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556B1 -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556B1
KR102140556B1 KR1020180118634A KR20180118634A KR102140556B1 KR 102140556 B1 KR102140556 B1 KR 102140556B1 KR 1020180118634 A KR1020180118634 A KR 1020180118634A KR 20180118634 A KR20180118634 A KR 20180118634A KR 102140556 B1 KR102140556 B1 KR 10214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block
cam
jaw
stor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139A (ko
Inventor
최보름
Original Assignee
최보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름 filed Critical 최보름
Priority to KR102018011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H01M2/266
    • H01M2/2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01M50/541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전지의 제조 조립 공정 구간 중에서 특히 축전지에 구성될 스트랩들 간의 용접공정 구간에 갖추어진 챔버의 설비에 상기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가 조합설치되되, 상기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있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조립된 채로 회전되는 캠부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캠부에 조립된 채 상기 캠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한 쌍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가 수평으로 근접 슬라이드 되며 축전지에 구성된 마주보는 스트랩을 가압하여 통전에 의한 열로 상기 스트랩 상호를 용접하게 되는 특징을 갖는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device for strap junction of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지에서 개별 극판들의 집결을 통한 하나의 극판군을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스트랩들의 상호 간 접합을 자동화로 구현하기 위한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는 도면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케이스(1),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된 극판(20)들, 상기 극판(20)들을 하나의 극판군(2)으로 만들기 위한 스트랩(3),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된 양극(+) 및 음극(-) 단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전지는 그 제조 공정 과정에서 케이스(1)는 그 내부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배열 형성된 셀칸막이(11)들과 상기 셀칸막이들의 사이로 형성된 셀공간(10)들로 구성되고, 이러한 상기 셀칸막이(11)들로 개별 극판군(2)들이 삽입되어 상기 셀칸막이(11)들의 중앙 혹은 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의 스트랩(3)들에 의해 개별 극판군(2)들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트랩(3)은 축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케이스(1)의 내부에 구성된 셀칸막이(11)들의 중앙 혹은 측면 상부를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호 간 연결되어야 하는 공정이 요구되는바, 예컨대 임의의 한 셀칸막이(11)를 기준으로 중앙 혹은 측면의 상부 부근으로 통공(11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통공(11a)이 형성된 셀칸막이(11)의 좌우면에 해당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스트랩(3)이 서로 밀착되면서 통전에 의한 가열로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도록, 그 공정에 수반되는 장치를 통하여 스트랩(3)의 용접 공정이 수행되고 있다.
스트랩(3)의 연결 공정을 위한 장치는 예컨대 보편적으로 유압장치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으나, 이러한 유압장치는 유압의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유압 원료 액의 누수로 인한 조건 변화의 여지도 많은 관계로, 유압장치의 동작 구동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스트랩(3) 용접에서의 하자나 흠 발생에 따른 불량으로 축전지의 완제품 불량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유압장치는 더욱이 냉각유닛이나 펌프 등 그 주변 장치나 부품들도 함께 필요한 관계로 전체 장치의 구조가 복잡화되고 펌프와 같은 설비의 소음으로 제조 공정의 환경을 저해할 수 있으며, 기존 용접헤드의 호환도 어렵고, 장치를 갖추기 위한 소모 비용마저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하기에 개시된 선행기술문헌들은 축전지에 구성되는 스트랩의 연결 공정에 요구되는 장치와 관련된 특허문헌들임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 등록특허 제10-1115289호(등록일자 2012. 02. 06) 특허문헌 002 : 등록특허 제10-1147043호(등록일자 2012. 05. 10) 특허문헌 003 : 등록특허 제10-1340263호(등록일자 2013. 12. 04) 특허문헌 004 : 등록특허 제10-1369519호(등록일자 2014. 02. 25) 특허문헌 005 : 등록특허 제10-0611365호(등록일자 2006. 08. 03) 특허문헌 006 : 등록특허 제10-1437823호(등록일자 2014. 08. 29)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축전지에 구성된 스트랩 상호 간의 용접에 요구되는 기계적 구동의 안전성 및 축전지 완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자 하는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조립된 채로 회전되는 캠부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캠부에 조립된 채 상기 캠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한 쌍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가 수평으로 근접 슬라이드 되며 축전지에 구성된 마주보는 스트랩을 가압하여 통전에 의한 열로 상기 스트랩 상호를 용접하게 되며; 상기 모터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모터에 구성된 축봉 및 상기 캠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를 저부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기 위한 캠컵회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컵회전체는 상기 모터에 구성된 축봉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을 형성한 돌출회전부재, 및 상기 돌출회전부재의 하부에 연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회전부재와 함께 동시 회전되는 동작을 통해 저면에 삽입된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유도하는 슬라이드유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는, 저면의 중심 주위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서 수직 상으로 일정 지점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제1,2 아크 관통공,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의 사이에서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의 형성 지점에 이르기까지 저면에서 수직 상으로 형성된 타원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는, 그 상단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 물림홈, 및 그 내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마주보는 스트랩들을 수평으로 가압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의 외주 및 상기 돌기의 각 외주에는 롤러로서 니들롤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모터의 상기 축봉에서부터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돌출회전부재에 이르기까지 수용하여 이들 상기 축봉 및 상기 돌출회전부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2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단에서부터 수직 하부의 일정 지점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의 형성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폐쇄된 폐쇄바닥, 상기 폐쇄바닥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채로 관통되어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의 상단에 구성된 각 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에 삽입 연결하며 상기 각 돌기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2 가이드홀, 및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의 양측에 각각 구성된 물림홈들에 물리는 물림턱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의 수평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조 가이드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봉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 구동의 부하를 감소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용접 완료시, 정회전 상태에 있던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돌출회전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사이로 개재되어 압축 상태에 있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간 수평으로 이격(멀어지는) 슬라이드 되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수평 슬라이드 힘을 통해 역회전되며 원위치로 복귀되는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지에 구성되는 스트랩 상호 간의 용접을 기계적 구동의 무리 없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지에 구성되는 스트랩 상호 간의 용접에 요구되는 기계적 구동의 안정화로 축전지 완제품의 불량률이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 조(jaw)의 이동속도, 단계적 이동, 이동거리, 전류를 인가하는 거리값을 셋팅할 수 있어 보다 나은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지에 구성되는 스트랩 상호 간의 용접에 요구되는 설비가 간단하고도 심플하게 구성될 수 있는 관계로, 설비의 구매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축전지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축전지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축전지의 내부에 극판군들 및 스트랩들의 설치 배열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축전지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3은 축전지의 제조공정에 있어 스트랩들의 용접공정 구간에 구축된 챔버 설비에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가 조립 구성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정면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의 구성품들을 입체적으로 분리하여 도시한 입체 분리 사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캠부의 저부 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캠부의 사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2 몸체에 캠부 및 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캠부의 캠컵회전체 정방향 회전 동작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의 근접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도시한 캠부 및 조의 입체적 개념의 동작 상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2 몸체에 캠부 및 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캠부의 캠컵회전체 역방향 회전 동작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의 이격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도시한 캠부 및 조의 입체적 개념의 동작 상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2 몸체에 캠부 및 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캠부의 캠컵회전체 정방향 회전 동작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의 근접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도 8에 비해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캠부, 몸체부의 제2 몸체, 및 조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2 몸체에 캠부 및 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캠부의 캠컵회전체 역방향 회전 동작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상호 간의 이격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도 9에 비해 더욱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캠부, 몸체부의 제2 몸체, 및 조의 중앙을 수직으로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캠부의 캠컵회전체인 슬라이드유도부재의 정방향 회전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에 각각 구성된 각 돌기 상호 간의 근접 슬라이드 동작 및 슬라이드유도부재의 역방향 회전에 따른 조의 제1,2 슬라이드블록에 각각 구성된 각 돌기 상호 간의 이격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캠부의 회전 이격조절부재를 수평으로 절삭하여 그 평면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그 일례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는, 축전지의 제조 공정 중 용접 공정의 구간에 갖추어진 설비에 접목되어 활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설비는 프레임 골조형의 챔버(C)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C)에는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의 승강 구현을 위한 수단들이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수단들은 예컨대 도 3 및 4와 같이 상기 챔버(C)의 내측 하부에서 축전지를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가 설치된 이송로(M), 상기 챔버(C)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된 제1 구동부(C1) 및 제2 구동부(C2), 상기 제1,2 구동부(C1)(C2)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승강축(C1a)(C2a), 및 상기 승강축(C1a)(C2a)을 기준으로 그 좌우 인접한 부위로 나란히 수직으로 배열된 가이드(G1)(G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승강축(C1a)(C2a) 및 상기 가이드(G1)(G2)에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가 물리는 구조로 접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는 프레임 골조형의 챔버(C)에서 한 쌍으로 접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관하여 하기에서 상세한 설명에 있어 한 쌍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며, 이러한 상기 챔버(C)에 구성된 수단들을 통해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는 승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관계로 수단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되지 아니할 것이다.
축전지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케이스(1) 및 극판군(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1)의 경우 여러 개의 셀칸막이(11)들과 상기 셀칸막이들의 사이로 형성된 셀공간(10)들로 구성되며, 상기 셀공간들에는 각각 극판군(2)들이 삽입되되 스트랩(3)들에 의해 서로 접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극판군(2)은 스트랩(3)에 여러 장의 극판(20)들이 스트랩(3)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덩어리이다.
즉, 상기 극판군(2)은 여러 극판(20)들이 스트랩(3)에 의해 집결된 하나의 집합덩어리로서, 도 2와 같이 임의의 어느 하나의 극판(20a)이 납(Pb) 재질의 음극(-)이라면, 그 인접한 임의의 다른 하나의 극판(20b)은 과산화납(PbO2) 재질의 양극(+)이고, 이들 극판(20)들의 사이로 격리판(20c)이 배치되는 구조이면서, 전해질은 황산(H2SO4)로 이루어진 2차 전지의 납축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납축전지는 예컨대 그 화학 반응에 있어, 양극은 PbO2 + SO4 2- + 4H+ + 2e- -> PbSO4 + 2H2O 이고, 음극은 Pb + SO4 2- -> PbSO4 + 2e- 이며, 전체반응은 Pb + PbO2 + 2H2SO4 -> 2PbSO4 + 2H2O 이다.
극판군(2)을 구성하는 개별 극판(20)들은 상호 간에 음극과 양극으로 구성되는바, 예컨대 임의의 어느 하나의 극판(20)은 납(Pb)의 음극(-)이고 그 인접한 극판(20)은 이산화납(PbO2)의 양극(+)으로 구성되며 전해질은 묽은 황산(H2SO4)로 이루어진 2차 전지의 납 축전지일 수 있다.
상기 스트랩(3)들은 상기 케이스(1)의 셀칸막이(11)들의 중앙 상부 부위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호 간 접지되는 구조인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셀칸막이(11)들의 중앙 상부 부위별로는 각각 관통된 통공(11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통공(11a)들을 기준으로 셀칸막이(11)들의 좌우면 즉 일측과 타측면에서 스트랩(3)들이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상호 간 가압되며 용접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00), 감속기(110), 몸체부(200), 캠부(300), 및 조(40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00)는 그 중앙에 축 구성된 축봉(111)에 결합되는 캠부(300)에 대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110)는 상기 모터(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봉(111)의 회전을 감속하게 되고,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감속기(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캠부(200)의 외부에서 상기 캠부(20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200)는 제1 몸체(210) 및 제2 몸체(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몸체(210)는 예컨대 원통형으로서 그 내부는 관통된 중공(211)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2 몸체(220)는 상기 제1 몸체(210)의 하단에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각 상자형으로서 그 내부의 일정 깊이에 이르는 폐쇄바닥(222)에 이르기까지 수용공간(221)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측면의 일측 부위에서부터 타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조(jaw) 가이드로(22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몸체(220)는 상기 폐쇄바닥(222)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관통된 제1 가이드홀(223) 및 제2 가이드홀(2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제1 가이드홀(223) 및 제2 가이드홀(224)은 상기의 조(jaw) 가이드로(225)와 연통되어 있다. 특히, 상기 조(jaw) 가이드로(225)는 양 측면의 길이를 따라 물림턱(225a)(225b)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캠부(300)는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캠컵회전체(310)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캠컵회전체(310)는 원통 형태로서 상기 축봉(111)과 결합될 수 있게 그 중앙에 결합공(311a)을 형성한 돌출회전부재(311)와 상기 돌출회전부재의 하부로 연속되어 원반형 형태를 갖되 후술될 조(400)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에 구성된 각 돌기(411)(421)를 저면에서부터 수용하는 슬라이드유도부재(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312)는 도 7 및 도 12와 같이 저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제1 아크 관통공(312b) 및 제2 아크 관통공(312c)과 함께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사이에 해당하는 즉 저면의 중앙으로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형성에 따른 타원축부(312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아크 관통공(312b)는 그 중앙지점(312b-1), 일측지점(312b-2), 및 타측지점(312b-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아크 관통공(312b)의 전체적 형상은 아크형 즉 곡률을 이룬 호(弧) 형태이되 바람직하게는 열호(劣弧) 형태이다.
상기 제2 아크 관통공(312c)도 상기 제1 아크 관통공(312b)과 대응되는 중앙지점(312c-1), 일측지점(312c-2), 및 타측지점(312c-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아크 관통공(312c)의 전체적 형상도 호(弧) 형태이되 바람직하게는 열호(劣弧) 형태이다.
상기 타원축부(312a)는 도 12와 같이 상기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형성에 따라 타원 형태의 축으로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저면 중앙에서부터 소정의 수직상으로 형성되어있되, 상기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일측지점(312b-2)(312c-2)과 대응되는 그 사이로는 일측협폭구간(狹幅, 312ab), 상기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타측지점(312b-3)(312c-3)과 대응되는 그 사이로는 타측협폭구간(狹幅, 312ac), 상기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중앙지점(312b-1)(312c-1)과 대응되는 그 사이로는 중앙광폭구간(狹幅, 312a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일측지점(312b-2)(312c-2) 간의 거리가 가까운 관계로 즉, 상기 타원축부(312a)의 일측협폭구간(狹幅, 312ab)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타측지점(312b-3)(312c-3) 간의 거리도 가까운 관계로 즉, 상기 타원축부(312a)의 타측협폭구간(狹幅, 312ac)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중앙지점(312b-1)(312c-1) 간의 거리는 먼 관계로 즉, 상기 타원축부(312a)의 중앙광폭구간(狹幅, 312a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400)는 상기 캠부(300)의 캠컵회전체(310) 하부에 구성되는바, 이러한 상기 조(400)는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블록 조(jaw, 4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성으로서,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블록 조(jaw, 420)는 각각 서로 소정의 간격 범위 내에서 근접(가까워지는)되거나 이격(멀어지는)되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블록 조(jaw, 420)는 상기 캠부(300)의 캠컵회전체(310)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에 근거하여 상호 간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블록 조(jaw, 420)는 서로 대칭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에는 수직 상으로 돌출된 돌기(411), 좌우측에 형성된 물림홈(412), 내측에 결합고정된 가압편(41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 조(jaw, 420)에도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의 구성들과 대응되는 수직 상으로 돌출된 돌기(421), 좌우측에 형성된 물림홈(422), 내측에 결합고정된 가압편(4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각 돌기(411)(421)들은 상술된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 속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의 각 물림홈(412)(422)은 상술된 제2 몸체(220)의 조(jaw) 가이드로(225)에 형성된 물림턱(225a)(225b)에 걸려 있고, 상기 가압편(413)(423)에는 그 하단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가압포인트(413a)(423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돌기(411)(421)들은 도면 8 내지 도면 11과 같이 상술된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 속으로 수용되어 캠컵회전체(310)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작시, 상기 각 돌기(411)(421)들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을 통해 제어되며 수평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각 돌기(411)(421)들의 수평 슬라이드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jaw, 420)는 상술된 조(jaw) 가이드로(225)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드 되며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돌기(411)(421)들은 각각 그 상단에 롤러(411R)(421R)들이 씌워지는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기의 롤러(411R)(421R)들은 회전하는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에 의해 접촉제어되는 각 돌기(411)(421)들의 접촉성을 자유롭고도 유연한 접촉성으로 유도함에 일조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드블록 조(jaw, 420)에는 모터(100)의 회전 구동에 대한 부하를 덜기 위하여 스프링이 더 개재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미도시되었다.
즉, 모터(100)의 구동에 의한 캠컵회전체(310)의 정회전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jaw, 420)들은 도면 8 및 10과 같이 서로 가까워지는 즉 상호 간 근접되는 수평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반면, 이와 같이 상호 간 근접된 상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jaw, 420)들은 상기의 모터(100) 구동과 무관하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으로 도면 9 및 도면 11과 같이 상호 간 멀어지는 수평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근거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jaw, 420)들의 상호 간 멀어지는 수평 슬라이드 힘에 의해, 정회전 상태의 캠컵회전체(310)는 다시 역회전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jaw, 420)들의 상호 간 멀어지는 수평 슬라이드 동작은 돌기(411)(421)들의 상호 간 멀어지는 수평 슬라드 동작을 의미하는바, 이러한 돌기(411)(421)들의 수평 슬라이드 힘에 의해 상기 캠컵회전체(310)가 역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수평 슬라이드 동작은 축전지에서 서로 마주보는 스트랩(3)들을 가압하며 통전에 의한 열로 상기 스트랩(3)들을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즉, 축전지가 용접 공정에 갖추어진 챔버(C) 설비의 이송로(M)를 통하여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에 위치되어 정지하게 되면, 상기 축전지는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들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들은 그 사이에 위치된 마주보는 스트랩(3)들을 향한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드 동작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가압편(413)(423)들에 의해 마주보는 상기 스트랩(3)들이 가압되고, 상기 각 가압편(413)(423)들의 하단 내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포인트(413a)(423a)들은 마주보는 상기 스트랩(3)에 형성된 함몰부위(3P)를 통전에 의한 열로 녹여 마주보는 상기 스트랩(3)들끼리 균일하게 용접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에 대하여 그 작동을 일례로 설명하자면 하기와 같다.
챔버(C)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이송로(M)를 통하여 축전지가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드블록 조(jaw, 420)의 사이로 도착하여 정지하게 되면,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와 제2 슬라이드블록 조(jaw, 420)의 각 가압편(413)(423)들에 구성된 가압포인트(413a)(423a)들이 축전지에 구성된 마주보는 스트랩(3)의 함몰부위(3P)의 수평 위치와 일치하기까지, 본 발명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가 하강하게 된다.
곧, 모터(100)의 구동으로 축봉(111)이 정회전 됨과 동시 상기 축봉(111)에 결합된 캠부(300)의 캠컵회전체(310)도 정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축봉(111)은 상기 캠부(300)의 캠컵회전체(310)인 돌출회전부재(311)의 결합공(31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계로 캠컵회전체(310)는 정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캠부(300)는 몸체부(200)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정회전되는데, 이 경우 캠부(300)의 유연한 회전을 위해 캠컵회전체(310)의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둘레로 롤러(300R)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300R)는 몸체부(200)의 제2 몸체(220)에 형성된 수용공간(221)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300R)는 니들롤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가 상기 모터(100)의 축봉(111) 정회전에 따라 동시 정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정회전시, 도면 12를 참고로, 도면 8 및 도면 10과 같이, 조(400)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에 구성된 각 돌기(411)(421)는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제1 아크 관통공(312b) 및 제2 아크 관통공(312c)의 정회전 동작을 통한 접촉 제어로 상호 간에 수평으로 근접하는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 돌기(411)(421)는 슬라이드 과정에서 몸체부(200)의 제2 몸체(220)의 폐쇄바닥(222)에 이격 형성된 제1 가이드홀(223) 및 제2 가이드홀(224)의 밖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제1 가이드홀(223) 및 제2 가이드홀(224)의 홀 범위 내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각 돌기(411)(421)는 제1 가이드홀(223) 및 제2 가이드홀(224)의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위치는 제2 몸체(220)의 수용공간(221) 내부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각 돌기(411)(421)의 슬라이드 근접 동작에 따라 조(400)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도 동시 상호 간 수평으로 근접 슬라이드 되고, 이러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수평 근접 슬라이드 과정에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내측에 고정된 각 가압편(413)(423)들은 마주보는 두 스트랩(3)의 외측편에서 가압하여 두 스트랩(3)을 가압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각 가압편(413)(423)들에 구성된 가압포인트(413a)(423a)들이 접촉된 두 스트랩(3)의 함몰부위(3P)를 통전에 의한 열로 녹여냄으로써, 두 스트랩(3)은 균일하게 용접되어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조(400)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는 제2 몸체(220)에 형성된 조(jaw) 가이드로(225)를 따라 슬라이드 되며 진출입 되는데, 조 가이드로(225)를 따라 진입되는 것이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 상호 간의 수평 근접 슬라이드인 것이며, 조 가이드로(225)를 따라 진출되는 것이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 상호 간의 수평 이격(멀어지는) 슬라이드인 것이다.
한편, 두 스트랩(3)의 균일한 용접이 완료되면, 정회전 상태에 있던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는 도면 12를 참고로, 도면 9 및 도면 11과 같이,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사이로 개재되어 압축 상태에 있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으로 이격(멀어지는) 슬라이드 되는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수평 슬라이드 힘에 의해 역회전되며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물론, 이때 모터(100)는 구동되지 않고서도 상기 스프링(S)의 탄성력을 활용하여 정회전 상태에 있는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역회전을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는 상호 간에 수평 이격(멀어지는) 슬라이드 동작을 통하여 두 가압편(413)(423)들도 동시에 두 스트랩(3))들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용접 상태의 두 스트랩(3)들은 더 이상 가압 상태에 있지 않게 된다.
이로써, 두 스트랩(3)들은 서로 용접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챔버(C)의 이송로(M)를 통하여 축전지가 다른 공정을 향해 이송됨으로써, 두 스트랩(3)들의 용접 공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정회전 동작이나 혹은 역회전 동작에 따라 반응하는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상호 간 수평 근접 슬라이드 동작이나 혹은 상호 간 수평 이격(멀어지는) 슬라이드 동작에 관한 설명을 좀 더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정회전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는 도면 12를 참고로 도면 8 및 도면 10과 같이 상호 간에 근접된 폭 위치에 놓일 수 있게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중앙축에 해당되는 타원축부(312a)의 중앙광폭구간(廣幅, 312aa) 즉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각 중앙지점(312b-1)(312c-1) 간의 거리가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각 돌기(411)(421) 상호 간의 폭 기준 위치에 해당되는 관계로, 상기 각 돌기(411)(421)는 궁극적으로 서로 근접된 위치에 있게 되어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상호 간에도 근접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캠컵회전체(310)의 돌출회전부재(311) 및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역회전시,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는 도면 12를 참고로 도면 9 및 도면 11과 같이 상호 간에 이격(멀어지는)된 폭 위치에 놓일 수 있게 슬라이드유도부재(312)의 중앙축에 해당되는 타원축부(312a)의 일측협폭구간(狹幅, 312ab)과 타측협폭구간(狹幅, 312ac) 즉 제1,2 아크 관통공(312b)(312c)의 일측지점(312b-2)(312c-2)과 타측지점(312b-3)(312c-3) 간의 거리가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각 돌기(411)(421) 상호 간의 폭 기준 위치에 해당되는 관계로, 상기 각 돌기(411)(421)는 궁극적으로 서로 이격(멀어지는)된 위치에 있게 되어 제1,2 슬라이드블록 조(410)(420)의 상호 간에도 이격(멀어지는)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모터(100),
몸체부(200),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캠부(300), 캠컵회전체(310), 돌출회전부재(311),
슬라이드유도부재(312)
조(400), 제1 슬라이드블록 조(jaw, 410),
제2 슬라이드블록 조(jaw, 420)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모터에 조립된 채로 회전되는 캠부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캠부에 조립된 채 상기 캠부의 회전과 연동되는 한 쌍의 제1,2 슬라이드블록 조가 수평으로 근접 슬라이드 되며 축전지에 구성된 마주보는 스트랩을 가압하여 통전에 의한 열로 상기 스트랩 상호를 용접하게 되며,
    상기 모터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모터에 구성된 축봉 및 상기 캠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를 저부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기 위한 캠컵회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캠컵회전체는 상기 모터에 구성된 축봉과 결합되기 위해 결합공을 형성한 돌출회전부재; 및 상기 돌출회전부재의 하부에 연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회전부재와 함께 동시 회전되는 동작을 통해 저면에 삽입된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를 수평으로 슬라이드 유도하는 슬라이드유도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는, 저면의 중심 주위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서 수직 상으로 일정 지점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형성된 제1,2 아크 관통공;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의 사이에서 상기 제1,2 아크 관통공의 형성 지점에 이르기까지 저면에서 수직 상으로 형성된 타원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는, 그 상단에 각각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 물림홈; 및 그 내측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마주보는 스트랩들을 수평으로 가압하는 가압편;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의 외주 및 상기 돌기의 각 외주에는 롤러로서 니들롤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모터의 상기 축봉에서부터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돌출회전부재에 이르기까지 수용하여 이들 상기 축봉 및 상기 돌출회전부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단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제2 몸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단에서부터 수직 하부의 일정 지점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의 형성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폐쇄된 폐쇄바닥; 상기 폐쇄바닥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채로 관통되어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의 상단에 구성된 각 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에 삽입 연결하며 상기 각 돌기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2 가이드홀; 및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의 양측에 각각 구성된 물림홈들에 물리는 물림턱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2 슬라이드 블록 조의 수평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는 조 가이드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축봉의 회전을 감속하는 감속기; 및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 구동의 부하를 감소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용접 완료시, 정회전 상태에 있던 상기 캠컵회전체의 상기 돌출회전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유도부재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사이로 개재되어 압축 상태에 있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간 수평으로 이격 슬라이드 되는 상기 제1,2 슬라이드블록 조의 수평 슬라이드 힘을 통해 역회전되며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KR1020180118634A 2018-10-05 2018-10-05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KR10214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34A KR102140556B1 (ko) 2018-10-05 2018-10-05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34A KR102140556B1 (ko) 2018-10-05 2018-10-05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39A KR20200039139A (ko) 2020-04-16
KR102140556B1 true KR102140556B1 (ko) 2020-08-03

Family

ID=7045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34A KR102140556B1 (ko) 2018-10-05 2018-10-05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118A (ja) * 2003-08-08 2005-03-10 Taiyo Ltd 電動ハンド
KR100611365B1 (ko) 2004-11-17 2006-08-11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KR101115289B1 (ko) 2010-02-26 2012-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셀의 전기결합장치
KR101147043B1 (ko) 2004-08-02 2012-05-17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1340263B1 (ko) 2012-01-18 2013-12-10 세방전지(주) 더블 팁을 구비한 용접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용접장치
KR101369519B1 (ko) 2012-02-13 2014-03-06 세방전지(주)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1437823B1 (ko) 2014-03-19 2014-09-04 (주)제이엔엘테크 축전지 극판 조립체용 스폿용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504A (ko) * 2007-07-26 2009-02-02 임주생 차량 또는 중장비용 초음파모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118A (ja) * 2003-08-08 2005-03-10 Taiyo Ltd 電動ハンド
KR101147043B1 (ko) 2004-08-02 2012-05-17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조립체 연결단자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0611365B1 (ko) 2004-11-17 2006-08-11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셀 자동용접장치
KR101115289B1 (ko) 2010-02-26 2012-02-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셀의 전기결합장치
KR101340263B1 (ko) 2012-01-18 2013-12-10 세방전지(주) 더블 팁을 구비한 용접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용접장치
KR101369519B1 (ko) 2012-02-13 2014-03-06 세방전지(주) 축전지 극판조립체의 스포트용접장치
KR101437823B1 (ko) 2014-03-19 2014-09-04 (주)제이엔엘테크 축전지 극판 조립체용 스폿용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39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7503B2 (ja) シート積層装置およびシート積層方法
KR20170117681A (ko) 전지셀에 접착테이프를 부착 가능한 테이핑 장치
DE102013205574A1 (de) Handhabung grossformatiger zellen zum schnellen zusammenbau
US20200365863A1 (en) Automatic pressure jig device for bringing electrode lead into close contact with busbar,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KR20200123708A (ko) 프레임 용접기용 지그장치
KR102140556B1 (ko) 축전지의 스트랩 접합용 장치
JP2015022915A (ja) 二次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体
JP5090027B2 (ja) 切断装置
US20240222678A1 (en) Production device for resin framed electrode foil
CN106663752A (zh) 具有带模制井的铅酸电池
US11982686B2 (en) Electrode lead gripper for pressure activation device
JP4964820B2 (ja) 巻回素子のプレス装置
CN207188535U (zh) 一种锂离子电池极耳弯折装置
CN214382931U (zh) 一种铅酸蓄电池铸焊设备
CN211682160U (zh) 一种用于锂电池夹取变距的机械手装置
JP6135351B2 (ja) 二次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体、並びに二次電池の固定方法
CN108544078B (zh) 一种铅酸蓄电池连接端的焊接设备
EP3168903A1 (en) Mask device for welding
CN108163527B (zh) 一种用于圆柱形锂电池转盒的翻转机
CN112310460A (zh) 电芯的流转夹具、设备及方法
KR20160145278A (ko) 전지팩의 bmu 용접 장치
CN218927559U (zh) 电芯夹具及电芯静置装置
CN219155558U (zh) 一种带铆钉上料的盖板换向装置
CN114535804B (zh) 一种锂电池并联焊接用智能焊接设备及方法
US20240097174A1 (en)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system having a multi-packag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