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20B1 -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20B1
KR101371620B1 KR1020127009123A KR20127009123A KR101371620B1 KR 101371620 B1 KR101371620 B1 KR 101371620B1 KR 1020127009123 A KR1020127009123 A KR 1020127009123A KR 20127009123 A KR20127009123 A KR 20127009123A KR 101371620 B1 KR101371620 B1 KR 10137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node
timing
base station
radio base
operat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386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우리 안다르마완티 합사리
아닐 우메시
미키오 이와무라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6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 및 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릴레이 노드 자신의 수신회로에 대한 간섭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방법은, 릴레이 노드(RN)가,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f1, 및,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 f2에 기초하여,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과, 릴레이 노드(RN)가,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해당 판정결과를 통지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Y NODE}
본 발명은,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후계의 통신방식인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UE)과 무선기지국(DeNB(Donor eNB))과의 사이에, 무선기지국(DeNB)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RN)'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UE)과 코어 노드(CN(Core Node))와의 사이에서,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가 설정되고, 이동국(UE)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Uu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릴레이 노드(RN)와 무선기지국(DeNB)과의 사이에서, Un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무선기지국(DeNB)과 코어 노드(CN)와의 사이에서, S1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에 의한 무선기지국(DeNB)으로부터의 하향신호의 수신처리(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수신처리)와 릴레이 노드(RN)에 의한 이동국(UE)으로의 하향신호의 송신처리(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신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나, 릴레이 노드(RN)에 의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상향신호의 수신처리(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수신처리)와 릴레이 노드(RN)에 의한 무선기지국(DeNB)으로의 상향신호의 송신처리(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신처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릴레이 노드(RN)의 송신신호가 릴레이 노드(RN) 자신의 수신회로에 유입되어, 간섭이 발생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 및 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릴레이 노드 자신의 수신회로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이, 제1 타이밍에서 릴레이 노드에 대해 제1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A와, 상기 릴레이 노드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B와, 상기 릴레이 노드가,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및,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 C와, 상기 릴레이 노드가,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판정결과를 통지하는 공정 D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커넥션을 설정 가능한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제1 타이밍에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케줄링부와,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및,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부와,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판정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릴레이 노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의 송신신호의 수신회로로의 유입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릴레이 노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 내의 코어 노드(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S-GW)나 교환국(MME) 등)나, 무선기지국(DeNB)이나, 릴레이 노드(RN)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의 예에서는, 무선기지국(D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는, Uu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으며,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는, Un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으며,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에는, Uu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는 'f1'이며(상향방향은 'f1(UL)'이고, 하향방향은 'f1(DL)'이며)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는 'f2'이다(상향방향은 'f2(UL)'이고, 하향방향은 'f2(DL)'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향신호의 수신용 리소스와 제2 하향신호의 송신용 리소스를 시분할로 전환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는, SFN(System Frame Number) 동기가 맞는 것으로 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향신호의 수신용 리소스와 제2 하향신호의 송신용 리소스를 시분할로 전환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릴레이 노드(RN)가, 무선기지국(DeNB)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알림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SFN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SFN 레벨에서 동기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향신호의 수신용 리소스와 제2 하향신호의 송신용 리소스를 시분할로 전환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이고, 그리고,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SFN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 무선기지국(DeNB)은, 자신이 송신하는 무선 프레임의 SFN과 릴레이 노드(RN)가 송신하는 무선 프레임의 SFN이 동(同)시각에서 몇 프레임 빗겨나가 있는지를 파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무선기지국(DeNB) 및 릴레이 노드(RN)는, 시분할 다중방식으로, 상향신호 및 하향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RN)는, Un 무선 베어러용 송신회로(11A)와,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와,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분파기(Duplexer)(13A)와,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와, Uu 무선 베어러용 송신회로(11B)와, Uu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B)와,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분파기(Duplexer)(13B)와,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와, 송신부(15)와, 수신부(16)와, 판정부(17)와, 스케줄링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16)는,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 및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를 이용하여, 제1 타이밍에서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DeNB)으로부터 송신된 제1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수신부(16)는,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 및 Uu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B)를 이용하여,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수신부(16)는,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 및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를 이용하여, 무선기지국(DeNB)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무선기지국(DeNB)으로부터, 제1 타이밍으로서,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6)는, 기존의 RRC 커넥션의 설정수순에 있어서 송신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으로부터, MBSFN(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MBSFN 서브프레임은, MBSFN용 통신에서 이용되는 서브프레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BSFN 서브프레임에는, 3GPP 회합에 있어서 'Blank 서브프레임'이라 불리고 있는 제어신호용 OFDM 심볼이 송신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는 MBSFN 서브프레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송신부(15)는,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 및 Un 무선 베어러용 송신회로(11A)를 이용하여,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상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송신부(15)는,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 및 Uu 무선 베어러용 송신회로(11B)를 이용하여,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18)는, 판정부(17)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릴레이 노드(RN) 배하의 이동국(UE)에 따른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부(18)는, 판정부(17)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제1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제2 타이밍)에서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판정부(17)는,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f1, 및,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 f2에 기초하여,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판정부(17)는, 제1 운용주파수 f1 및 제2 운용주파수 f2에 기초하여,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DeNB)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하향신호의 수신용 리소스와,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는 제2 하향신호의 송신용 리소스를 시분할로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7)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다른 경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판정부(17)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동일한 경우라도,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즉,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isolation을 보증할 수 있는 고성능의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분파기(13A)가 마련되어 있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RN)의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와 릴레이 노드(RN)의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가 공간적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릴레이 노드(RN)가 가정 내에 설치되고,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가 옥상 위에 설치되고,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가 릴레이 노드(RN)와 일체화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되는 레벨이 작아지기 때문에, 릴레이 노드(RN)에 있어서,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RN)의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와 릴레이 노드(RN)의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가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릴레이 노드(RN)가 가정 내에 설치되고,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 및 Uu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B)가 릴레이 노드(RN)와 일체화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되는 레벨이 커지기 때문에, 릴레이 노드(RN)에 있어서,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7)는, 릴레이 노드(RN)의 기동시에, 상술한 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송신부(15)는, Un 무선 베어러용 송수신 안테나(14A) 및 Un 무선 베어러용 송신회로(11A)를 이용하여,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판정부(17)에 의한 해당 판정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송신부(15)는, RRC 커넥션의 설정수순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이동국(UE)이 아니라, 릴레이 노드(RN)에 의해 송신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DeNB)은, 수신부(21)와, 송신부(22)와, 스케줄링부(23)와, 결정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21)는,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나,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된 상향신호나, 코어 노드(CN)로부터 송신된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21)는,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RRC 커넥션의 설정수순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송신되는 'RRC Connection Request' 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22)는,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에 대해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코어 노드(CN)에 대해 상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송신부(22)는,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판정결과가 통지된 경우,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소정 타이밍)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부(22)는,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RRC Connection Request'의 송신원(元)이 릴레이 노드(RN)인 경우에만,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송신부(22)는,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판정결과가 통지된 경우,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소정 타이밍)을 통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정부(24)는,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통지해야 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결정부(24)는, 무선기지국(DeNB) 배하의 릴레이 노드(RN)나 이동국(UE)의 수나, 트래픽량을 고려하여,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통지해야 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23)는, 무선기지국(DeNB) 배하의 릴레이 노드(RN)나 이동국(UE)에 따른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줄링부(23)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제1 타이밍)에서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제1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릴레이 노드(RN)의 기동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기동하면, 무선기지국(DeNB)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알림정보 등을 참조하여,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를 스캔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및,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제1 운용주파수와 제2 운용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3로 진행되고, 제1 운용주파수와 제2 운용주파수가 다른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4로 진행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이동국(UE)에 대해 송신되는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4로 진행되고,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5로 진행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즉, 무선 리소스의 시분할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하고,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 즉, 무선 리소스의 시분할이 필요하다고 판정하고,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그 취지를 통지한다.
둘째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기동시에,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RRC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RRC Connection Request' 내에 설정되어 있는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RRC Connection Request'가 릴레이 노드(RN)로부터 송신된 것이라고 판정하고,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RRC Connection Setup'을 송신한다.
단계 S1003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Attach Request'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을 송신한다.
단계 S10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코어 노드(CN)에 대해, 'Attach Request'를 포함하는 'Initial UE Message'를 송신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와 코어 노드(CN)와의 사이에서 'Authentication/Security 처리'가 완료된 후, 단계 S1006에 있어서, 코어 노드(C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Attach Accept'를 포함하는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1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RRC RN(UE) Capability Enquiry'를 송신한다.
단계 S1008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RRC RN(UE) Capability Information'을 송신한다.
여기서, 릴레이 노드(R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RRC RN(UE) Capability Information' 내의 소정 비트(예를 들면, 1 비트)에 의해, 상술한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
단계 S1009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코어 노드(CN)에 대해, '(UE) Capability Info Indication'을 송신한다.
무선기지국(DeNB)은,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단계 S1010에 있어서, 'Security Mode Command'를 송신하고, 단계 S1011에 있어서, 'Attach Accept'를 포함하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을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기지국(DeNB)은, 필요에 따라,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의해, 상술한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통지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R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단계 S1012에 있어서, 'Security Mode Complete'를 송신하고, 단계 S1013에 있어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를 송신한다.
단계 S101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코어 노드(CN)에 대해, '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단계 S1015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코어 노드(CN)에 대해, 'Attach Complete'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 및 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릴레이 노드 자신의 수신회로에 대한 간섭의 영향이 큰 경우에만, Un 무선 베어러를 통해 무선기지국(DeNB)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하향신호의 수신용 리소스와,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는 제2 하향신호의 송신용 리소스를 시분할로 전환함으로써,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상기 릴레이 노드 자신의 수신회로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변경예 1)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변경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01 내지 S2015의 동작은, 도 6에 도시하는 단계 S1001 내지 S1015의 동작과 동일하다.
단, 단계 S201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에 의해, 상술한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통지하지 않는다.
단계 S2016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릴레이 노드(RN)가 무선 중계 기지국으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Un 무선 베어러를 릴레이 노드(RN)와 무선기지국(DeNB)과의 사이에서 설정하는 것을 요구하는 'Un Setup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S201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은,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Un Setup Response'를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기지국(DeNB)은,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Un Setup Response'에 의해, 상술한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통지한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이, 제1 타이밍에서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제1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A와, 릴레이 노드(RN)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UE)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B와, 릴레이 노드(RN)가,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f1, 및,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 f2에 기초하여,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 C와, 릴레이 노드(RN)가,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해당 판정결과를 통지하는 공정 D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C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다른 경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공정 C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RN)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같은 경우라도,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무선기지국(DeNB)이, 릴레이 노드(RN)에 대해, 제1 타이밍을 통지하는 공정을 더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제1 타이밍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무선기지국(DeNB)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 가능한 릴레이 노드(RN)에 있어서, 제1 타이밍에서 무선기지국(DeNB)으로부터 송신된 제1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16)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UE)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케줄링부(18)와, 릴레이 노드(RN)와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f1, 및,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 f2에 기초하여,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부(17)와, 무선기지국(DeNB)에 대해 해당 판정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15)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판정부(17)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다른 경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판정부(17)는, 제1 운용주파수 f1과 제2 운용주파수 f2가 같은 경우라도, 제2 하향신호의 Un 무선 베어러용 수신회로(12A)로의 유입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수신부(16)는, 무선기지국(DeNB)과 릴레이 노드(RN)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무선기지국(DeNB)으로부터, 제1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제1 타이밍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기지국(DeNB)이나 릴레이 노드(RN)나 이동국(U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무선기지국(DeNB)이나 릴레이 노드(RN)나 이동국(U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무선기지국(DeNB)이나 릴레이 노드(RN)나 이동국(U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Un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 및 Uu 무선 베어러에 있어서의 송수신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릴레이 노드 자신의 수신회로에 대한 간섭을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기지국이, 제1 타이밍에서 릴레이 노드에 대해 제1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A;
    상기 릴레이 노드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공정 B;
    상기 릴레이 노드가,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및,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는 공정 C;
    상기 릴레이 노드가,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판정결과를 통지하는 공정 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제1 운용주파수와 상기 제2 운용주파수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C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제1 운용주파수와 상기 제2 운용주파수가 같은 경우라도, 상기 제2 하향신호의 수신회로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릴레이 노드에 대해, 상기 제1 타이밍을 통지하는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6.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커넥션을 설정 가능한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제1 타이밍에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제1 하향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제2 타이밍에서 이동국에 대해 제2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케줄링부;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운용주파수, 및,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2 운용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정부;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해 상기 판정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1 운용주파수와 상기 제2 운용주파수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1 운용주파수와 상기 제2 운용주파수가 같은 경우라도, 상기 제2 하향신호의 수신회로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타이밍과 시간방향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2 타이밍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커넥션을 설정할 때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은, MBSFN 서브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KR1020127009123A 2009-10-05 2010-10-05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 KR101371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1721 2009-10-05
JP2009231721A JP5187909B2 (ja) 2009-10-05 2009-10-05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PCT/JP2010/067430 WO2011043325A1 (ja) 2009-10-05 2010-10-05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86A KR20120065386A (ko) 2012-06-20
KR101371620B1 true KR101371620B1 (ko) 2014-03-06

Family

ID=4385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123A KR101371620B1 (ko) 2009-10-05 2010-10-05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85543B2 (ko)
EP (1) EP2487979B1 (ko)
JP (1) JP5187909B2 (ko)
KR (1) KR101371620B1 (ko)
CN (1) CN102577570B (ko)
CA (1) CA2782073C (ko)
MX (1) MX2012004103A (ko)
NZ (1) NZ599668A (ko)
WO (1) WO2011043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6707A1 (en) * 2010-08-16 2013-06-26 Corning Cable Systems LLC Remote antenna clusters and related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supporting digital data signal propagation between remote antenna units
CN203504582U (zh) 2011-02-21 2014-03-26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一种分布式天线系统及用于在其中分配电力的电源装置
US8576766B2 (en) 2011-08-29 2013-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scheduling of in-band relay node resources
JP5303620B2 (ja) * 2011-09-09 2013-10-02 アンリツ株式会社 リレーノードシミュレーター及び試験方法
JP2013074529A (ja) * 2011-09-28 2013-04-22 Kyocera Corp 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EP3026952A1 (en) * 2011-09-30 2016-06-01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5351231B2 (ja) 2011-10-04 2013-11-27 アンリツ株式会社 リレーノードシミュレーター及び試験方法
WO2013125226A1 (en) * 2012-02-24 2013-08-29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919722A (zh) * 2012-11-09 2015-09-16 爱立信-Lg株式会社 用于移动对象的中继系统
US9226211B2 (en) * 2013-01-17 2015-12-29 Intel IP Corporation Centralized partitioning of user devices in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US10659163B2 (en) 2014-09-25 2020-05-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upporting analog remote antenna units (RAUs) in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ing analog RAU digital adaptors
WO2016071902A1 (en) 2014-11-03 2016-05-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ulti-band monopole planar antennas configured to facilitate improved radio frequency (rf) isola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antenna arrangement
WO2016075696A1 (en) 2014-11-13 2016-05-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supporting distribution of digital communications signals interfaced from a digital signal source and analog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ignals
EP3235336A1 (en) 2014-12-18 2017-10-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gital interface modules (dims) for flexibly distributing digital and/or analog communications signals in wide-area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WO2016098111A1 (en) 2014-12-18 2016-06-2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gital- analog interface modules (da!ms) for flexibly.distributing digital and/or analog communications signals in wide-area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20080075178A1 (en) * 2003-12-30 2008-03-27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Base Stations with Asymmetric Data Link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0397B2 (en) * 2003-12-05 2008-09-30 Ntt Docomo, Inc. Radio repeater and radio relay transmission method
WO2007036161A1 (fr) * 2005-09-30 2007-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de communications relais sans fil, et procédé
WO2007105089A2 (en) * 2006-03-14 2007-09-2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relay division multiple access
JP4910574B2 (ja) * 2006-08-31 2012-04-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8929281B2 (en) * 2006-09-15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peer to peer device
US20080137581A1 (en) * 2006-12-12 2008-06-12 Nokia Corporation Data forwarding techniques for wireless relay networks
CN101488801A (zh) * 2008-01-17 2009-07-22 株式会社Ntt都科摩 多载波无线通信系统及方法、基站、无线中继站和移动站
US8335176B2 (en) * 2008-04-07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channels with timing offset and blanking
KR101465151B1 (ko) * 2008-09-19 2014-11-25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US20100110964A1 (en) * 2008-11-04 2010-05-06 Motorola, Inc. Method for Relay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749480B2 (ja) * 2009-06-22 2011-08-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JP4660609B2 (ja) * 2009-06-22 2011-03-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EP2474107A4 (en) * 2009-09-03 2016-05-25 Rockstar Bidco Lp FREQUENCY DUPLEXING IN MULTIHOP RELAY NETWORKS
JP5583035B2 (ja) * 2011-01-06 2014-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5178A1 (en) * 2003-12-30 2008-03-27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Base Stations with Asymmetric Data Links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86A (ko) 2012-06-20
CA2782073A1 (en) 2011-04-14
US8885543B2 (en) 2014-11-11
JP2011082678A (ja) 2011-04-21
CN102577570B (zh) 2014-12-17
CA2782073C (en) 2015-11-17
EP2487979A1 (en) 2012-08-15
WO2011043325A1 (ja) 2011-04-14
EP2487979A4 (en) 2014-06-04
JP5187909B2 (ja) 2013-04-24
CN102577570A (zh) 2012-07-11
MX2012004103A (es) 2012-05-29
EP2487979B1 (en) 2015-12-16
AU2010304357A1 (en) 2012-05-17
NZ599668A (en) 2013-08-30
US20120263098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620B1 (ko) 이동통신방법 및 릴레이 노드
KR101404287B1 (ko)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 통신 시스템
EP2540026B1 (en) Control information assigning method
KR101298726B1 (ko)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US8873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relay communication system
WO2012046403A1 (ja) 基地局、端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20130073988A (ko)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AU2010263801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relay node
WO2010087174A1 (ja) 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WO2012165411A1 (ja) 移動通信方法、リレーノード及び無線基地局
KR101365651B1 (ko) 이동통신방법, 무선기지국 및 릴레이 노드
KR2012007111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단말의 통신을 위한 단말의 중계 방법
JP2011066943A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