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812B1 -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812B1
KR101371812B1 KR1020127020612A KR20127020612A KR101371812B1 KR 101371812 B1 KR101371812 B1 KR 101371812B1 KR 1020127020612 A KR1020127020612 A KR 1020127020612A KR 20127020612 A KR20127020612 A KR 20127020612A KR 101371812 B1 KR101371812 B1 KR 10137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band
cap
bridge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622A (ko
Inventor
아키요시 시로타
히로시 하마나
야스후미 쿠로이와
Original Assignee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전의 유무를 용이하게 육안 확인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을 제공한다. 플랩(16)의 선단면(22)에는, 캡 본체(1)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에, 플랩(16)의 지름방향 내면(25)과의 사이의 내각(α)이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이 된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폐전 상태에서 플랩(16)은 그 경사면부로 용기 입구부의 팽출부(52)에 맞닿음과 함께 그 기단부(16a)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변형한 상태에 있다. 브리지(2)의 절단 후에 밴드(3)가 하강하면, 플랩(16)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함과 함께, 밴드(3)가 브리지(2)의 절단 전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플랩(16)이 상기 팽출부(52)와 간섭함에 의해 규제한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SYNTHETIC RESIN PILFER-PROOF CAP}
본 발명은, 용기 입구부에 밀봉을 위해 장착되어 개전(開栓)에 의해 브리지가 절단되는 구성의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캡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ET병 등의 용기 입구부(50)에 나선 장착되는 캡 본체(101)와, 그 캡 본체(101)의 하단에 브리지(102)를 통하여 연결된 밴드(103)를 구비한 PET병용의 합성 수지제의 캡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밴드(103)에는 그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설된 플랩(116)이 마련되어 있다. 그 플랩(116)은 고리형상이고, 그 선단부가 주름상자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도 10에 그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캡 본체(101)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에 플랩(116)의 선단면(122)은 플랩(116)의 지름방향 내면(125)과의 사이의 각도(내각(α))가 90도 또는 90도 미만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전시에 플랩(116)이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비드)에 계지함에 의해 브리지(102)가 절단된다. 브리지(102)가 절단됨으로써 캡 본체(101)와 밴드(103)가 분리되고, 캡 본체(101)는 용기 입구부(50)로부터 벗겨지는 한편, 밴드(103)는 그대로 용기 입구부(50)에 잔존한다. 이와 같이 개전에 의해 브리지(102)가 절단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브리지(102)의 절단의 유무에 의해 미개전의 상태인지 개전이 끝난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른바 TE 기능(Tamper-Evident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런데, 브리지(102)가 절단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103)는 그 자중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하강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캡 본체(101)와 밴드(103)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그 간극을 본에 의해 개전 끝남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브리지(102)가 절단되어도 마찰 등에 의해 밴드(103)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정 위치까지 밴드(103)가 하강하였다고 하여도 그것을 고의로 밀어올리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103)는, 브리지(102)가 절단되기 전의 위치, 즉, 개전 전의 위치까지 되돌아와 그 위치에서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개전이 끝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밴드(103)가 개전 전의 위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여 있으면, 캡 본체(101)와 밴드(103)와의 사이의 간극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마치 미개전(未開栓)과 같이 보인다. 즉, 일견(一見)하는 것만으로는, 개전 끝남인지 미개전인지를 외견상 구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256344호 공보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개전의 유무를 용이하게 육안 확인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pilfer-proof cap)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은, 용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 본체의 하단에 브리지를 통하여 고리형상의 밴드가 연결되고, 그 밴드의 내주면에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늘어나는 플랩이 형성되고, 개전시에 플랩이 용기 입구부의 팽출부에 계지하여 브리지가 절단되도록 구성된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에 있어서, 플랩의 선단면에는, 캡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에, 플랩의 지름방향 내면과의 사이의 내각이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이 된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폐전 상태에서 플랩은 그 경사면부로 상기 팽출부에 맞닿음과 함께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변형한 상태에 있고, 브리지 절단 후에 밴드가 하강하면, 플랩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함과 함께, 밴드가 브리지 절단 전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플랩이 상기 팽출부와 간섭함에 의해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구성의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에서는, 개전 후에 하강한 밴드를 가령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리려고 하여도, 플랩이 용기 입구부의 팽출부와 간섭하여 밴드의 상승을 규제한다. 따라서, 밴드는 개전 전의 원래의 높이까지 상승할 수가 없고, 캡 본체와 밴드와의 사이에는 반드시 간극이 형성되게 되어, 그 간극을 봄으로써 용이하게 개전이 끝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플랩의 선단면의 전체가 상기 경사면부이고, 그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가 브리지 절단 후에 상기 팽출부와 간섭하여 밴드의 상승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의 선단면의 전체를 경사면부로 함에 의해 플랩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고, 게다가,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에 의해 밴드의 상승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랩의 선단면은 지름방향 내측 영역과 그 지름방향 내측 영역보다도 상기 내각이 큰 지름방향 외측 영역으로 구분되어 그 지름방향 외측 영역이 상기 경사면부로서 팽출부에 맞닿고, 그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가 브리지 절단 후에 상기 팽출부와 간섭하여 밴드의 상승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의 지름방향 내측 영역의 내각을 비교적 작게 함에 의해, 개전할 때에 플랩을 확실하게 팽출부에 계지시킬 수 있고, 게다가,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에 의해 밴드의 상승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개전 후에 있어서 밴드의 원래의 높이로의 상승이 플랩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개전 후에 있어서 캡 본체와 밴드와의 사이에 간극이 확실하게 존재하게 되어, 그 간극에 의해 개전 끝남인 것을 확실하게 명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폐전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동 캡의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개전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개전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캡의 사용 상태로서, 폐전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동 캡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a)는 지름방향 내측 에지에서의 단면, (b)는 지름방향 외측 에지에서의 단면.
도 8은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개전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의 사용 상태로서, 폐전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동 캡의 주요부 확대도.
도 11은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개전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동 캡의 사용 상태로서, 개전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에 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캡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캡 본체(1)를 구비하고 있고, 그 캡 본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입구부(50)에 나선 장착된다. 그 캡 본체(1)의 하단에는, 복수의 브리지(2)를 통하여 고리형상의 밴드(3)가 연결되어 있다. 그 캡은, 이른바 2피스 캡이고, 캡 본체(1)의 내측에는 용기 입구부(50)를 밀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패킹이 삽입된다. 캡 본체(1)와 밴드(3)는 합성 수지로 성형(압축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패킹은 그것과는 별체로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로 성형(압축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캡 본체(1)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캡 본체(1)는, 원반형상의 덮개천판(10)과, 그 덮개천판(10)의 주연(周緣)으로부터 늘어지는 통형상의 주벽(周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주벽(11)은, 지름 개략 일정한 스트레이트부(12)와, 그 스트레이트부(12)의 하측에 연설(連設)된 대경부(13)로 이루어진다. 스트레이트부(12)의 외주면에는 전둘레 또한 전높이에 걸쳐서 종방향의 너얼(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벽(11)의 내주면에는 용기 입구부(50)의 외주면의 수나사부(51)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 본체(1)의 하단에 연설된 밴드(3)는, 캡 본체(1)와 밴드(3)와의 사이의 경계선을 통하여, 캡 본체(1)의 대경부(13)의 외주면과 연속하는 외주면을 갖고 있다. 그 밴드(3)의 외주면은 전체로서 하측을 향할수록 대경(大徑)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캡 본체(1)와 밴드(3)를 연결하는 브리지(2)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데, 그 브리지(2)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캡 본체(1)의 주벽(11)의 내주면부터 밴드(3)의 내주면에 걸쳐서 복수의 연결편부(17)가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그 연결편부(17)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연결편부(17)의 일부를 남겨 두도록 하여 전둘레에 걸쳐서 슬릿(18)을 커터 등에 의해 형성하고, 남은 연결편부(17)의 일부가 상기 브리지(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18)이 캡 본체(1)와 밴드(3) 사이의 경계선이다.
그리고, 그 밴드(3)의 내주면에는, 개전시에 밴드(3)가 용기 입구부(50)에 잔존하도록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에 계지하는 플랩(16)이 형성되어 있다. 그 플랩(16)은, 밴드(3)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 플랩(16)은, 그 보유 탄성에 의해, 기단부(16a)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즉 밴드(3)의 내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플랩(16)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단부(16a)를 지점으로 하여 그 선단부가 확축(擴縮) 변형 가능하다.
또한, 플랩(16)은, 개전시의 휘여짐 억제를 위해 주름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랩(16)의 선단부가 지름방향 내측을 향하여, ㄱ자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그 ㄱ자형상으로 굴곡한 굴곡벽(20)을 둘레방향에 연속적으로 형성함에 의해 주름상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굴곡벽(20)은, 플랩(16)의 지름방향 내면(25)을 바깥쪽으로 접는(산절(山折) 종방향이 절곡선(2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삼각벽(20a, 20b)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셋 각벽(20a, 20b)은 하방을 향하여 끝이가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16)의 선단면(22)은, 삼각벽(20a, 20b)의 단면(端面)이 연속한 것으로서, 지름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ㄱ자형상으로 굴곡하는 지름방향 내측 굴곡부(23)와 지름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ㄱ자형상으로 굴곡하는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를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갖는 형상이다.
또한, 플랩(16)의 선단면(22)은, 그 전체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본체(1)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에, 플랩(16)의 지름방향 내면(25)과의 사이의 내각(α)이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이 된 경사면부로 되어 있다. 이 내각(α) 은 예를 들면 100 내지 130도이다. 도 3은, 상술한 양삼각벽(20a, 20b) 사이의 경계인 절곡선(21)상의 단면이지만, 다른 개소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을 말할 수 있고, 플랩(16)의 지름방향 내면(25)과 선단면(22)과의 사이의 내각(α)은 캡 본체(1)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의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랩(16)의 선단면(22)의 전체가 경사면부이기 때문에, 플랩(16)의 기단부(16a)로부터 선단면(22)까지의 길이는, 지름방향 내측 굴곡부(23)와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에서 다르고, 플랩(16)의 기단부(16a)로부터 지름방향 내측 굴곡부(23)까지의 길이보다도 플랩(16)의 기단부(16a)로부터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까지의 길이의 쪽이 길게 되어 있다. 즉, 플랩(16)의 기단부(16a)로부터 선단면(22)까지의 길이는, 지름방향 내측 굴곡부(23)로부터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를 향하여 서서히 길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캡은, 용기 입구부(50)에 감아채워(卷締) 장착된다. 용기 입구부(50)에의 장착 과정에서, 플랩(16)은 그 기단부(16a)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확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의 외측을 통과하여 간다. 그리고, 용기 입구부(50)에의 장착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이, 플랩(16)은 그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하여, 플랩(16)의 선단면(22)(경사면부)이 팽출부(52)의 하단 주연부에 맞닿는다. 이 장착 완료 상태(폐전 상태)에서는, 플랩(16)의 선단면(22)중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 또는 그에 가까운 부위가 팽출부(52)에 맞닿고,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보다도 하측의 외주면(53)에는 플랩(16)은 맞닿지 않는다. 또한, 폐전 상태에서, 플랩(16)의 선단면(22)은 지름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27)(지름방향 외측 굴곡부(24)에서의 에지)는, 팽출부(52)의 하단 주연부보다도 상방이며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내측 에지(26)(지름방향 내측 굴곡부(23)에서의 에지)는,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보다도 하측의 외주면(53)에는 맞닿지 않고, 양자의 사이에는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플랩(16)은 그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2의 상태로부터 더욱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16)의 팽출부(52)에의 맞닿음 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비스듬하게 경사하여 맞닿고 있는 것과 서로 어울려서 플랩(16)에는 팽출부(52)로부터의 반작용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게 된다. 즉, 폐전 상태에서, 플랩(16)을 통하여 밴드(3)에는 하방으로 가세력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개전할 때에 캡 본체(1)를 회전하여 가면, 플랩(16)이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에 계지됨으로써 밴드(3)의 상승이 저지되어 브리지(2)가 절단되고, 캡 본체(1)가 패킹(4)과 함께 용기 입구부(50)로부터 벗겨지는 한편, 밴드(3)는 그대로 용기 입구부(50)에 남는다. 브리지(2)가 절단되면 도 4와 같이 밴드(3)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여,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의 하방에 위치하는 플랜지(54)에 맞닿아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브리지(2)가 절단되기 전에 플랩(16)에는 하방으로 가세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브리지(2)가 절단되면 자중과 가세력에 의해 하방으로 확실하게 낙하한다. 밴드(3)가 하방으로 낙하하면, 플랩(16)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 동작에 의해,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내측 에지(26)는 용기 입구부(50)의 팽출부(52)보다도 하측의 외주면(53)에 맞닿는다. 또한,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27)는, 브리지(2)가 절단되기 전의 위치보다도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팽출부(52)의 하단 주연부보다도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령 밴드(3)를 밀어올렸다고 하여도, 도 5와 같이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27)가 팽출부(52)에 맞닿아 그 이상의 밴드(3)의 상승이 규제된다. 즉,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27)가 개전 전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밴드(3)가 개전 전의 원래의 높이로 되돌아올 수가 없고, 캡 본체(1)를 용기 입구부(50)의 원래의 위치에 재차 나선 장착하였다고 하여도 밴드(3)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D)이 확실하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캡 본체(1)와 밴드(3)와의 사이의 간극(D)을 용이하게 볼 수가 있어서, 캡이 개전 끝남인 것을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랩(16)의 선단면(22)의 전체를 경사면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16)의 형상이 간소하여서 그 제조 관리도 용이하지만, 플랩(16)의 선단면(22)의 전체를 경사면부로 하는 구성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선단면(22)의 일부에 경사면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랩(16)의 선단면(22)을 지름방향 내측 영역(30)과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으로 구분하고, 그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의 내각(α2)을 지름방향 내측 영역(30)의 내각(α1)보다도 큰 것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을 경사면부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지름방향 내측 영역(30)의 내각(α1)을 90도로 하는 한편,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의 내각(α2)을 예를 들면 110 내지 130도로 하여, 용기 입구부(50)에의 장착 상태에서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이 팽출부(52)의 하단 주연부에 맞닿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도, 개전에 의해 브리지(2)가 절단되어 밴드(3)가 하강하면, 그 밴드(3)를 원래의 높이에로 되돌릴 수는 없다. 즉, 도 8과 같이 플랩(16)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27)가 팽출부(52)에 맞닿아서 밴드(3)의 그 이상의 상승을 규제하고, 따라서 캡 본체(1)와 밴드(3) 사이에는 확실하게 간극(D)이 형성된다. 또한, 개전할 때에, 가령 플랩(16)의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이 팽출부(52)에서 계지되지 않는 일이 생겨도, 내각(α1)의 비교적 작은 지름방향 내측 영역(30)이 팽출부(52)에 확실하게 계지하기 때문에, 브리지(2)의 절단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름방향 내측 영역(30)의 내각(α1)이 90도를 초과하도록 하여도 좋고 지름방향 외측 영역(31)의 내각(α2)보다도 작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름방향 외측 에지(27)가 팽출부(52)와 간섭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플랩(16)의 선단의 비교적 외측의 부위가 팽출부(52)와 간섭하여 밴드(3)의 상승을 규제하면 좋다.
또한, 플랩(16)에 굴곡벽(20)이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굴곡벽(20)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랩(16)이 고리형상이 아니라, 둘레방향으로 단편적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둘레방향에 간격을 두고 단편형상의 플랩(16)을 형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 단편형상의 플랩(16)에 각각 굴곡벽(20)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별체의 패킹을 갖는 2피스 캡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용기 입구부(50)에 감입되는 이너 링을 덮개천판(10)의 하면에 돌설시킨 원피스 캡에도 적용 가능하다.
1 : 캡 본체 2 : 브리지
3 : 밴드 10 : 덮개천판
11 : 주벽 12 : 스트레이트부
13 : 대경부 14 : 너얼
15 : 암나사부 16 : 플랩
16a : 기단부 17 : 연결편부
18 : 슬릿 20 : 굴곡벽
20a : 삼각벽 20b : 삼각벽
21 : 절곡선 22 : 선단면
23 : 지름방향 내측 굴곡부 24 : 지름방향 외측 굴곡부
25 : 지름방향 내면 26 : 지름방향 내측 에지
27 : 지름방향 외측 에지 30 : 지름방향 내측 영역
31 : 지름방향 외측 영역 50 : 용기 입구부
51 : 수나사부 52 : 팽출부
53 : 외주면 54 : 플랜지
101 : 캡 본체 102 : 브리지
103 : 밴드 116 : 플랩
122 : 선단면 125 : 지름방향 내면
α : 내각 α1 : 내각
α2 : 내각 D : 간극

Claims (3)

  1. 용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 본체의 하단에 브리지를 통하여 고리형상의 밴드가 연결되고, 그 밴드의 내주면에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늘어나는 플랩이 형성되고, 개전시에 플랩이 용기 입구부의 팽출부에 계지하여 브리지가 절단되도록 구성된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에 있어서,
    플랩의 선단면에는, 캡 본체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축선 방향 단면을 본 때에, 플랩의 지름방향 내면과의 사이의 내각이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이 된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폐전 상태에서, 플랩은 그 경사면부로 상기 팽출부에 맞닿음과 함께 그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변형한 상태로서 또한 플랩은 용기 입구부의 상기 팽출부보다도 하측의 외주면에는 맞닿지 않고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간하여 있고,
    브리지 절단 후에 밴드가 하강하면, 플랩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름방향 내측으로 회동하여 용기 입구부의 상기 팽출부보다도 하측의 외주면에 맞닿음과 함께, 밴드가 브리지 절단 전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플랩이 상기 팽출부와 간섭함에 의해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2. 제 1항에 있어서,
    플랩의 선단면의 전체가 상기 경사면부이고, 해당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가 브리지 절단 후에 상기 팽출부와 간섭하여 밴드의 상승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3. 제 1항에 있어서,
    플랩의 선단면은 지름방향 내측 영역과 해당 지름방향 내측 영역보다도 상기 내각이 큰 지름방향 외측 영역으로 구분되어서 해당 지름방향 외측 영역이 상기 경사면부로서 팽출부에 맞닿고, 해당 플랩의 선단의 지름방향 외측 에지가 브리지 절단 후에 상기 팽출부와 간섭하여 밴드의 상승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KR1020127020612A 2010-03-25 2011-03-22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KR101371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9230 2010-03-25
JPJP-P-2010-069230 2010-03-25
PCT/JP2011/056720 WO2011118551A1 (ja) 2010-03-25 2011-03-22 合成樹脂製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622A KR20120125622A (ko) 2012-11-16
KR101371812B1 true KR101371812B1 (ko) 2014-03-07

Family

ID=4467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612A KR101371812B1 (ko) 2010-03-25 2011-03-22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42850B2 (ko)
KR (1) KR101371812B1 (ko)
CN (1) CN102811921B (ko)
WO (1) WO20111185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023A (ja) * 1993-07-21 1995-02-10 Yamamura Glass Co Ltd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H09511726A (ja) * 1995-02-10 1997-11-25 クロウン・コル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不正開栓防止片付き閉栓キャップ
JP2004262473A (ja) 2003-02-28 2004-09-24 Yoshino Kogyosho Co Ltd 封緘式キャップ
JP2004268963A (ja) 2003-03-07 2004-09-30 Toppan Printing Co Ltd 封緘リング付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853A (en) * 1991-05-01 1995-08-22 Anchor Hocking Packaging Co. Press-on, pry-off closure for microwavable vacuum sealed container
US5400913A (en) * 1992-12-23 1995-03-28 Crown Cork & Seal Company Tamper-indicating closure
JP3745806B2 (ja) * 1995-10-26 2006-02-15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4467102B2 (ja) * 1999-07-14 2010-05-26 三笠産業株式会社 キャップ
US7704407B2 (en) * 2005-06-15 2010-04-27 Nihon Yamamura Glass Co., Ltd. Oxygen-absorbing container ca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023A (ja) * 1993-07-21 1995-02-10 Yamamura Glass Co Ltd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H09511726A (ja) * 1995-02-10 1997-11-25 クロウン・コル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不正開栓防止片付き閉栓キャップ
JP2004262473A (ja) 2003-02-28 2004-09-24 Yoshino Kogyosho Co Ltd 封緘式キャップ
JP2004268963A (ja) 2003-03-07 2004-09-30 Toppan Printing Co Ltd 封緘リング付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622A (ko) 2012-11-16
CN102811921A (zh) 2012-12-05
JPWO2011118551A1 (ja) 2013-07-04
CN102811921B (zh) 2015-07-08
WO2011118551A1 (ja) 2011-09-29
JP5442850B2 (ja)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8581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и упаковка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EP1772391B1 (en) Metal beverage container with drinking sleeve
US7988004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tamper evident device
US6491175B1 (en) Single piece closure for a pressurized container
US4978017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US4470513A (en) Tamper-indicating closure
AU647048B2 (en) Tamper indicating closure having retaining hoop with relief windows
JP5371138B2 (ja) キャップ
US11807434B2 (en) Two-piece cap
CN113646236B (zh) 合成树脂制容器盖
WO2022232907A1 (en) Closure with retaining ring and tamper evidence band
KR101371812B1 (ko) 합성 수지제 필퍼 프루프 캡
RU2461500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199475C2 (ru) Комбинация крышки и контейнера
US6739466B1 (en) Folding finger tamper-indicating band arrester
JP4349785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備えた合成樹脂製容器蓋
JP4949004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バンド付きキャップ
JP481873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410370Y1 (ko) 봉함링을 가진 용기용 마개 구조
EP1726531A1 (en) Vessel cap
JP7138815B1 (ja) キャップ
JP5034673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キャップ
US20240208701A1 (en) Closure with retaining ring and tamper evidence band
KR20210129117A (ko) 합성수지제 캡
JP2021050007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