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303B1 -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 - Google Patents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303B1
KR101368303B1 KR1020087026627A KR20087026627A KR101368303B1 KR 101368303 B1 KR101368303 B1 KR 101368303B1 KR 1020087026627 A KR1020087026627 A KR 1020087026627A KR 20087026627 A KR20087026627 A KR 20087026627A KR 101368303 B1 KR101368303 B1 KR 10136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ylinder
needle
cylinder
heel
ac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117A (ko
Inventor
얀 안도
Original Assignee
로나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나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로나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9000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two opposed needle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needle cylinders for purl work or for Links-Links loop 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는, 수직 축을 가지는 하부 니들 실린더(1) 및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와 관련해서 위에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니들 실린더(1')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위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위에 서로 정렬된 축 슬롯(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의 각각의 축 슬롯(2)은 가동될 니들(6)과 맞물릴 수 있는 액추에이션 요소(10)를 수용하고, 고정된 힐(3a) 및 힐(4a)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된 힐(3a)은 축 슬롯(2)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힐(4a)은 지령에 따라 상기 축 슬롯(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축될 수 있다. 액추에이션 요소(10)를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캠(8, 8'; 9, 9')은 하부 니들 실린더(1) 주위 및 상부 니들 실린더 주위(1')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된 힐(3a)에 의해 그리고 상기 가동 힐(4a)에 의해 상기 신축된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다. 하나의 니들 실린더(1)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1')로의 전달은 고정된 캠(51, 52) 및 선택 장치(23)에 의해 수행되고, 이것은 하부 니들 실린더(1)로 이동되어야 하는 니들(6)에 대응하는 액추에이션 요소(10)의 가동 힐(4a)의 신축된 위치로의 배타적 전환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OTHER KNITTED ARTICLES}
본 발명은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양말용 더블-실린더 환편기는 수직 축을 가지는 하부 니들 실린더 및 상기 하부 니들 니들 실린더와 관련해서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니들 실린더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며, 이러한 실린더들은 공통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서로 단단하게 액추에이팅 가능하다.
복수의 축 슬롯은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상에 그리고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상부 니들 실린더의 축 슬롯은 하부 니들 실린더의 축 슬롯에 정렬된다. 일반적으로 하부 니들 실린더의 각각의 축 슬롯은 선택기 및 슬라이더를 저부로부터 시작하여 수용하는 반면, 상부 니들 실린더의 각각의 축 슬롯은 슬라이더를 수용한다. 2개의 니들 실린더 사이에는, 즉 편물 영역에는, 축 슬롯마다, 2개의 팁 또는 각각 상부 헤드 및 하부 헤드로 이루어진 헤드를 구비하는 니들이 있으며; 평뜨기(plain stitch)를 제공하기를 원하느냐 또는 안뜨기(purl stitch)를 제공하기를 원하느냐에 따라, 이러한 니들은 그 상부 팁과 함께 짜지도록 하부 니들 실린더로 이동되거나 또는 그 하부 팁과 함께 짜지도록 상부 니들 실 린더로 이동된다.
니들은 힐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하부 니들 실린더에 의해서 배치된 슬라이더에 의해 또는 상부 니들 실린더에 의해 배치된 슬라이더에 의해, 안뜨기를 형성해야하느냐 또는 평뜨기를 형성해야 하느냐에 따라, 액추에이팅 된다.
양말용 더블-실린더 환편기에 현재 사용되는 슬라이더는 일반적으로 긴 박층의 본체에 의해 구성되는 데, 이 긴 박층의 본체는,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상에 또는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상에 형성된 축 슬롯의 저부 상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를 가진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2개의 힐을 더 구비하며, 이 2개의 힐은 슬라이더의 길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슬라이더의 제2 길이 방향의 사이드로부터 횡단하여 돌출한다.
이들 힐을 사용하여 하부 또는 상부 니들 실린더의 대응하는 축 슬롯을 따라 슬라이더의 이동을 생성함으로써 환편기의 다양한 유형의 편물에서의 상기 슬라이더와 관련된 니들의 액추에이션을 일으키거나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이동을 생성한다.
슬라이더는, 그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 상에, 즉 그 내부에 수용되는 축 슬롯의 저부 쪽으로 향하는 그 사이드 상에, 후크-형상의 탭을 더 구비하며, 상기 후크-형상의 탭은 슬라이더가 하부 니들 실린더 내에 있느냐 또는 상부 니들 실린더 내에 있느냐에 따라 니들의 하부 헤드 또는 상부 헤드와 맞물린다.
복수의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이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의 주위 및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의 주위에 있으며, 이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은 이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과 관련해서 자신들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니들 실린더가 액추에이팅 될 때 슬라이더의 힐이 맞물리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캠에 의해 형성된 경로는,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니들 실린더의 축 슬롯을 따라 슬라이더의 이동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와 관련된 니들의 액추에이션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현재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실린더 환편기에서는, 슬라이더의 힐을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많은 캠들이, 니들 실린더와 관련해서 방사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활성 위치로부터 비활성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추가의 캠들이 슬라이더의 힐에 의해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니들 실린더에 가까이에 있으며,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추가의 캠들이 니들의 또는 슬라이더의 힐에 간섭하지 않도록 니들 실린더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슬라이더의 힐의 경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환편기가 수행할 수 있는 편물의 유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환편기에서는, 상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하부 니들 실린더로 또는 그 반대로 니들을 전달하기 위해, 지령에 따라 니들 실린더들의 축 쪽으로 또는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하는 데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이 사용될 때,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에 대향하는,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대응하는 슬라이더를 적절하게 제공된 선택 장치 를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하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상부 니들 실린더로 전달되어야 하는 니들이 미리 선택되고, 전달 동작에 요구되는 슬라이더의 액추에이션 캠은 활성 위치로 이동된다.
이어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 모두는, 자신들의 힐 중 하나에 의해, 제1 하부 가동 리프팅 캠 및 제1 상부 가동 로워링 캠과 맞물려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는 서로 가깝게 이동하여, 대응하는 니들의 헤드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에 다다른다. 이 상호 접근은, 대응하는 니들의 헤드와 맞물릴 수 있는 슬라이더의 엔드의 특별한 형상의 결과로서, 니들 실린더의 환형면 상에서, 즉 대응하는 니들과 맞물리지 않았던 슬라이더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을 생성하여, 대응하는 니들과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이들 슬라이더는 고정된 프레서들과 맞물리는 데, 이 프레서들은, 니들 실린더의 측면과 측면으로 대향하고 반대의 방향으로 슬라이더들의 진동을 일으켜서, 즉 니들과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의 저부 쪽으로 이동시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 모두의 니들의 헤드들과 동시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는 다른 프레서와 맞물리는 데, 이 다른 프레서는,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과 대향하고,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의 진동을 생성하고, 니들의 상부 헤드와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니들의 상기 상부 헤드로부터 슬라이더들을 맞물림 해제시킨다. 그러므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은 로워링(lowering)을 생성하는 제1 하부 가동 로워링 캠과 맞물리는 반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은 상부 고정 리프팅 캠과 맞물린다. 이 방법에서, 니들은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와 배타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제1 하부 가동 로워링 캠 직후에는, 이전에 선택된 슬라이더들, 즉 하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상부 니들 실린더로 대응하는 니들을 전달해야만 하는 슬라이더들이 대응하는 선택기에 의해 상승되어야만 하는 반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은 제2 상부 가동 로워링 캠의 가동에 의해 낮춰진다. 이 로워링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와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의 리프팅에 의해 상승된 니들의 헤드와의 맞물림을 달성하고,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의 후속의 진동으로, 니들의 헤드와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그래서 이러한 슬라이더들은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프레서와의 맞물림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진동이 일어나고, 대응하는 니들의 상부 헤드와 맞물린다. 이전에 상승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은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과 대향하는 다른 프레서와 직면하여 자신들의 진동을 일으키며, 뒤이어서 니들의 하부 헤드와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공간을 두게 한다.
그런 다음 니들의 상부 헤드와 맞물렸던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들은,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상부 고정 리프팅 캠과의 맞물림의 결과로서 상승되고,
이 점에서, 하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상부 니들 실린더로 사전 설정된 니들의 전달이 완료되는 반면, 선택되지 않았던 다른 니들은 하부 니들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더들과 맞물린 채 있게 된다.
환편기를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가동 캠의 제공은, 특히, 환편기의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하기 위한 가동 캠의 제공은, 환편기의 액추에이션의 복잡성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전원이 우발적으로 차단되었을 때 환편기의 정확한 재시작을 허용하기 위한 특별한 제어 장치를 채택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종래 타입의 환편기에서, 주로 상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하부 니들 실린더로 모든 니들을 전달함으로써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하는 것은, 상당히 큰 니들 실린더 섹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환편기의 정확한 동작에 필요한 그외의 캠 또는 그외의 장치를 수용해야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종래의 유형의 환편기의 요소에 비해 상당히 간략해진,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캠이 고정된 형태일 수 있는, 즉 전달 시간에서 액추에이팅 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들이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단시간 내에 매우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는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 분명하게 될 이 목적 및 그외 목적은,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더블 실린더 환편기는,
수직 축을 가지는 하부 니들 실린더 및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와 관련해서 위에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니들 실린더; 및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위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위에 형성되는 서로 정렬된 축 슬롯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의 각각의 축 슬롯은 니들을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수용하고,
상기 액추에이션 요소는 그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니들의 헤드와 맞물릴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힐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된 힐은 대응하는 니들 실린더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니들 실린더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캠과 맞물리고, 상기 액추에이션 캠과 관련해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상기 니들 실린더의 액추에이션의 결과로서 상기 고정된 힐이 뒤따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적어도 액추에이션 요소는, 지령에 따라 활성 위치로부터 비활성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는 힐을 구비하고, 상기 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힐이 상기 액추에이션 캠과 맞물리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의 대응하는 축 슬롯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며,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힐이 상기 액추에이션 캠과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의 상기 축 슬롯에 들어가며,
상기 액추에이션 캠과 관련해서 상기 니들 실린더의 회전의 결과로서 상기 액추에이션 캠이 뒤따르는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 대응하는 니들의 상부 헤드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자신을 낮추기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고정 로워링 캠 및 대응하는 니들의 하부 헤드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올리기 위해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하부 고정 리프팅 캠;
- 니들에 대응하는 액추에이션 요소를 하부 니들 실린더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그 가동 힐이 활성 위치에 있게 되는 전달 선택 장치, 및 대응하는 니들의 상부 헤드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개구 프레서;
-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전달 선택 장치에 의해 자신의 가동 힐과 함께 활성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하부 고정 로워링 캠;
-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대응하는 니들의 하부 헤드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기 위해 자신의 가동 힐이 비활성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하부 개구 프레서;
- 존재한다면, 대응하는 니들과의 맞물림을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캠과 맞물릴 수 있고 상부 클로저 프레서; 및
- 상부 니들 실린더에 위치하는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고정 리프팅 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서의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2개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하게 될 것이며, 상기 양호한 실시예는 절대적이지 않다.
도 1은 연결 요소의 힐이 비활성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실린더 환편기의 하부 니들 실린더에 일부에 대한 축 부분도이다.
도 2는 연결 요소의 힐이 활성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실린더 환편기의 하부 니들 실린더에 일부에 대한 축 부분도이다.
도 3은 수평으로 투영되고 니들 실린더 쪽으로 지향된 그 사이드로부터 보여지고, 상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하부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전달 동안 니들의 액추에이션 요소의 힐이 뒤따르는 경로를 하이라이트 시킨, 니들 액추에이션 요소의 액추에이션 캠 세트의 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하게, 상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하부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전달 동안 니들의 액추에이션 요소의 힐이 뒤따르는 경로를 하이라이트 시킨, 니들 액추에이션 요소의 액추에이션 캠 세트의 가능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부분적으로만 도시하고 있으며, 수직 축을 가지는 하부 니들 실린더(1),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와 관련해서 위에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니들 실린더(1')를 포함한다.
복수의 축 슬롯(2)이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슬롯은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될 때 니들(6)용 하부 액추에이션 요소(10)를 수용한다. 양호하게, 상기 하부 액추에이션 소자(10)는 상부로부터 아래로, 전달 싱커(transfer sinker) 또는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를 포함한다.
하부 니들 실린더(1)의 각각의 축 슬롯(2)이 상부 니들 실린더의 축 슬롯과 정렬되도록 복수의 축 슬롯(2)이 상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니들 실린더의 각각의 축 슬롯은 상기 니들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될 때 니들(6)용 대응하는 상부 액추에이션 요소(10')를 수용한다. 양호하게, 상부 액추에이션 요소(10')는 하부로부터 위로, 전달 싱커 또는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하부 니들 실린더(1)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양호하게 제공된다. 축 슬롯 및 상기 축 슬롯 내에 수용된 전술된 요소와 관련해서, 상부 니들 실린더는 실질적으로 하부 니들 실린더처럼 제 공되지만 반대의 위치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부 니들 실린더에 대한 묘사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2개의 니들 실린더 사이에, 즉 편물 영역에서, 각각의 축 슬롯에, 2개의 팁 또는 헤드(6a, 6a'), 즉 하부 헤드(6a) 및 상부 헤드(6a')를 구비하고, 평뜨기(plain stitch)를 제공하기를 원하느냐 또는 안뜨기(purl stitch)를 제공하기를 원하느냐에 따라, 그 상부 팁 또는 헤드(6a')와 함께 짜지도록 하부 니들 실린더(1) 내에서 이동되거나 또는 그 하부 팁(6a) 또는 헤드와 함께 짜지도록 상부 니들 실린더(42)에서 이동되는 니들(6)이 존재한다.
니들(6)은 힐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평뜨기를 해야 하는지 안뜨기를 해야 하는지에 따라 하부 액추에이션 요소(10)에 의해 또는 상부 액추에이션 요소(10')에 의해 액추에이트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3) 내에 배열된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며, 이 상세한 설명에서는, 슬라이더(3')가 니들(6)의 상부 헤드(6a')에 맞물리는 반면 슬라이더(3)는 니들(6)의 하부 헤드(6a)에 맞물릴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요소(3', 4', 5')의 위치가 요소(3, 4, 5)의 위치에 대해 반대이며 상부 니들 실린더(42)의 축 슬롯(43)에 배열된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슬라이더(3)는, 니들(6) 쪽으로 향한 그 길이 방향의 엔드에 인접하여, 본질적으로 종래의 방법으로, 니들(6)의 하부 헤드(6a)에 맞물릴 수 있는 후크-형상의 탭으로 구성된,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는 긴 박층의 본체를 갖는다.
슬라이더(3)는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향하는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 및 그 반대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상에, 고정된 힐(fixed heel)(3a)을 가지며, 상기 고정된 힐(3a)은, 슬라이드(3)의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놓여 있고, 즉,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대해 방사상으로 놓여 있고,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에 대향하는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에 맞물리기 위해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슬라이더(3)는 그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 상에, 그 하부 단부에 인접하여, 경사진 부분(inclined portion)을 포함하며, 이 경사진 부분은, 후크-형상의 탭(7)에 의해 니들(6)의 하부 헤드(6a)에 맞물려지거나 맞물려진 것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하부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슬라이더(3)가 진동할 수 있게 한다.
연결 소자(4)는 긴 박층의 본체를 가지며, 니들(6)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엔드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슬라이더(3)의 길이 방향의 엔드에 연결된다. 연결 요소(4)는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외부 쪽으로 향하는 그 사이드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동 힐(4a)을 갖는다.
연결 요소(4)는 활성 위치로부터 비활성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그 가동 힐(4a)의 전환을 생성하기 위해 슬라이더(3)와 관련해서 하부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할 수 있는 데, 상기 활성 위치에서 가동 힐(4a)은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도록 대응하는 축 슬롯(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가동 힐(4a)이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에 맞물리지 않도록 그 대응하는 축 슬롯(2) 안으로 들어가 있다.
연결 요소(4)는, 연결 요소(4)의 배치의 환형면에 대해 수직인 피봇팅 축(11)을 중심으로, 니들(6)과 맞물릴 수 있는 엔드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슬라이더(3)의 하부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해, 그 상부 길이 방향의 단부와 관련해서, 양호하게 피봇된다. 피봇팅은,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떨어져 지향하는 슬라이더(3)의 사이드 상에 돌출하는 돌출부(12)에 의해, 그리고 상기 돌출부(1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여 연결 요소(4) 내에 형성되는 시트(13)에 의해 양호하게 수행된다.
이 방식에서, 대응하는 액추에이션(8, 9)과 슬라이더(3)와의 배치 또는 연결 요소(4)와의 배치에 의해 생기는 축 슬롯(2)을 따르는 슬라이더(3)와 연결 요소(4)의 슬라이딩 운동에서 슬라이더(3)와 연결 요소(4) 사이에 양측 연결(bilateral connection)이 구축된다.
편리하게도, 연결 요소(4)는 슬라이더(3)에 연결된 그 단부에서, 다른 힐(4b)을 가지며, 이 다른 힐(4b)은 니들 실린더(1)의 외부 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이 다른 힐(4b)은, 슬라이더(3)가 놓여 있는, 하부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슬라이더(3)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밀릴 수 있는 데, 후크 형상의 탭(7)을 구비한 그 길이 방향의 단부의 공간(spacing)을 생성하는 진동의 방향, 즉 니들(6) 쪽으로 향하는 단부를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는 진동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으며, 하부 니들 실린더(1)에서는, 니들(6)의 하부 헤드(6a)와 슬라이더(3)와의 맞물림이 풀리도록 수용된다.
선택기(5) 역시 긴 박층의 본체를 가지며 대응하는 요소(4)와 관련해서 슬라이더(3)의 반대편 사이드 상에 배치된다.
선택기(5)는 환편기의 동작 동안 연결 요소(4)에 의해 상정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상기 축 슬롯(2)의 저부와 상기 연결 요소(4) 사이의 부분(14)에 의해 돌출하여, 선택기(5)에 의해 연결 요소(4) 상에서 항상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기(5)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장치의 작동에 의해, 하부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하여,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연결 요소(4)의 가동 힐(4a)의 통과를 생성할 수 있다.
슬롯(2)의 저부 쪽으로 지향하는 선택기(5)의 사이드는 당연히 상기 선택기(5)가 진동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경사진 부분(15)을 가진다.
선택기(5)는, 선택기가 수용되는 축 슬롯(2)의 저부와 연결 요소(4, 104) 사이에 개재된 부분(14, 114)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진 그 길이 방향의 연장부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 가능한 영역(16a, 16b)을 가지며, 이 영역(16a, 16b)은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밀려, 연결 요소(4)의 상기 진동을 생성하고 이 진동은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가동 힐(4a)의 전환을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압 가능한 영역이 각각 존재하는 데: 슬라이더(3) 쪽으로 지향된 단부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선택기(5)의 길이 방향의 엔드에 위치하는 가압 가능한 영역(16a) 및 중간 영역에 배치된 가압 가능한 영역(16b)이 존재한다.
가압 가능한 영역(16b)은, 선택기(5)의 길이 방향의 방향으로, 환편기의 다양한 선택기에 대해 상이한 연장부를 가질 수 있어서, 상기 가압 가능한 영역(16b, 116b)의 연장부에 따라 선택기들(5)에 대한 다양화할 수 있는 동작이 허용될 수 있다.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연결 요소(4)의 가동 힐(4a)의 전환을 생성하기 위한 선택기(5)의 진동은, 종래 유형의 선택 장치, 예를 들어, 이탈리아 특허 제1,312,277호에 개시된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 문헌에서는 니들-바이-니들 선택(needle-by-needle selection)이 가능하고, 즉 환편기의 다양한 선택기를 서로 독립적으로 액추에이팅할 수 있는데, 특히, 하부 니들 실린더(1)의 2개의 연속적인 축 슬롯(2)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선택기(5)조차도 가능하다.
이 종류의 선택 장치는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과 대향하고 선택기(5)의 길이 방향의 엔드에 배치된 가압 가능한 영역(16a) 상에서 지령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푸셔(pusher) 또는 캠을 구비하며, 이 길이 방향의 엔드는 상기 부분(14)의 반대편에 또는 상기 가압 가능한 영역(16b) 상에 놓여, 비활성 영역으로부터 활성 영역으로 연결 요소(4)의 가동 힐(4a, 104a)의 전환을 생성하는 진동의 방향으로 생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부 니들 실린더(1)의 경우, 5개의 선택 포인트가 있고, 각각의 포인트마다 선택 장치가 있는데, 즉, 선택 장치(21), 선택 장치(22), 선택 장치(23), 및 추가의 선택 장치(25, 25)가 있으며, 상기 선택 장치(21)는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니들 실린더의 하나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편기의 피드(feed) 또는 드롭의 상류에 바로 배치되고, 니들 실린더가 상기 회전 방향으로 액추에이팅 될 때 상기 피드 또는 드롭에서 짜져야 하는 니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선택 포인트(22)는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니들 실린더의 반대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편기의 피드 또는 드롭의 상류에 바로 배치되고, 니들 실린더가 상기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액추에이팅 될 때 상기 피드 또는 드롭에서 짜져야 하는 니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선택 장치(23)는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전달 동안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이하에는 상부 니들 실린더(42)의 축 슬롯 각각에는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가 배치되며, 이것들은 하부 니들 실린더(1)를 참조하여 서술된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처럼 양호하게 제공된다.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를 참조하여 이미 서술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의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선택 장치를, 니들이 상부 니들 실린더에 있을 때 니들을 선택할 필요가 일반적으로 덜 적다는 사실에 입각해서, 선택적으로 더 적은 수의 선택 장치를 상부 니들 실린더(1')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선택 장치는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선택기(5') 상에서 작동하기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에 대향한다. 특히,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실린더의 하나의 회전 방향 을 따라 환편기의 피드 또는 드롭의 상류에 바로 배치된 선택 장치(21)와 유사하고 니들 실린더가 상기 회전 방향에 따라 액추에이팅될 때 상기 피드 또는 드롭에서 상부 니들 실린더에서 짜져야 하는 니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선택 장치 및 상기 2개의 추가의 선택 포인트(24, 25)와 유사한 선택 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니들 실린더(1)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상부 니들 실린더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 및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이 존재하며, 이들 캠은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다.
선택 요소의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 8') 및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 9')은, 환편기의 캠 박스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니들(6)의 액추에이션 요소(10, 10')의 액추에이션 캠 세트를 구성하고, 활성 위치에서 슬라이더(3, 3')의 힐(3a)에 의해 그리고 연결 요소(4, 4')의 가동 힐(4a)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경로들을 형성한다. 이들 경로는 슬라이더(3, 3') 및 연결 요소(4, 4')의 슬라이딩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더(3, 3') 및 연결 요소(4, 4')가 수용되어 있는 대응하는 니들 실린더의 축 슬롯을 따라 이들이 맞물리게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슬라이딩은 예를 들어 하부 니들 실린더(1)로부터 상부 니들 실린더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니들(6)의 전달과 같은, 니들(6)의 부분(part) 상에서 편물(knitting)의 형성을 달성하기 위해 또는 환편기의 그외 동작을 위해 필요하며, 또는 니들 실린더가 상기 캠 박스와 관련해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으로 액추에이팅될 때 슬라이더(3, 3')가 맞물리는 니들(6)을 위한 비활성 상태 또는 비-니팅 상 태(non-knitting condition)"에서 슬라이더(3, 3')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캠 세트는 고정된 캠들로 배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에 유념하라.
도 3 및 도 4는, 니들(6)이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경우, 캠 박스와 관련해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환편기의 니들 실린더의 액추에이션 동안 그리고 반대의 회전 방향으로 환편기의 니들 실린더의 액추에이션 동안 편물을 형성할 수 있는, 피드 또는 드롭에 가까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캠 박스의 가능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요건에 따라 환편기가 복수의 피드 또는 드롭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이, 환편기가 상기 피드 또는 드롭만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며, 상기 요건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니들 실린더의 회전 동안 편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드 또는 드롭에서, 하부 니들 실린더의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에는, 중앙 캠(26), 중앙 보조 캠(47), 신축(또는 리프팅) 캠(28), 및 니들 실린더의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에서의 노크오버 캠(knockover cam)(29), 신축(리프팅) 캠(30) 및 반대 방향으로의 니들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서의 노크오버 캠(31)이 존재한다. 신축(또는 하부) 캠(28') 및 노크오버 캠(29')은 상부 니들 실린더의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들 사이에 표시되어 있다.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들 사이에는, 신축 캠(28)과 중앙 캠(26) 사이에 배치된 수축(또는 하부) 캠(32) 및 신축 캠(30)과 중 앙 캠(26) 사이에 배치된 수축 캠(33)이 있으며, 이 신축 캠(32 및 33)은 연결 요소(4)를 액추에이팅 하는 데 사용되고 따라서 편물의 형성 동안 니들(6)을 액추에이팅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축 캠(32 및 33)은 일체로 형성되지만, 별개의 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부 니들 실린더(42)의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들 사이에는, 액추에이션 캠(28')과 노크오버 캠(29') 사이에 배치된 수축 캠(34), 및 수축 캠(68)이 있으며, 이들 캠은 연결 요소(4')를 액추에이팅 하는 데 사용되고 이에 따라 편물의 형성 동안 니들(6)을 액추에이팅 한다.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 8') 및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 9') 외에, 캠 박스에는,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 8')의 영역 내에 프레서(53, 54, 57, 60)가 있고,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 9')의 영역 내에 프레서(61, 62, 63, 64, 65, 66, 67)가 있으며, 슬라이더 액추에이션 캠(8, 8')과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 9') 사이의 중간 영역 내에는 프레서(55, 58)가 있으며, 이것은 슬라이더(3, 3')와 연결 요소(4, 4') 상에서 각각 작동하여 니들 실린더의 환형면 상에서 자신들의 진동을 일으킨다.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전달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이들 요소들 중 일부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들 프레서는 고정될 수 있는 데, 즉 캠 박스(cam box)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이것들의 동작을 위한 어떠한 액추에이터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연결 요소 액추에이션 캠(9, 9') 사이에는 연결 요소(4, 4')를 액추에이팅 시키기 위해 주로 설계된 캠들 및 이에 따른 슬라이더(3, 3')가 있어서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6)의 전달을 액추에이팅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전달에 주로 전용된 상기 캠들은, 대응하는 니들(6)을 맞물리기 위한 위치에서 슬라이더(3')를 낮추기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고정된 상부 로워링 캠(fixed upper lowering cam)(51), 및 대응하는 니들(6)의 맞물림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더(3)를 올리기 위해 연결 요소(4)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하부 고정 리프팅 캠(lower lifting fixed cam)(52)을 포함한다.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 및 하부 고정 리프팅 캠(52)은 화살표(35)로 표시된 캠 세트와 관련해서 자신들의 소유의 축을 중심으로 니들 실린더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선택 포인트(23)의 상류에 배치된다.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 및 하부 고정 고정 리프팅 캠(52)의 바로 하류에는, 이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캠들과 상기 선택 장치(23) 사이에 프레서들이 있는데, 즉 상부 클로저(closure) 프레서(53) 및 하부 클로저 프레서(54); 임의의 슬라이더(3') 및 슬라이더(3)가 각각 있고, 상기 슬라이더(3') 및 슬라이더(3)는 대응하는 니들(6)의 상부 헤드(6a') 및 하부 헤드(6a)와 맞물릴 수 있는 자신들의 엔드와 함께,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진동하는 상황에서, 상기 프레서와 각각 맞물릴 수 있다.
상부 개구 프레서(55)는 실질적으로 선택 장치(23)와 정렬하고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과 대향하며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의 힐(4b)과 맞물릴 수 있어서 슬라이더(3')의 진동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니들(6) 쪽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선택 장치(23)의 바로 하류에, 화살표 35로 표시된 회전 방향으로 따라 다시,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은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에 의해 대향하고, 이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은 연결 요소(4)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이 연결 요소(4)는 하부 니들 실린더(1)에 위치하고 상기 선택 장치(23)에 의해 활성 위치로 자신들의 가동 힐(4a)과 함께 이동될 수 있었다.
화살표 35로 표시된 회전 방향을 따라 하부 고정 로워링(56)의 시작 직후에, 상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은 상부 클로저 프레서(57)에 의해 대향하고, 이 상부 클로저 프레서(57)는 슬라이더(3')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3')와 맞물릴 수 있어서,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대응하는 니들(6) 쪽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 뒤에, 화살표(35)에 의해 표시된 회전 방향을 따라,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은 하부 개구 프레서(58)와 대향하고, 이 하부 개구 프레서(58)는 연결 요소(4)의 힐(4b)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요소(4)는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되고 비활성 위치에서 자신들의 가동 힐(4a)을 가지며, 즉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과 맞물리지 않는다. 하부 개구 프레서(58)는 슬라이더(3)의 진동을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슬라이더(3)는 하부 개구 프레서(58)와 맞물려서, 대응하는 니들(6) 쪽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단부를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최종적으로, 하부 개구 프레서(58)의 하류에, 다시 화살표(35)로 표시된 회전 방향을 따라, 상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이 상부 고정 리프팅 캠(59)에 의해 대향되고, 이것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의 힐(4a')에 의해 맞물릴 수 있고, 하부 니들 실린더의 측면은 하부 클로저 프레서(60)에 의해 대향되고, 이것은 슬라이더(3)에 의해 맞물릴 수 있어서 하부 개구 프레서(58)가 니들(6) 쪽으로 지향된 자신들의 엔드가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에 가까운 위치로 작동하는 슬라이더(3)를 복귀시킨다.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의 전달의 실행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동작은 이하와 같다.
도 3 및 도 4는 전달 동작 동안 슬라이더(3, 3') 및 이 슬라이더(3, 3')와 관련된 연결 요소(4, 4')의 힐(3a, 4a, 4b)이 뒤따르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요소(4, 4')의 힐(4a)의 활성 위치와 비활성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활성 위치에서의 힐(4a)에 대해서는 검게 하였고, 비활성 위치에 대해서는 검게 하지 않았다.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6)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할 때, 전달 동작의 개시는 선택 장치(25) 및 상부 니들 실린더와 대향하는 대응하는 선택 장치에 의해 액추에이팅 되고, 이것은 하부 니들 실린더와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 4')를 모두 이동시킴으로써 그 힐(4a)이 활성 위치에 있게 하는 반면, 니들 실린더들은 화살표 35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액추에이팅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는 자신의 힐(4a)에 의해 하부 고정 리프팅 캠(52)과 맞물리고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는 자신의 힐(4a)에 의해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과 맞물린다. 연결 요소(4, 4')와 이들 캠(51 및 52)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부 니들 실린더와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3, 3')의 상호 접근이 일어나서, 니들(6)의 대응하는 헤드(6a, 6a')와 관련해서 길이 방향의 엔드와 후크-형상의 탭(7)과의 중첩이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로, 이전에 대응하는 니들(6)과 맞물려 있지 않은 슬라이더(3, 3')는 후크-형상의 탭(7)의 특별한 형상 및 니들(6)의 대응하는 헤드(6a, 6a') 상에서의 자신의 슬라이딩의 결과로서, 환형면 상에서 진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후크-형상의 탭(7)은 슬라이더(3, 3')가 수용되어 있는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진동을 겪은 슬라이더는 하부 클로저 프레서(54) 또는 상부 클로저 프레서(53)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3, 3')의 반대 방향의 진동이 일어나서, 니들의 대응하는 헤드(6a, 6a')와의 맞물림이 일어난다. 이 방법에서, 니들(6)은 슬라이더(3) 및 슬라이더(3')에 의해 동시에 맞물린다.
이 점에서, 선택 포인트(23)에 의해, 하부 니들 실린더로부터 상부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시켜야 하는 연결 요소(4)가 선택된다. 선택 장치(23) 바로 앞에는, 프레서(61)가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의 힐(4a)의 비활성 위치로의 전달을 일으킨다. 선택 장치(24)는,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니들(6)과의 맞물림을 유지해야만 하는 슬라이더(3)에 연결된 연결 요소(4) 상에서 동작하여 상기 니들(6)을 하부 니들 실린더에서 편물하도록 이동시키고,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자신들의 힐(4a)의 전달을 일으킨다.
이 선택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3')는 상부 개구 프레서(55)의 작동을 겪고, 이에 의해 자신들의 후크-형상의 탭(7)이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모든 슬라이더(3')의 진동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활성 위치로 이동된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의 힐(4a)은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과 맞물리고, 이것은 자신들의 낮추기(lowering)를 일으키며 그래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에 의해 맞물리는 니들(6)의 하부 니들 실린더에서 승선(entrainment)을 일으킨다. 이 낮추기가 시작되자마자,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3')는 상부 클로저 프레서(57)와 직면하고,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자신들의 후크-형상의 맞물림 탭(7)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더(3')의 진동을 일으킨다. 이 진동은 대응하는 연결 요소(4)와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과의 맞물림의 결과로서 그 사이에 하부 니들 실린더로 자신들의 하강을 시작한 니들에 대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슬라이더(3')의 후크-형상의 탭(7)과 그 대응하는 니들과의 새로운 맞물림을 생성하며, 이것은 대신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들의 힐에 의해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과 맞물려 있지 않은 하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슬라이더(3)에 의해 맞물린다.
그러므로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과 맞물려 있지 않은 슬라이더(3)는 하부 개구 프레서(58)와 직면하고, 이에 의해 후크-형상의 탭(7)이 그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자신들의 진동을 일으켜서, 상기 슬라이더들(3)을 그 대응하는 니들(6)의 하부 헤드(6a)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연결 요소(4')는 자신들의 힐(4a)에 의해 상부 고정 리프팅 캠(59)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자신들의 상승(rise)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슬라이더(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던 대응하는 니들의 상부 니들 실린더로의 상승도 일으킨다.
이 점에서,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의 니들의 전달이 완료되고, 힐(4b)에 의해 하부 개구 프레서(58)와 연결되어 있던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연결 요소(4)에 연결된 슬라이더(3)는, 다시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하부 클로저 프레서(60)와의 맞물림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되어 있다.
편물 생성에 있어서의 환편기의 동작에 대해서는, 2006년 3월 31일에 출원되고, 동시 계류 중인 이탈리아 특허 출원 MI2006A000628에 개시되어 있다.
가동 액추에이션 캠의 사용에 대해 재분류할 필요 없이 종래 형태의 환편기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른 전달 시퀀스로,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니들 실린더로 니들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는 그 의도된 목적을 완전히 달성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착상해 낸 환편기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허용하며, 이 모든 것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 있고; 모든 상세한 것은 또한 그외 기술적으로 등가의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치수도 요건 및 기술의 상태에 따라 임의적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이탈리아 특허 출원 제MI2006A000636호를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참조에 개시된 내용을 원용한다.
임의의 청구항에 언급된 기술적 특징부에 참조 부호가 붙어 있는 경우, 그 참조 부호는 단지 청구항의 명료함을 높일 목적으로 포함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참조 부호는 그 참조 부호에 의해 예를 들어 식별되는 각각의 요소의 해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laims (13)

  1. 양말 또는 그외 편물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에 있어서,
    수직 축을 가지는 하부 니들 실린더(1) 및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와 관련해서 위에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 상부 니들 실린더(1'); 및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위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의 측면 위에 형성되는 서로 정렬된 축 슬롯(2)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 및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의 각각의 축 슬롯(2)은 니들을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션 요소(10, 10')를 수용하고,
    상기 액추에이션 요소(10, 10')는 그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니들(6)의 헤드(6a, 6a')와 맞물릴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힐(3a)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된 힐(3a)은 대응하는 니들 실린더(1, 1')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니들 실린더(1, 1')의 측면 주위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캠(8, 8'; 9, 9')과 맞물리고, 상기 액추에이션 캠(8, 8'; 9, 9')과 관련해서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으로 상기 니들 실린더(1, 1')의 액추에이션의 결과로서 상기 고정된 힐(3a)이 뒤따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적어도 액추에이션 요소(10)는, 지령에 따라 활성 위치로부터 비활성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힐(4a)을 구비하고, 상기 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4a)이 상기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1)의 대응하는 축 슬롯(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며,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4a)이 상기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상기 축 슬롯(2)에 들어가며,
    상기 니들을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부터 다른 하나의 니들 실린더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액추에이션 캠과 관련해서 상기 니들 실린더(1)의 회전의 결과로서 상기 액추에이션 요소(10)가 뒤따르는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 대응하는 니들(6)의 상부 헤드(6a')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자신을 낮추기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 및 대응하는 니들(6)의 하부 헤드(6a)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올리기 위해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하부 고정 리프팅 캠(52);
    - 니들(6)에 대응하는 액추에이션 요소(10)를 하부 니들 실린더(1)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그 가동 힐(4a)이 활성 위치에 있게 되는 전달 선택 장치(23), 및 대응하는 니들의 상부 헤드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부 니들 실린더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개구 프레서(55);
    -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전달 선택 장치에 의해 자신의 가동 힐(4a)과 함께 활성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하부 고정 로워링 캠(56);
    -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에 의해 배타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대응하는 니들(6)의 하부 헤드(6a)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기 위해 자신의 가동 힐(4a)이 비활성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 하부 개구 프레서(58);
    - 존재한다면, 대응하는 니들(6)과의 맞물림을 위해 상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와 맞물릴 수 있고 상부 클로저 프레서(53); 및
    - 상부 니들 실린더(1')에 위치하는 액추에이션 요소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상부 고정 리프팅 캠(59)
    을 포함하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는 하부 클로저 프레서(5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클로저 프레서(54)는 상기 액추에이션 캠(8,9; 8',9')과 관련해서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와 상부 니들 실린더(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리프팅 캠(59)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개구 프레서의 개입(interenction) 전에 액추에이션 요소들을 자신들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개구 프레서(58)가 이미 작동된 하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와 맞물릴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1, 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 및 상기 하부 고정 리프팅 캠(52)의 상류 및 상기 전달 선택 장치(23)의 하류에 배치된 다른 상부 클로저 프레서(53) 및 다른 하부 클로저 프레서(54)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상부 클로저 프레서(53) 및 상기 다른 하부 클로저 프레서(54)는, 상기 상부 고정 로워링 캠(51) 및 상기 하부 고정 리프팅 캠(52)에 의해 상기 대응하는 니들(6)와의 맞물림을 위한 위치로 이동된 상부 액추에이션 요소(10') 및 하부 액추에이션 요소(10)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의 각각의 축 슬롯(2)에 배치된 적어도 액추에이션 요소(10)는 슬라이더(3), 연결 요소(4), 및 선택기(5)를 포함하며,
    - 상기 슬라이더(3)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들 중 하나의 근처에서, 니들(6)의 헤드(6a)와 맞물리기 위한 수단(7)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3)는 상기 니들 실린더(1)의 대응하는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향하는 제1 길이 방향 사이드를 가지고 또한, 그 반대편의 길이 방향의 사이드 상에서, 상기 액추에이션 요소(10)의 상기 고정된 힐을 구성하는 고정된 힐(3a)을 가지며; 상기 고정된 힐(3a)은 상기 제1 길이 방향의 사이드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측면에 대향하는 슬라이더(3)를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대응하는 캠(8)과 맞물리며;
    - 상기 연결 요소(4)는 니들(6)과 맞물릴 수 있는 단부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상기 슬라이더(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외부 쪽으로 향하는 그 사이드 상에서, 액추에이션 요소(10)의 상기 가동 힐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힐(4a)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4)는, 활성 위치로부터 비활성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상기 가동 힐(4a)의 전환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3)와 관련해서 상기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이,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측면에 대향하는 연결 요소(4)를 액추에이팅 하기 위한 대응하는 캠(9)과 맞물리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의 대응하는 축 슬롯(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며,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4a)이, 상기 연결 요소(4)의 상기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상기 축 슬롯(2)에 들어가며;
    - 상기 선택기(5)는 상기 연결 요소(4)와 관련해서 상기 슬라이더(3)의 반대편의 사이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선택기(5)는 상기 연결 요소(4)와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2)의 저부 사이에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며, 환편기의 동작 동안 상기 연결 요소(4)에 의해 고려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축 슬롯에 상기 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선택기(5)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장치(23)의 작동에 의해, 상기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하여, 상기 비활성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 위치로 상기 연결 요소(4)의 상기 가동 힐(4a)의 전환을 생성할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4)는, 그 길이 방향의 단부들 중 하나와 함께, 상기 환형면에 대해 수직인 피봇팅 축(11)을 중심으로 상기 니들(6)과 맞물릴 수 있는 단부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상기 슬라이더(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해 피봇되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와 상기 연결 요소(4) 사이의 상기 피봇팅은 돌출부(protrution)(12) 및 시트(seat)(13)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결 요소가 수용되는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상기 슬라이더(3)의 사이드(side) 상에서 돌출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돌출부(1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연결 요소(4) 내에 형성되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는, 상기 연결 요소(4)에 연결된 길이 방향의 엔드의 반대편에 놓여 있는 그 길이 방향의 엔드의 부분 상에서 상기 니들(6)의 헤드(6a)의 맞물림 및 상기 니들의 헤드의 해제를 위해 상기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진동할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4)는, 상기 슬라이더(3) 연결된 그 단부에서,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외부 쪽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제2 힐(4b)을 가지며,
    상기 제2 힐(4b)은, 상기 연결 요소가 수용되는 상기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2)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니들(6) 쪽으로 향하는 그 길이 방향의 엔드의 공간(spacing)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상기 환형면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3)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가압될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5)는, 상기 연결 요소가 수용되는 축 슬롯(2)의 저부와 상기 연결 요소(4) 사이에 개재되는 그 부분(14)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 길이 방향의 연장부의 영역에서, 상기 선택기(5)의 진동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비활성 위치로부터 활성 위치로 상기 연결 요소(4)의 상기 가동 힐(4a)을 전달시키기 위해, 축 슬롯(2)의 저부 쪽으로 가압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에 배치된 니들(6)의 액추에이션 요소(10')는 또한, 상기 고정된 힐(3a)외에 가동 힐(4a)을 가지며,
    상기 가동 힐(4a)은
    활성 위치로부터 상기 비활성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지령에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4a)이 상기 니들 실린더(1)의 대응하는 축 슬롯(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대응하는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고, 상기 비활성 위치에서는, 상기 가동 힐(4a)이 상기 대응하는 액추에이션 캠(9')과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1)의 대응하는 축 슬롯(2)에 들어가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2)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는 상기 하부 니들 실린더(1)의 축 슬롯에 배치된 액추에이션 요소(10)처럼 제공되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장치(23)는 니들-바이-니들 선택(needle-by-needle selec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선택기들(5)을 서로 독립적으로 액추에이팅 하도록 구성된, 더블 실린더 환편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1)와 측면으로 대향하는 추가의 고정된 프레서들(61, 62, 63, 64, 65, 66, 67)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 실린더(1)의 환형면 상에서 상기 슬라이더(3)의 진동과 상기 연결 요소(4)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 요소(4)의 상기 가동 힐(4a) 및 상기 제2 힐(4b)과 맞물릴 수 있는, 더블 실린더 환편기.
KR1020087026627A 2006-03-31 2007-03-28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 KR101368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636A ITMI20060636A1 (it) 2006-03-31 2006-03-31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per calzwetteria o simile a doppio cilindro
ITMI2006A000636 2006-03-31
PCT/EP2007/002766 WO2007112915A1 (en) 2006-03-31 2007-03-28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other knitted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117A KR20090005117A (ko) 2009-01-12
KR101368303B1 true KR101368303B1 (ko) 2014-03-12

Family

ID=3824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627A KR101368303B1 (ko) 2006-03-31 2007-03-28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65834B2 (ko)
EP (1) EP2002043B1 (ko)
JP (1) JP4996677B2 (ko)
KR (1) KR101368303B1 (ko)
CN (1) CN101415873B (ko)
IT (1) ITMI20060636A1 (ko)
WO (1) WO2007112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24903B (zh) * 2013-09-13 2018-04-17 蒋雷钟 一种对针编织结构
ITUB20155479A1 (it) * 2015-11-11 2017-05-11 Lonati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un manufatto tubolare del tipo calza o simile al prelievo automatizzato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con almeno una alimentazione o caduta e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per la sua esecuzione.
IT201700044701A1 (it) * 2017-04-24 2018-10-24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metodo di movimentazione di aghi di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3356A (ja) * 1987-02-02 1988-10-11 オリズィオ パオロ エス.ピー.エイ. 自在型マルチヤーンフィード丸編機
EP1010790A2 (en) * 1998-12-09 2000-06-21 Matec S.p.A. Slider for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1391A (en) * 1969-02-25 1972-07-12 Bentley Machine Dev Company Lt Improvements in needle operating means in knitting machines
US4073163A (en) * 1976-11-08 1978-02-14 Francesco Lonati Circular knitting machine
IT1146698B (it) * 1981-09-10 1986-11-12 Savio Spa Procedimento di lavorazione con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e macchine circolari adottanti tale procedimento
CZ280577B6 (cs) * 1991-12-30 1996-02-14 Uniplet, A.S. Okrouhlý pletací stroj
GB2264308B (en) * 1992-02-21 1996-01-17 Uniplet As Knitting machine
IT1320094B1 (it) * 2000-11-22 2003-11-18 Mate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mantello delle camme ad elevata semplicita' strutturale.
ITMI20030900A1 (it) * 2003-05-02 2004-11-03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per l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3356A (ja) * 1987-02-02 1988-10-11 オリズィオ パオロ エス.ピー.エイ. 自在型マルチヤーンフィード丸編機
EP1010790A2 (en) * 1998-12-09 2000-06-21 Matec S.p.A. Slider for doub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20000048037A (ko) * 1998-12-09 2000-07-25 로나티 티베리오 더블-실린더식 원형 편물기용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05376A1 (en) 2009-08-20
CN101415873B (zh) 2011-09-14
US7765834B2 (en) 2010-08-03
KR20090005117A (ko) 2009-01-12
ITMI20060636A1 (it) 2007-10-01
WO2007112915A1 (en) 2007-10-11
EP2002043B1 (en) 2016-01-06
JP2009531555A (ja) 2009-09-03
CN101415873A (zh) 2009-04-22
JP4996677B2 (ja) 2012-08-08
WO2007112915A8 (en) 2007-12-27
EP2002043A1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959B1 (ko) 양말 등을 위한 환편기
KR101368303B1 (ko) 양말 또는 그외 편물 등을 위한 더블 실린더 환편기
KR101368302B1 (ko) 양말 등을 위한 환편기
JPS6214663B2 (ko)
US1121489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7065989B2 (en) Sinker selection devic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21021163A (ja) 編糸の位置が変更可能な緯編機編成構造
WO2018197972A1 (en) A lever actuato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1122573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956505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en-work knitted fabric
US2987898A (en) Circular stocking machine and method for obtaining draw-stitch patterns thereon
KR20210148254A (ko) 오픈워크 편직물 제조용 환편기
JPH05247803A (ja) タオル編み目の模様を作製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ソックス、ストッキング等を製造する丸編み機及び同丸編み機用シンカ
JPH06158484A (ja) 丸編機
JPH07229037A (ja) パイル柄出し装置
US20220235501A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oving the needles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0962569A2 (en) Highly versatil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and the like with multiple drops or feeds
JP2005299056A (ja) 丸編機のパイルシンカー装置
JPH11335947A (ja) 標準テリー編み及びサンドイッチ・テリー編み用丸編機のためのシンカー起動カム・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