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519B1 -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519B1
KR101369519B1 KR1020120014380A KR20120014380A KR101369519B1 KR 101369519 B1 KR101369519 B1 KR 101369519B1 KR 1020120014380 A KR1020120014380 A KR 1020120014380A KR 20120014380 A KR20120014380 A KR 20120014380A KR 101369519 B1 KR101369519 B1 KR 10136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onnecting bar
pair
vert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837A (ko
Inventor
김정현
조정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2001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5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조내에 삽입된 극판조립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스포트 용접작업에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운동량으로 스포트용접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단자를 정렬 및 용접할 수 있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Spot-welding apparatus for pole plates assembly of battery}
본 발명은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조내에 삽입된 극판조립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스포트 용접작업에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운동량으로 스포트용접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연결단자를 정렬 및 용접할 수 있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는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 격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격실에 극판조립체가 삽입된다. 상기 극판은 각각의 상부 양측에 교호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극판조립체의 상부는 축전지 케이스에 수용되는 각 극판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Strpa)가 착설된다.
상기 연결단자는 극판조립체에 고정되는 수평면과 이 수평면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면을 갖는다. 상기 극판조립체는 격실에 수용될 때 인접한 격실에 수용되는 타 극판조립체와 연결되는 타 연결단자의 수직면과 격판의 통공에 대향하여 근접배치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격실내에 위치된 서로 다른 연결단자는 격판의 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대향 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격판의 통공에 대하여 대향하여 근접배치된 양측 연결단자의 수직면은 양측으로부터 스포트용접기의 팁이 가압되면서 통공을 통하여 용접되어 접착된다. 따라서 상기 서로 다른 격실내의 서로 다른 극판조립체의 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연결단자를 연결시키는 종래의 스포트용접장치는 하측단부에 팁을 갖는 한 쌍의 작동레바가 서로 간의 팁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캐리어에 축으로 축설되고 이들 작동레바의 상부에 유압실린더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작동레바 사이로 피스턴 롯드가 연장되며 이 피스턴 롯드와 작동레바의 중간이 링크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스포트용접장치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서 피스턴 롯드가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서 이에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작동레바가 원호운동을 하면서 상기 연결단자의 양측을 가압하여 스포트용접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포트용접장치는 축전지 케이스의 격판과 격판 사이의 격실 공간이 좁아 작동레바의 팁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있을 때 작동레바의 하측단부가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구조물과 간섭을 일으켜 용접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그 원인은 스프트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팁이 착설된 작동레바의 중간에 복잡한 구조의 링크시스템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스포트용접장치는 상기 작동레바의 끝단에 설치되는 팁이 양측의 연결단자의 수직면을 가압하면, 상기 연결단자의 수평면의 다른쪽 끝단이 들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를 수평운동과 회전운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 축전지 전극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단자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연결단자의 수평면의 한 쪽 끝단이 레버에 의해 가압되면서 뜨면서 용접되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축전지 전극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한 쌍으로서 각각 하단부에 팁이 배치되어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격판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단자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상기 팁으로 가압시키는 한 쌍의 레버;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동력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레버중 어느 하나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연결바; 상기 제1연결바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에 연결되지 않은 남은 하나의 레버에 상기 제1연결바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레버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중 제1수직바는 타측에서 상기 제1연결바에 연결되고, 제2수직바는 상기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가 수평이동하여 상기 연결단자의 수직면을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연결단자의 수직면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외측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는 가압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에 연결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는 피스톤롯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기 피스톤롯드에 연결되고, 상측과 하측의 끝단에서 절곡형성되는 메인연결바; 및 상기 메인연결바의 상하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는 상기 제1연결바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에 각각 연결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3연결바와 제1연결바에 각각 연결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상기 제1연결바가 수평으로 이동되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서 상기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 또는 상기 제3연결바와 제1연결바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체결구; 상기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가 수평운동과 수평운동에서 변환된 회전운동으로 레버의 수평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만으로 스포트용접장치를 구현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 및 케이스 내부의 구조물들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아 작업시간의 단축 및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가 연결단자를 가압 후 용접을 진행하는 과정중에서 가압봉에 의하여 연결단자의 한 쪽끝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연결단자의 뜸 현상에 의한 불량품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표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정렬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정렬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가압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표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는 극판조립체(24)가 다 수개로 구획된 격판(22)내에 수용되는 축전지(20)의 극판조립체(24)의 연결단자(23)를 용접하는 용접부재(10)와, 상기 용접부재(10)에 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는 정렬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지(20)는 케이스(21)내부의 공간을 다 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직립된 단면을 이루는 격판(22)과, 상기 격판(22)내에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극판조립체(24)와, 상기 극판조립체(24)의 상면에서 인접된 극판조립체(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23)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격판(22)은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인접된 연결단자(23)가 서로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부재(1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1)와, 수평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1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평연결부(12)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부(1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직연결부(14)와, 상기 수평연결부(1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13)와, 상기 수직연결부(14)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15)와, 상기 레버(15)의 끝단에 고정되는 팁(16)(Tip)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11)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수평연결부(12)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힘과, 수직연결부(14)의 상하로 이동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수직연결부(14)는 상기 수평연결부(12)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서 상기 레버(15)와 체결되어 상기 레버(1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수직연결부(14)는 한 쌍의 레버(15)에 각각 체결되는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바(141)는 후술되는 메인연결바(123c)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수직바(142)는 후술되는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의 끝단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수평연결부(12)는 상기 동력부(11)에서 발생된 힘을 상기 수직연결부(14) 및 회전부(13)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연결부(12)는 상기 동력부(11)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123)와, 상기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에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123)는 상기 동력부(11)에 연결되는 피스톤롯드(123b)과, 상기 피스톤롯드(123b)에서 전달되는 힘을 상기 회전축에 안내하는 메인연결바(123c)와, 상기 메인연결바(123c)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13)에 체결되는 체결바(123a)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롯드(123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축이 축첩 및 신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부(11)에서 발생된 힘에 의하여 상기 메인연결바(123c)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피스톤롯드(123b)는 상기 동력부(11)(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메인연결바(123c)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상기 피스톤롯드(123b)는 그 길이가 수축되면서 상기 메인연결바(123c)를 전방으로 당겨온다.
상기 메인연결바(123c)는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피스톤롯드(123b)이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롯드(123b)이 연결되는 중심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절곡형성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연결바(123c)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그 끝단에 후술되는 제1수직바가 고정된다.
상기 체결바(123a)는 상기 메인연결바(123c)의 중심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13)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바(123a)는 상기 메인연결바(123c)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부(13)에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바(123a)는 상기 회전부(13)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는 상기 제1연결바(123)를 중심을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13)에 일측 끝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끝단에서 상기 수직연결부(14)의 제2수직바(142)에 각각 연결되는 봉 또는 막대형상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는 상기 제1연결바(123)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1연결바(123)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을 상기 회전부(13)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2수직바(14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부(13)는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1연결바(123)에 연결되는 제1회전체(131)와, 상기 제3연결바(122)와 제1연결바(123)에 연결되는 제2회전체(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는 중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회전체(131)는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1연결바(123)에 각각 연결되는 제1체결구(131b)와, 상기 제1체결구(131b)를 지지하는 제1몸체(131a)와, 상기 제1몸체(131a)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힌지(13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구(131b)는 상기 몸체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일측의 제1체결구(131b)는 상기 제1연결바(123)의 체결바(123a)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의 제1체결구(131b)는 상기 제2연결바(131)의 끝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1몸체(131a)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평면판넬로서 상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체결구(131b)가 내측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131a)는 상기 한 쌍의 제1체결구(131b)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131c)는 상기 제1몸체(131a)의 중심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몸체(131a)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131c)는 상기 용접부재(10)를 지지하는 하우징 또는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지지대(44)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힌지(131c)는 상기 제1몸체(13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된 제1체결구(131b)에 연결된 상기 제1연결바(123)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서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3연결바(122)와 상기 제1연결바(123)에 각각 연결되는 제2체결구(132b)와, 상기 제2체결구(132b)를 지지하는 제2몸체(132a)와, 상기 제2몸체(132a)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힌지(132c)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몸체(132a)는 금속성 재질로서 수직으로 직립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에서 상하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체결구(132b)를 지지한다.
상기 제2체결구(132b)는 상기 제2몸체(132a)의 상측과 하측 끝단에서 각각 위치되도록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상기 제3연결바(122)와 상기 제1연결바(123)에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상측의 제2체결구(132b)는 상기 제1연결바(123)의 체결바(123a)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측의 제2체결구(132b)는 상기 제3연결바(122)의 끝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후방으로 연장되면, 상기 제1연결바(123)의 체결바(123a)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회전되면서 상기 제1회전체(131)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131)와 상기 제2회전체(132)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3연결바(122)를 후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123)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수직바(141)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2수직바(142)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레버(15)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격판(22) 사이의 연결단자(23)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는 상기 수직연결부(14)의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에 각각 고정되는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에 각각 고정되어 하향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끝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팁(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151)는 상기 제1수직바(141)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되며, 상기 제2레버(152)는 상기 제2수직바(142)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된다.
상기 정렬부재(30)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정렬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정렬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상기 정렬부재(30)는 수직으로 상하 이동하는 수직이동축(31)과, 상기 수직이동축(31)에서 링크되는 링크바(34)와, 상기 링크바(34)에 연결된 힌지축(33)과, 상기 힌지축(3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정렬봉(32)과, 상기 수직이동축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35)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이동축(31)은 상하로 이동하고,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링크바(34)에 체결되는 삽입돌기(3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축(31)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승강시에 상기 삽입돌기(311)에 체결되는 링크바(34)를 잡아당기면서 상기 힌지축(33)을 회전시킨다.
상기 링크바(34)는 상기 수직이동축(31)에서 전달된 힘을 상기 힌지축(33)에 전달하며, 양 끝단중 일측에서 끝단이 개방되어 상기 수직이동축(31)의 삽입돌기(311)에 체결되는 삽입구(34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바(34)는 타측 끝단에서 상기 힌지축(3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바(34)는 상기 수직이동축(31)과 상기 힌지축(33)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이동축(31)이 승강되면 상향 회전되고, 상기 수직이동축(31)이 하강되면 하향 회전되면서 상기 힌지축(33)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힌지축(33)은 양 끝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용접장치의 본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3)은 일측에서 상기 링크바(34)가 고정되고, 하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기 정렬봉(32)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3)은 상기 링크바(34)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어 상기 정렬봉(32)을 회전시킨다.
상기 정렬봉(32)은 상기 힌지축(33)에서 하향 연장되어 끝단이 'ㄴ'자형으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23)를 밀어서 정렬시킨다.
여기서 상기 링크바(34)와 힌지축(33)과 정렬봉(32)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회전되는 한 쌍이며,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용접장치를 지면에서 고정시키는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35)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연결축(351)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축(31)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이는 동업종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축전지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에 포함된 구성이기에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기 용접부재(10)는 컨트롤러(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전체가 이동가능하도록 제어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된 구성이기에 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지는 상기와 같은 레버(15)를 구동시키는 운동방향이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와 제1연결바(12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레버(15)를 구동시키는 기술을 주요지로 하고 있기에 상기 용접부재(10)의 상하이동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용접부재(10)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접부재(10)에 의하여 용접되는 연결단자(23)의 뜸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압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40)는 하기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가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4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레버(151) 및 제2레버(152)와 연동되어 상하 운동하는 가압봉(41)과,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블럭(43)과, 상기 연결블럭(43)이 상하로 이동됨을 가이드 및 지지하는 고정브라켓(42)과, 상기 고정브라켓(42)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연결브라켓(45)과 상기 연결브라켓(45)을 고정시키는 지지대(4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블럭(43)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의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가압봉(41)은 상기 연결블럭(43)에서 하향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가압봉(41)은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의 바깥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2)은 일측에서 연결브라켓(45)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하향되도록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42)은 상기 타측에서 하향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연결브라켓(45)에 연결되는 끝단 사이에서 하향 연장되는 부분이 더 포함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2)은 상기 연결블럭(43)이 위치된 지점과 일치되는 두 지점에서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하향 연장되는 영역에서 하단이 절개되어 상기 연결블럭(43)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안내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45)은 상기 지지대(44)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브라켓(42)의 일측 끝단과 체결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고정공(45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44)는 상측에서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연결브라켓(45)의 상측 끝단에서 나사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봉(41)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단자(23)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가압봉(4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의 팁이 상기 연결단자의 수직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단자(23)의 끝단이 뜨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축전지(20)는 케이스(21)의 내측에서 하나 이상의 격판(22)으로 구획된 공간마다 상기 극판조립체(24)가 안착되고, 상기 극판조립체(24)의 상면에서 상기 격판(22)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연결단자(23)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은 축전지(20)는 컨베이어벨트 또는 기타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용접부재(10)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먼저 상기 레버(15)와 상기 정렬봉(32)과 상기 가압봉(41)은 일차적으로 하향되어 축전지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가 상기 축전지(20)의 격판(22)을 사이에 두고 각각 하향되고, 상기 가압봉(41)도 이와 연동 되어 하향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봉(32)은 상기 수직이동축(31)이 승강되면서 상기 링크바(34)가 상향되면서 상기 힌지축이 내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정렬봉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정렬봉(32)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격판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놓여진 연결단자(23)의 측면을 밀어서 상기 레버(15)의 끝단에 설치된 팁(16)의 이동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연결단자(23)를 정렬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23)는 직립된 단면을 이루는 수직면(232)과 상기 수직면(232)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편평한 면을 이루는 수평면(23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면(232)은 상기 격판(22)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서 인접된 타 연결단자(23)의 수직면(232)과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레버(151)는 상기 격판(22)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된 연결단자(23)의 수평면(231)에 위치되고, 상기 제2레버(152)는 좌측에 위치된 연결단자(23)의 수평면(231)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1)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제1연결바(123)의 피스톤롯드(123b)를 신장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123)의 피스톤롯드(123b)이 신장됨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123)의 상하측에서 각각 연결되는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1연결바(123)를 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체결바(123a)에 의해 각각 당겨지게 되어 상기 제1회전체(1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제2연결바(131)는 상기 제1회전체(1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3연결바(122)는 상기 제2회전체(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양자모두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수직바(142)를 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수직바(141)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상기 피스톤롯드(123b)의 길이 신장에 따라서 상기 제2수직바(142)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1수직바(141)는 제1연결바(123)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수직바(142)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수직바(142)는 상기 제1연결바(123)의 직선운동이 상기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변환됨에 따라서 상기 제1수직바(141)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바(141)와 제2수직바(142)에 각각 연결되는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는 상기 격판(22)과 밀착되는 각각의 연결단자(23)의 수직면에 팁(16)이 밀착되도록 이동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압봉(41)은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의 이동과 연동되어 상기 연결단자(23)의 수평면(231)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단자(23)의 양측 끝단이 뜨지 않도록 가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지는 동력부(11)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재(10)의 상하 운동을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현재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축전지(20) 극판조립체(24)의 스포트용접장치에서 일반화된 장치를 적용한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다만, 상기 가압봉(41)을 포함한 가압부재(40)는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에 각각 고정된 연결블록(42)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제1레버(151) 및 제2레버(152)와 연동되어 상하 및 수평운동이 가능하다.
이후에 상기 동력부(11)는 구동되어 상기 제1연결바(123)의 피스톤롯드(123b)를 신장시켜 상기 제1연결바(12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123)에 연결되는 제1수직바(141)가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레버(151)의 하단에 형성되는 팁(16)이 상기 연결단자(23)의 수직면(232)에 밀착되도록한다.
이와 동시에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123)의 체결바(123a)에 각각 연결되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1회전체(131)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위치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132)는 상기 제1연결바(123)가 위치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는 상기 제1회전체(131)와 제2회전체(13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모두 동일한 운동방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제2연결바(131)는 상기 제1회전체(1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수직바(141)를 좌측방향으로 당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연결바(122)는 상기 제2회전체(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기 때문에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수직바(141)를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수직바(142)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기 제2연결바(131)와 제3연결바(122)로부터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좌측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상기 제1수직바(141)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152)는 상기 제2수직바(142)가 이동됨에 따라서 동시에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는 상기 격판(22)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향되는 각각의 연결단자(23)의 수직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봉(41)은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3)의 수평면(231)의 끝단을 가압하여 뜨지 않도록 고정시킨다(도 7과 도 8참조).
이때 상기 정렬봉(32)은 상기 실린더가 구동되어 상기 수직이동축(31)이 하강되면서 상기 링크바(34)가 회전되어 상기 힌지축(33)을 외측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연결단자(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레버(151)의 팁(16)과 제2레버(152)의 팁(16)은 상기 정렬봉(32)에 밀착된다.
이후에 상기 팁(16)은 고압의 전기가 인가됨에 따라서 상기 격판(22)의 통공(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연결단자(23)에 고열을 발생시켜 양측의 연결단자(23)를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운동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제1레버(151)와 제2레버(152)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에 그 구성이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며, 상기 가압봉(41)에 의하여 연결단자(23)를 가압 및 고정할 수 있어 연결단자(23)가 용접중에 뜸 현상으로 인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용접부재 11 : 동력부
12 : 수평연결부 13 : 회전부
14 : 수직연결부 15 : 레버
16 : 팁 20 : 축전지
21 : 케이스 22 : 격판
23 : 연결단자 24 : 극판조립체
30 : 정렬부재 31 : 수직이동축(31)
32 : 정렬봉 40 : 가압부재
41 : 가압봉 42 : 고정브라켓
43 : 연결블럭 44 : 지지대
45 : 연결브라켓 121 : 제2연결바
122 : 제3연결바 123 : 제1연결바
123a : 체결바 123b : 피스톤롯드
123c : 메인연결바 131 : 제1회전체
132 : 제2회전체 131a : 제1몸체
131b : 제1체결구 131c : 제1힌지
132a : 제2몸체 132b : 제2체결구
132c : 제2힌지 141 : 제1수직바
142 : 제2수직바 151 : 제1레버
152 : 제2레버 421 : 안내홈
451 : 고정공

Claims (6)

  1.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한 쌍으로서 각각 하단부에 팁이 배치되어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격판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연결단자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상기 팁으로 가압시키는 한 쌍의 레버;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레버중 어느 하나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1연결바;
    상기 제1연결바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에 연결되지 않은 남은 하나의 레버에 상기 제1연결바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에서 상기 한 쌍의 레버중 어느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바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중 제1수직바는 타측에서 상기 제1연결바에 연결되고, 제2수직바는 상기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레버가 수평이동하여 상기 연결단자의 수직면을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레버에 연동되어 상기 연결단자의 수직면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외측면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는 가압봉을 포함하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에 연결되어 신장 또는 수축되는 피스톤롯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기 피스톤롯드에 연결되고, 상측과 하측의 끝단에서 절곡형성되는 메인연결바; 및
    상기 메인연결바의 상하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체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바를 포함하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는
    상기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에 각각 연결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3연결바와 제1연결바에 각각 연결되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상기 제1연결바가 수평으로 이동되면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연결바와 제3연결바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호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으로서 상기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 또는 상기 제3연결바와 제1연결바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체결구;
    상기 몸체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힌지를 포함하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는
    상기 극판조립체의 상면에 안차되는 연결단자를 정렬시키는 정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재는 측면에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수직이동축; 한 쪽 끝단에서 하단부가 개방되는 삽입구에 상기 수직이동축의 삽입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이동축의 승하강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크바;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링크바의 타측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링크바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서 하향 연장되어 끝단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과 연동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연결단자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정렬봉을 포함하는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20120014380A 2012-02-13 2012-02-13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136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0A KR101369519B1 (ko) 2012-02-13 2012-02-13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380A KR101369519B1 (ko) 2012-02-13 2012-02-13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37A KR20130092837A (ko) 2013-08-21
KR101369519B1 true KR101369519B1 (ko) 2014-03-06

Family

ID=4921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380A KR101369519B1 (ko) 2012-02-13 2012-02-13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5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7835A (zh) * 2016-02-01 2016-05-04 东莞市奥海电源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点焊装置及其自动点焊方法
KR20190128351A (ko) 2018-05-08 2019-11-18 최보름 축전지용 용접 장치
KR20200039139A (ko) 2018-10-05 2020-04-16 최보름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5350A (zh) * 2015-11-26 2016-02-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电池组合模块用的定位点焊移动平台
CN117532129A (zh) * 2024-01-10 2024-02-09 潍坊学院 一种圆柱形电池用点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086A (ko) * 2004-08-02 2006-02-07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086A (ko) * 2004-08-02 2006-02-07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7835A (zh) * 2016-02-01 2016-05-04 东莞市奥海电源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点焊装置及其自动点焊方法
CN105537835B (zh) * 2016-02-01 2016-11-09 东莞市奥海电源科技有限公司 电芯自动点焊装置及其自动点焊方法
KR20190128351A (ko) 2018-05-08 2019-11-18 최보름 축전지용 용접 장치
KR20200039139A (ko) 2018-10-05 2020-04-16 최보름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KR102140556B1 (ko) 2018-10-05 2020-08-03 최보름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837A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519B1 (ko)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US11588211B2 (en) Automatic pressure jig device for bringing electrode lead into close contact with busbar,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CN1090528A (zh) 闪光对焊机
CN107186407B (zh) 一种钢筋网的焊接反丝机构
CN208358011U (zh) 单边焊焊接工装
KR101529053B1 (ko) 개별 교체 가능한 하이브리드 용접장치
CN102363253A (zh) 一种起重机π形梁定位焊装配工装
KR101417391B1 (ko) 축전지 연결단자의 정렬장치
CN201769023U (zh) 一种锅炉集箱焊接用回转架
CN216857828U (zh) 钢箱梁边缘矫正机
CN109702449A (zh) 一种驱动式辅助防错装配工作装置
KR101570690B1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CN102536831A (zh) 旋转式压缩机的气缸固定机构
CN202556011U (zh) 一种纵梁侧压夹紧机构
CN107742592A (zh) 隔离开关底架焊接用夹紧工装
CN202271125U (zh) 起重机π形梁定位焊装配工装
KR101147043B1 (ko)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JP5833396B2 (ja) H形鋼の曲がり矯正装置
CN104959713B (zh) 长筒节内壁埋弧电渣堆焊装置
KR200417343Y1 (ko) 도어프레임용 스폿용접기
CN109291996A (zh) 电动汽车的框梁及电动汽车
CN113182714B (zh) 压板装置和焊接压板系统
CN221064771U (zh) 一种十字柱半自动组立机
KR101949368B1 (ko)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N212783487U (zh) 焊带压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