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64B1 -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264B1
KR101373264B1 KR1020070052645A KR20070052645A KR101373264B1 KR 101373264 B1 KR101373264 B1 KR 101373264B1 KR 1020070052645 A KR1020070052645 A KR 1020070052645A KR 20070052645 A KR20070052645 A KR 20070052645A KR 101373264 B1 KR101373264 B1 KR 10137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ottom pl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709A (ko
Inventor
아오키 토미오
모리타 마사요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면형상(面狀; surface) 광원 장치 및, 이러한 면형상 광원 장치를 포함하고, 화상 품질이 뛰어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제공한다. 면형상 광원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10) 및, 바닥판에 위치하고 액정 표시 장치(10)를 조명하는 광원 및,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방열 핀을 포함한다. 각 방열 핀(53)은, 바닥판(51)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53A) 및, 제1 핀부(53A)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53B)를 포함한다.
10…액정 표시 장치, 20…확산판, 30…판형상 요소, 40…광원, 50…하우징, 51…바닥판, 52…측판, 53…방열 핀, 53A…제1 핀부, 53B…제2 핀부, 54A, 54B…개구, 60…면형상 광원 장치, 70…커버, 71…바닥부, 72…측부, 73, 74…통풍 구멍, 75…개구부, 80…송풍 수단, 100…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Description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도 1의 (a)는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면형상 광원 장치의 모식적인 개념도.
도 1의 (b)는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면형상 광원 장치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면형상 광원 장치를 분해했을 때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방열 핀(53)이 형성된 하우징(50)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
도 4의 (a)는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을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5의 (a)는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 도.
도 5의 (c)는 도 5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6의 (a)는 제2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7의 (a)는 제3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7의 (c)는 도 7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8의 (a)는 제4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8의 (b)는 도 8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 단면도.
도 8의 (c)는 도 8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 도.
도 9의 (a)는 제5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9의 (b)는 도 9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 단면도.
도 9의 (c)는 도 9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
본 발명은 2006년 6월 2일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명세서 JP 2006-155034에 관련한 주제를 포함하며, 이것의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면형상(面狀; surface)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그 자체는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광을 복사하는 소위 직하형(直下型; direct-type)의 면형상 광원 장치(백 라이트)를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에 배치한다. 그리고, 각 화소를 구성하는 액정 셀을, 일종의 광 셔터(라이트 밸브)로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즉 각 화소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면형상 광원 장치로부터 사출(射出; emit)된 광(예를 들면, 백색광)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하 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에 따라서, 면형상 광원 장치(백 라이트)도 대형화되고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에 있어서는, 동작상 어느 정도의 발열을 피할 수는 없다. 따라서, 면형상 광원 장치가 동작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다. 면형상 광원 장치의 방열(바꾸어 말하면,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의 방열)이 불충분하면, 광원의 온도가 상승해서 여러 가지(각종) 문제점(不具合; problems)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경우에는, 광원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광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광원이 복수(複數)로 배치된 면형상 광원 장치에 있어서는, 면형상 광원 장치의 온도 분포가 불균일(不均一; non-uniform)하게 되는 것에 의해 휘도 얼룩(斑; variations; 편차, 불균일)이나 색 얼룩이 발생한다. 면형상 광원 장치의 휘도 변형이나 색 변형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품질을 악화시킨다. 나아가서는,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광원을 동작시키는 것은, 광원의 열화(劣化; deterioration)를 가속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여러가지 방열 대책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特開) 제2006-59607호 공보에는, 히트 파이프나 히트 싱크가 부착된 방열판 상에 광원을 배치하고, 히트 싱크의 방열 작용을 촉진시키는 냉각 팬을 구비한 면형상 광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히트 파이프나 히트 싱크는 독립된(independent) 요소로서 면형상 광원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면형상 광원 장치의 구 조가 복잡화되며,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면형상 광원 장치를 포함하고, 화상 품질이 뛰어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휘도 얼룩이나 색 얼룩이 억제된 면형상 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는,
(a) 액정 표시 장치 및,
(b)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면형상 광원 장치 및,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는,
(A) 바닥판(底板; bottom plate)을 구비한 하우징(筐體; housing),
(B)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광원 및,
(C)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방열 핀(fin)
을 포함한다.
각 방열 핀은,
(C-1) 바닥판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 및,
(C-2) 제1 핀부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
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구성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는, 바닥판을 구비한 하우징,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광원 및,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방열 핀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방열 핀은, 바닥판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 및, 제1 핀부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 핀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전체로서(integrally)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된 요소로서 하우징 등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 제2 핀부는 제1 핀부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핀부에는, 제2 핀부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방열 핀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또 제1 핀부에는 상술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방열 핀에는, 제1 핀부에 평행한 방향(예를 들면, Y방향)과, 제1 핀부에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X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두 방향 모두) 공기의 유로(流路)가 확보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 된다. 나아가서는, 제2 핀부는 제1 핀부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정성적(定性的)으로는, 발열원인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주변 온도는 낮아지므로, 제2 핀부는 보다 저온인 환경하에 배치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의 방열 핀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 핀부는 바닥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면 충분하며, 엄밀하게 수직이 아니더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핀부는 바닥판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면 충분하고, 엄밀하게 평행이 아니더라도 좋다.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핀부가 제1 핀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핀부에 대한 제2 핀부의 구부러진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 핀의 구조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광범위한 알려진 재료를 널리 이용할 수 있지만, 정성적으로는, 열 전도율이 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 재료로 바닥판을 구성할 수가 있다. 금속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알려진 프레스 가공법 등에 의해 용이하게 방열 핀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종 바람직한 형태(形態; modes)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구성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본 발명의 면형상 광원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광원은 바닥판 상에 배치되어 있다. 광원은, 바닥판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 는 구성일 수 있거나, 다른 요소를 거쳐서 바닥판에 대해서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텐레스 강철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상(板狀; plate-shaped) 요소 상에 광원이 부착되어 있고, 이 판형상 요소가 바닥판 상에 고정된다. 광원의 수는, 면형상 광원 장치의 크기나 구조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 광원은 제1 핀부와 바닥판과의 경계 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핀부와 바닥판과의 경계부나 경계부 근방의 바닥판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광원의 바닥면(底面; bottom surfaces)(즉, 방열 핀측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바닥판과 대향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각 광원이 제1 핀부와 바닥판과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채택함으로써, 각 광원의 발열은 제1 핀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므로, 광원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종 바람직한 형태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에서, 복수의 방열 핀을 둘러싸는 커버가 바닥판과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커버에는 통풍구멍 및 송풍 수단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에는 송풍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채택할 수 있다. 송풍 수단용 개구부의 형상(形狀; shape) 등은 커버의 설계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될 수 있다. 송풍 수단용 개구부는 단독(單獨; single)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통풍 구멍이 마련된 영역에 송풍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풍 수단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통풍 구멍은, 송풍 수단용 개구부를 구성한다. 송풍 수단에 의한 송풍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풍 구멍은, 면형상 광원 장치의 크기나 구조, 온도 분포 등에 따라서 적절히 배치하면 좋다. 송풍 수단으로서, 송풍 팬 단체(單體; single), 송풍 팬과 덕트의 조합 등, 널리 알려진 수단을 이용할 수가 있다. 정성적으로는, 송풍 팬 등의 송풍 수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공기의 유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커버에 형성하는 통풍 구멍의 단위면적당 개수를, 송풍 수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면형상 광원 장치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정성적으로는, 송풍 수단으로부터 먼(遠) 영역에서는 통풍 구멍이 조밀하게(密; densely) 형성되고, 송풍 수단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통풍 구멍이 엉성하게(疏; sparsely) 형성될 수 있다. 커버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금속 재료나 합성 수지 재료 등, 광범위하게 알려진 재료를 널리 이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커버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풍 구멍이나 개구부는 알려진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커버를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통풍 구멍이나 개구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커버가,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외장용(外裝用; exterior) 하우징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커버가,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의 외장 배면 커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바람직한 형태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본 발명"이라 언급할 것이다)에 있어서는, 광원과 액 정 표시 장치 사이에, 라이트 가이드(light guide)로서 기능하는 도광판(導光板)이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 투명한 재료, 즉 광원이 사출하는 광을 너무 흡수하는 일이 없는 재료로 도광판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을 구성하는 그러한 재료의 구체적인 예는, 유리나,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PMM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정성(非晶性; amorphous)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S 수지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를 들 수가 있다. 도광판에, 광 확산면이나 광 반사면이 제공될 수 있다. 광원과 대향하는 도광판의 면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도광판 내에 적합한 각도로 입사(入射; enter)시키기 위해서, 오목부(凹部; recess)가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의 형상의 예로서, 각뿔(角錐), 원뿔(圓錐), 원기둥(圓柱), 삼각기둥(三角柱)이나 사각기둥(四角柱)를 포함하는 다각기둥, 구(球)의 일부, 회전 타원체의 일부, 회전 포물선체의 일부, 회전 쌍곡선체의 일부 등과 같은 각종 매끄러운(滑; smooth) 곡면을 포함한다. 도광판은, 단일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의 요소가 예를 들면 타일형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라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광원으로서, 냉음극선형의 형광 램프,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등, 널리 알려진 광원을 이용할 수가 있다. 형광 램프의 형상은 형광 램프에 요구되는 사양(仕樣; specifications)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형상의 예는 직선형상(직관형상(直管狀)),「U」자 형상, 연속한 「U」자 형상, 「S」자 형상, 연속한 「S」자 형상, 「W」자 형상 등을 포함한다. 또, 광원의 발광색은, 면형상 광원 장치에 요 구되는 사양에 의거해서 결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면형상 광원 장치의 발광색을 백색으로 하는 경우, 광원을, 백색 형광체가 칠해진 형광 램프, 백색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면, 자외선 또는 바이올렛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 입자를 조합해서 백색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그룹, 또는 적색(예를 들면, 파장 640㎚)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예를 들면, 파장 530㎚)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예를 들면, 파장 450㎚)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적색, 녹색, 청색 이외의 제4번째 색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등이 더 제공될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광원은 점유 체적도 작고, 복수의 광원을 배치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광원의 구동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든 광원이 고정된 구동 조건에서 상시 발광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면형상 광원 장치의 광이 방출되는 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의 발광량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광원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소위 페이스업(face up)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플립칩(flip-chip)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은 발광층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되거나,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이 기판을 통과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ED)는, 예를 들면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예를 들면, n형)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클래드층, 제1 클래드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예를 들면, p형)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제2 클래드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제1 클래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극 및, 제2 클래드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층은, 발광 파장에 의존해서, 알려진 화합물 반도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램버트 시안 방식(Lambert Cyan type)과 같이, 직진 방향으로의 광 강도가 강한 렌즈를 발광 다이오드의 광 사출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에 광 추출(取出; extraction) 렌즈를 부착한 발광 다이오드 조립체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이, 광 추출 렌즈의 꼭대기면(頂面; top face)에 있어서 전반사(全反射)되고, 광 추출 렌즈의 수평 방향으로 주로 추출되는 2차원 방향 추출 구성을 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닛케이(日經) 일렉트로닉스 2004년 12월 20일 제889호의 제128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편광 변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기능 시트군; 반사 시트 등을 거쳐서, 면형상 광원 장치로부터 광이 복사될 수 있다.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편광 변환 시트, 반사 시트로서, 널리 알려진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광학 기능 시트군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종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적층되어 일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편광 변환 시트 등이 적층되어 일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흑백 액정 표시 장치이더라도 좋고,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이더라도 좋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투명한 제1 전극 을 포함하는 프런트 패널(front panel), 투명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리어 패널(rear panel) 및, 프런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 프런트 패널은,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이나 실리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의 내면에 제공된 투명한 제1 전극(공통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진다)과, 제1 기판의 외면에 제공된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컬러 액정 표시 장치에서, 프런트 패널은, 제1 기판의 내면에, 아크릴계 수지나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트층(overcoat layer)에 의해서 피복(被覆; coat)된 컬러 필터가 제공되고, 오버코트층 상에 투명한 제1 전극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투명한 제 1 전극 상에는 배향막(配向膜)이 형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의 배치 패턴으로서, 델타 배열, 스트라이프 배열, 대각선(diagonal) 배열, 직사각형(rectangle) 배열을 들 수가 있다. 반면 리어 패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이나 실리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와, 스위칭 소자에 의해서 도통/비도통이 제어되는 투명한 제2 전극(화소 전극이라고도 불리며, 예를 들면 ITO로 이루어진다)과, 제2 기판의 외면에 마련된 편광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명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면(全面)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나 액정 재료는, 알려진 요소와 재료로 구성할 수가 있다. 스위칭 소자의 예는 단결정 실리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MOS형 FET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3단자 소자나, MIM 소자, 배리스 터(varistor) 소자, 다이오드 등의 2단자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투명한 제1 전극과 투명한 제2 전극이 중복되고, 이것이 액정 셀을 포함하는 영역이 하나의 부화소(副畵素)(서브 픽셀)에 해당함이 주목되어야 한다. 나아가, 각 화소(픽셀)를 구성하는 적색 발광부 화소는, 이러한 영역과 적색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녹색 발광부 화소는, 이러한 영역과 녹색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와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청색 발광부 화소는, 이러한 영역과 청색을 투과하는 컬러 필터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색 발광부 화소, 녹색 발광부 화소 및 청색 발광부 화소의 배치 패턴은, 상술한 컬러 필터의 배치 패턴과 일치한다.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픽셀)의 수 M0×N0을 (M0, N0)으로 표기했을 때, (M0, N0)값으로서, 구체적으로는 VGA(640, 480), S-VGA(800, 600), XGA(1024, 768), APRC(1152, 900), S-XGA(1280, 1024), U-XGA(1600, 1200), HD-TV(1920, 1080), Q-XGA(2048, 1536) 이외에도, (1920, 1035), (720, 480), (1280, 960) 등, 화상 표시용 해상도(解像度; resolutions)의 몇 가지(several)를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M0, N0)값이 이들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정 표시 장치 및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는, 예를 들면 펄스폭 변조(PWM) 신호 발생 회로, 듀티비 제어 회로, 발광 다이오드(LED) 구동 회로, 연산 회로, 기억 장치(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 및, 타이밍 컨트롤러 등의 알려진 회로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를 포함 한다. 또한, 구동 회로에 전기 신호로서 1초 동안에 보내지는 화상 정보의 수(매초(每秒) 화상)가 프레임 주파수(프레임율)이며, 프레임 주파수의 역수(逆數)가 프레임 시간(단위: 초(秒))이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면형상 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는,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100)및 면형상 광원 장치(60)의 모식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의 (b)는, 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100) 및 면형상 광원 장치(60)의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b)에서, 액정 표시 장치(10), 확산판(20)의 빗금(hatching)을 생략했다.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100) 및 면형상 광원 장치(60)를 분해했을 때의 모식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서, 편의상 송풍 수단(80)의 도시를 생략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100)는,
(a) 액정 표시 장치(10) 및,
(b) 액정 표시 장치를 배면으로부터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6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60)는,
(A) 바닥판(51)을 구비한 하우징(50),
(B) 바닥판(51)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10)를 복사하는 광원(40) 및,
(C)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방열 핀(53)
을 포함한다.
각 방열 핀(53)은,
(C-1) 바닥판(51)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53A) 및,
(C-2) 제1 핀부(53A)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53B)
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면형상 광원 장치(60)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10)는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이며, 투명한 제1 전극을 구비한 프런트 패널, 투명한 제2 전극을 구비한 리어 패널 및, 프런트 패널과 리어 패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투과형의 컬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나, 액정 재료는, 알려진 요소와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면형상 광원 장치(60)는, 직하형의 면형상 광원 장치이며, 하우징(50)과 광원(4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50)은 바닥판(51)과 측판(52)을 포함한다. 하우징(50)은 액정 표시 장치(10) 측이 개방된 상자 형상(箱狀)이다. 두께 약(約; about) 2㎜의 알루미늄판을 구부림으로써, 바닥판(51)과 측판(52)을 서로 일 체로 하여 하우징(50)을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에서, 광원(40)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다. 광원(40)은, 하우징(50)을 구성하는 바닥판(5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4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광원(40)은 제1 핀부(53A)와 바닥판(51)과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각 광원(40)의 바닥면(즉, 방열 핀측의 면)은, 그 모두가 바닥판과 대향하도록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에서,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40)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실시예에서는 약 30㎜ 간격)으로, 15×9개(X방향으로 1열(列; row) 15개, Y방향으로 1열 9개) 배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의 배치 간격, 광원의 개수 등은, 면형상 광원 장치의 사양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광원(40)은 예를 들면 두께 약 1㎜의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상(矩形狀; rectangular)의 판형상 요소(30) 상에, X방향 및 Y방향으로 약 30㎜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광원(40)이 제1 핀부(53A)와 바닥판(51) 사이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도록 위치결정(positioning)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나사 등에 의해, 바닥판(51) 상에 판형상 요소(30)가 부착되어 있다. 방열 핀(53) 및 방열 핀(53)과 광원(40)과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바닥판(5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열 핀(53)의 형성으로 인해 개구(54A)가 형성되지만, 판형상 요소(30)에 의해서 상기의 개구(54A)는 폐쇄(塞; close)된다. 따라서, 하우징(50)의 배면측(도면에서 -Z방향)에 불필요한 광 누설 (漏; leakage)은 없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방열 핀(53)을 둘러싸는 커버(70)가 바닥판(51)과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커버에는 통풍 구멍(73, 74) 및 송풍 수단용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70)는 예를 들면 두께 약 0.3㎜의 스텐레스 강판(鋼板)으로 이루어지고, 커버(70)의 바닥부(71)와 측부(72)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70)의 바닥부(71)에는 통풍 구멍(73)이, 측부(72)에는 통풍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70)의 바닥부에는, 두 개의 개구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구부(75)에는, 예를 들면 팬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수단(80)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송풍 수단(80)의 송풍 방향을 커버(70)와 바닥판(51) 사이를 배기하는 방향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송풍 수단(80)을 커버(70)와 바닥판(51) 사이에 배치한 구성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광원(40)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했지만, 각 광원을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면형상 광원 장치 제어 회로에 의해서, 예를 들면 각 광원(40)에 일률적인(一律; uniform;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고, 광이 방출된다. 액정 표시 장치(10)와 면형상 광원 장치(60) 사이에는, 투과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20)이 배치되어 있다. 면형상 광원 장치(60)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20)에 의해서 확산되고, 액정 표시 장치(10)에 복사된다. 복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백색 도료가 측판(52) 상이나 판형상 요소(30) 상에 도포(塗布; apply)될 수 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원(40)과 확산판(20) 사이는 공간으로 했지만, 광원(40)과 확산판(20) 사이에 라이트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는 도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 및 확산판(20)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등에 의해 보존유지(保持; retain)되어 있다. 확산판(20)은, 광원(40)으로부터 약 30㎜ 이간된(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액정 표시 장치 구동 회로에 의해서, 표시해야 할 화상의 밝기에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10)의 화소를 구성하는 액정 셀의 광 투과율이 제어된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10)를 투과하는 광에 의해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면형상 광원 장치(60)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1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이 위에 설명되었다. 그 다음에, 도 3 및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를 참조해서, 방열 핀(53) 및 방열 핀(53)과 광원(40)과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방열 핀(53)이 형성된 하우징(50)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를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의 (c)는 도 4의 (a)를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에는, 하우징(50)을 구성하는 바닥판(51)의 일부가 구부러짐으로써, 복수의 방열 핀(53)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방열 핀(53)은, 제1 핀부(53A)와, 제2 핀부(53B)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방열 핀(53)을 구성하는 제1 핀부(53A)는 도면의 Y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Y방향의 폭은 약 40㎜이다. 각 방열 핀(53)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핀부(53A)와 인접하는 제1 핀부(53A)는 X방향으로 서로 약 28㎜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핀부(53A)와 인접하는 제1 핀부(53A)는 도면의 Y방향으로는 서로 약 2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핀부(53A)는, 바닥판(51)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다시 말해, 광원(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1 핀부(53A)는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있다. 바닥판(51)에는, 제1 핀부(53A)에 대응하는 개구(54A)가 형성되어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핀부(53A)의 Z방향의 폭을 약 15㎜로 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핀부(53B)는 제1 핀부(53A)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다시 말해, 광원(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51)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핀부(53A)의 중앙부를 구부림으로써 제2 핀부(53B)를 형성했다. 제2 핀부(53B)는 도면의 +X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제1 핀부(53A)에는, 각 제2 핀부(53B)에 대응하는 개구(54B)가 바닥판(51)에 형성되어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핀부(53B)의 Y방향의 폭을 약 20㎜, X방향의 폭을 약 10㎜로 설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광원(40)은 제1 핀부(53A)와 바닥판(51)과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4의 (a) 내지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광원(40)이 각 방열 핀(53)에 배치되어 있고, 각 광원(40)은 제1 핀부(53A)의 다리부분(脚部; leg portion)과 바닥판(51)과의 경계 부분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1 핀부(53A)의 다리부분에 대응해서 광원(4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광원(40)에 의해 생성된 열을 방열 핀(5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상술된 구성에 따라, 방열 핀(53)은 하우징(50)을 구성하는 바닥판(51)과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 핀(53)을 독립된 요소로서 바닥판(51)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제2 핀부(53B)는, 발열원(發熱源)인 광원(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핀부(53B)는 보다 저온 측에 배치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 제1 핀부(53A)에는, 제2 핀부(53B)에 대응하는 개구(54B)가 제1 핀부(53A)에 형성되어 있다. 방열 핀(53)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핀부(53A)에는 상술한 개구(5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방열 핀(53)에는, 제1 핀부(53A)에 평행한 방향(도면에서는 Y방향)과 제1 핀부(53A)에 직교하는 방향(도면에서는 X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고, 방열 핀(53)의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된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100) 및 면형상 광원 장치(60)에 대해서 앞서 설명되었다. 이제, 방열 핀(53)의 변형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5의 (a)∼(c)를 참조해서,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50)의 바닥판(51)의 일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를 화살표 VB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 5의 (a)를 화살표 VC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다른 변형예의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변형예는, 도 4의 (a) 내지 4의 (b)에 대해서, 제2 핀(53B)이 도면의 -X방향으로 성장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점이 상이하다.
도 6의 (a)내지 6의 (c)를 참조해서, 제2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2 변형예에 따라, 각 광원(40)에 각각 1개의 방열 핀(53)이 대응하고 있다. 제2 핀부(53B)는, 제1 핀부(53A)의 한쪽 측(-Y방향측)의 일부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내지 7의 (c)를 참조해서, 제3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변형예는, 도 6에 대해서, 각 방열 핀(53)에는 제2 핀부(53B)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핀부(53A)는 실질적으로 T자 형상이며, 각 제2 핀부(53B)는, 제1 핀부의 다리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변형예에서는, 광원(40)과 제2 핀부(53B)까지의 경로의 거리(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40)에 의한 발열이, 제1 핀부(53A)를 통해서 제2 핀부(53B)에 전달될 때까지의 경로의 거리)는, 제2 변형예에 대해서보다 짧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광원(40)의 발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2 핀부(53B)에 전달할 수가 있다.
도 8의 (a) 내지 8의 (c)를 참조해서, 제4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변형예에 따라, 각 방열 핀(53)에 대응해서 3개의 광원(40)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2개의 광원(40)에 대해서 1개의 제2 핀부(53B)가 대응하고 있다. 반면, 도 8의 (a) 내지 8의 (c)에 도시하는 제4 변형예에서는, 2개의 제2 핀 부(53B)가 3개의 광원(40)에 대해 제공된다. 또, 제1 핀부(53A)의 면적도, 도 4에 도시한 실시예보다 넓어진다. 따라서, 제4 변형예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광원(40)에 대응하는 방열 핀(53)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도 9의 (a)내지 9의 (c)를 참조해서, 제5 변형예가 설명된다. 제5 변형예는 제4 변형예를 확장한 것이다. 제5 실시예에서, 각 방열 핀(53)은 Y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4 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이유로, 각 광원(40)에 대응하는 방열 핀(53)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냉각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면형상 광원 장치, 액정 표시 장치, 광원 등의 구성 및 구조는 예시이며,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실시예 등에 있어서는 각 방열 핀(53)을 구성하는 제1 핀부(53A)를 Y방향을 따라 배치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반드시 모든 방열 핀(53)(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열 핀(53)을 구성하는 제1 핀부(53A))이 같은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방열 핀(53)을 지그재그 형상(千鳥狀; staggered fashion)으로 배치해도 좋다. 광원(40)의 배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다. 통상, 발광 다이오드 간 발광 효율에는, 어느 정도의 편차(variation)가 존재한다. 또,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은, 통상 온도가 높아지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면형상 광 원 장치 전체를 엄밀하게 균일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설계상 어느 정도의 온도 분포의 편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발광 효율에 의거해서 미리 구분하고, 면형상 광원 장치에 있어서 설계상 온도가 높은 영역에는 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배치하고, 설계상 온도가 낮은 영역에는 발광 효율이 낮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면형상 광원 장치의 휘도의 균일성(均一性; uniformity)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를 구성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형상 광원 장치에 있어서, 방열 핀은 하우징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립된 요소로서 하우징 등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 제1 핀부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공기의 유로가 확보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나아가서, 제2 핀부는 제1 핀부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핀부를 보다 저온 측에 마련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면형상 광원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품질이 뛰어난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및, 저비용으로 양호한 방열 특성을 얻을 수 있고, 휘도 변형이나 색 변형이 억제된 면형상 광원 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6)

  1.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로서,
    (a) 액정 표시 장치 및,
    (b) 배면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면형상(面狀; surface) 광원 장치를 포함하고,
    면형상 광원 장치는,
    (A) 바닥판(底板; bottom plate)을 포함하는 하우징(筐體; housing),
    (B)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광원 및,
    (C)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複數)의 방열 핀(fin)
    을 포함하고,
    각 방열 핀은,
    (C-1) 바닥판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 및,
    (C-2) 제1 핀부의 일부가 제1 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 광원은 제1 핀부의 다리부분(脚部: leg portion)과 바닥판과의 경계 부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열 핀을 둘러싸는 커버가 바닥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커버에는 통풍 구멍(通風孔; vent hole) 및 송풍 수단용 개구부(開口部; blower-means opening)가 형성되고, 송풍 수단이 개구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4. 배면으로부터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로서,
    면형상 광원 장치는,
    (A) 바닥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B) 바닥판 상에 배치되고, 액정 표시 장치를 조명하는 광원 및,
    (C)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방열 핀
    을 포함하고,
    각 방열 핀은,
    (C-1) 바닥판의 일부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핀부 및,
    (C-2) 제1 핀부의 일부가 제1 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바닥판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핀부를 포함하는, 면형상 광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광원은 제1 핀부의 다리부분과 바닥판 사이의 경계 부분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면형상 광원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열 핀을 둘러싸는 커버가 바닥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커버에는 통풍 구멍 및 송풍 수단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에는 송풍 수단이 배치되는, 면형상 광원 장치.
KR1020070052645A 2006-06-02 2007-05-30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KR101373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5034A JP4952070B2 (ja) 2006-06-02 2006-06-02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JP-P-2006-00155034 2006-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709A KR20070115709A (ko) 2007-12-06
KR101373264B1 true KR101373264B1 (ko) 2014-03-11

Family

ID=3835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645A KR101373264B1 (ko) 2006-06-02 2007-05-30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38450B2 (ko)
EP (1) EP1862844B1 (ko)
JP (1) JP4952070B2 (ko)
KR (1) KR101373264B1 (ko)
CN (1) CN100541272C (ko)
DE (1) DE602007001637D1 (ko)
TW (1) TWI356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0532A (ja) * 2006-07-11 2008-01-31 Fujifilm Corp 光学機能性シート及び表示装置
CN101583824B (zh) * 2007-01-24 2012-03-21 夏普株式会社 背光结构
US8049689B2 (en) * 2007-05-31 2011-11-01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ynchronized illumination
JP2008305713A (ja) * 2007-06-08 2008-12-18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EP2182502B1 (en) * 2007-08-20 2014-11-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US7661865B2 (en) * 2007-10-17 2010-02-16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07622B1 (ko) * 2007-11-09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367717B (en) * 2007-12-13 2012-07-01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Backlight module
JP5107737B2 (ja) * 2008-01-29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US20110134148A1 (en) * 2008-03-11 2011-06-09 William Robert Cridl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Touchpad Input
WO2010070917A1 (ja) * 2008-12-17 2010-06-24 カラーリンク・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20100087950A (ko) 2009-01-29 201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100220487A1 (en) * 2009-02-27 2010-09-02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ighting assembly and heat exchange apparatus for uniform heat dissipation
US8152337B2 (en) * 2009-05-01 2012-04-10 Billboard Video, Inc. Electronic display panel
US20100302769A1 (en) * 2009-05-28 2010-12-02 Alex Horng Lamp
EP2509304A1 (en) * 2009-12-03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Radiation unit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054768B1 (ko) * 2010-06-11 2011-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US9395057B2 (en) * 2011-02-07 2016-07-19 Cree, Inc. Lighting device with flexibly coupled heatsinks
US9046255B2 (en) * 2011-05-18 2015-06-02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3218125A (ja) * 2012-04-10 2013-10-24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2014053143A (ja) * 2012-09-06 2014-03-20 Aps Japan Co Ltd 照明装置
JP5960044B2 (ja) * 2012-12-26 2016-08-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832836A (zh) * 2015-04-29 2015-08-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TWI623254B (zh) * 2016-03-31 2018-05-0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2021501428A (ja) * 2017-10-19 2021-01-14 アルパイン メディア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移動体に情報コンテンツを配信するための方法、エネルギー装置、ハウジング、およびデバイス
KR101940987B1 (ko) * 2018-08-21 2019-01-23 네오마루 주식회사 히트싱크가 적용된 led 조명장치용 인쇄회로기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637A1 (en) 2001-02-23 2002-11-14 Burke Thomas J. Backlit LCD monitor
JP2006059607A (ja) 2004-08-18 2006-03-02 Sony Corp 放熱装置及び表示装置
US20060098457A1 (en) 2004-11-09 2006-05-11 Au Optronics Corp. Flat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JP2007027056A (ja) 2005-07-21 2007-02-0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50741A (en) 1965-04-26 1969-04-30 Eric Imre Bardos Heat Sinks and Manufacture thereof
JPH04125615A (ja) * 1990-09-18 1992-04-27 Pioneer Electron Corp 液晶表示装置用冷却装置
JPH04317024A (ja) * 1991-04-16 1992-11-09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パネル用冷却装置
US5375655A (en) * 1993-03-31 1994-12-27 Lee; Yong N. Heat sink apparatus
JP2001337611A (ja) * 2000-03-22 2001-12-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表示装置のフレーム
US6650215B1 (en) * 2002-06-17 2003-11-18 The Bergquist Company Finned heat sinks
TW542883B (en) * 2002-08-16 2003-07-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unit for flat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JP4622327B2 (ja) * 2004-06-14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
TWI263836B (en) * 2004-11-12 2006-10-11 Coretronic Corp Heat dissipation method of display backlight unit and the stru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7637A1 (en) 2001-02-23 2002-11-14 Burke Thomas J. Backlit LCD monitor
JP2006059607A (ja) 2004-08-18 2006-03-02 Sony Corp 放熱装置及び表示装置
US20060098457A1 (en) 2004-11-09 2006-05-11 Au Optronics Corp. Flat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JP2007027056A (ja) 2005-07-21 2007-02-01 Sony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6245B (en) 2012-01-11
TW200813564A (en) 2008-03-16
JP2007322905A (ja) 2007-12-13
US7438450B2 (en) 2008-10-21
CN101082708A (zh) 2007-12-05
EP1862844B1 (en) 2009-07-22
DE602007001637D1 (de) 2009-09-03
CN100541272C (zh) 2009-09-16
US20070279930A1 (en) 2007-12-06
KR20070115709A (ko) 2007-12-06
EP1862844A1 (en) 2007-12-05
JP4952070B2 (ja)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264B1 (ko)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조립체
US80312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first and second point light source assemblies wherein a first support substrate is larger than the second support substrate, and a first groove of a lower container is deeper than a second groove
KR101425956B1 (ko) 면형상 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US8123385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31830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4160444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090122054A (ko) 액정표시장치
US8203665B2 (en) Bl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tantially white 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2544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first prism pattern on a lower surface and a second prism pattern on an upper surface
US8482679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31546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1014689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器
JP2009042302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2010151880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組立体及び光変換装置
KR101454608B1 (ko) 표시장치
JP2008140653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KR10177251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60920A (ko) 직하형 led 백라이트 유닛
JP2007184493A (ja) 光源装置、表示装置
KR102665537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59863A (ja)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KR20070013669A (ko) 발광 유닛의 방열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
KR20240048901A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08300B1 (ko) 엘이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TW200426466A (en) Plane 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