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423U - 흡연 부스 - Google Patents

흡연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423U
KR20140001423U KR2020120007722U KR20120007722U KR20140001423U KR 20140001423 U KR20140001423 U KR 20140001423U KR 2020120007722 U KR2020120007722 U KR 2020120007722U KR 20120007722 U KR20120007722 U KR 20120007722U KR 20140001423 U KR20140001423 U KR 201400014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blower
smoker
smoking booth
fa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오
Original Assignee
이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오 filed Critical 이상오
Priority to KR2020120007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423U/ko
Publication of KR20140001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흡연 부스가 개시된다. 개시된 흡연 부스는 흡연자가 내부에 흡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흡연자의 출입이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용 필터 팬 유닛; 및, 상기 함체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의 담배 연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필터 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연 부스 {SMOKING BOOTH}
인도, 건물, 쇼핑센터, 역,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여 비흡연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흡연을 할 수 있도록 흡연장소를 제공하는 흡연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연 부스는 내부에 흡연자가 흡연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체(흡연실)와, 함체의 일면에 흡연자의 출입을 위해 형성된 도어와, 함체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기(공기청정기)로 구성되어, 흡연자가 도어를 열고 함체에 들어가 흡연함으로써,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자유롭게 흡연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연 부스에 대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04678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20020호에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의 흡연 부스는 함체로 유/출입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고, 담배연기를 정화하는 필터링 기능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할 뿐 아니라, 담배연기 정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방향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전력소비가 가능한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흡연자의 수에 따라 송풍기의 출력이 조절되어 정화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흡연 부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흡연 부스는 흡연자가 내부에 흡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흡연자의 출입이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용 필터 팬 유닛; 및, 상기 함체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의 담배 연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필터 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용 필터 팬 유닛 및 상기 배출용 필터 팬 유닛 각각은,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전면에 부착된 방향제; 상기 방향제의 전면에 부착된 스펀지 필터; 및, 상기 스펀지 필터의 전면에 부착된 망사 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함체와 상기 도어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도어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도어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온/오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도어센서로부터 홀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온 시키고, 짝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오프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있는 흡연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온/오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함체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있는 흡연자수를 검출하는 흡연자수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자수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흡연자수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자수가 증가할 경우,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연자수 감지유닛은 적외선 센서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는 꽃잎이나 커피 또는 쑥으로된 자연소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함체 내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여 정화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연자가 함체 내에서 흡연할 경우에만 송풍기가 자동으로 켜지고, 흡연자가 함체 내에 없을 경우, 송풍기가 꺼지기 때문에, 송풍기 사용에 따른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함체 내에서 흡연하는 흡연자의 수에 따라 송풍기의 출력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흡연자가 많을수록 송풍기의 출력이 상승하여, 흡연량이 많아지더라도 정화성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 팬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타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흡연 부스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흡연 부스(1)를 설명한다.
함체(10),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함체(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흡연자가 출입하기 위해 개폐가능한 도어(13)가 마련된다. 본 실시의 흡연 부스(1)는 일인용으로서, 함체(10)는 한 명의 흡연자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면 된다.
상기에서 함체(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은 외부의 공기를 함체(10)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함체(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은 함체(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함체(1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된다.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과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세부적인 구성은 동일하되, 함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방향만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과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은 송풍기(22,32), 방향제(24,34), 스펀지 필터(26,36) 및, 망사 필터(28,38)를 포함한다.
송풍기(24,34)는 전원 공급에 의해 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송풍기에 의한 공기 송풍은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송풍기 구성이 적용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제(24,34)는 방향제가 사각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송풍기(24,34)의 전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방향제(24,34)는 다양한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꽃잎이나 커피 또는 쑥 같은 자연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펀지 필터(26,36)는 사각판 형상의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방향제(24,34)의 전면에 부착되어 공기 중의 담배 연기 성분을 필터링한다. 스펀지 필터(26,36)는
망사 필터(28,38)는 사각판 형상의 망으로 구성되며, 스펀지 필터(26,36)의 전면에 부착된다.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은 송풍기(22,32)의 전면에 방향제(24,34), 스펀지 필터(26,36) 및, 망사 필터(28,38)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부착된 구조로서, 공기는 망사필터(28,38), 스펀지 필터(26,36), 방향제(24,34)를 거친 후, 송풍기(22,32)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 예에서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은 함체(10)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되, 망사 필터(28)가 함체(10)의 측면 외부에 보이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함체(10) 외부 공기는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망사 필터(28), 스펀지 필터(26), 방향제(24) 및, 송풍기(22)를 거쳐 함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불순물은 망사 필터(28), 스펀지 필터(26)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화되고, 방향제(24)에 의해 방향제 성분이 정화된 공기에 추가된 후, 함체(10) 내부로 들어간다.
반면,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은 함체(1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되, 송풍기(32)가 외부로 보이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함체(10) 내부의 담배 연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망사 필터(38), 스펀지 필터(36), 방향제(34) 및, 송풍기(32)를 거쳐 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함체(10) 내부의 담배 연기 성분을 포함한 공기는 망사 필터(38), 스펀지 필터(36)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화되고, 방향제(34)에 의해 방향성분이 정화된 공기에 추가된 후, 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제어부(40)는 함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 패널(42)과 버튼(4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동적으로, 관리자가 버튼(44)을 조작하여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을 온 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원고안은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이 함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은 함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를 통해 외부 공기로부터 먼지나 불순물이 정화되고, 방향성분이 추가되어 함체(10) 내부로 들어오고,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를 통해 함체(10) 내의 담배 연기 성분이 정화되고, 방향 성분이 추가되어 정화된 공기가 함체(10) 외부로 배출되므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여 정화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흡연 부스(1)는 흡연자가 함체(10)에 출입함으로 감지하여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흡연 부스(1)는 마그네틱 도어센서(50)를 도어(13)와 함체(10)가 접촉하는 접촉면에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 도어센서(50)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마그네틱 도어센서(50)가 적용되었으므로,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마그네틱 도어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마그네틱 도어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를 온/오프시킨다.
상기한 구성으로, 흡연자가 도어(13)을 열고 함체(10)에 들어가면, 마그네틱 도어센서(50)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40)가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를키고, 이후, 흡연자가 흡연을 마치고 함체(10)에서 도어(13)를 열고 나오면, 마그네틱 도어센서(5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가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의 송풍기(22)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송풍기(32)를 오프시킨다.
즉, 제어부(40)는 마그네틱 도어센서(50)로부터 홀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송풍기(22,32)를 온 시키고, 짝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송풍기(22,32)를 오프 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흡연 부스(1)는 도 5와 같이, 마그네틱 도어센서(50) 대신 적외선 센서(55)를 설치할 수 있다.
마그네틱 도어센서(50)를 사용할 경우, 흡연자가 함체(10)로 들어가지 않더라도 도어(13)가 개폐됨으로써 송풍기(22,32)가 작동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적외선 센서(55)를 함체(10) 내면에 설치하여, 함체(10) 내부에 있는 흡연자를 감지하고, 적외선 센서(55)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40)가 자동으로 송풍기(22,32)를 온/오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55)를 통해 함체(10) 내부의 흡연자가 감지되면, 제어부(40)는 송풍기(22,32)를 온 시키고, 함체(10) 내부에 흡연자가 없어 적외선 센서(55)로부터 흡연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가 송풍기(22,32)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흡연 부스(1)는 마그네틱 도어센서(50)와 적외선 센서(55)를 모두 설치하여, 제어부(40)가 마그네틱 도어센서(50)와 적외선 센서(55) 모두의 감지신호를 통해 함체(10) 내의 흡연자 유무를 판단하여 송풍기(22,3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흡연 부스(1)는 도 6과 같이, 함체(10) 내에 온도 센서(63), 습도 센서(64), 난방기(66) 및, 가습기(67)를 구성할 수 있다. 온도 센서(63), 습도 센서(64), 난방기(66) 및, 가습기(67)은 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함체(10)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온도 센서(63) 및 습도 센서(64)가 검출하고, 이 검출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제어부(40)가 난방기(66) 및 가습기(67)의 구동을 제어하여 함체(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타 실시 에에 따른 흡연 부스(1')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 예의 흡연 부스(1)는 일인용으로서, 함체(10)가 일인용 크기였으나, 타 실시 예의 흡연 부스(1')는 함체(10')가 다수의 흡연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크게 구성된다.
흡입용 필터 팬 유닛(20) 및 배출용 필터 팬 유닛(3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의 흡연 부스(1)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타 실시 예의 흡연 부스(1')는 함체(10') 내측에 흡연자수 감지유닛(70)이 설치될 수 있다. 흡연자수 감지유닛(70)은 함체(10') 내에 있는 흡연자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적외선 센서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는 흡연자수 감지유닛(70)에 의해 감지된 흡연자수에 따라, 송풍기(22,32)를 제어한다. 제어부(40')는 흡연자수가 늘어날 경우 비례적으로 송풍기(22,32)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흡연자수가 1,2,3,4...명으로 늘어날 경우, 흡연자로부터 배출되는 담배연기의 양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지만, 이에 대응하여 송풍기(22,32) 출력도 자동으로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함체(10) 내에서 흡연하는 흡연자의 수에 따라, 송풍기(22,32)의 출력이 제어되기 때문에, 한 두명의 흡연자 보다 많은 네 다섯 명의 흡연자가 흡연할 경우, 함체(10)로 유입되는 공기유량과 함체(10)에서 배출되는 공기유량이 증가하여, 정화효율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함체
13...도어
20...흡입용 필터 팬 유닛
22...송풍기
24...방향제
26...스펀지 필터
28...망사 필터
30...배출용 필터 팬 유닛
32...송풍기
34...방향제
36...스펀지 필터
38...망사 필터
40...제어부
42...디스플레이 패널
44...버튼

Claims (10)

  1. 흡연자가 내부에 흡연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흡연자의 출입이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입용 필터 팬 유닛;
    상기 함체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의 담배 연기를 정화하고 방향 성분을 추가하여 상기 함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필터 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필터 팬 유닛 및 상기 배출용 필터 팬 유닛 각각은,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전면에 부착된 방향제;
    상기 방향제의 전면에 부착된 스펀지 필터; 및,
    상기 스펀지 필터의 전면에 부착된 망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상기 도어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마그네틱 도어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도어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틱 도어센서로부터 홀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온 시키고, 짝수번째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있는 흡연자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있는 흡연자수를 검출하는 흡연자수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자수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흡연자수에 따라,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연자수가 증가할 경우,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자수 감지유닛은 적외선 센서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꽃잎이나 커피 또는 쑥으로 된 자연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 부스.
KR2020120007722U 2012-08-30 2012-08-30 흡연 부스 KR201400014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22U KR20140001423U (ko) 2012-08-30 2012-08-30 흡연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722U KR20140001423U (ko) 2012-08-30 2012-08-30 흡연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23U true KR20140001423U (ko) 2014-03-10

Family

ID=524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722U KR20140001423U (ko) 2012-08-30 2012-08-30 흡연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42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28B1 (ko) * 2015-01-28 2015-04-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흡연실
KR20160045493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93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507728B1 (ko) * 2015-01-28 2015-04-07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흡연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KR101268659B1 (ko) 흡연 부스
KR200471784Y1 (ko) 자체공기정화시스템이 구비된 흡연부스
CN111684210B (zh) 用于通风进气口的空气处理装置
CN207622149U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装置
KR101339988B1 (ko)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흡연자용 청정 부스시스템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JP2005016841A (ja) 空気清浄機
KR200477107Y1 (ko) 흡연부스
CN203907766U (zh) 空气调节机
KR20180065226A (ko) 공기청정 지능형 흡연부스
KR20150105508A (ko) 흡연부스
KR20140001423U (ko) 흡연 부스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KR20150103483A (ko) 지능형 흡연실
KR20180003751A (ko) 흡연 부스
KR200476055Y1 (ko) 연기 및 냄새 여과장치
JP5800617B2 (ja) 空気清浄機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101758788B1 (ko) 흡연 구역 시스템
JP2003253973A (ja) ドア装置
KR20150003608A (ko) 흡연부스용 정화장치
JP2006003058A (ja) 空気清浄機付喫煙所
KR100652801B1 (ko) 공기청정기의 정음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022037A (ja) 仕切構造体及び分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