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223A -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223A
KR20180002223A KR1020160081434A KR20160081434A KR20180002223A KR 20180002223 A KR20180002223 A KR 20180002223A KR 1020160081434 A KR1020160081434 A KR 1020160081434A KR 20160081434 A KR20160081434 A KR 20160081434A KR 20180002223 A KR20180002223 A KR 2018000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pe
expansion member
air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삼
이영재
김영민
Original Assignee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223A/ko
Publication of KR201800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0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 G01M15/102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monitoring exhaust gases or combustion flame by monitoring exhaust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7Details with respect to the testing of elastic elements, e.g. gloves, condo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양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용 튜브;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팽창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와 상기 팽창부재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에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LEAK-TESTING APPARATUS WITH COMPATIBILITY}
본 발명은 파이프 또는 배관의 기밀성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밀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또는 배관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기밀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물질을 이송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송관으로서, 현재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이나 선박 그리고 건설장비용 기계 등에 설치되는 엔진에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정화장치가 마련되는바, 이 정화장치는 배기가스를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파이프를 구비한다.
위와 같은 파이프는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직경)와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양산과정에서 액체 또는 기체의 누출을 테스트하는 장치 또한 파이프의 직경 및 형태에 따라 각각 구비될 수밖에 없었다.
예컨대, 50mm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의 기밀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50미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마개로 파이프의 개방된 양단을 각각 차단한 상태에서 기밀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30mm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의 기밀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30미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마개로 파이프의 개방된 양단을 각각 차단한 상태에서 기밀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위와 같이, 기존의 기밀 테스트 방식은,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마다 그 파이프의 양단을 차단하는 마개와 같은 구성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22262호의 '자동차 엔진의 리크 테스트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기밀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의 양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용 튜브;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팽창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와 상기 팽창부재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에어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 및 상기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 주입된 배기가스를 파이프의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환형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에는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팽창부재가 파이프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는, 상기 팽창부재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팽창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벤트의 일단은 상기 팽창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외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는,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파이프의 내면과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팽창부재를 구비하므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의 기밀 테스트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는, 실제 장치에 장착되기 이전의 파이프에 실제 장치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대응하는 배기가스를 주입하여 파이프의 기밀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밀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가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밀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밀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가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밀 테스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는 유체나 기체를 이송하는 파이프에 적용되어 파이프의 기밀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양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용 튜브(20)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팽창부재(30) 및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와 상기 팽창부재(30)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에어벤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는 내부가 비워진 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파이프(P)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 펌프와 같은 장치로부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 일단은 상기 공기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의 타단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0)를 길이방향 일단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30)는 상기 실린더(10)의 외측에서 상기 실린더(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실린더(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환형홈(10a)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10)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10)의 외면과 상기 팽창부재(30)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부재(30)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채 배치되어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의 타단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팽창부재(30)가 상기 실린더(1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실린더(10) 상에 마련되면, 상기 팽창부재(30)를 부풀리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기압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용량이 큰 공기 펌프가 사용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0)의 외면과 상기 팽창부재(30)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는 공간(S)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팽창부재(30)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벤트(air vent, 40)는,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30)에서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팽창부재(30)의 내면과 상기 실린더(10)의 외면이 형성하는 공간(S)에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벤트(40)의 일단은 상기 팽창부재(30)와 상기 실린더(10)의 외면이 형성하는 공간(S)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30)의 타단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벤트(40)를 통해 상기 공간(S)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간(S) 내에서 포화상태가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재(30)의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팽창부재(30)를 부풀릴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팽창부재(30)의 외면이 파이프(P)의 내면과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어 상기 파이프(P)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 또는 기체가 파이프(P)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파이프(P)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삽입된 실린더(10) 중에서 상기 파이프(P)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10)는, 도 2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50) 및 상기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50)에 의해 상기 실린더(10)로 주입된 배기가스를 파이프(P)의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공(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50)는 도시되지 않은 배기가스 발생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P)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10)의 길이방향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상기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50)를 통해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60)은 상기 파이프(P)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10)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0)로 주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파이프(P)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양산된 파이프(P)가 실제 장치, 즉, 엔진이나 정화장치에 장착되기 이전에 상기 파이프(P)에 배기가스를 주입하여 기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장치에 적용된 파이프(P)의 기밀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파이프(P)를 예컨대 정화장치상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파이프(P)의 길이방향 양단과 연결된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파이프(P)의 길이방향 양측(P)으로 상기 실린더(10)를 삽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정화장치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누출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파이프(P)를 정화장치상에서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정화장치가 설치된 협소한 공간 내에서 파이프(P)의 양단과 각각 연결된 장치들을 통하여 파이프(P)의 길이방향 양측(P)으로 상기 실린더(10)를 각각 삽입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테스트 장치(100)는, 엔진이나 정화장치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대응하는 배기가스를 파이프(P)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파이프(P)가 실제 장치에 장착되기 이전에 기밀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실린더(10)를 파이프(P)의 양단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20)를 이용하여 상기 팽창부재(30)를 부풀린 후, 파이프(P)와 팽창부재(30)의 외면이 밀착된 상태가 되면, 파이프(P)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된 실린더(P)와 연결된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50)를 이용하여 파이프(P)의 내부로 배기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밀 테스트 장치(100)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팽창부재(30)를 이용하여 파이프(P)의 개구된 양단을 각각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팽창부재(30)로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팽창부재(30)의 부풀린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P)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팽창부재(30)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3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31)는,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3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팽창부재(30)가 파이프(P)의 내면과 밀착되었을 때, 상기 팽창부재(30)가 파이프(3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31)는, 상기 팽창부재(30)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팽창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31)가 형성되지 않은 팽창부재(30)의 외면부위가 파이프(P)의 내면에서 미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31)는, 파이프(P)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 또는 기체가 팽창부재(30)의 외면과 파이프(P)의 내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으로 유출되는 것을 2중 이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기밀 테스트 작업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기밀 테스트 장치
10 : 실린더 20 : 공기 주입용 튜브
30 : 팽창부재 31 : 미끄럼 방지 돌기
40 : 에어벤트 50 :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

Claims (8)

  1. 파이프의 양측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용 튜브;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서 팽창되는 팽창부재;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와 상기 팽창부재를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에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 실린더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 및
    상기 배기가스 주입용 튜브에 의해 상기 실린더로 주입된 배기가스를 파이프의 내부로 안내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되 그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환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에는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팽창부재가 파이프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는,
    상기 팽창부재의 외면에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팽창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일단은 상기 팽창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외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 주입용 튜브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KR1020160081434A 2016-06-29 2016-06-29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KR20180002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34A KR20180002223A (ko) 2016-06-29 2016-06-29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34A KR20180002223A (ko) 2016-06-29 2016-06-29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223A true KR20180002223A (ko) 2018-01-08

Family

ID=6100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434A KR20180002223A (ko) 2016-06-29 2016-06-29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2401A (zh) * 2018-02-28 2018-09-21 重庆广福科技有限公司 检测汽车管道气密性的可通气自密封装置
KR102066995B1 (ko) * 2019-09-30 2020-01-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 누설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2401A (zh) * 2018-02-28 2018-09-21 重庆广福科技有限公司 检测汽车管道气密性的可通气自密封装置
KR102066995B1 (ko) * 2019-09-30 2020-01-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 누설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603B2 (en) Balloon catheter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onent leak detection and high pressure leak detection
CN205037023U (zh) 管口封堵装置
JP2015535934A (ja) 高圧漏れ検知のためのバルーンカテーテル装置
CN105135146A (zh) 管口封堵装置
AR121089A1 (es) Métodos y sistemas de cabezal de prueba de integridad de tubería reutilizable
EP3268655B1 (en) Balloon catheter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onent leak detection and high pressure leak detection
KR20180002223A (ko) 호환성을 갖는 기밀 테스트 장치
CN105003713A (zh) 一种球阀密封端盖
US6901966B2 (en) Seal device for tubular member
JP7085459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気密性試験方法
KR101956147B1 (ko) 파이프 누설시험용 밀폐장치
WO2015052963A1 (ja) 硬膜外腔識別装置
JP5981608B1 (ja) リークテスター及び手袋の検査方法
ATE443368T1 (de) Flanschdichtungsvorrichtung für ein kabel
CN105697186A (zh) 一种发动机机油尺孔密封装置
KR101532741B1 (ko)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이 구비된 접속관
CN104776962A (zh) 阀门检测卡具及具有该卡具的阀门检测系统
CN108020468B (zh) 汽车用制动胶管的耐压试验平台
US10578511B2 (en) Flexible universal bladder tool for detecting leaks in a closed fluid system
US6886721B2 (en) Sealing probe
CN209055282U (zh) 一种发动机气缸盖凸轮孔油道侧漏封堵装置
CN220708656U (zh) 一种气密测试用密封装置
CN204612881U (zh) 阀门检测卡具及具有该卡具的阀门检测系统
JP2017058311A (ja) 検査治具、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220104376U (zh) 刚性管气密检测装置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