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080B1 - 중량체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체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080B1
KR101370080B1 KR1020130036118A KR20130036118A KR101370080B1 KR 101370080 B1 KR101370080 B1 KR 101370080B1 KR 1020130036118 A KR1020130036118 A KR 1020130036118A KR 20130036118 A KR20130036118 A KR 20130036118A KR 101370080 B1 KR101370080 B1 KR 10137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ain frame
clamp
coupl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6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gas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중량체 추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중량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풀링(pulling) 기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잡아 당겨진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는 제1 클램프(clamp)와; 상기 중량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체 추출 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weight}
본 발명은 중량체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Offshore)에서 가스 터빈 제너레이터(Gas Turbine Generator)의 AC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로터(rotor)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AC 제너레이터 전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점점 전환되는 추세이나 현재까지는 AC 제너레이터의 크기 및 고중량의 어려움 때문에 로터만을 제거하는 방식이 많이 적용되는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해양 구조물 프로젝트별 특성에 따라 로터를 교체하는 방식이 쉽게 적용되기 곤란한 경우도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협소한 공간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선박(vessel)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가스 터빈 제너레이터 패키지를 최대한 선박의 중앙에 배치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황은 필연적으로 로터의 교체의 어려움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AG 제너레이터의 로터의 중량만도 약 25 ton이상으로 매우 무거우며 그 크기도 직경 2 내지 3m, 길이 4m 이상으로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제한된 공간 내에서 로터 교체를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Interference) 등이 발생하여 교체 작업시 매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안전(safety)이 매우 중요시 되는 해양 구조물 사업의 경우, 이러한 로터 교체 방식은 운영사(Operation Company) 사용자들에게 큰 어려움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인 교체방법으로서, AC 제너레이터 업체에서는 메인 페데스털 크레인(Main Pedestal Crane)을 이용하여 로터를 교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해양 구조물 프로젝트에서 큰 제약 사항을 가지게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제약 사항은 결국 메인 페데스털 크레인의 억세스(access)가 가능한 영역 내에 반드시 가스 터빈 제너레이터가 설치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선박의 상부 설비(Topside) 설계에 있어서 배치의 문제로 대두되게 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37507호에는 하우징 어셈블리와, 하우징·어셈블리에 고정된 스테이터 어셈블리와, 하우징 어셈블리에 지지되고,내측 클리어런스를 갖는 복수의 메인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어셈블리와, 베어링 어셈블리 안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하우징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샤프트와,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내측에서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상에 장착된 로터 어셈블리와, 베어링·어셈블리 부근에 장착된 베어링 고장 검출기를 구비하는 발전기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평5-46988호에는 편침 실린더의 하부의 지지체에 외통체를 설치하고,이 외통체의 외주에 유체의 흡출관을 부설하고,상기 외통체내에 네트 파이프를 상기 편침 실린더와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한 편성품 인출 장치에 있어서,네트 파이프 안에 축방향으로 적어도 1 이상의 돌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편성품 인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특개평9-37507호 특허문헌 2 : 일본공개실용신안 실개평5-46988호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에서 중량체를 추출할 수 있는 중량체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중량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풀링(pulling) 기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잡아 당겨진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는 제1 클램프(clamp)와; 상기 중량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중량체는 선박의 프로세스 데크 상에 설치되는 AC 제너레이터(generator)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로터(r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이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기 프로세스 데크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프로세스 데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리프터(lif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링 기구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의 일단부를 상기 풀링 기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풀링 기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는 잡아 당겨질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터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링 기구가 상기 로터의 일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풀링 기구는 상기 로터의 위치에 상응하여 그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로터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여 그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로터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클램프의 후단에 결합되며, 잡아 당겨진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추출되도록 하는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가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클램프가 상기 로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로세스 데크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캐터필러(caterpillar) 방식의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C 제너레이터의 로터의 길이보다 작은 협소한 유지 보수 공간 내에서 가스 터빈 제너레이터의 로터를 추출해 낼 수 있으며, 크레인이나 모노레일(monorail) 등의 핸들링 장비(Handling Equipment)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형으로 AC 제너레이터의 로터를 추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로터(10), 제너레이터(20), 프로세스 데크(30), 메인 프레임(100), 리프터(110), 풀링 기구(120), 제1 클램프(130), 제2 클램프(140), 캐터필러(150), 고정 기구(160), 지지봉(17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협소한 공간에서 중량체를 교체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중량체는 밖으로 추출되어 교체되는 대상물일 수 있으며, 선박에 설치되는 AC 제너레이터의 경우를 예로 들면, AC 제너레이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체 대상 로터가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중량체가 선박의 프로세스 데크 상에 설치되는 AC 제너레이터의 내부에 수용된 교체 대상 로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는, 메인 프레임(100), 서포터, 풀링 기구(120), 제1 클램프(130)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추출 장치의 몸체(body)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길이 방향(도 1의 'y'축 참조)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캐터필러(150) 구동 바퀴, 리프터(110), 고정 기구(160), 클램프 등이 장착될 수 있도록 기본 골격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터는 메인 프레임(100)을 지지하여 로터(10)를 추출하는 동안 메인 프레임(100)이 움직이지 않고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프레임(100)의 전, 후단에 구비된 리프터(11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프터(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높이 조절 기능이 있어서, 고하중의 물체를 들어올릴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로터(10)를 추출하여 적재하는 과정에서 장치 전체를 들어올려 구동부가 프로세스 데크(30)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1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 실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의 이동을 위한 휠(구동부)의 측면에 부착되어 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풀링 기구(120)는 로터(10)를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겨 추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처럼, 풀링 기구(120)를 사용하여 로터(10)와 같이 하중이 큰 중량체를 잡아 당기면, 그 과정에서 중량체의 하중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메인 프레임(100)이 넘어지는, 즉 전도(顚倒)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에는 메인 프레임(100)을 프로세스 데크(30)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로터(10)의 추출시에 무게 중심이 선단에 존재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100) 전체가 전복될 우려가 있는데, 전복의 방지를 위하여 장비의 후단 측면에 프로세스 데크(30)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160)는 고정판 외에도 X, Y 스테이지와 클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장비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풀링 기구(120)는 로터(10)를 잡아 당겨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풀링 기구(120)를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할 경우, 로터(10)의 일단부를 풀링 기구(120)에 결합한 상태에서 풀링 기구(12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터(10)가 잡아 당겨져 추출될 수 있다.
로터(10)의 일단부를 풀링 기구(120)에 결합하여 잡아 당길 경우, 로터(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로터(10)의 타단부에는 지지봉(170)을 결합할 수 있다.
지지봉(170)은 로터(1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그 하단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바퀴(휠)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의 일단부는 풀링 기구(120)가 결합되고, 로터(10)의 타단에는 지지봉(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로터(10)는 풀링 기구(120)의 인장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잡아 당겨질 수 있다.
풀링 기구(120)는 로터(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로터(10)를 잡아 당기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풀링 기구(120)는 그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함으로써, 로터(10)의 위치에 맞춰 풀링 기구(120)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여 풀링 기구(120)가 로터(10)에 제대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풀링 기구(12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x' 방향으로 자유단으로 움직일 수 있고, 'z' 방향으로 상승, 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풀링 기구(120)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직선 이동 가이드, 볼나사, 모터 등의 이동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결합 관계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풀링 기구(120)가 로터(10)를 추출하는 구조로는, 예를 들어 풀링 기구(120)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신축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막대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그 단부에 로터(10)를 결합하고 막대를 수축시킴으로써 로터(10)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풀링 기구(120)는 초기에 AC 제너레이터(20)에서 로터(10)를 빼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로터(10)의 위치에 맞춰 풀링 기구(120)의 높이를 조절(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은, 초기에 로터(10)를 AC 제너레이터(20)에서 빼내는 과정에서 로터(10)를 살짝 들어주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제1 클램프(130)는 풀링 기구(120)에 의해 로터(10)가 잡아 당겨지면 로터(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로터(10)를 지지한 상태로 로터(10)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되는 구조로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풀링 기구(120)가 로터(10)를 어느 정도 잡아 당겨 빼내면 제1 클램프(130)가 로터(10)를 지지하게 되며, 제1 클램프(130)는 로터(10)를 지지한 상태로 풀링 기구(120)의 인장력에 의해 로터(1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클램프(130)는 로터(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로터(10)의 크기 및 형상에 맞춰 그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로터(10)의 직경 변화에 따라 로터(10)의 지지점이 변동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제1 클램프(130)는 x, y, z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터(10)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로터(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x, y, z 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클램프(130)가 로터(10)에 접하는 부분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로터(10)를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30)가 로터(10)의 전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풀링 기구(120)가 로터(10)를 더 빼내면 로터(10)의 후단을 더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클램프(140)가 추가될 수 있다.
제2 클램프(140) 또한 제1 클램프(130)와 마찬가지로, 로터(10)의 직경 변화에 따라 로터(10)의 지지점이 변동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해 x, y, z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터(10)를 지지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로터(1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x, y, z 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클램프(140)가 로터(10)에 접하는 부분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로터(10)를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클램프(140)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함으로써, 로터(10)를 지지한 상태로 제2 클램프(14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터(10)가 추출되도록, 즉 풀링 기구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풀링 기구(120)의 자체 두께로 인하여 풀링 기구(120)의 작동만으로는 로터(10)가 완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클램프(140)를 작동시켜 로터(10)의 추출이 마무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클램프(140)가 로터(10)를 지지한 상태로 제2 클램프(14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터(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로터(10)의 이동 후, 제1 클램프(130)로 로터(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제2 클램프(140)는 로터(10)로부터 이격 및 후방으로 이동시켜 로터(10)의 후방을 다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제1, 제2 클램프(140)는 마치 자벌레가 기어가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로터(10)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이처럼, 2개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로터(10)를 선택적으로 지지 및 이동시키는 방식(자벌레 방식)으로 로터(10)를 추출함으로써, 과도한 중량을 가지는 로터(10)의 추출 과정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동부는 로터(10)를 추출하여 적재한 상태에서 장치 전체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 바퀴와 구동 바퀴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 및 감속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AC 제너레이터(20)는 선박의 프로세스 데크(3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 장치는 그레이팅(grating) 구조의 데크(3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에는 구동 바퀴로서 캐터필러(150) 방식의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캐터필러(150) 방식의 휠은 그레이팅 구조의 데크(30) 상에서 과도한 하중(로터)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AC 제너레이터의 로터를 추출하는 과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감속기와 AC 제너레이터(20)의 로터(10)를 분리시키고 로터(10)의 타단(감속기 방향)에 추가 지지봉(170)을 설치한다. 추가 지지봉(170)의 하단에는 전술한 것처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동휠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로터(10)의 일단(감속기 반대방향)에 연장축을 설치한다. 연장축은 로터(10)를 초기에 AC 제너레이터(20)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로터(10)의 일단에 연결하는 더미 부재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 장치를 AC 제너레이터(20) 후단 로터(10)의 일단에 위치시킨다.
장치 전체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고정 기구(160)를 이용하여 장치를 프로세스 데크(30)에 고정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연장축의 끝단을 풀링 기구(120)에 취부한다. 예를 들어, 연장축의 끝단에 홈가공이 되어 있고 풀링 기구(120)의 로터 클램프 부분에 삽입축이 구비되어 있으면, 삽입축을 홈에 일치시킨 후 연장축이 풀링 기구(120)에 취부될 수 있다.
풀링 기구(120)에는 X, Y 스테이지(Stage)가 배치되어 있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풀링 기구(120)와 연장축 간에 동심축을 세팅할 수 있다.
세팅시에는 X, Y 스테이지가 프리(free) 상태에 있다가 정렬(align)을 맞춘 이후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풀링 기구(120)를 약간 상승시켜 로터(10)를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풀링 기구(12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로터(10)가 AC 제너레이터(20)로부터 빠져 나오기 시작한다.
일정량만큼 로터(10)가 추출되면 제1 클램프(130)를 이용하여 로터(1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1 클램프(130)의 경우도 풀링 기구(120)와 마찬가지로 X, Y, Z 스테이지가 배치되어 있어 로터(10)의 직경(형상)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클램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클램프(130)는 y방향으로 구속이 없는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로터(10)를 지지한 상태에서 로터(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시 일정량만큼 로터(10)가 추출되면 제2 클램프(140)를 이용하여 로터(10)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클램프(140)의 경우도 제1 클램프(130)와 마찬가지로 X, Y, Z 스테이지가 배치되어 있어 로터(10)의 직경(형상)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클램프가 조절 되도록 할 수 있다.
일정량만큼 로터(10)가 추출되면 장치의 길이 특성상 더 이상의 추출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로터(10)의 끝에 연결된 연장축을 제거한다.
연장축을 제거한 이후에 로터(10)의 일단부를 풀링 기구(120)에 고정하여 다시 로터(10)의 추출을 시작한다.
연장축을 제거한 이후에는 추력이 부족하여 더 이상의 추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클램프(140)를 이용하여 로터(10)를 더 추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처럼 이른바 '자벌레 방식'으로 선택적 클링핑을 반복하여 로터(10)의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추출할 수 있다.
로터(10)의 전체적인 추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 제2 클램프(140)를 제위치에 고정시켜 로터(10)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클램프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술한 프로세스 데크 고정 기구(160)를 해제하고, 구동부를 작동시켜 장치 전체(및 적재된 로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로터 20 : 제너레이터
30 : 프로세스 데크 100 : 메인 프레임
110 : 리프터 120 : 풀링 기구
130 : 제1 클램프 140 : 제2 클램프
150 : 캐터필러 160 : 고정 기구
170 : 지지봉

Claims (11)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과;
    상기 메인 프레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터(supporter)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중량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풀링(pulling) 기구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잡아 당겨진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는 제1 클램프(clamp)와;
    상기 중량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선박의 프로세스 데크 상에 설치되는 제너레이터(generator)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로터(rotor)를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를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이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기 프로세스 데크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프로세스 데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리프터(lifter)를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기구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의 일단부를 상기 풀링 기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풀링 기구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는 잡아 당겨지는 중량체 추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터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기구가 상기 로터의 일단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풀링 기구는 상기 로터의 위치에 상응하여 그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중량체 추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로터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여 그 위치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로터의 이동에 상응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중량체 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기 제1 클램프의 후단에 결합되며, 잡아 당겨진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추출되도록 하는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가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로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클램프가 상기 로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길이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로터가 추출되는 중량체 추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로세스 데크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캐터필러(caterpillar) 방식의 휠을 포함하는 중량체 추출 장치.
KR1020130036118A 2013-04-03 2013-04-03 중량체 추출 장치 KR10137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118A KR101370080B1 (ko) 2013-04-03 2013-04-03 중량체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118A KR101370080B1 (ko) 2013-04-03 2013-04-03 중량체 추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080B1 true KR101370080B1 (ko) 2014-03-07

Family

ID=5064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118A KR101370080B1 (ko) 2013-04-03 2013-04-03 중량체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3096A (zh) * 2021-06-11 2021-09-28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13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포스코 다용도 운반 대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13A (ko) *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포스코 다용도 운반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3096A (zh) * 2021-06-11 2021-09-28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CN113443096B (zh) * 2021-06-11 2022-07-01 蓬莱中柏京鲁船业有限公司 一种浮船坞维护用船体支撑装置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9843A3 (en) Operator protective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1370080B1 (ko) 중량체 추출 장치
CN106724325A (zh) 方便移动的沙发
CN106271692B (zh) 用于对工件连续打孔的装置
CN106194221A (zh) 掘进机、用于掘进机的隧道管片调整装置及其控制方法
FR2603782A1 (fr) Plateau tournant avec dispositif d'extraction
JP5729909B2 (ja) ポンプの内部部材抜き出し/組み込み装置及び方法
JP2017052223A (ja) ワイヤーソー装置
KR20160142584A (ko) 카운터웨이트 장착 장치
JP5320858B2 (ja) エレベータ用吊り車装置
CN110932496B (zh) 一种大电机转子装配工装及其使用方法
JP6149903B2 (ja) 伸縮ビ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レーン
CN107842670B (zh) 一种新颖型电脑主机箱托座
JP6953091B2 (ja) エンジン発電機
KR101844286B1 (ko) 열교환기 번들 교환 장치 및 방법
CN207256116U (zh) 一种经编机驱轴箱的拆卸安装辅助工具
JP2006159374A (ja) リニアガイド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及びリニアガイド交換方法
CN107443297A (zh) 一种大型轴类零件装配工具
CN207386634U (zh) 一种网架连接钢球多方位钻孔装置
CN109629426B (zh) 一种桥梁施工用侧面打孔设备
CN204893860U (zh) 汽车柱管总成用卡簧装置
CN105129634B (zh) 用于屋面起重机的行走机构和起重机
CN208409080U (zh) 双模式轮销拆卸机
CN203402866U (zh) 用于臂架防后倾的装置及起重设备
EP3272948A1 (en) Support shaft member mounting/dismounting structure for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