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68B1 -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 Google Patents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68B1
KR101949368B1 KR1020180141005A KR20180141005A KR101949368B1 KR 101949368 B1 KR101949368 B1 KR 101949368B1 KR 1020180141005 A KR1020180141005 A KR 1020180141005A KR 20180141005 A KR20180141005 A KR 20180141005A KR 101949368 B1 KR101949368 B1 KR 10194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pot
triple
pres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인태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 B23K11/2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of differen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23K11/3018Cooled 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는 사이에 중첩된 제 1 금속판재 및 제 2 금속판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상하부에서 접촉하는 상부 스폿용접봉 및 하부 스폿용접봉을 포함하며 스폿용접을 수행하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및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은 각각 일단부에 제 1 전극팁이 형성된 봉 형태의 제 1 스폿용접봉; 일단부에 제 2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2 스폿용접봉; 및 일단부에 제 3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3 스폿용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또는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폿용접봉에 대하여,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3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ELECTRIC RESISTANCE SPOT WELDING MACHINE BY PARALLEL TYPE TRIPLE PRESSURE WITH TRIPLE COMPOSITE ELECTRODES}
본 발명은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재질의 금속판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금속판재 사이 소정 위치의 접촉면을 용융하여 두 금속판재를 용접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저항 스폿용접은 중첩된 두 장의 금속판재의 일부분에 전극을 사용하여 대용량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금속판재 사이의 접촉면에서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에 의하여 두 금속판재의 접촉면을 용융하여 용접하는 기술이다. 이는 접촉면의 상태에 따라서 용접하는 전류의 크기, 시간 및 가압조건 등의 용접특성을 잘 제어해야 하는 비교적 까다로운 기술이다.
자동차의 경량화에 따라서 비철금속의 사용이 증대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강판과 경량화 비철금속판 사이의 이종 금속판재 사이의 스폿용접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단일 용접봉에 의한 단일전류, 단일가압에 의한 스폿용접의 경우, 이종금속의 물성치 차이로 인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다중 전류와 다중 가압을 사용하여 이종 금속판재에 대한 용접을 수행하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때, 다중 가압을 위한 복수의 가압 실린더를 직렬로 배치하게 되면 상부 용접봉과 하부 용접봉의 행정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나, 가압을 가하는 스폿용접기가 길어지므로 가압력에 저항하는 구조 강성이 저하되어 용접기의 변형으로 인한 결정적인 용접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폿용접기의 구조적 강성을 크게 증가시켜 용접부의 용접 결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중 전류와 다중 가압을 사용하는 스폿용접기를 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501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폿용접봉에 삼중의 복합 전극팁을 형성하고 각각의 전극팁을 개별적으로 가압시키는 다중 가압을 위한 가압부를 병렬형으로 배치하여 스폿용접기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켜 용접 성능을 향상시키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이에 중첩된 제 1 금속판재 및 제 2 금속판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상하부에서 접촉하는 상부 스폿용접봉 및 하부 스폿용접봉을 포함하며 스폿용접을 수행하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및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은 각각 일단부에 제 1 전극팁이 형성된 봉 형태의 제 1 스폿용접봉; 일단부에 제 2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2 스폿용접봉; 및 일단부에 제 3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3 스폿용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또는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폿용접봉에 대하여,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3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원주 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원주 방향으로 120도의 균등 각도로 병렬 배치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3 가압부 사이에 중앙에 위치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은 내부에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을 이격하여 수용하고,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은 내부에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을 이격하여 수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팁은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극팁은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3 전극팁은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제 1 가압실린더, 상기 제 1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피스톤, 및 상기 제 1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압부는 제 2 가압실린더, 상기 제 2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피스톤, 및 상기 제 2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압부는 제 3 가압실린더, 상기 제 3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3 피스톤, 및 상기 제 3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폿용접봉 및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실린더, 상기 제 2 가압실린더, 및 상기 제 3 가압실린더를 병렬로 고정시키는 가압실린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실린더 고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압실린더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스폿용접봉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이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를 이동시키는 로봇 암이 연결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가압실린더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연결부에는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과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을 연결시키는 용접봉연결부가 연결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 상기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 또는 상기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아래로 연장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1 스폿용접봉에 제 1 전류를 통전하는 제 1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2 스폿용접봉에 제 2 전류를 통전하는 제 2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3 스폿용접봉에 제 3 전류를 통전하는 제 3 폐 전기회로를 형성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1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공급부; 상기 제 2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공급부; 및 상기 제 3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3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전류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1 스폿용접봉에 제 1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연결부;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2 스폿용접봉에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연결부; 및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3 스폿용접봉에 제 3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전류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제 2 피스톤 또는 제 3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제 3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따르면 이종 금속판재에 대하서 용이하게 스폿용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스폿용접봉 및 하부 스폿용접봉에 삼중 복합 전극팁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각 전극팁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 및 각 전극팁에 의한 가압력을 다르게 제어하여 용접부의 너겟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상부 전극팁과 하부 전극팁의 전극 재질의 차이 또는 전극팁의 형상에 따른 금속판재와의 접촉 면적의 차이에 따라서 이종 금속판재에 공급되는 전류와 가압력의 차이를 조절하여 이종 금속판재에 대하여 스폿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라 도시하는 상부 스폿용접봉의 저면도이다.
도 4은 도 2에서 B-B'에 따라 도시하는 하부 스폿용접봉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상부 스폿용접봉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가 스폿용접 로봇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상부 스폿용접봉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A-A'에 따라 도시하는 상부 스폿용접봉의 저면도이고, 도 4은 도 2에서 B-B'에 따라 도시하는 하부 스폿용접봉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상부 스폿용접봉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가 스폿용접 로봇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는 중첩된 제 1 금속판재(10a)와 제 2 금속판재(10b)의 상하부에서 각각 접촉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상부 스폿용접봉(110a)과 하부 스폿용접봉(110b)으로 구성되고,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제 1 전류공급부(200-1), 제 2 전류공급부(200-2) 및 제 3 전류공급부(200-3)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참고로 도면 부호에서 a는 상부 스폿용접봉(100a)과 관련되는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b는 하부 스폿용접봉(100b)과 관련되는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가 있다.
상부 스폿용접봉(110a) 및 하부 스폿용접봉(110b)은 각각 삼중 복합 전극팁(112a, 114a, 116a, 112b, 114b, 116b)을 가지도록 삼중의 스폿용접봉(111a, 113a, 115a, 111b, 113b, 115b)으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하부 스폿용접봉(110a, 110b)은 각각 일단부에 제 1 전극팁(112a, 112b)이 형성된 봉 형태의 제 1 스폿용접봉(111a, 111b), 내부에 동심원으로 제 1 스폿용접봉(111a, 111b)을 이격하도록 수용하며 일단부에 제 2 전극팁(114a, 114b)이 형성된 제 2 스폿용접봉(113a, 113b), 및 내부에 동심원으로 제 2 스폿용접봉(113a, 113b)을 이격하도록 수용하며 일단부에 제 3 전극팁(116a, 116b)이 형성된 제 3 스폿용접봉(115a, 115b)의 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전극팁(112a, 112b)은 제 2 전극팁(114a, 114b)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제 2 전극팁(114a, 114b)은 제 3 전극팁(116a, 116b)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물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극팁(112a, 112b), 제 2 전극팁(114a, 114b), 및 제 3 전극팁(116a, 116b)의 일단은 금속판재(10a, 10b)를 향하여 노출되어 금속판재(10a, 10b)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 1 전극팁(112a, 112b), 제 2 전극팁(114a, 114b) 및 제 3 전극팁(116a, 116b)은 각각 제 1 스폿용접봉(111a, 111b), 제 2 스폿용접봉(113a, 113b) 및 제 3 스폿용접봉(115a, 115b)의 일단부에 내삽되도록 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접되는 금속판재(10a, 10b)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서 또는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의 마모에 따라서 각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의 교체가 용이할 수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스폿용접봉(111a, 111b)은 제 1 전류공급부(200-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일단부에 형성된 제 1 전극팁(112a, 112b)에 제 1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 2 스폿용접봉(113a, 113b)은 제 2 전류공급부(200-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일단부에 형성된 제 2 전극팁(114a, 114b)에 제 2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 3 스폿용접봉(115a, 115b)은 제 3 전류공급부(200-3)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일단부에 형성된 제 3 전극팁(116a, 116b)에 제 3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전류공급부(200-1)를 통해 제 1 전극팁(112a, 112b)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제 2 전류공급부(200-2)를 통해 제 2 전극팁(114a, 114b)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제 3 전류공급부(200-3)를 통해 제 3 전극팁(116a, 116b)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각기 다르게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에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각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의 차이에 따른 이종 금속판재(10a, 10b)의 스폿 용접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 1 가압부는 제 1 스폿용접봉(111a)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제 1 전극팁(112a, 112b)를 통해 스폿용접시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2 가압부는 제 2 스폿용접봉(113a)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제 2 전극팁(114a, 114b)를 통해 스폿용접시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제 1 스폿용접봉(111a)의 이송에 의한 압력과 또 다른 압력으로 가압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 3 가압부는 제 3 스폿용접봉(113a)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제 3 전극팁(116a, 116b)를 통해 스폿용접시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제 1 스폿용접봉(111a) 및 제 2 스폿용접봉(113a)의 이송에 의한 압력과 또 다른 압력으로 가압시키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스폿용접봉(110b)은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스폿용접봉(110a)의 제 1 스폿용접봉(111a), 제 2 스폿용접봉(113a), 및 제 3 스폿용접봉(115a)을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가압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나, 상부 스폿용접봉(110a) 뿐만 아니라 하부 스폿용접봉(110b)을 구성하는 제 1 스폿용접봉(111b), 제 2 스폿용접봉(113b), 및 제 3 스폿용접봉(115b)도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가압부는 제 1 가압실린더(120-1), 제 1 피스톤(125-1),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가압부는 제 2 가압실린더(120-2), 제 2 피스톤(125-2), 제 2 가압실린더(120-2) 및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고, 제 3 가압부는 제 3 가압실린더(120-3), 제 3 피스톤(125-3), 및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는 피스톤(125-1, 125-2, 125-3)을 상하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공압 펌프로 구성될 수가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압실린더(120-1), 제 2 가압실린더(120-2), 및 제 3 가압실린더(120-3)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주 방향으로 병렬 배치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120도의 균등 각도로 병렬 배치될 수가 있다.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중앙 아래에는 상부 스폿용접봉(110a)이 위치하게 되고, 각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동작에 따라서 제 1 스폿용접봉(111a), 제 2 스폿용접봉(113a) 및 제 3 스폿용접봉(115a)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 1 가압실린더(120-1)에는 제 1 피스톤(125-1)이 결합되어 제 1 가압실린더(120-1)의 동작에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제 1 피스톤(125-1)이 이동을 하게 되고, 제 1 피스톤(125-1)의 단부에는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가 연결된다.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는 제 1 피스톤(125-1)의 단부와 결합되고, 삼중봉 형태의 상부 스폿용접봉(110a)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스폿용접봉(111a)의 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가압실린더(120-1)의 동작에 따라서 제 1 피스톤(125-1)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스폿용접봉(111a)도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 스폿용접봉(110a)은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사이의 중앙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피스톤(125-1)의 형상은 길이 방향으로 아래로 연장되다가 단부는 중심을 향하여 휘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가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의 단부에는 제 1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공급부(200-1)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1 전류연결부(135-1)가 연결될 수가 있다.
제 2 가압부의 구성도 제 1 가압부의 구성과 동일하고,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는 제 2 피스톤(125-2)의 단부 및 제 2 스폿용접봉(113a)의 단부와 결합하여 제 2 가압실린더(120-2)의 동작에 따라서 제 2 스폿용접봉(113a)을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의 단부에는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공급부(200-2)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2 전류연결부(135-2)가 연결될 수가 있다. 단,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에는 제 1 스폿용접봉(111a)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132)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3 가압부의 구성도 제 1 가압부 및 제 2 가압부의 구성과 동일하고,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는 제 3 피스톤(125-3)의 단부 및 제 3 스폿용접봉(115a)의 단부와 결합하여 제 3 가압실린더(120-3)의 동작에 따라서 제 3 스폿용접봉(115a)을 길이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의 단부에는 제 3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전류공급부(200-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3 전류연결부(135-3)가 연결될 수가 있다. 단,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에는 제 2 스폿용접봉(113a)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132)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폿용접봉(110a)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3 스폿용접봉(115a)의 길이가 가장 짧고, 제 2 스폿용접봉(113a), 제 1 스폿용접봉(111a)의 순으로 상부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는 가장 상측에서 제 1 스폿용접봉(111a)의 단부와 연결될 수가 있고,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는 제 1 스폿용접봉(111a)을 관통시키며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의 아래에서 제 2 스폿용접봉(113a)의 단부와 연결될 수가 있으며,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는 제 1 스폿용접봉(111a) 및 제 2 스폿용접봉(113a)을 관통시키며 가장 아래에서 제 3 스폿용접봉(115a)의 단부와 연결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는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가 있으므로, 각 피스톤(125-1, 125-2, 125-3)도 동일하게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호 간섭을 받지 않으며 개별적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가압실린더(120-1), 제 2 가압실린더(120-2), 및 제 3 가압실린더(120-3)를 병렬로 고정시키는 가압실린더 고정부(140)가 형성될 수가 있다. 가압실린더 고정부(140)는 하부 지지부(142), 상부 지지부(144) 및 측면연결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하부 지지부(142)는 판상으로 가압실린더의 하부(120-1, 120-2, 120-3)를 고정시켜 지지하며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로부터 피스톤(125-1, 125-2, 125-3)이 관통하여 아래에 형성될 수 있도록 3 개의 홀이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부 지지부(144)는 판상으로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 지지부(144)와 하부 지지부(142)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연결부(146)가 형성될 수가 있다.
상부 지지부(144)의 중앙에는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아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 스폿용접봉(111a)의 밀폐된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냉각수 공급관(145)이 연결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 1 스폿용접봉(111a)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 지지부(144)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전체를 이동시키는 용접로봇(300)의 암이 연결될 수가 있다. 도 7에서는 용접로봇(300)의 암에 본 발명에 따른 스폿용접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하부 지지부(142)의 하측면에는 봉 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150)이 연장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 및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에는 상기 가이드봉(150)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33)을 형성하여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삼중의 스폿용접봉(111a, 113a, 115a)은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의 중앙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스톤(125-1, 125-2, 125-3)은 수직 아래로 연장되다가 스폿용접봉(111a, 113a, 115a)을 향하여 휘어진 형태로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압실린더(120-1, 120-2, 120-3)에 의해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가 상하 이동을 할 때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가 상기 가이드봉(150)을 따라 가이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125-1, 125-2, 125-3)의 이동에 따른 움직임을 보조하여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가 훨씬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을 할 수가 있다.
상부 지지부(144)와 하부 지지부(142)를 연결하는 측면연결부(146)에는 상부 스폿용접봉(110a)과 하부 스폿용접봉(110b)을 연결시키는 C자형 용접봉연결부(160)가 연결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를 직렬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병렬로 배치함에 따라서 직렬로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스폿용접기의 구조적 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가 있으며, 따라서 용접부의 용접 결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다음,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 및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의 각 단부에는 제 1 전류공급부(200-1), 제 2 전류공급부(200-2), 및 제 3 전류공급부(200-3)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스폿용접봉(111a, 113a, 115a)을 향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연결부(135-1), 제 2 전류연결부(135-2), 및 제 3 전류연결부(135-3)가 각각 연결 형성된다.
하부 스폿용접봉(110b)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 스폿용접봉(110a)과 비교하여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제 3 가압부의 구성이 생략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삼중봉의 형태로 삼중 복합 전극팁(112b, 114b, 116b)을 형성하는 것은 동일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폿용접을 수행할 때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전술한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 130-2, 130-3)에 연결되는 제 1 전류연결부(135-1), 제 2 전류연결부(135-2) 및 제 3 전류연결부(135-3)는 하부 스폿용접봉(110b)의 제 1 스폿용접봉(111b), 제 2 스폿용접봉(113b), 및 제 3 스폿용접봉(113b)과 각각 연결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전류연결부(135-1), 제 2 전류연결부, 및 제 3 전류연결부는 상하부 스폿용접봉(110a, 110b) 사이에 용접봉연결부(160)를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때,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와 그 양면에 대향하여 상부 스폿용접봉(110a)과 하부 스폿용접봉(110b)이 접촉하였을 때, 3 가지의 폐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제 1 전류공급부(200-1)로부터 제 1 전류연결부(135-1)를 따라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1)을 거쳐 상부 스폿용접봉(110a)의 제 1 스폿용접봉(111a)을 통해 제 1 전극팁(112a)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거쳐 다시 하부 스폿용접봉(110b)의 제 1 스폿용접봉(111b)의 제 1 전극팁(112b) 및 1 스폿용접봉(111b)을 통해 제 1 전류공급부(200-1)로 연결되는 제 1 폐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제 2 전류공급부(200-2)로부터 제 2 전류연결부(135-2)를 따라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을 거쳐 상부 스폿용접봉(110a)의 제 2 스폿용접봉(113a)을 통해 제 2 전극팁(114a)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거쳐 다시 하부 스폿용접봉(110b)의 제 2 스폿용접봉(113b)의 제 2 전극팁(114b) 및 제 2 스폿용접봉(113b)을 통해 제 2 전류공급부(200-2)로 연결되는 제 2 폐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제 3 전류공급부(200-3)로부터 제 3 전류연결부(135-3)를 따라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3)을 거쳐 상부 스폿용접봉(110a)의 제 3 스폿용접봉(115a)을 통해 제 3 전극팁(116a)으로 공급되는 전류는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거쳐 다시 하부 스폿용접봉(110b)의 제 3 스폿용접봉(115b)의 제 3 전극팁(116b) 및 3 스폿용접봉(115b)을 통해 제 3 전류공급부(200-3)로 연결되는 제 3 폐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가 있다.
이하, 중첩된 이종 금속판재(10a, 10b)에 이종의 전류를 공급하며 용접을 수행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스폿용접봉(110a)과 하부 스폿용접봉(110b) 사이에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위치시키고 제 3 가압부에 의해 상부의 제 3 스폿용접봉(115a)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3 전극팁(116a, 116b)에 의해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 3 전류공급부(200-3)에 의해 상하부의 제 3 전극팁(116a, 116b)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금속판재(10a, 10b)를 1차로 가열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가압부에 의해 상부의 제 2 스폿용접봉(113a)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2 전극팁(114a, 114b)에 의해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 2 전류공급부(200-2)를 통해 상하부의 제 2 전극팁(114a, 114b)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금속판재(10a, 10b)를 추가로 가열시키게 된다.
다음, 제 1 가압부에 의해 상부의 제 1 스폿용접봉(111a)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 전극팁(112a, 112b)에 의해 중첩된 금속판재(10a, 10b)를 가압시킨 상태에서, 제 1 전류공급부(200-1)를 통해 상하부의 제 1 전극팁(112a, 112b) 사이에 대용량의 전류를 공급하여 스폿 용접을 완성하도록 한다.
이때, 각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고 상하부의 제 1 전극팁(112a, 112b), 제 2 전극팁(114a, 114b) 및 제 3 전극팁(116a, 116b)을 구성하는 전극 재질의 차이 및 전극 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이종 금속판재(10a, 10b)의 각 판재에 공급되는 발열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어서 이종의 금속판재(10a, 10b)에 대하여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에 의해 제 1 전극팁(112a, 112b), 제 2 전극팁(114a, 114b) 및 제 3 전극팁(116a, 116b)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가압력의 차이에 따른 각 전극팁(112a, 112b, 114a, 114b, 116a, 116b)에서 발열되는 열량의 차이에 따라 이종 금속판재(10a, 10b)의 각 판재에 공급되는 발열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어서 이종 금속판재(10a, 10b)에 대하여 용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서 상부 스폿용접봉(110a)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가 원주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나,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압부, 제 2 가압부 및 제 3 가압부가 일직선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가압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압실린더(120-1)가 중앙에 위치하고 양측에 제 2 가압실린더(120-2) 및 제 3 가압실린더(120-3)가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압실린더(120-1)에 연결되는 제 1 피스톤(125-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 아래로 연장되다가 중앙 아래에 위치하는 스폿용접봉을 향하여 휘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일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가 있다. 즉, 제 1 스폿용접봉(111a), 제 1 피스톤(125-1), 제 1 가압실린더(120-1)는 일직선 형태로 배치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가압실린더(120-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압실린더(120-2), 제 3 가압실린더(120-3)에 대하여서는 중앙 아래에 위치하는 스폿용접봉(110a)을 향하여 수직 아래로 연장되다가 휘어지는 형태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125-1, 125-2, 125-3)이 전술한 가이드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에는 제 3 피스톤(125-3)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피스톤가이드홀(134)을 형성하여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130-2)가 상하 이동을 할 때 제 3 피스톤(125-3)이 가이드봉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a, 10b: 금속판재
110a, 110b: 스폿용접봉
111a, 111b: 제 1 스폿용접봉
112a, 112b: 제 1 전극팁
113a, 113b: 제 2 스폿용접봉
114a, 114b: 제 2 전극팁
115a, 115b: 제 3 스폿용접봉
116a, 116b: 제 3 전극팁
120-1: 제 1 가압실린더
120-2: 제 2 가압실린더
120-3: 제 3 가압실린더
125-1: 제 1 피스톤
125-2: 제 2 피스톤
125-3: 제 3 피스톤
130-1: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
130-2: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
130-3: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
132: 홀
133: 가이드홀
134: 피스톤가이드홀
135-1: 제 1 전류연결부
135-2: 제 2 전류연결부
135-3: 제 3 전류연결부
140: 가압실린더 고정부
142: 하부 지지부
144: 상부 지지부
145: 냉각수 공급관
146: 측면연결부
150: 가이드봉
160: 용접봉연결부
200-1: 제 1 전류공급부
200-2: 제 2 전류공급부
200-3: 제 3 전류공급부
300: 용접로봇

Claims (20)

  1. 사이에 중첩된 제 1 금속판재 및 제 2 금속판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금속판재의 상하부에서 접촉하는 상부 스폿용접봉 및 하부 스폿용접봉을 포함하며 스폿용접을 수행하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및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은 각각
    일단부에 제 1 전극팁이 형성된 봉 형태의 제 1 스폿용접봉;
    일단부에 제 2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2 스폿용접봉; 및
    일단부에 제 3 전극팁이 형성되며 봉 형태의 제 3 스폿용접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 또는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폿용접봉에 대하여,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을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중첩된 제 1 금속판재와 제 2 금속판재를 가압시키는 제 3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수평으로 병렬 배치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원주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원주 방향으로 120도의 균등 각도로 병렬 배치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 및 상기 제 3 가압부는 일직선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3 가압부 사이에 중앙에 위치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은 내부에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을 이격하여 수용하고,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은 내부에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을 이격하여 수용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팁은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전극팁은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3 전극팁은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의 일단부에 내삽되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제 1 가압실린더, 상기 제 1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피스톤, 및 상기 제 1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압부는 제 2 가압실린더, 상기 제 2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 피스톤, 및 상기 제 2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폿용접봉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압부는 제 3 가압실린더, 상기 제 3 가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3 피스톤, 및 상기 제 3 피스톤의 단부 및 상기 제 3 스폿용접봉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폿용접봉 및 상기 제 2 스폿용접봉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를 포함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실린더, 상기 제 2 가압실린더, 및 상기 제 3 가압실린더를 병렬로 고정시키는 가압실린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 고정부는
    상기 가압실린더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홀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압실린더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스폿용접봉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이 형성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전기저항 스폿용접기를 이동시키는 로봇 암이 연결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가압실린더의 일측에 형성되는 측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연결부에는 상기 상부 스폿용접봉과 상기 하부 스폿용접봉을 연결시키는 용접봉연결부가 연결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 상기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 또는 상기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하부 지지부의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1 스폿용접봉에 제 1 전류를 통전하는 제 1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2 스폿용접봉에 제 2 전류를 통전하는 제 2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스폿용접봉의 제 3 스폿용접봉에 제 3 전류를 통전하는 제 3 폐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1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공급부;
    상기 제 2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공급부; 및
    상기 제 3 폐 전기회로에 상기 제 3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전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8.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1 스폿용접봉에 제 1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류연결부;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2 스폿용접봉에 제 2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류연결부; 및
    제 3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 3 스폿용접봉에 제 3 전류를 공급하는 제 3 전류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1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제 2 피스톤 또는 제 3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20.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용접봉피스톤연결부에는 제 3 피스톤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20180141005A 2018-11-15 2018-11-15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194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05A KR101949368B1 (ko) 2018-11-15 2018-11-15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05A KR101949368B1 (ko) 2018-11-15 2018-11-15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368B1 true KR101949368B1 (ko) 2019-02-18

Family

ID=6556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005A KR101949368B1 (ko) 2018-11-15 2018-11-15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3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8875A (ja) * 1988-04-06 1989-10-16 Nippon Steel Corp 抵抗溶接用電極
KR101525018B1 (ko) 2013-12-30 2015-06-02 (주)엠에스오토텍 스틸 소재와 이종 소재의 접합장치 및 방법
KR101545856B1 (ko) * 2014-01-21 2015-08-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진동 스폿 용접장치 및 진동 스폿 용접방법
KR20170134275A (ko) * 2017-06-19 2017-12-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1865501B1 (ko) * 2017-02-22 2018-06-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8875A (ja) * 1988-04-06 1989-10-16 Nippon Steel Corp 抵抗溶接用電極
KR101525018B1 (ko) 2013-12-30 2015-06-02 (주)엠에스오토텍 스틸 소재와 이종 소재의 접합장치 및 방법
KR101545856B1 (ko) * 2014-01-21 2015-08-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진동 스폿 용접장치 및 진동 스폿 용접방법
KR101865501B1 (ko) * 2017-02-22 2018-06-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20170134275A (ko) * 2017-06-19 2017-12-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1416A1 (en) Spot welding apparatus and spot welding method
KR20110076441A (ko) 스폿용접용 클램핑 지그
KR20180118821A (ko) 저항 스폿 용접 방법 및 용접 구조물
CN105215259B (zh) 用于链条焊接机的墩锻装置和链条焊接机
JPWO2017073793A1 (ja) 可動加圧部材を有するスポット溶接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スポット溶接方法
KR101949368B1 (ko) 삼중 복합 전극팁 및 병렬형 삼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1925347B1 (ko) 스폿용접 대상물 클램프장치
JP2005515074A5 (ko)
KR101953998B1 (ko) 다중 전류공급 및 다중 가압에 의한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102030774B1 (ko) 유도가열 이중복합전극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KR20200019383A (ko) 유도가열 및 표면회전마찰에 의한 중첩금속판재의 전기저항 선용접기 및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N107498166B (zh) 链锯导板错位点焊设备
KR101865483B1 (ko) 이종금속판재 스폿용접기 및 이종금속판재 스폿용접방법
US29478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ss core sandwich welding
JP7306900B2 (ja) 溶接ガン及び溶接方法
US1635583A (en) Electric welding apparatus
KR101147043B1 (ko)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CN208513964U (zh) 一种空气悬挂托座支架定位组焊专用工装
JP2014124679A (ja) スポット溶接装置
KR200417343Y1 (ko) 도어프레임용 스폿용접기
KR101317324B1 (ko) 튜브 핀 결합체의 레일형 용접 장치
KR101865501B1 (ko)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JP2007175747A (ja) スポット溶接装置
CN206373555U (zh) 一种铜铝连接管焊机工装
CN105033432B (zh) 一种多点连续点焊设备及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