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936B1 -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936B1
KR101369936B1 KR1020110144496A KR20110144496A KR101369936B1 KR 101369936 B1 KR101369936 B1 KR 101369936B1 KR 1020110144496 A KR1020110144496 A KR 1020110144496A KR 20110144496 A KR20110144496 A KR 20110144496A KR 101369936 B1 KR101369936 B1 KR 10136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pus nephrit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glomerulonephritis
thalidomid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075A (ko
Inventor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936B1/ko
Priority to PCT/KR2012/011627 priority patent/WO2013100657A1/ko
Publication of KR2013007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면 루프스 신염 동물모델에서 단백뇨의 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루프스 신염을 치료 및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upus nephritis comprising thalidomide}
본 발명은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은 속칭 '루푸스'로 불리는 복합적인 임상증상을 갖는 만성의 자가면역성 염증성 질환으로, 이는 과활성(hyper-activated) B와 T 세포들의 지나친 항체 생산으로 인한 병원성 자기항체와 면역복합체로 야기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루푸스 신염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들에게서 신장 기능의 저하로 발생되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는 환자의 이환률과 사망률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만 아니라, 신장 장애를 유도하게 된다(Agrawal et al., 2006). 루푸스 신염의 질병 발현에 많은 다른 면역적, 비면역적 요인들이 기여하기는 하지만, 핵(nucleal)과 내인성 항원(endogenous antigens)에 대항하는 자가항체의 생산과 사구체 면역 침착(glomerular immune deposits)의 형성이 루푸스 신염 발병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Deocharan et al. 2002; Lefkowith and Gilkeson, 1996). 많은 연구에서 항-DNA(anti-DNA) 항체들은 중요한 진단 마커이면서 세포 표면 항원(cell surface antigens)을 결합하거나, 직접적으로 서로 교차하는 항원(cross-reactive antigen(s)) 또는 신장에서 염증성 공정을 시작하는 염색질(chromatin material)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구체의 기초 멤브레인 성분을 결합하는 능력이 루푸스 신염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Yung and Chan, 2008). 더군다나, 신장 세포들과 침윤성 면역 세포들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s)과 생화학물질(chemoattractants)은 면역복합매개성 신장손상(immune complex mediated renal imjury)을 악화시킨다(Aringer and Smolen, 2005; Kulkarni and Anders, 2008). 현재 루푸스 치료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그리고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과 같은 면역 억제제에 집중되고 있다(Waldman and Appel, 2006). 그러나 이러한 약들은 전염병과 암에 걸리기 쉽게 하는 위험한 부작용을 동반한다(Radis et al., 1995). 이로 인하여 면역 복합 형성과 침착을 조절하기 위한 독성이 적은 약들뿐만 아니라 염증성 반응에 직접적으로 대항하는 분자들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탈리도마이드는 자가조직의 장기이식 또는 유지요법에 앞서서 유도 요법으로서, 덱사메타손 또는 다른 세포독성약물과 함께 다발성 골수종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탈리도마이드는 다발성 골수종 세포에서 면역-조절, 항-신생혈관형성, 항-염증, 항-급증 효과, 세포 사멸 유도, 약물 저항성 감소와 같은 다양한 항-골수종 특징을 나타내고, 사이토카인, 세포부착 단백질 및 신생혈관형성의 발현을 변경시키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탈리도마이드는 골수종 세포에서 NF-κB의 활성을 조절하여, anti-apoptotic 단백질의 감소조절과 pro-apoptotic 조절자의 증가조절을 나타낸다. 최근, NF-κB은 루프스 마우스에서 혈관간막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주요인자임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리도마이드의 기능 메카니즘과 다발성 골수종에서의 치료 효과를 고려할 때, 탈리도마이드가 루프스 신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탈리도마이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루프스 신염 동물 모델에 함께 투여한 경우 루프스 신염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에서,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ⅱ)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및 덱사메타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단백뇨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현탁액,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주사제, 연고제 또는 캡슐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제, 정제, 과립제, 분말제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식품(neutraceutical)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 당 0.001-100 mg/kg(체중), 0.01-80 mg/kg(체중), 0.1-60 mg/kg(체중)일 수 있다.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및 건강식품상의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이고,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면 루프스 신염 동물모델에서 단백뇨의 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루프스 신염을 치료 및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탈리도마이드의 처리 그룹에 따른 단백뇨의 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탈리도마이드의 처리 그룹에 따른 조직학적 손상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탈리도마이드의 처리 그룹에 따른 면역 복합체 디포지션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탈리도마이드의 처리 그룹에 따른 anti-ds DNA와 IgG의 혈청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 모델 및 시험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모든 동물 모델은 연세대학교의 동물 사용 및 취급에 관한 규정에 따라서 사용하였다. 18주 된 43 마리의 암컷 NZB/WF1 마우스를 구입하여 살균 조건의 특정 무균 사육 시설에서 사육하였다. 1차 실험에 따르면,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의 25-30%는 실험기간 동안 사망하였고, 미처리 그룹 중 8마리의 마우스와 각 처리 그룹(그룹1: 미처리, 그룹2:1.7 mg/kg 탈리도마이드 처리, 그룹3: 5 mg/kg 탈리도마이드 처리, 그룹4: 10 mg/kg 탈리도마이드 처리, 그룹5: 1.7 mg/kg 탈리도마이드 및 PL 처리, 그룹 6: 5 mg/kg 탈리도마이드 및 PL 처리, 그룹7: 10 mg/kg 탈리도마이드 및 PL 처리, 그룹8: MMF 및 PL 처리) 중 5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탈리도마이드, MMF 및 PL의 처리는 24주째부터 시작하여, 31주가 될 때까지 탈리도마이드, MMF 및 PL을 하루에 3알씩 투여하였다.
단백뇨의 측정
단백뇨는 알부민 시약 스트립(URiSCA; 영동제약,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각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시점뇨(spot urine)에서 실험기간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측정하였다. 단백뇨는 반정량법적으로 표현하였다: 0 = 없음 또는 미량, 1+ = 100 mg/dL 이하, 2+ = 300 mg/dL 이하, 3+ = 2,000 mg/dL 이하, and 4+ = 2,000 mg/dL 이상.
병리조직학적 검사
31주 된 마우스로부터 신장 표본을 획득하고, 완충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기체 질소에 저장하였다. 포르말린으로 응고된 신장 표본을 파라핀에 넣은 후, 4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섹션하였다. 그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periodic-acid Schiff (PAS)으로 염색하였다. 사구체 손상, 관 손상 및 혈관 손상을 포함하는 마우스의 신장 조직학적 변형 점수는 두 명의 병리학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four-point scale로 반정량법적으로 수행되었고, 평균 점수를 계산하여 0=변화없음(no change), 1=다소 변함(mild change), 2=변화 있음(moderate changes), 3=현저히 변함을 나타낸다. 마우스 한 마리 당 적어도 30 사구체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신장의 면역형광법 염색
모든 마우스는 OCT 조성물에 넣어 영하 20℃에서 동결시켰다. 샘플은 4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섹션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 속에 15분간 고정시키고, 차가운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3번 세척하였다. 비특이적인 결합은 PBST(phosphate buffer saline tween)의 1% 표준 신양 혈청에 의해 30분 동안 블럭되고, 샘플은 goat anti-mouse IgG(1:100, Sigma-aldrich, St. Luis, MO) 및 rabbit anti-mouse C3 (1:100; Abcam, Cambridge, MA)로 상온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고 그 다음, PBS로 세 번 세척하였다. 2차 항체는 alexa flour 488 donkey anti-goat IgG 및 alexa flour 568 donkey anti-rabbit IgG (both 1:100, Molecular probe, Invitrogen, Carlsbad, CA)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PBS로 세번 세척하고 봉입제(Vector laboratories, Southfield, MI)로 설치한 후, 레이저현미경(LSM 710 confocal microscope, Carl Zeiss AG,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anti - ds DNA IgG 의 혈청 농도 측정
실험 동물로부터 혈액 샘플을 얻어 혈청을 분리하고 영하 80℃에 저장하였다. 마우스 anti-ds DNA IgG 농도는 제조사(Alpha diagnostic international, San Antonio, TX)의 설명에 따라 샌드위치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IgG1, IgG2a, IgG2b 및 IgG3는 Milliplex MAP 마우스 면역글로불린 아이소타입 키트 (Millipore, Billerica, MA)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모든 통계분석은 윈도우 버전 15 (SPSS Inc., Chicago, IL)의 SPSS 패키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대표값은 각 그룹의 각 마우스로부터 얻은 값의 평균수치이고, 처리 그룹의 모든 값은 미처리 그룹의 값과 비교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되었다. 생존률에 대한 Kaplan-Meier plot은 log-rank tes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의 단백뇨, 조직학적 손상정도 및 항체의 혈청 농도의 양을 통계학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Mann-Whitney U test에 의해 평가되었다. 미처리 그룹과 각 처리 그룹 간의 값을 비교할 때,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P-value < 0.05) 각 처리 그룹의 평균값에 별표를 표시하였다.
NZB / WF1 마우스의 단백뇨 측정
탈리도마이드, PL과 탈리도마이드의 혼합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고, 그 효과를 일반적인 유도 요법(induction therapy)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루프스 신염 마우스의 단백뇨 양을 측정하고 생존률을 분석하였다. 24주 된 마우스로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대부분의 마우스는 평균적으로 2 내지 2.2 범위의 단백뇨 수치를 나타내었다. 탈리도마이드를 미처리한 마우스와 1.7 mg/kg의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한 마우스에서, 단백뇨는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31주째 미처리 마우스는 3.1, 탈리도마이드를 1.7 mg/kg 처리한 마우스는 2.6에 달하였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 처리된 마우스와 1.7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이 처리된 마우스는 시작점의 단백뇨 양에 비하여 31주째 단백뇨가 약간 감소한 반면, 5 mg/kg의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단백뇨 양이 거의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미처리 마우스와 비교하여 31주째에 단백뇨의 양이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각각 67%, 99% 및 62% 감소하였음). 특히,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 비하여 큰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A). 미처리 그룹에서 2 마리의 마우스, 1.7 mg/kg의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한 그룹에서 1 마리의 마우스가 실험 도중에 사망하였으나, 다른 그룹에서는 모든 마우스가 실험 동안 생존하였다(도 1B). 이로부터, 탈리도마이드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그룹보다 5 또는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함께 처리한 그룹의 경우, 루프스 신염 마우스에서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사람에게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량에서 탈리도마이드와 PL을 함께 투여하면 그 치료효과는 일반적인 유도 요법보다 더 우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NZB / WF1 마우스 신장의 조직학적 손상 정도 확인
루프스 신염 마우스에서 신장의 조직학적 변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구체(glomerular), 관(tubular) 및 혈관(vascular) 손상과 같은 3가지 카테고리의 손상 스코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처리 마우스에서는 증가한 사구체의 세포 증식이 관측된 반면,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세포 증식, 일반적인 구조가 관측되었다(도 2A). 조직학적 평가 결과에 따르면,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사구체 손상 정도가 각각 62%, 85% 및 81%로 상당히 감소하였고, 관 손상 정도는 각각 67%, 72% 및 72%로 감소하였다. 사구체 손상 정도에 있어서,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는 MMF 및 PL을 처리한 마우스에 비하여 낮은 손상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1.7%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감소된 사구체 손상, 관 손상을 나타내었고,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탈리도마이드 및 PL을 함께 처리한 마우스 그룹과 비슷한 정도의 감소된 관 손상 정도를 나타내었다(도 2B). 그러나, 혈관 손상 정도는 모든 실험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장에서 면역 복합체의 디포지션
면역 복합체 디포지션(immune complex depositoin)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NZB/WF1 마우스로부터 얻은 신장을 C3(녹색) 및 IgG(붉은색)에 특이적인 항체로 염색하여 면역형광법을 통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처리 그룹에서는 모세혈관 고리와 사구체간질에서 면역 복합체가 존재하는 양상으로, 사구체에서 C3 및 IgG의 많은 축적이 관측되었다(면역 복합체로서 C3와 IgG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옐로우&오렌지 컬러로 나타남). 1.7 및 5 mg/kg의 탈리도마이드로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신장 부위에 비슷한 형광 강도가 남아있는 반면,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를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형광 강도가 점점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미처리 마우스 또는 탈리도마이드를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와 비교하여 면역 복합체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3). 이로부터, 탈리도마이드와 PL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 면역 복합체의 사구체 축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루프스 신염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anti - ds DNA IgG 의 혈청 농도 측정
루프스 신염 특이적인 anti-ds DNA와 전체 IgG의 생산에 관여하는 B 세포의 기능에 대한 탈리도마이드와 PL의 혼합 처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마우스에서 anti-ds DNA 및 IgG의 혈청 농도를 측정하였다. 미처리 마우스와 비교할 때,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는 anti-ds DNA의 혈청 농도가 각각 22%, 30% 및 24%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도 4A). 또한, IgG1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크게 변화가 없었으나, IgG2a, IgG2b 및 IgG3의 혈청 농도에 있어서는, 5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한 마우스 및 MMF와 PL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하였다(도 4B). 이로부터, 5 mg/kg 또는 10 mg/kg의 탈리도마이드와 PL을 처리하면 anti-ds DNA의 생산과 B 세포와 플라즈마 세포의 생산을 억제하고, 따라서 면역 복합체의 신장 축적을 감소시키고 루프스 신염을 완화시키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병용투여용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ⅱ)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및 덱사메타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현탁액,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주사제, 연고제 또는 캡슐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단백뇨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ⅱ) 시클로포스파미드, 아자티오프린 및 미코페놀레이트모페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5. 제 12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프레드니솔론, 메틸프레드니솔론 및 덱사메타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삭제
  17. 삭제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제, 정제, 과립제, 분말제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단백뇨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스 신염 또는 사구체 신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10144496A 2011-12-28 2011-12-28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6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96A KR101369936B1 (ko) 2011-12-28 2011-12-28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2/011627 WO2013100657A1 (ko) 2011-12-28 2012-12-27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496A KR101369936B1 (ko) 2011-12-28 2011-12-28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75A KR20130076075A (ko) 2013-07-08
KR101369936B1 true KR101369936B1 (ko) 2014-03-06

Family

ID=4869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496A KR101369936B1 (ko) 2011-12-28 2011-12-28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9936B1 (ko)
WO (1) WO201310065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22A (ko) * 2000-05-15 2003-03-29 셀겐코포레이션 암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050086624A (ko) * 2002-11-14 2005-08-30 셀진 코포레이션 탈리도마이드의 제약 조성물 및 투여 형태
KR20080105123A (ko) * 2006-02-28 2008-12-03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개선된 항종양 치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228A1 (en) * 2000-12-01 2002-09-12 Wen-Jen Hwu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20070022197A (ko) * 2003-11-05 2007-02-26 팔링겐, 인코포레이티드 Cdim 결합 항체의 증강된 b 세포 세포독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22A (ko) * 2000-05-15 2003-03-29 셀겐코포레이션 암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050086624A (ko) * 2002-11-14 2005-08-30 셀진 코포레이션 탈리도마이드의 제약 조성물 및 투여 형태
KR20080105123A (ko) * 2006-02-28 2008-12-03 파르마 마르 에스.에이. 개선된 항종양 치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075A (ko) 2013-07-08
WO2013100657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7212B2 (ja) Il−31アンタゴニスト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JP7173618B2 (ja) アルファ-シヌクレインに対する抗体およびその用途
EP313412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ytokine-related disorders
JP7097874B2 (ja) リシルオキシダーゼ様2阻害剤の使用
US11919947B2 (en) Antibody binding active α-synuclein
US2021025373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ease-related cachexia
JP2021006543A (ja) 好酸球又はマスト細胞関連障害の治療
Sui et al. Protective and therapeutic role of Bilobalide in cuprizone-induced demyelination
AU2023201479A1 (en) Anti-adrenomedullin (ADM) binder for use in therapy or prevention of symptoms of illness
JP2017513947A (ja) ピスタキア ウェインマニフォリア抽出物、その分画物またはこれら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慢性閉塞性肺疾患(copd)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US20220213188A1 (en) Methods of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hanaday et al. Effect of diphenyl diselenide o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JPWO2006038656A1 (ja) アレルギー抑制剤
KR101369936B1 (ko) 탈리도마이드를 포함하는 루프스 신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603047A (zh) 大麻素制剂及剂量
KR20130083861A (ko) 용해성 rag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루푸스 신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Mruthinti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uction of RAGE cell-surface antigen and the expression of amyloid binding sites
JP7249433B2 (ja) 蜂毒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炎症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4255101B2 (ja) 神経変性疾患の治療薬
KR101359759B1 (ko) 펜톡시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 억제제
WO2012009640A2 (en) B cell depletion for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JP2023523372A (ja) 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及びその調製物
TW201740944A (zh) 組合療法
Danilov et al. Effects of long term NOS inhibition on disease and the immune system in MOG induced EAE
TWI592423B (zh) 可辨識致病性tdp-43之抗體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