들과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에어 리크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결합되어 검사가 수행되면서 보다 쉽고 편리한 리크 검사가 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10 : 제1 실링용 실린더 11 : 제1 실린더 본체
12 : 에어 노즐 13 : 노즐 헤드
14 : 제1 오링 20 : 제1 구동 실린더
30 : 제2 실링용 실린더 31 : 제2 실린더 본체
32 : 노즐 블록 33 : 노즐 가이드
34 : 제2 오링 40 : 제2 구동 실린더
50 : 캐니스터 51 : 대구경 포트
52 : 소구경 포트

Claims (8)

  1. 캐니스터의 외부로 인출되는 연료가스 및 에어가 인출입되는 복수의 포트들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일측의 대구경 포트와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에어 노즐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 노즐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헤드의 후진에 의해 상기 에어 노즐과 상기 노즐 헤드 사이의 제1 오링의 직경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1 실링용 실린더;
    상기 에어 노즐이 상기 대구경 포트의 내부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실링용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제1 구동 실린더;
    상기 캐니스터의 포트들 중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타측의 소구경 포트에 마주보게 구비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가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노즐 블록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 블록의 선단에서 전후진하도록 구비한 노즐 가이드의 후진에 의해 상기 노즐 블록과 상기 노즐 가이드 사이의 제2 오링의 직경이 수축되면서 상기 소구경 포트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실링용 실린더;
    상기 노즐 블록의 내부로 상기 소구경 포트가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제2 실링용 실린더를 전후진시키는 제2 구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의 선단측 로드 삽입홀로부터는 제1 실린더 본체측 후방으로 직경이 점차 확장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의 일정 길이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용 실린더는 상기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와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양단이 상기 에어 노즐과 상기 제1 실린더 본체에 연결되도록 한 노즐 연결부의 형성 길이로서 조정되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과 상기 노즐 헤드 사이에서 로드에 축지지되는 상기 제1 오링은 상기 캐니스터의 대구경 포트의 내경보다는 외경이 작게 구비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가이드측 상기 노즐 블록의 선단은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에어홀 내경에 이르는 일정 경사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테이퍼진 내경에 상기 제2 오링이 삽입되도록 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가이드는 선단부가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이 연장부에는 가이드 로드가 상기 노즐 가이드와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 실린더 본체로부터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노즐 블록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가 노즐 블록의 외주면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내측의 단부는 상기 캐니스터의 소구경 포트가 관통할 수 있는 직경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단차지는 형상인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블록과 상기 노즐 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오링은 내경이 상기 캐니스터의 소구경 포트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KR1020130132983A 2013-11-04 2013-11-04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KR10137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83A KR101374342B1 (ko) 2013-11-04 2013-11-04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983A KR101374342B1 (ko) 2013-11-04 2013-11-04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342B1 true KR101374342B1 (ko) 2014-03-17

Family

ID=5064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983A KR101374342B1 (ko) 2013-11-04 2013-11-04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3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96A (ko) * 2007-05-17 2008-11-21 마그나파워트레인코리아 주식회사 오일펌프 하우징 및 시일 링의 검사장치
KR100902344B1 (ko) 2008-08-22 2009-06-12 주식회사 대덕기술 가스미터기 검사장치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96A (ko) * 2007-05-17 2008-11-21 마그나파워트레인코리아 주식회사 오일펌프 하우징 및 시일 링의 검사장치
KR100902344B1 (ko) 2008-08-22 2009-06-12 주식회사 대덕기술 가스미터기 검사장치용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6698B2 (ja) ターボ過給式大型2行程自己着火内燃エンジンの燃焼室に低引火点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燃料弁
JP6267736B2 (ja) ターボ過給式大型2行程自己着火内燃エンジンの燃焼室に低引火点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燃料弁
CN102680189B (zh) 一种检漏装置
JP2015535934A (ja) 高圧漏れ検知の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装置
JP5767628B2 (ja) 航空機タービンエンジン部品を流体試験するための装置用のシールヘッド
KR20140079440A (ko) 가스 분사 밸브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374342B1 (ko) 차량용 캐니스터의 리크 검사장치
JP3212106U (ja) 空気充填装置と一体型のパンク修理装置
CN210240543U (zh) 气密性检测用密封装置
CN109341973B (zh) 一种三通阀以及内外漏检测转换装置
JP2019060340A (ja) 二元燃料エンジンのための噴射ノズル及び二元燃料エンジン
JP6276796B2 (ja) ターボ過給式大型2行程自己着火内燃エンジンの燃焼室に燃料を噴射するための燃料弁
KR20130100435A (ko) 선체블록의 기밀시험용 막음지그
KR102219102B1 (ko) 자동차 유압호스 누출시험장치
KR20130005391U (ko) 배관의 밸브 장착상태 점검장치
JP4614654B2 (ja) カプラ
JP201016774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4792472A (zh) 一种消音管焊缝气密性检测方法
JP5180105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13146664A (ja) 貫通孔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20180002223A (ko)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US10578511B2 (en) Flexible universal bladder tool for detecting leaks in a closed fluid system
JP2008157233A (ja) 燃料ポンプ
JP6142428B2 (ja) 水圧試験機
KR101871370B1 (ko) 가스 토치용 안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