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448B1 -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448B1
KR101373448B1 KR1020097021223A KR20097021223A KR101373448B1 KR 101373448 B1 KR101373448 B1 KR 101373448B1 KR 1020097021223 A KR1020097021223 A KR 1020097021223A KR 20097021223 A KR20097021223 A KR 20097021223A KR 101373448 B1 KR101373448 B1 KR 10137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rating
brake system
parking brake
actu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49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기이퍼
요르크 메이어
루드게르 라케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1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60T7/105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the lock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push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16H63/483Circuits for controlling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8Signals to a parking brake or parking lock;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being part of the transmission
    • F16H63/486Common control of parking lock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and other parking brakes, e.g. wheel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로서, 차량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식 작동 부재, 및 조작 명령을 변속기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 부재(1)는 2개 이상의 연속하는 록킹 위치(B, C), 중립 위치(A) 및 복귀 위치(D)를 가지며,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위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 1 록킹 위치(B)에서 발생되고, 파킹 록 장치의 작동을 위한 변속기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 2 록킹 위치(C)에서 발생된다. 작동 부재의 특별한 디자인은 지금까지 상이했던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되었던 2개의 작동 부재를 하나의 공통 조작 장치 내에 통합함으로써, 차량 사용자는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통상적 작동과 더불어, 추가로 자동화된 또는 자동 변속기에 할당된 파킹 록 장치를 걸고 싶은지의 여부를 문제없이 그리고 직관적으로 선택한다.
작동 부재, 제어 유닛,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파킹 록 장치, 변속기.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AN ELECTRICALLY ACTUATED PARKING BRAKE SYSTEM}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로서, 차량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식 작동 부재, 및 조작 명령을 변속기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조작 장치는 자동화된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사용된다. 조작 장치는 일반적으로 2개의 별도의 작동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차량을 확실히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구성을 가진 차량에서는, 차량의 정지 후에 차량의 의도치않은 롤링을 방지하는 2가지 상이한 가능성이 있다.
자동화된 변속기(이 변속기는 수동 기어 선택 및 자동 클러치 작동이 이루어지는 반자동 변속기 및 전자동 변속기를 의미함)를 구비한 차량에서는, 변속기에 소위 파킹 록 장치가 제공된다. 파킹 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래칫으로서 형 성될 수 있는 록킹 장치에 의해 기계식으로 변속기 내로 맞물림으로써 차량의 롤링을 방지한다.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파킹 록은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또는 공기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차량 사용자는 예컨대 키 또는 레버에 의해 파킹 록을 차량의 정지 후에 독자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차량 사용자가 점화를 차단하거나, 점화 키를 빼내거나 또는 차량을 벗어나면, 변속기에서 파킹 록이 자동으로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자동화된 및/또는 자동 변속기의 기계식 블로킹과 더불어, 각각의 차량은 선행 기술에서 종종 전기 작동식인,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통상의 작동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완해서 한편으로는 차량의 정지 동안 의도치 않은 롤링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량의 작동 동안 예컨대 작동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시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은 전술한 파킹 록과 유사하게 종종 키 또는 스위치를 통해 조작된다.
상기 사실로 인해, 차량 사용자는 두 시스템의 존재시 종종 파킹 록과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용법 및 작동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한다. 그 원인은 종종 유사한 심볼 디자인으로 표시되는 조작 부재 때문이며, 차량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들이 어떤 개별 기능을 수행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차량 사용자는 종종 파킹 록과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강제로 규정하는 법 적 요구를 모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통합된, 차량의 롤링에 대한 상이한 안전 시스템들의 조작 가능성과 기능에 관련한 상기 단점을 근거로, 상이한 안전 시스템을 그 개별 요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량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전술한 방식의 조작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작 장치의 작동 부재가 2개의 이상의 연속하는 록킹 위치들, 중립 위치 및 복귀 위치를 가지며,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 1 록킹 위치에서 발생되고, 파킹 록 장치를 작동시키는 변속기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 2 록킹 위치에서 발생됨으로써 달성된다.
작동 부재의 특별한 디자인은 지금까지 상이했던 그리고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되었던 2개의 작동 부재를 하나의 공통 조작 장치 내에 통합함으로써, 차량 사용자가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통상적 작동과 더불어, 추가로 자동화된 또는 자동 변속기에 할당된 파킹 록 장치를 걸고 싶은지의 여부를 문제없이 그리고 직관적으로 선택한다.
본 발명의 대상의 특별한 실시예는 독립 청구항을 인용하는 종속 청구항에 추가로 제시된다.
차량이 서 있는 경우에만 작동 부재의 조작 명령을 변속기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차량이 움직이는 경우에는 비상 브레이크 명령으로서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조작 명령을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그 작동을 위해 전달하는 체크 모듈을 제어 유닛이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 한편으로는 필요한 경우에만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입법자에 의해 규정된 비상 브레이크 기능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한계 속도(예컨대 3 Km/h) 이상으로 차량의 롤링시 파킹 록이 걸리지 않는 것이 체크 모듈에 의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조작 레버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서 록킹 위치들, 중립 위치 및 복귀 위치는 하나의 공통 위치 평면 및 운동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공통 위치 평면들은 차량 사용자에게 조작 장치의 직관적인 작동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 사용의 인간 공학적 기본 조건을 개선한다. 추가로, 위치 평면들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작동 부재가 차량 사용자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 운동에 의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위치 평면들의 수평 배치도 가능하다.
또한, 작동 부재를 모든 록킹 위치들 및 복귀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자동으로 재 위치 설정하기 위한 복귀 장치를 작동 부재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립 위치는 모든 다른 위치가 간단히 작동될 수 있는 중간 위치를 형성한다. 작동 위치로서 록킹 위치들은 작동 부재를 상부로 당김으로써 작동되고, 복귀 위치는 반대 방향으로 중립 위치로부터 작동 부재를 하부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특정 용도의 경우, 작동 부재는 록킹 위치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록킹 위치에 작동 부재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다수의 록킹 위치 또는 경우에 따라 추가로 복귀 위치에 위치 고정에 의해, 차량 사용자는 시각 검사로, 전자 파킹 브레이크 또는 변속기의 파킹 록이 걸렸는지의 여부 또는 경우에 따라 복귀 위치에 작동 부재의 위치 설정에 의해 차량의 상기 부재들 중 어느 것도 걸리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작동 부재가 록킹 위치들 중 하나의 록킹 위치에 또는 경우에 따라 복귀 위치에 작동 부재의 위치 설정을 위한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면, 대안으로서 항상 중립 위치로 작동 부재의 복귀를 이용하기 위해 조작 장치는 록킹 위치의 가시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킹 록의 걸림 또는 전기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도 차량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대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는 제어 유닛의 제어 펄스에 따라 작동 부재를 록킹 위치들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는 작동 부재가 변속기에 파킹 록의 걸림을 디스플레이하고 차량이 소위 오토-P-기능을 갖는 경우에 제공된다.
상기 오토-P-기능은 차량의 정지 후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점화 키를 빼낸 후에 또는 차량 사용자가 차량을 벗어난 후에 변속기의 파킹 록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이러한 경우에 파킹 록이 걸린 후에 작동 부재를 별도의 제어 펄스에 의해, 작동 부재에서 파킹 록의 걸림에 할당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에 할당된 체크 모듈이 상이한 차량 상태들 간의 다른 논리적 의존성에 대해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가 직관적으로 에러 없이 조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대상이 첨부한 도 1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본 발명에 관련한 차량 부재,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그 의존성을 블록 회로도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중요한 차량 부재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블록 회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조작 레버로서 형성된 작동 부재(1)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1)는 핸드 레버로서 회전 점(7)을 중심으로 수직 조절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다. 조절 평면에는 특정 조작 명령에 할당된 여러 변속 위치들이 있다. 차량 사용자가 조작 레버의 작동시킴으로써 야기되는 조작 명령은 데이터 라인(6)을 통해 제어 유닛(2)에 공급된다. 제어 유닛(2)에서 상기 조작 명령은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마찬가지로 상응하는 데이터 라인(6)을 통해, 차량 내에 있는 변속기(3)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에 전달된다.
작동 부재(1)는 그 조절 평면에서 여러 변속 위치들을 가지며, 상기 변속 위치들은 도면 부호 A, B, C 및 D로 표시된다. 위치(A)는 소위 중립 위치를 나타내며, 차량 사용자 측에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또는 파킹 브레이크의 사용과 관련 한 입력 명령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작동 부재(1)는 항상 상기 중립 위치에 있다.
중립 위치(A)에 이어서 상부로 록킹 위치들(B 및 C)이 있다. 작동 부재는 록킹 위치들(B 및 C)에 안정하게 할당될 수 있으므로, 작동 부재는 록킹 위치들(B 및 C)로 이동 후에 이 위치로 유지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작동 부재는 복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귀 장치는 예컨대 스프링 장치에 의해 실시됨으로써, 작동 부재(1)는 조작 레버의 해제 후에 2개의 록킹 위치들(B, C)로부터 자동으로 중립 위치(A)로 복귀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1)에는 소위 단안정 디자인이 선택된다.
2개의 실시예에서, 록킹 위치(B)로의 작동 부재(1)의 이동은 이 조치에 의해 차량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제어 유닛(2)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제어 신호가 차량에 있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 명령은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의 활성화를 야기하고, 동시에 제어 유닛(2)에서, 차량 상태가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의 작동에 적합한지의 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차량 사용자에 의해 작동 부재(1)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하면, 차량이 서 있는, 전술한 경우와 똑같이 조작 명령이 제어 유닛(2)으로 전달되지만, 동시에 차량에 있는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이 활성화되도록 제어 유닛(2)의 제어 신호가 송출된다.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은 바람직하게 차량에서 구조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세부 사항들은 차량에 따라 작동 브레이크 시스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 및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적 디자인에 의해 정해진다.
작동 부재(1)가 록킹 위치(B)를 지나 록킹 위치(C)로 이동되면, 조작 명령이 데이터 라인(6)을 통해 제어 유닛(2)으로 전달됨으로써, 제어 유닛(2)에 의해 경우에 따라 차량의 다른 기본 조건의 체크 후에 변속기(3)의 파킹 록이 활성화된다. 상기 기본 조건은 예컨대 차량의 롤링 상태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변속기(3)에서 파킹 록을 거는 것이 한계 속도 이상으로 차량의 롤링시에는 배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어 유닛 내부에 존재하는 체크 모듈, 즉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체크 모듈은 작동 부재(1)가 록킹 위치(C)로 이동되는 경우 오조작 및 그로 인한 차량 부품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록킹 위치(C)는 한계 속도 이상으로 차량의 롤링시 록킹 위치(B)와 같이 비상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해서만 액티브하고, 그외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록킹 위치(C)에서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및 변속기 내 파킹 록이 활성화되는데, 그 이유는 록킹 위치(C)가 록킹 위치(B)(및 이로 인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활성화)를 통과해서 도달되기 때문이다.
변형예에 따라 작동 부재(1)를 록킹 위치(B 및 C)로부터 중립 위치(A)로 자동 위치 설정하기 위한 복귀 장치가 조작 장치에 제공되면,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 및/또는 파킹 록의 걸림이 차량 사용자에게 가시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계기반의 적합한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사용자 측에서 파킹 록의 걸림 또는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의 작동을 중단할 목적으로, 작동 부재(1)는 다른, 소위 복귀 위치(D)를 갖는다. 상기 복귀 위치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작동 부재(1)의 중립 위치(A)로부터 하부에 배치된다.
파킹 록 및 경우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비활성화는 변속기에 주행 범위의 세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부재에 복귀 장치가 있는 경우, 작동 부재는 복귀 위치(D)로부터 자동으로 중립 위치(A)로 복귀된다. 작동 부재(1)에 복귀 장치가 없으면, 작동 부재는 위치(B, C 또는 D)로 이동 후에 각각 상응하는 록킹 위치 또는 중립 위치로 유지됨으로써,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또는 파킹 록의 작동 및 두 시스템의 비작동이 차량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에 소위 오토-P-장치가 존재하면, 작동 부재(1)는 추가의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작동 부재(1)를 그 위치(A, B 또는 D)로부터 자동으로 록킹 위치(C)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차량 사용자가 차량의 정지 후에 점화 키를 빼내거나 또는 차량을 벗어나면 항상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오토-P-기능은 변속기에서 파킹 록이 자동으로 걸리게 한다.
물론, 자동화된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차량 사용자에게 상이한 차량 부품 즉, 파킹 록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용이한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오조작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2) 및 작동 부재(1)에는, 예컨대 차량의 추가 기본 조건을 조작 명령 및 제어 명령의 논리적 시퀀스 내로 포함시키는 추가의 개별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8)

  1.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로서, 차량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식 작동 부재, 및 상기 조작 명령은 변속기 및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는 2개 이상의 연속하는 록킹 위치들(B, C), 중립 위치(A) 및 복귀 위치(D)를 가지며,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기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1 록킹 위치(B)에서 발생되고, 파킹 록 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기 변속기에 대한 조작 명령은 제2 록킹 위치(C)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어 유닛(2)은 체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체크 모듈은 상기 작동 부재(1)의 조작 명령을, 한계 속도 미만으로 차량이 롤링하지 않을 때에만 상기 변속기 및 상기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4)으로 전달하고, 차량이 움직일 때에는 상기 조작 명령을 차량의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그 작동을 위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는 조작 레버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에서 상기 록킹 위치들(B, C), 상기 중립 위치(A) 및 상기 복귀 위치(D)는 하나의 공통 위치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평면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5.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는 모든 작동 위치들 및 상기 복귀 위치(D)로부터 상기 중립 위치(A)로 상기 작동 부재(1)의 자동 재 위치 설정을 위한 복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6.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는 상기 록킹 위치들(B, C) 중 하나의 록킹 위치에 상기 작동 부재(1)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 설정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7.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록킹 위치들(B, C)의 가시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는 상기 제어 유닛(2)의 제어 펄스에 따라 상기 작동 부재(1)를 상기 제2 록킹 위치(C)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 장치.
KR1020097021223A 2007-05-07 2008-03-05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 KR10137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1831.3 2007-05-07
DE102007021831A DE102007021831A1 (de) 2007-05-07 2007-05-07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iertem Getriebe und einem elektrisch betätigten Parkbremssystem
PCT/DE2008/000382 WO2008135003A1 (de) 2007-05-07 2008-03-05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mit automatisiertem getriebe und einem elektrisch betätigten parkbrem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496A KR20100015496A (ko) 2010-02-12
KR101373448B1 true KR101373448B1 (ko) 2014-03-13

Family

ID=3951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223A KR101373448B1 (ko) 2007-05-07 2008-03-05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13784B2 (ko)
EP (1) EP2152553B1 (ko)
JP (1) JP5377476B2 (ko)
KR (1) KR101373448B1 (ko)
CN (1) CN101702895B (ko)
AT (1) ATE482121T1 (ko)
DE (2) DE102007021831A1 (ko)
WO (1) WO2008135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4077A1 (de) * 2008-12-19 2010-07-01 Wabco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derartigen Betätigungseinrichtung
DE102010007899B4 (de) * 2010-02-13 2014-05-28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m Längsführungssystem mit STOP- & GO-Funktion und einer automatisch einlegbaren Parkbremse
DE102011004388B4 (de) * 2011-02-18 2018-11-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Getriebe und einer von Hand zu betätigenden Wähleinrichtung
US8936524B2 (en) * 2012-05-16 2015-01-20 Dura Operating, Llc Shift by wire transmission shift control system
US10234028B2 (en) 2015-12-16 2019-03-19 Dura Operating, Llc Shift by wire transmission shift control system
US9970543B2 (en) 2015-12-17 2018-05-15 Dura Operating, Llc Shift by wire transmission shift control system with park release
US9458925B1 (en) * 2015-12-27 2016-10-04 Thunder Power Hong Kong Ltd. Vehicle shift system
US10138997B2 (en) 2015-12-27 2018-11-2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Vehicle shift system
US9714706B1 (en) 2016-06-20 2017-07-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iver interface with inferred park logic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912A (ko) * 1995-12-31 1997-07-22 전성원 파킹 브레이크 겸용 a/t 시프트 레버
KR970075333A (ko) * 1996-05-06 1997-12-10 박병재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KR980001604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차량용 핸드브레이크의 락킹경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568U (ja) * 1984-05-30 1985-12-19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付車両の駐車ブレ−キ装置
US5156243A (en) * 1989-11-15 1992-10-20 Mazda Motor Corporation Operation apparatus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mechanism
US5139315A (en) * 1991-02-28 1992-08-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parking brake system and method
US5696679A (en) * 1995-06-09 1997-12-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electronic control of pawl-gear park funct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706703A (en) * 1995-12-29 1998-01-13 Hyundai Motor Company, Ltd. Parking brake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shift lever for use in a vehicle
DE19610766C2 (de) 1996-03-19 1998-12-10 Daimler Benz Ag Wähl- und Schalteinrichtung für ein Gangwechselgetriebe
DE19831733A1 (de) * 1998-07-15 2000-0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einem elektronisch gesteuerten Automatikgetriebe und einer fremdkraftbetätigten Feststellbremse
DE19936733C2 (de) * 1999-08-06 2001-06-13 Edscha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Feststellbremse
DE19941018A1 (de) * 1999-08-28 2001-03-01 Volkswagen Ag Gangwahlhebel mit integrierter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Handbremse
DE19955016B4 (de) 1999-11-16 2008-06-19 Volkswagen Ag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ischen Schaltgetriebe
US6588290B2 (en) * 2001-02-02 2003-07-08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ransmission shift control
JP3839285B2 (ja) * 2001-08-31 2006-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040140710A1 (en) * 2003-01-17 2004-07-22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park brake
JP2004243927A (ja) * 2003-02-14 2004-09-02 Chiyoda Kogyo Kk 車両のシフト装置
DE102005005669A1 (de) * 2005-02-08 2006-08-1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m Parken und Starten eines Kraftfahrzeugs
US20060197374A1 (en) * 2005-03-01 2006-09-07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electric park brake system and haptic resistance actuator for same
DE102005033510B4 (de) * 2005-07-14 2012-03-22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Schaltsperre
DE102005048875B4 (de) * 2005-10-12 2008-03-27 Audi Ag Schalteinheit für ein elektronisch geschaltet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JP4656068B2 (ja) * 2006-03-24 2011-03-2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のパーキング制御システム
JP4333755B2 (ja) * 2007-03-05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パーキングシステム
DE102007015262B4 (de) * 2007-03-27 2009-07-09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912A (ko) * 1995-12-31 1997-07-22 전성원 파킹 브레이크 겸용 a/t 시프트 레버
KR970075333A (ko) * 1996-05-06 1997-12-10 박병재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KR980001604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차량용 핸드브레이크의 락킹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5985A (ja) 2010-07-29
DE102007021831A1 (de) 2008-11-13
JP5377476B2 (ja) 2013-12-25
KR20100015496A (ko) 2010-02-12
CN101702895B (zh) 2012-08-29
WO2008135003A1 (de) 2008-11-13
EP2152553B1 (de) 2010-09-22
US20100326787A1 (en) 2010-12-30
US8413784B2 (en) 2013-04-09
CN101702895A (zh) 2010-05-05
DE502008001410D1 (de) 2010-11-04
EP2152553A1 (de) 2010-02-17
ATE482121T1 (de)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448B1 (ko) 자동 변속기 및 전기 작동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조작 장치
US9140353B2 (en) Actuating device with rotary switch
KR101403843B1 (ko) 변속 레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작동 장치
JP6389878B2 (ja) 走行変速段を選択するためのシフト・バイ・ワイヤ操作装置及び方法
JP2010525985A5 (ko)
US8336418B2 (en) Actuating device with selector lever return
JP4747083B2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KR101417198B1 (ko) 변속기의 고정 기어 비를 선택하기 위한 작동 장치
US7334497B2 (en) Monostable shifting device with P position
JP5193603B2 (ja) キーを有する作動装置
WO2008083775A2 (de) Bedien- und anzeigesystem für ein niveauregelungssystem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für einen reisebus oder ein nutzfahrzeug
US20030173181A1 (en) Control unit gear or shift program selection of an automatic vehicle gearbox
GB2423800A (en) Motor vehicle with emergency auxiliary gear selector
CN105051426A (zh) 在使用停车操作辅助系统时与情况相关的换挡杆锁定控制
KR100726542B1 (ko) 차량용 전자식 변속 레버 시스템의 쉬프트 락 제어 방법
CN109296747B (zh) 电子换挡器失效解决方法及系统
JP4866118B2 (ja) 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KR101132917B1 (ko) 휠식 조향 시스템을 구비한 특히, 궤도 차량 또는 바퀴 차량용 변속기의 조작 장치
US6371271B1 (en) Locking apparatus for change lever of vehicle
CN104279308A (zh) 具有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和档位转换装置的机动车
KR20160067211A (ko) 차량의 자동 변속기 또는 자동화 수동 변속기용 선택 레버
JP2012046098A (ja) シフト装置
EP1672251B1 (en) Electronic automated gearbox and method of operation
KR20230087635A (ko) 통합조작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제어방법
JP4863012B2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