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114B1 -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114B1
KR101371114B1 KR1020120051205A KR20120051205A KR101371114B1 KR 101371114 B1 KR101371114 B1 KR 101371114B1 KR 1020120051205 A KR1020120051205 A KR 1020120051205A KR 20120051205 A KR20120051205 A KR 20120051205A KR 101371114 B1 KR101371114 B1 KR 10137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outgoing
smartphone
call connec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576A (ko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주)올넷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넷시스 filed Critical (주)올넷시스
Priority to KR102012005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1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은,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제2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METHOD FOR PROVIDING CALL CONNECTION IN SMARTPHONE AND CALL CONNECTION SERVER}
본 발명은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현위치가 무선 인터넷 가능지역이든 불가능지역이든 상관없이,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한 후 착신전화번호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한 후, 전화연결서버로부터 착신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멘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전화번호를 전화연결서버에 전송한다.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요청정보를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통신망은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 착신단말기로 호를 전송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 호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한다.
그런데, 종래 통화 호 연결방법은 사람이 직접 손으로 서버접속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거나 시간이 오래 결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해외로밍의 경우 착신단말기와 전화연결하지 않았음에도 비용이 지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스마트폰에서 전화연결서버를 이용하여 호 연결하는 방법은 도 1 과 같다. 발신 단말기(110)(예, 스마트폰)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버접속번호가 저장된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111). 발신 단말기(110)에서 구동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와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한다(S112). 발신 단말기(110)에서 구동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은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서버접속번호를 발신 교환기(115)로 전송한다(S113). 발신 교환기(115)는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120)에 접속한 후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전화연결서버(120)로 전송한다. 전화연결서버(120)는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요청정보를 착신 교환기(125)로 전송한다(S114). 착신 교환기(125)는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 착신단말기로 호를 전송(S115)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 호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한다(S116).
도 1 에 따른 종래 스마트폰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할 확률은 줄어드나, 스마트폰에서 발신 교환기(115)로 착신전화번호를 보내는 시간이 길어서(대략 8초∼10초 정도)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해외로밍의 경우 착신단말기와 전화연결하지 않았음에도 착신전화번호를 보내는 시간만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정보를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고, 전화연결서버가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서 발신 단말기와 착신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709호, 이하 선행기술). 선행기술은 발신 단말기가 반드시 패킷망을 사용할 수 있는 WiFi, Wibro, 3G 네트워크가 가능한 무선 인터넷 지역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와이파이(Wi-Fi)망을 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십여 미터에 불과하여 와이파이망을 벗어나면 통화가 끊어지며 또한 인터넷 환경이 저하되기 때문에 선행기술은 전화연결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709호 (등록일 2011.1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현위치가 무선 인터넷 가능지역이든 불가능지역이든 상관없이,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한 후 착신전화번호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화연결서버와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은, 제1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전화번호 또는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전화연결서버를 통해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전화연결서버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은,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와,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제2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전화연결서버를 통해 착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이 되면 전화연결서버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한 번이라도 통화가 되었던 착신전화번호 모두를 발신 교환기로 보내지 않고 최대 3자리의 단축번호를 발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단축하고, 통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현위치가 무선 인터넷 가능지역이든 불가능지역이든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도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하여 호 연결이 가능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발신 단말기와 전화연결서버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 호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체 호 연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 스마트폰(211, 212)과 네트워크(220)와 전화연결서버(230)와 착신단말기(24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발신 스마트폰(211, 212)은 음성,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예: CDMA, 셀룰라, GSM, W-CDMA)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모듈(예: WiFi, Wibro, 3G 네트워크)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발신 스마트폰(211, 212)은 현위치가 무선 인터넷 가능지역이든 불가능지역이든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도 네트워크(220)를 통해 전화연결서버(230)에 접속하여 호 연결이 가능하다. 발신 스마트폰(211, 212)은 전화연결서버(230)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발신 스마트폰(211, 212)은 제1 서버접속번호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며, 발신 교환기는 제1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230)에 접속한다. 착신단말기(240)는 일반 유선 전화기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된다. 제1 서버접속번호는 발신 스마트폰(211, 212)에 탑재된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에서 처음으로 전화를 거는 착신전화번호인 경우 전화연결서버(230)에 접속하기 위해 발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서버접속번호이다.
네트워크(220)는 CDMA, 셀룰라, GSM, W-CDMA,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방식을 포함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도록 포괄적으로 해석돼야 한다.
전화연결서버(230)는 회선망(circuit network) 및 패킷망(packet network)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발신 스마트폰(211, 212)과의 발신지 회선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회선망 및 패킷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착신단말기(240)와의 착신지 회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화연결서버(230)는 발신 스마트폰(211, 212)과의 발신지 회선 및 착신단말기(240)와의 착신지 회선을 선택하여 발신 호 및 착신 호를 생성한다.
전화연결서버(230)는 통화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패킷망을 통해 발신 스마트폰(211, 212)으로 전송한다.
일례로, 전화연결서버(230)에서 생성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는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로 구현될 수 있다. 표 1 은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른 제2 서버접속번호를 도시한다.
단축번호의 자리수 제2 서버접속번호
1자리 (예: 1∼9) 013 0000 001
2자리 (예: 10∼99) 013 0000 002
3자리 (예: 100∼999) 013 0000 003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축번호가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인 경우 제2 서버접속번호는 013 0000 001이고, 단축번호가 10 내지 99 중의 어느 하나인 경우 제2 서버접속번호는 013 0000 002이고, 단축번호가 100 내지 999 중의 어느 하나인 경우 제2 서버접속번호는 013 0000 003이다.
다른 예로, 전화연결서버(230)에서 생성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는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단축번호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 2 는 개별서버접속번호와 단축번호를 도시한다.
단축번호 개별서버접속번호
1 011 0000 001
2 011 0000 002
3 011 0000 003
4 011 0000 004
5 011 0000 005
6 011 0000 006
7 011 0000 007
8 011 0000 008
9 011 0000 009
10 011 0000 010
11 011 0000 011
12 011 0000 012
13 011 0000 013
14 011 0000 014
15 011 0000 015
....... .......
999 011 0000 999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연결서버(230)는 개별서버접속번호를 총 999개까지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단축번호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의 끝자리 3자리 번호이다.
종래 2G 휴대폰이나 유선 전화기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단말기에 착신전화번호와 함께 단축번호를 입력받아 단축번호정보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단축번호와 함께 '#' 이나 '*' 를 누르면 종래 2G 휴대폰이나 유선 전화기는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착신전화번호를 발신한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일종인 아이폰에서는 단축번호와 함께 '#' 이나 '*' 키 입력이 안 된다. 이에 스마트폰에 탑재된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가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고, 검색결과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제2 서버접속번호가 있다면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에서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한다.
도 3a,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먼저, 도 3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301).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전화번호 또는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를 수신한다(S302).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S303).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전화연결서버를 통해 착신단말기와 통화 연결이 되었다면 전화연결서버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3의 검색결과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전화연결서버를 통해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3의 검색결과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무선 인터넷 가능한지를 판단하여(S304) 무선 인터넷이 불가능하면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305).
발신 교환기는 제1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한 후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한다.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요청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는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 착신단말기로 호를 전송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 호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한다(S306).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4에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면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308).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8 이후에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전화연결서버로부터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309).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8에서 전화연결서버로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정보를 전송한 후, 전화연결서버가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서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를 연결할 수 있다(S31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전화연결서버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11).
일례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1과 같이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2와 같이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단축번호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3b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303의 검색결과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를 표시한다(S401).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통화 키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통화요청신호를 수신하면(S402) 현재 무선 인터넷 가능한지를 판단하여(S403) 무선 인터넷이 불가능하면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발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404).
발신 교환기는 제2 서버접속번호를 이용해 전화연결서버에 접속한 후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한다.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발신전화번호와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요청정보를 착신 교환기로 전송한다. 착신 교환기는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 착신단말기로 호를 전송하여 착신단말기로부터 착신 호가 입력되면 발신 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한다(S405).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403에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면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한다(S406).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406 이후에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전화연결서버로부터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수신한다(S407).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단계 S406에서 전화연결서버로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포함하는 패킷정보를 전송한 후, 전화연결서버가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해서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를 연결할 수 있다(S408).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한다(S501).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502).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503, S504). 단계 S501 내지 S504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발신 스마트폰에서 착신단말기 간에 처음으로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505). 일례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1과 같이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2와 같이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단축번호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506). 단계 S505 내지 S506은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발신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에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 후 전화연결서버에서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회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한다(S507).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S508), 발신전화번호와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509).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S510), 발신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511).
단계 S507 내지 S51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은 한 번이라도 통화가 되었던 착신전화번호 모두를 발신 교환기로 보내지 않고 최대 3자리의 단축번호를 발신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단축해 준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패킷망을 통해, 발신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한다(S601).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602).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603).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604). 단계 S601 내지 S604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9709호에 기재된 호 연결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605). 일례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1과 같이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서버접속번호는 표 2와 같이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단축번호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606).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패킷망을 통해, 발신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한다(S607).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S608),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609).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한다(S610).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연결서버는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발신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S611).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화연결서버와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전화연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전화번호 또는 상기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상기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상기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전화연결서버를 통해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제1 서버접속번호를 상기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연결서버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와 상기 제1 서버접속번호를 상기 전화연결서버로 전송하여 착신단말기와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가:
    상기 전화연결서버로부터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접속번호가,
    상기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접속번호가,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상기 단축번호가 상기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5.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접속번호가,
    상기 단축번호의 자리수에 따라 다른 서버접속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접속번호가,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별서버접속번호이고,
    상기 단축번호가 상기 개별서버접속번호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0.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3.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발신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상기 검색된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과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이:
    상기 회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 호 연결 요청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 또는 유선통신 교환기로부터 착신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착신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발신전화번호와 착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와 제2 서버접속번호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연결 단축번호정보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KR1020120051205A 2012-05-15 2012-05-15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KR10137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05A KR101371114B1 (ko) 2012-05-15 2012-05-15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05A KR101371114B1 (ko) 2012-05-15 2012-05-15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76A KR20130127576A (ko) 2013-11-25
KR101371114B1 true KR101371114B1 (ko) 2014-03-07

Family

ID=4985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205A KR101371114B1 (ko) 2012-05-15 2012-05-15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1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54B1 (ko) 2010-12-17 2011-05-12 주식회사 솔라시아 선불카드 vm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통화 시스템 및 선불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9709B1 (ko) 2011-03-31 2011-12-07 박명흠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54B1 (ko) 2010-12-17 2011-05-12 주식회사 솔라시아 선불카드 vm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선불통화 시스템 및 선불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9709B1 (ko) 2011-03-31 2011-12-07 박명흠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76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054B1 (ko) 무선 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방법
CN106465072B (zh) 一种呼叫转移的方法和终端
CN103179529A (zh) 移动终端共享服务的实现方法和系统
JP4499166B2 (ja) 加入者識別符号通知装置
JP542402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主携帯通信端末、副携帯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方法
US20110294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push-to-talk calls
KR101371114B1 (ko) 패킷망 또는 회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전화연결서버에서 실행되는 호 연결 방법
TWI542186B (zh) 可攜式語音路由裝置、系統與電話語音通訊的方法
CN101222245A (zh) 利用蓝牙终端实现呼叫转移业务处理的方法及蓝牙系统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2012012198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특정정보 선택전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205789A (zh) 通信系统
US9729721B2 (en) Mobile device synchronization to a gateway
JP5233484B2 (ja) 端末、サーバ、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JP200534096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KR101016644B1 (ko) 통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473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41148A (ja) 交換機、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方法
JP5637553B2 (ja) 小型基地局および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20060026586A (ko) 발신 번호에 따른 착신 핸드셋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462043B1 (ko) 사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내선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장치
TWI586141B (zh) 虛擬整合手機系統與方法
JP5576661B2 (ja) 通信網、通信網に使用する移動端末機、通信網に使用するサービス制御ポイント、通信網に使用する基地局
KR20110096753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핫넘버의 접속 목록 제공 위한 통신 단말 및 핫넘버 관리 장치
JP2013201738A (ja) 発信者番号通知装置、発信者番号通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