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004B1 - 이동식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이동식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004B1
KR101368004B1 KR1020120022383A KR20120022383A KR101368004B1 KR 101368004 B1 KR101368004 B1 KR 101368004B1 KR 1020120022383 A KR1020120022383 A KR 1020120022383A KR 20120022383 A KR20120022383 A KR 20120022383A KR 101368004 B1 KR101368004 B1 KR 101368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oking
filter
cei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322A (ko
Inventor
조욱래
Original Assignee
조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욱래 filed Critical 조욱래
Priority to KR102012002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선택된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연 가능하도록 밀폐된 흡연실을 갖는 몸체, 흡연실에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몸체에 구비된 도어, 흡연실에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부, 흡연실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기가 이동되기 위한 천장부, 천장부와 흡연실 사이에 구비되어 흡연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천장부로 송풍하는 제1흡입부, 천장부로 흡입된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천장부의 연기를 필터부로 송풍하는 제2흡입부,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 배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및 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어를 이용하여 흡연자가 흡연실로 이동 후,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가 동시에 작동되어 흡연실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연실의 공기를 천장부를 거쳐 필터부로 송풍시켜 연기를 필터링한 다음,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이동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간에서 흡연자가 편리하게 흡연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서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위치에 제한이 없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흡연부스{Movable type smoking booth}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흡연을 즐길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흡연을 즐김은 물론,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식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대부분 순수한 잎담배 외에 담배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각종의 향료, 담배맛을 맵지 않도록 일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담배불이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연제 등이 첨가된다.
이러한 담배는 흡연 시, 연기가 발생되며, 이 연기에는 아크로레인, 페놀, 벤조피렌,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나이트로자민, 니코틴 등 많은 발암물질과 몸에 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된다.
이 연기를 타인이 흡입할 경우,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공공장소와 거리 및 실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여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이에 애연가들은 불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타인에게 유해를 가하지 않고 실내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실내흡연 배기장치를 특허공개공보 제1997-0016363호에서 개진하였다.
이러한 실내흡연 배기장치는 내부 흡입관을 실내에 장착하고, 외부 흡출관을 실외에 장착하여 양관을 연결도관으로 연통시키며, 내부 흡입관의 단부에 파라솔을 설치하여 실내에서 공기(연기)가 파라솔과 흡입관, 연결도관 및 흡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흡연 배기장치는 연기를 강제 배출시키지 못함에 따라 환기율이 낮고, 흡연자에 의해 발생된 연기가 파라솔로 이동되는 시간이 길어 주변에 위치한 비 흡연자에게 피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내 전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함에 따라 흡연공간과 비흡연공간에 대한 구획이 없어 비 흡연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흡연자들이 실내에서 흡연을 즐김은 물론, 비 흡연자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흡연실을 갖고, 도어가 구비된 몸체와 흡연실의 상측에 구비된 천장부 및 천장부의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구비되고, 흡연실에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부와 흡연실의 공기를 천장부로 송풍시키는 제1흡입부, 천장부의 공기를 필터부로 송풍시키는 제2흡입부,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가 형성되며, 각 구성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와 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시리내공간에서 흡연을 즐김은 물론,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선택된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연 가능하도록 밀폐된 흡연실을 갖는 몸체, 상기 흡연실에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된 도어, 상기 흡연실에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부, 상기 흡연실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기가 이동되기 위한 천장부, 상기 천장부와 흡연실 사이에 구비되어 흡연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천장부로 송풍하는 제1흡입부, 상기 천장부로 흡입된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천장부의 연기를 필터부로 송풍하는 제2흡입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 배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를 이용하여 흡연자가 흡연실로 이동 후, 상기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흡연실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연실의 공기를 상기 천장부를 거쳐 필터부로 송풍시켜 연기를 필터링한 다음,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실내공간과 흡연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팬, 및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될 경우 개방되고, 상기 유입팬이 정지될 경우 폐쇄되는 유입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부는, 제1흡입팬을 갖고, 상기 천장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흡연실의 연기를 흡입하되, 각 제1흡입부는 제1흡입댐퍼가 각각 구비되어 흡연실의 연기를 천장부로만 송풍시키며, 그 반대로 천장부에서 흡연실로 역류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흡입부는, 제2흡입팬과 제2흡입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천장부의 연기를 상기 필터부로 만 송풍시키고, 그 반대로 필터부에서 천장부로 역류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흡입부에 의해 상기 천장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흡연실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필터공간부, 상기 필터공간부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진 저수통, 및 하단부가 상기 저수통의 물에 담기고, 상기 필터공간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공간부는 개폐 가능하도록 필터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저수통을 필터공간부에 탈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배출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되고, 그 반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필터부로 유입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바퀴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몸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이동공으로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흡연부스에 의하면, 실내공간에서 흡연자가 편리하게 흡연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서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위치에 제한이 없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흡연부스(10)는 실내공간에서 선택된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00)와 도어(200), 공기유입부(300), 천장부(400), 제1흡입부(500), 필터부(600), 제2흡입부(700), 배출부(800) 및 전원부(9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흡연 가능하도록 밀폐된 흡연실(110)이 형성되고, 도어(200)는 몸체(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흡연실(110)에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부(300)는 흡연실(110)에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비되고, 천장부(400)는 흡연실(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흡연실(110)의 연기가 이동된다.
여기서, 공기유입부(300)는 유입구(310)와 유입팬(320) 및 유입댐퍼(330)로 구성된다.
유입구(310)는 실내공간과 흡연실(110)을 연통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유입댐퍼(330)는 유입구(3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유입팬(320)은 유입구(310)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몸체(100)의 흡연실(110)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유입부(300)는 유입팬(320)의 작동에 의해 유입댐퍼(330)가 회전되어 유입구(310)가 개방되고, 개방된 유입구(310)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유입된다.
제1흡입부(500)는 천장부(400)와 흡연실(110) 사이에 구비되어 흡연실(1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천장부(400)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필터부(600)는 천장부(400)로 흡입된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제2흡입부(700)에 의해 필터부(600)로 송풍된 천장부(400)의 연기를 필터링하게 되고, 필터링된 공기는 배출부(800)에 의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전원부(900)는 공기유입부(300)와 제1흡입부(500), 제2흡입부(700), 배출부(800)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식 흡연부스(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후, 전원부(900)에 의해 공기유입부(300)와 제1흡입부(500), 제2흡입부(700), 배출부(8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시에 작동된다.
그리고 도어(200)를 이용하여 흡연자가 몸체(100)의 흡연실(110)로 이동하여 흡연할 경우, 공기유입부(300)는 흡연실(110)로 공기를 흡입하고, 제1흡입부(500)는 흡연실(110)의 공기를 천장부(400)로 송풍시키게 된다.
천장부(400)에 송풍된 연기를 포함함 공기는 제2흡입부(700)에 의해 필터부(600)로 송풍시켜 연기를 필터링한 다음, 배출부(80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1흡입부(500)는 천장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흡연실의 연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각 제1흡입부(500)는 제1흡입팬(510)과 제1흡입댐퍼(520)로 구성된다.
각 제1흡입팬(510)의 작동에 의해 각 제1흡입댐퍼(520)가 회전되어 제1흡입부(500)가 개방됨에 따라 흡연실(110)의 연기를 천장부(400)로 송풍시키며, 그 반대로 천장부(400)에서 흡연실(1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흡입부(700)는 제2흡입팬(710)과 제2흡입댐퍼(720)로 구성되어 천장부(400)의 연기를 필터부(600)로 만 송풍시키고, 그 반대로 필터부(600)에서 천장부(4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부(6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공간부(610)와 저수통(620) 및 가이드판(630)으로 구성된다.
필터공간부(610)는 제2흡입부(700)에 의해 천장부(40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흡연실(110)의 일측부에 구비되고, 저수통(620)은 필터공간부(610)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판(630)은 하단부가 저수통(620)의 물에 담기고, 필터공간부(6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제2흡입부(700)에 의해 송풍된 연기를 저수통(620)에 담겨진 물속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에, 연기가 저수통(620)의 물속을 통과하면서 연기가 필터링된다.
여기서, 필터공간부(610)는 개폐 가능하도록 필터도어(640)가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것으로, 필터도어(640)를 개방시켜 저수통(620)을 필터공간부(610)에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판(630)은 상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탈부착되는 저수통(620)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을 수 있어 저수통(62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800)는 배출댐퍼(810)가 구비되어 필터부(60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되고, 그 반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필터부(6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는 하단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이동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수단의 일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바퀴로 형성되어 몸체(100) 하측에 다수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흡연부스(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0)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이동공으로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운반기구의 포크를 삽입한 다음, 흡연부스(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10 : 흡연부스 100 : 몸체
110 : 흡연실 200 : 도어
300 : 공기유입부 400 : 천장부
500 : 제1흡입부 600 : 필터부
700 : 제2흡입부 800 : 배출부
900 : 전원부

Claims (9)

  1. 실내공간에서 선택된 일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연 가능하도록 밀폐된 흡연실을 갖는 몸체;
    상기 흡연실에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구비된 도어;
    상기 흡연실에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부;
    상기 흡연실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기가 이동되기 위한 천장부;
    상기 천장부와 흡연실 사이에 구비되어 흡연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천장부로 송풍하는 제1흡입부;
    상기 천장부로 흡입된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천장부의 연기를 필터부로 송풍하는 제2흡입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상기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 배출부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2흡입부에 의해 상기 천장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흡연실의 일측부에 구비되는 필터공간부와, 상기 필터공간부에 구비되어 물이 담겨진 저수통과, 상기 필터공간부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저수통의 물에 담기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를 이용하여 흡연자가 흡연실로 이동하면, 상기 공기유입부와 제1흡입부, 제2흡입부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흡연실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연실의 공기를 상기 천장부를 거쳐 필터부로 송풍시켜 연기를 필터링한 다음,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는,
    상기 실내공간과 흡연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팬; 및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입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될 경우 개방되고, 상기 유입팬이 정지될 경우 폐쇄되는 유입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식 흡연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부는,
    제1흡입팬을 갖고, 상기 천장부에 다수 개 구비되어 흡연실의 연기를 흡입하되,
    각 제1흡입부는 제1흡입댐퍼가 각각 구비되어 흡연실의 연기를 천장부로 송풍시키며, 그 반대로 천장부에서 흡연실로 역류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부는,
    제2흡입팬과 제2흡입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천장부의 연기를 상기 필터부로 송풍시키고, 그 반대로 필터부에서 천장부로 역류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공간부는 개폐 가능하도록 필터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도어를 개방시켜 상기 저수통을 필터공간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실내공간으로 배출되고, 그 반대로 실내공간의 공기가 필터부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이동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수단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한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이동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몸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통공된 이동공으로 운반을 위한 포크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흡연부스.
KR1020120022383A 2012-03-05 2012-03-05 이동식 흡연부스 KR101368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83A KR101368004B1 (ko) 2012-03-05 2012-03-05 이동식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83A KR101368004B1 (ko) 2012-03-05 2012-03-05 이동식 흡연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22A KR20130101322A (ko) 2013-09-13
KR101368004B1 true KR101368004B1 (ko) 2014-02-26

Family

ID=4945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83A KR101368004B1 (ko) 2012-03-05 2012-03-05 이동식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0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717B1 (ko) * 2014-08-21 2014-12-15 전성남 실내용 흡연 스탠드
KR20150144086A (ko) 2014-06-16 2015-12-24 정종현 흡연부스
KR20160125133A (ko)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원포인트듀오 이동식 흡연부스
KR102161632B1 (ko) * 2020-02-21 2020-10-05 강병헌 유체 흐름 컨트롤 및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흡연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278B1 (ko) * 2018-12-17 2019-10-31 김수완 환풍기 역류 방지장치
CN110242070A (zh) * 2019-06-24 2019-09-17 黄河科技学院 一种可自然通风的绿色建筑
KR102390442B1 (ko) * 2020-08-29 2022-04-22 강효진 사계절 다기능 그린 쉼터구조물
CN112360188A (zh) * 2020-11-09 2021-02-12 浙江索宇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型高效环保烟气净化吸烟亭
KR20230102286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낙수를 이용한 담배 연기 정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231A (ja) * 1994-03-15 1995-10-03 Sekisui Chem Co Ltd 建物の壁部に組み込まれる室内空気浄化装置
JP2002129761A (ja) 2000-10-27 2002-05-09 Giken Co Ltd 移動式簡易住宅
JP3135518U (ja) * 2007-07-06 2007-09-20 有限会社オリエンタルホープ 喫煙ブース
JP3155876U (ja) * 2009-09-24 2009-12-03 滋夫 浅井 喫煙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231A (ja) * 1994-03-15 1995-10-03 Sekisui Chem Co Ltd 建物の壁部に組み込まれる室内空気浄化装置
JP2002129761A (ja) 2000-10-27 2002-05-09 Giken Co Ltd 移動式簡易住宅
JP3135518U (ja) * 2007-07-06 2007-09-20 有限会社オリエンタルホープ 喫煙ブース
JP3155876U (ja) * 2009-09-24 2009-12-03 滋夫 浅井 喫煙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086A (ko) 2014-06-16 2015-12-24 정종현 흡연부스
KR101472717B1 (ko) * 2014-08-21 2014-12-15 전성남 실내용 흡연 스탠드
KR20160125133A (ko)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원포인트듀오 이동식 흡연부스
KR102161632B1 (ko) * 2020-02-21 2020-10-05 강병헌 유체 흐름 컨트롤 및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흡연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22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004B1 (ko) 이동식 흡연부스
KR20180067271A (ko) 열 교환형 환기시스템을 구비한 흡연부스
JP2006112769A5 (ko)
JP5853095B2 (ja) 分煙システム、分煙方法および分煙用還流装置
KR20180065226A (ko) 공기청정 지능형 흡연부스
KR101604777B1 (ko) 흡연부스
KR101562326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CN105747275A (zh) 一种可以净化空气的多用途烟灰缸
KR101758788B1 (ko) 흡연 구역 시스템
JP2006003058A (ja) 空気清浄機付喫煙所
KR101575009B1 (ko) 순환형 흡연 부스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KR101667253B1 (ko)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용 담배 재떨이
KR200460041Y1 (ko)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JP3958649B2 (ja) 分煙室
CN204653773U (zh) 多功能盛物容器
KR101518168B1 (ko) 휴대용 흡연 환풍기
KR101977192B1 (ko) 흡연 부스용 공기 정화 제어장치
JP3189145B2 (ja) 喫煙パイプ
JP2005308237A (ja) 喫煙室
KR20020082065A (ko) 카지노 테이블 게임기의 공기정화장치
KR20190046585A (ko) 간접흡연 방지 흡연통
KR20160069186A (ko) 흡연부스 정화 및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200249684Y1 (ko) 전공기 순환방식의 담배 연기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