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326B1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326B1
KR101562326B1 KR1020150053589A KR20150053589A KR101562326B1 KR 101562326 B1 KR101562326 B1 KR 101562326B1 KR 1020150053589 A KR1020150053589 A KR 1020150053589A KR 20150053589 A KR20150053589 A KR 20150053589A KR 101562326 B1 KR101562326 B1 KR 10156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smoking
concentration
motor
acce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휘
Original Assignee
최승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휘 filed Critical 최승휘
Priority to KR102015005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으로, 자동 출입문이 구비된 함체와; 자동 출입문 개폐용 한 쌍의 스위치와; 담배연기를 포함한 함체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환풍기와; 담배 연기 내 미립자의 유해 성분을 정화시켜 주는 정화기와; 자동 출입문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환풍기의 구동을 포함하여 스위치들의 조작에 대응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흡연 부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의 정화기 입구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함체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 흡연자가 출입구 내부의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흡연을 원하는 실외자가 출입구 외부의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정해진 체적의 흡연 부스 내에서 과다하게 흡연중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자가 계속 흡연 부스 내로 들어가기 위해 자동 출입문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과다한 담배연기로 인해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이 해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Smoking booths with access restrict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particulate concentra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스의 내,외부에서 흡연을 위한 출입자가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출입문이 구비된 흡연 부스 내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흡연 부스 내에 흡연자가 과도하게 많아(즉, 정화기 또는 필터의 처리용량보다 많아) 부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에서는 자동 출입문을 열 수 있어도 실외에서는 열 수 없도록 하여 실내의 담배연기가 자동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과다한 담배연기로 인해 실내 흡연자가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smoking, 吸煙)이라 함은 담배를 피우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담배 연기중에는 니코틴, 미세먼지(Particulatematter, PM)을 포함한 일산화탄소, 3-Ethenylpyridine(3-EP),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aromatic hydrocarbons; PAH), 담배특성 니트로사민(Tobacco-specific nitrosamines; TSNA),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알데하이드류(aldehydes), 중금속,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만, 미세먼지가 측정하기 용이하고 인체에 유해하므로 간접흡연의 지표물질로 많이 이용된다.
습관성 흡연의 건강 영향으로서는 폐, 인두, 구강, 후두, 식도, 위, 방광, 신우, 요관, 췌장 등의 암,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만성폐색성 폐질환, 저출생체중아 및 유산 및 조산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흡연자 주위에서의 간접흡연도 폐암이나 허혈성 심질환, 호흡기질환, 유유아(乳幼兒) 돌연사증후군 등의 위험인자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는 현재 남자는 세계인구의 47%, 여자는 12%가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매년 350만 명이 흡연 관련질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집계하였고, 2020년에는 흡연자 비율이 전체의 12%를 넘어서 매년 1천만 명이 희생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는 AIDS, 결핵, 교통사고, 자살, 분쟁학살 등에 의한 사망자를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이며, 또 전 세계 어린이 중 2억 5천만 명이 흡연으로 목숨을 잃을 것이라는 예측도 제시하였다. 지금 현재의 흡연 추세를 볼 때 그때가 되면 흡연은 세계인의 사망에 있어서 가장 큰 원인이 되고 8명중 1명이 흡연으로 사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망자 중 70%는 개발도상국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10대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사람은 흡연으로 사망할 확률이 50%, 절반은 정상적 수명보다 평균 22년이 단축된 70세 이전 중년에 죽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담배에 중독된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금연을 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흡연을 하고 있는 실정인데, 세계 각국의 흡연율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15세 이상 남자의 흡연율은68.2%로, 미국(28.1%), 영국(28%), 독일(36.8%) 등 선진국에 비해 2배 정도 높아 세계최고수준이었으며 15세 이상 여성 흡연율은6.7%로 미국(23.5%),독일(21.5%), 일본(14.8%)에 비해 낮았다.
한편, 일반 가정을 포함하여 사무실, 음식점 및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노출된 상태이고, 이러한 간접흡연에 의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 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나 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로 인해 비흡연자들이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들의 간접흡연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흡연자들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형태의 흡연 부스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공공장소에서 흡연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음에 부응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구역은 밀폐된 공간을 갖는 흡연 부스 등을 선택하여 흡연을 유도하거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을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흡연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밀폐된 흡연실의 경우 연기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흡연자의 직간접 피해가 크고 쾌적한 상태에서 흡연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개방된 흡연실은 연기가 배출되어 비흡연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을 미연에 방지하여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면서도 자신의 흡연욕구를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흡연 부스들이 다량으로 개발되어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흡연 부스는 단순히 정화기 및 환풍기 등을 구비시켜 흡연자들이 흡연 부스 내에서 흡연을 할 때 발생하는 담배 연기 등을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을 뿐 담배연기 농도 또는 이들에 입자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니코틴 등의 농도에 따른 환풍기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팬의 회전수 제어를 포함하여 출입문의 개폐제어 및 흡연을 위한 출입자들의 출입 제한 등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해진 실내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흡연함으로 인해 해당 흡연 부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보다 과다한 담배 연기 등이 발생할 경우, 흡연 부스 내에서 흡연하고 있는 흡연자들이 과다한 이산화탄소 등의 흡입으로 인해 행동이 느려지는 등의 문제와, 이에 의해 건강을 해치게 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해당 흡연 부스 내에서 담배연기를 처리할 수 있는 용량 이상으로 과다하게 흡연을 하고 있는 중, 외부에서 이와 같은 상태를 모르고 다른 흡연자들이 흡연을 위해 출입문을 자주 열게 될 경우, 실내의 담배 연기 등이 열려진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므로 인해 타인에게 간접흡연을 유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되어 흡연 부스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과하고 해당 흡연 부스 옆을 지나는 타인(즉,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4678호(2010년 09월 2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89865호(2011년 11월 2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4912호(2012년 10월 1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67799호(2014년 02월 2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 및 외부에서 흡연을 위해 출입하는 흡연자들이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출입문이 구비된 흡연 부스 내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만약 흡연 부스 내에 흡연자가 과도하게 많아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보다 높아 흡연 부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에서는 흡연자가 자동 출입문을 열 수 있어도 실외에서는 열 수 없도록 하는 흡연자 출입제한 기능(즉, 자동 출입문 자동 폐쇄기능)을 부가시켜 정해진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에서 과다하게 흡연중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자가 계속 흡연 부스 내로 들어가기 위해 자동 출입문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과다한 담배연기로 인해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이 해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연 부스 내,외부에 경고등 또는 부져 등과 같은 경고수단을 설치하여 정해진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가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상태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알고 흡연을 종료하고 실내에서 나오거나 실내로 아예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동 출입문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과다한 이산화탄소 등의 흡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방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흡연 부스 내의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되는 미세먼지 설정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를 부가 설치하여 각각의 흡연 부스 내의 체적을 포함하여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 등을 감안하여 미세먼지 농도 설정값을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의 신뢰도를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설치장소나 면적 등에 따른 사용성 및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출입구에 모터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자동 출입문이 설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 내를 출입하는 흡연자가 상기 자동 출입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함체의 출입구 일측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와; 상기 함체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담배연기를 포함한 함체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환풍기와; 상기 환풍기를 통해 함체 내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될 때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담배 연기 내 미립자의 유해 성분을 정화시켜 주는 정화기와; 상기 함체 내에서 출입구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자동 출입문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상기 환풍기에 포함되어 있는 송풍팬의 구동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흡연 부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의 정화기 입구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 흡연자가 출입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흡연을 원하는 실외자가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함체의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함체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에게 경고를 해 주는 경고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되는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는 제어부 내에 정해진 값으로 기 입력시켜 두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를 부가 설치하여 각 함체 내의 체적이나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에 의하면, 첫째 내부 및 외부에서 흡연을 위해 출입하는 흡연자들이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출입문이 구비된 흡연 부스 내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만약 흡연 부스 내에 흡연자가 과도하게 많아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보다 높아 흡연 부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에서는 흡연자가 자동 출입문을 열 수 있어도 실외에서는 열 수 없도록 하는 흡연자 출입제한 기능(즉, 자동 출입문 자동 폐쇄기능)을 부가시켜 줌으로써 정해진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에서 과다하게 흡연중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자가 계속 흡연 부스 내로 들어가기 위해 자동 출입문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과다한 담배연기로 인해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이 해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흡연 부스 내,외부에 경고수단을 설치하여 정해진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켜 줌으로써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가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상태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알고 흡연을 종료하고 실내에서 외부로 나오거나 실내로 아예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자동 출입문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과다한 이산화탄소 등의 흡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방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흡연 부스 내의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되는 미세먼지 설정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를 부가 설치하여 미세먼지 설정농도를 제어부 내에 기 입력시켜 두거나 또는 각각의 흡연 부스 내의 체적을 포함하여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 등을 감안하여 미세먼지 농도 설정값을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의 신뢰도를 포함하여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설치장소나 면적 등에 따른 사용성 및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흡연 부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흡연 부스 중 일부 절취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환풍기와 정화기 및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흡연 부스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흡연 부스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흡연 부스 중 일부 절취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환풍기와 정화기 및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의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흡연 부스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출입구(11)에 모터(50)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개폐되는 자동 출입문(12)이 설치된 소정형상 및 체적을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 내를 출입하는 흡연자가 상기 자동 출입문(1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함체(10)의 출입구(11) 일측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20)와; 상기 함체(10)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담배연기를 포함한 함체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환풍기(30)와; 상기 환풍기(30)를 통해 함체(10) 내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될 때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담배 연기 내 미립자의 유해 성분을 정화시켜 주는 정화기(40)와; 상기 함체(10) 내에서 출입구(1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자동 출입문(12)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50)와; 상기 환풍기(30)에 포함되어 있는 송풍팬의 구동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20)들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5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12)이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 흡연 부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10) 내의 정화기(40) 입구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60)로 하여금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농도(SET ㎍/㎥)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 흡연자가 출입구(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0)를 조작할 때에는 모터(50)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12)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흡연을 원하는 실외자가 출입구(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0)를 조작할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모터(50)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12)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함체(10)의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측정되는 함체(10) 내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농도(SET ㎍/㎥)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에게 경고를 해 주는 경고수단(8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X ㎍/㎥)와 비교되는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SET ㎍/㎥)는, 제어부(60) 내에 정해진 값으로 기 입력시켜 두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60)의 입력단자에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90)를 부가 설치하여 각 함체(10) 내의 체적이나 정화기(40)의 정화기용량 및 환풍기(30)의 배기용량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출입문(12)이 구비된 함체(10)와 한 쌍의 스위치(20), 환풍기(30), 정화기(40), 모터(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한 공지된 흡연 부스 중 상기 함체(10) 내의 정화기(40) 입구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부가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흡연 부스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함체(10)는 소정제적을 갖는 직육방체 등의 형상을 갖고,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함체(10)의 전면 등에 구비된 출입구(11)에는 모터(50)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개폐되는 자동 출입문(12)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한 쌍의 스위치(20)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흡연자들이 함체(10)에 구비된 출입구(11)를 통해 함체 내부를 출입하고자 할 때 편안하게 조작하여 출입구(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동 출입문(1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함체(10)의 출입구(11) 일측 전,후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환풍기(30)는 도 3과 같이 덕트 내에 송풍팬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함체(10)의 천정부에 설치(필요에 따라서는 함체(10)의 배면을 포함한 어느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음)되어 담배연기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함체(10)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정화기(40)는 각종 악취 및 미세 유해 성분을 제거해주는 기능이 매우 우수한 카본 분말 또는 숯 분말 등이 함침 또는 충진된 카본 필터 또는 숯 필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환풍기(3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풍기(30)를 통해 함체(10) 내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될 때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담배 연기 내 미립자 성분의 타르 등과 같은 유해 성분을 포함한 먼지 등을 처리하여 줌은 물론 담배 냄새 등을 탈취시킨 신선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모터(50)는 상기 함체(10) 내에서 출입구(11)의 일측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자동 출입문(12)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모터(50)의 동력은 도시 생략한 타이밍 벨트나 와이어 등을 통해 자동 출입문(12)에 전달되어 상기 자동 출입문(12)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출입문(12)의 완전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는 제어부(6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도시 생략한 마이크로 스위치 등과 같은 출입문 개폐상태 검지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어 제어부(60)의 제어를 받는 상기 모터(50)가 자동 출입문(12)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 자동 출입문의 완전 폐쇄시 자동으로 그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60)는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환풍기(30)에 구비되어 있는 도시 생략한 송풍팬의 구동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20)들의 조작 등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5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자동 출입문(12)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와 같이 공지된 흡연 부스 중 상기 함체(10) 내의 정화기(40) 입구에 제어부(6)의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부가 설치하여 함체(10) 내의 미세먼지 농도(X ㎍/㎥)를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에서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60)로 하여금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X ㎍/㎥)와 자체 내 등에 설정되어 있는 정해진 농도(SET ㎍/㎥)를 상호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여 자동 출입문(1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X ㎍/㎥)와 정해진 농도(SET ㎍/㎥)를 상호 비교한 그 결과, 현재 함체(10) 내의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농도(SET ㎍/㎥)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실내 흡연자가 출입구(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0)를 조작할 때에는 모터(50)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12)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흡연을 원하는 실외의 흡연자 등이 출입구(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0)를 조작할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모터(50)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12)이 전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X ㎍/㎥)와 비교되는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SET ㎍/㎥)는 각 함체(10) 내의 체적이나 정화기(40)의 정화기용량 및 환풍기(30)의 배기용량 등을 감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흡연 부스의 제어부(60) 제작시 제어부(60)에 구비된 도시 생략한 마이컴 내에 정해진 값으로 기 입력시켜 둘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제어부(60)의 입력단자에 별도의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90)를 부가 설치하여 사용자가 각 함체(10) 내의 체적을 포함하여 정화기(40)의 정화기용량 및 환풍기(30)의 배기용량 등을 감안하여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흡연 부스 내에 흡연자가 과도하게 많아 정화기(40)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30)의 배기용량보다 높아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SET ㎍/㎥)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에서는 흡연자가 출입구(11) 내측의 스위치(20)를 조작하여 자동 출입문을 열 수 있어도, 흡연을 원하는 실외의 흡연자 등이 출입구(11) 외측의 스위치(20)를 조작할 경우 이를 무시(즉, 외부 스위치(20)의 조작신호를 무시)하고 모터(50)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12)이 전혀 열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함체(10) 내의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SET ㎍/㎥) 이상일 경우, 실외에서는 자동 출입문(12)을 전혀 열 수 없도록 하여 흡연자의 출입을 제한함으로써 정해진 체적을 갖는 흡연 부스 내에서 과다하게 흡연중인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흡연자가 계속 흡연 부스 내로 들어가기 위해 자동 출입문을 열게 되므로 인한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함체(10) 외부의 비흡연자가 간접피해를 입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체(10)의 내부 및 외부에 경고등 또는 부져 등과 같은 경고수단(80)을 설치하여,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70)를 통해 측정되는 함체(10) 내 미세먼지 농도(X ㎍/㎥)가 정해진 농도(SET ㎍/㎥)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60)로 하여금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출입자를 제한함과 동시에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에게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경고를 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가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상태를 경고수단(80)을 통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하고 흡연을 종료하고 실내에서 실외로 나오거나 또는 실내로 아예 들어가지 않을 수 있어 자동 출입문(12)을 열 때마다 발생하는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담배연기의 외부 누출로 인한 비흡연자의 간접피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다한 이산화탄소 등의 흡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흡연자들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담배연기로 인한 피해방지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함체
11 : 출입구 12 : 자동 출입문
20 : 스위치
30 : 환풍기
40 : 정화기
50 : 모터
60 : 제어부
70 :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
80 : 경고수단
90 :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

Claims (3)

  1. 자동 출입문이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출입구 일측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와; 담배연기를 포함한 함체 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주는 환풍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담배 연기 내 미립자의 유해 성분을 정화시켜 주는 정화기와; 자동 출입문의 개폐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와; 상기 환풍기의 구동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흡연 부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의 정화기 입구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실내 흡연자가 출입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흡연을 원하는 실외자가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작할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모터의 구동을 차단하여 자동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함체 내 미세먼지 농도가 정해진 농도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실내의 흡연자 및 실외의 흡연 희망자에게 경고를 해 주는 경고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되는 정해진 미세먼지 농도는, 상기 제어부 내에 정해진 값으로 기 입력시켜 두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미세먼지 비교농도 설정부를 부가 설치하여 각 함체 내의 체적이나 정화기의 처리용량 및 환풍기의 배기용량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2. 삭제
  3. 삭제
KR1020150053589A 2015-04-16 2015-04-16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KR10156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89A KR101562326B1 (ko) 2015-04-16 2015-04-16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89A KR101562326B1 (ko) 2015-04-16 2015-04-16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326B1 true KR101562326B1 (ko) 2015-10-22

Family

ID=5442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89A KR101562326B1 (ko) 2015-04-16 2015-04-16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3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53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70002354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70002355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폴딩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CN109557005A (zh) * 2018-11-14 2019-04-0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烟气小鼠口鼻暴露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1203500B1 (ko) 2010-02-26 2012-1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방법 및 지하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101471881B1 (ko)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1203500B1 (ko) 2010-02-26 2012-1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방법 및 지하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101471881B1 (ko) * 2014-07-16 2014-12-10 노완상 실내환기 및 살균처리용 친환경 흡연부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53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미닫이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70002354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170002355U (ko) 2015-12-22 2017-07-03 박재범 폴딩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CN109557005A (zh) * 2018-11-14 2019-04-0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烟气小鼠口鼻暴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326B1 (ko)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출입 제한 기능을 갖는 흡연 부스
KR101368004B1 (ko) 이동식 흡연부스
KR101185849B1 (ko) 인버터 제어에 의한 흡연실 자동 배기시스템
JP6937006B2 (ja) 消臭システム
KR101366604B1 (ko)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JP2007513627A (ja) 煙を濾過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2008990B1 (ko) 휴대용 담배연기 정화장치
KR20150105508A (ko) 흡연부스
Klepeis et al. The effect of cigar smoking on indoor levels of carbon monoxide and particles
CN101232906A (zh) 脱臭器
KR20140004675U (ko) 실내 설치용 흡연부스
KR101590407B1 (ko) 밀폐형 흡연 부스
JP6944695B2 (ja) 消臭装置
KR200484665Y1 (ko) 커튼 도어가 부착된 개인용 흡연 부스
KR20200136680A (ko) 흡연부스
KR101676811B1 (ko) 이동식 부스
KR101327179B1 (ko) 담배연기 제거용 제연장치
KR20220118601A (ko) 휴대용 담배연기 저감장치
KR20140001423U (ko) 흡연 부스
KR101344958B1 (ko) 무연 흡연장치
KR200228802Y1 (ko) 담배연기 제거용 제연기
AU2018101258A4 (en) A cigarette extinguisher
KR20230033767A (ko) 스마트 흡연부스
KR20150128371A (ko) 이동식 흡연 부스
JP3958649B2 (ja) 分煙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