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121B1 - 부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121B1
KR101368121B1 KR1020120131291A KR20120131291A KR101368121B1 KR 101368121 B1 KR101368121 B1 KR 101368121B1 KR 1020120131291 A KR1020120131291 A KR 1020120131291A KR 20120131291 A KR20120131291 A KR 20120131291A KR 101368121 B1 KR101368121 B1 KR 10136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parts
injection molding
injection mol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정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석 filed Critical 정영석
Priority to KR102012013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은 부구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구제조방법에 있어서, PE를 첨가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이며, 상기 첨가제를 PE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되되, 상기 부구의 사용용도가 표층용, 중층용, 심해용에 따라서 PE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비율을 달리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발포제를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부구를 사출성형하되, 부구의 설치깊이에 따라 발포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부력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현장에서 사용시 납추의 사용을 줄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구 제조방법{BUOY PRODUCT METHOD}
본발명은 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제를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사출성형하되, 상기 발포제의 함량을 설치되는 바다의 수심에 따라 조절하는 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연안해역에는 어망을 수중에 설치하기 위하여 부력을 갖는 어망용 부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몸체를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발포수지체 부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부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부구는 폴리에틸렌을 발포하여 형성된 원통형체의 몸체(10)가 있고,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1)을 통해 로우프를 끼워 어망에 사용된다.
한편, 본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10-1196480호에는 부구제작방법에 있어서, PE를 첨가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가교 및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첨가제는 가교제, 발포제, 아연스테아린산(Zn-St), 안료를 균일하게 미리 혼합하여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첨가제를 PE와 함께 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첨가제를 미리 제조한 후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부구의 균질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발포체 부구는, 바다의 설치수심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제조되고, 현장에서는 부구의 부력을 조정하기 위해 납추를 부구에 메달아 사용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발포제를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부구를 사출성형하되, 부구의 설치깊이에 따라 발포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부력을 미리 조정하여 현장에서 사용시 납추의 사용을 줄이므로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부구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부구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구제조방법에 있어서, PE를 첨가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이며, 상기 첨가제를 PE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되되, 상기 부구의 사용용도가 표층용, 중층용, 심해용에 따라서 PE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발포제를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부구를 사출성형하되, 부구의 설치깊이에 따라 발포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부력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현장에서 사용시 납추의 사용을 줄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부구사시도
도 2는 본발명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부구 사진
본발명은 부구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구제조방법에 있어서, PE를 첨가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이며, 상기 첨가제를 PE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되되, 상기 부구의 사용용도가 표층용, 중층용, 심해용에 따라서 PE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E와 발포제가 혼합된 원료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표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5 ~ 6중량부이며, 중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3 ~ 4중량부이며, 심해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1 ~ 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부구사시도, 도 2는 본발명 부구사진이다.
부구는 PE를 발포하여 형성된 단면이 타원형인 통형체이다. 부구 몸체 형상의 금형 내에 PE 수지를 충진하고 첨가제인 발포제를 첨가한 다음, 발포성형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다.
곧, PE를 발포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발포제를 PE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되며, 특히 본발명은 상기 부구의 사용용도가 표층용, 중층용, 심해용에 따라서 PE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E와 발포제가 혼합된 원료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바다 표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5 ~ 6중량부이며, 중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3 ~ 4중량부이며, 심해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1 ~ 2중량부로 혼합한다.
PE의 비중이 발포제보다 크므로, 표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5미만이면, 표층에 떠 있지 않고 가라앉기 쉬우며 6중량부를 초과하면, 중량은 가벼워지나, 발포제는 과다하게 첨가하면 제품이 커지면서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게 되며, 강도가 약해지므로 표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5 ~ 6중량부가 적정하다.
중층용의 경우는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3미만이면, 중층에 머물러 있지 않고 가라앉기 쉬우며 4중량부를 초과하면, 표층으로 상승하기 쉬우므로 중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3 ~ 4중량부가 적정하다.
심해용의 경우는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1미만이면, 발포가 잘 되지 않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면, 중층으로 상승하기 쉬우므로 심해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1 ~ 2중량부가 적정하다.
부구형상은 대체적으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인 통형체이며, 크기등에 따른 미세한 부력조절은 부분적으로 종래의 납추를 이용하면 된다.
곧 본발명은 상기와 같이 동일크기와 모양에 대한 부구의 전체적인 중량을 설치깊이에 따라 부구의 발포제함량을 조절하여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부력조절을 위한 번거러움과 납추의 사용량과 갯수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에서 제조되는 단면이 타원형인 부구는 보통 길이가 70 ~ 105 mm이며, 최대지름은 3.5㎜ ~ 5.5㎜정도로 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구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제로서 발포제를 믹서기에서 적절한 온도를 가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게 된다.
따라서, 원료 조성물에 열가소성 수지는 본 발명에서는 PE, 특히 HDPE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발포제는 그 발포방법인 기계발포, 화학발포, 무기발포에 따라 해당 발포제가 적절하게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화학발포에 따른 아조디카본아마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발포제는 과다하게 첨가하면 제품이 커지면서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게 되며, 강도가 약해진다. 그리고 적게 첨가하면 발포가 되지 않으면서 상기 기재결과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은 본발명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된다. 사출성형시 온도는 160~220℃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금형에 주입됨과 동시에 발포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체는 발포제의 반응에 의해 전체적으로 그 부피가 팽창된다.
상기 발포 단계에서 발포성형기 내의 온도는 원료 조성물에 사용된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160~220℃의 온도에서 발포제의 반응이 개시되며, 상기 온도를 25~35분 정도 유지하면 발포 반응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발포제를 사출금형내에 원료와 함께 주입하여, 부구를 사출성형하되, 부구의 설치깊이에 따라 발포제의 함량을 조정하여 부력을 미리 조정함으로써 현장에서 사용시 납추의 사용을 줄이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몸체 11 : 통공

Claims (2)

  1. PE를 첨가제와 함께 섞어 사출금형 내에 주입하여 발포시켜서 부구형태로 사출성형하되,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이며, 상기 첨가제를 PE와 함께 사출금형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원료 조성물을 부구모양의 사출금형에 주입하고 사출성형하게 되되, 상기 부구의 사용용도가 표층용, 중층용, 심해용에 따라서 PE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비율을 달리하는 부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PE와 발포제가 혼합된 원료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표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5 ~ 6중량부이며, 중층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3 ~ 4중량부이며, 심해용의 경우 PE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는 1 ~ 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20131291A 2012-11-20 2012-11-20 부구 제조방법 KR10136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91A KR101368121B1 (ko) 2012-11-20 2012-11-20 부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91A KR101368121B1 (ko) 2012-11-20 2012-11-20 부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121B1 true KR101368121B1 (ko) 2014-03-03

Family

ID=5064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91A KR101368121B1 (ko) 2012-11-20 2012-11-20 부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56B1 (ko) 2020-08-13 2021-01-08 정용현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173Y1 (ko) 2005-12-16 2006-03-10 정영석 어망용 부구
KR20060081502A (ko) * 2005-01-07 2006-07-13 최능호 낚시찌 제조용 수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낚시찌제조방법
KR20100133937A (ko) * 2010-12-03 2010-12-22 정영석 보강테두리가 형성된 부구 제조방법
KR20120081287A (ko) * 2011-01-11 2012-07-19 정영석 부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02A (ko) * 2005-01-07 2006-07-13 최능호 낚시찌 제조용 수지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낚시찌제조방법
KR200411173Y1 (ko) 2005-12-16 2006-03-10 정영석 어망용 부구
KR20100133937A (ko) * 2010-12-03 2010-12-22 정영석 보강테두리가 형성된 부구 제조방법
KR20120081287A (ko) * 2011-01-11 2012-07-19 정영석 부구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56B1 (ko) 2020-08-13 2021-01-08 정용현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64915T1 (de) Polyurethan-schaumverband als wundfüll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604197B (zh) 一种催化可降解eva发泡运动鞋底及其制备方法
KR100934010B1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CN102702679A (zh) 一种深潜用高强固体浮力材料的制备方法
EP3019552A1 (en) Polymeric material for container
CN105693965A (zh) 一种硬质闭孔蜜胺泡沫及其制备方法
KR101368121B1 (ko) 부구 제조방법
KR20130005538A (ko) 어업용 부자
KR101193812B1 (ko) 보강테두리가 형성된 부구 제조방법
KR101196480B1 (ko) 부구 제조방법
CN107117257A (zh) 一种复合材料构件及其制造工艺
EP1733401A4 (en) CONDUCTIVE COMPOSITION FOR PRODUCING A SOFT HEATING CARBON STRUCTURE, SOFT HEATING CARBON STRUCTURE USING THE METHO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46043B1 (ko) 로프용 형광 식별표시 기구
KR100377231B1 (ko) 양식장용 부이
KR20190098467A (ko) 서방성 산소 발생제
KR20110053305A (ko) 해상활동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MX2012001971A (es) Metodo de compresion por moldeo de un recipiente de plastico.
KR101174160B1 (ko) 충진 레벨 센서용 부유체
CN108727809A (zh) 一种中空吹塑尼龙微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46439B1 (ko) 낚시찌의 성형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106995B1 (ko) 낚시용 봉돌 및 그 제조 방법
CN207252622U (zh) 一种微型钓鱼浮子
KR200328803Y1 (ko) 헬륨가스를 주입한 부자
KR102249059B1 (ko) 부표 제조방법 및 그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