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958B1 - 무연 흡연장치 - Google Patents

무연 흡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958B1
KR101344958B1 KR1020120022384A KR20120022384A KR101344958B1 KR 101344958 B1 KR101344958 B1 KR 101344958B1 KR 1020120022384 A KR1020120022384 A KR 1020120022384A KR 20120022384 A KR20120022384 A KR 20120022384A KR 101344958 B1 KR101344958 B1 KR 10134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smoking
cigarette
unit
ho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323A (ko
Inventor
조욱래
Original Assignee
조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욱래 filed Critical 조욱래
Priority to KR102012002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95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04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 A24F13/06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arrangements for cleaning or cooling the smoke with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12Cigar or cigarette holder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writing utensi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 흡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되, 몸체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담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담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열선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흡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흡연자가 담배를 흡연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와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흡연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연기가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부에 의해 수납부의 담배가 연소되면, 흡입자가 상기 흡연부를 통해 수납부의 담배연기를 흡입하고, 내뿜은 연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부를 통해 배기되어 오염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소에 무관하게 각 흡연자의 기호에 따라 흡연할 수 있어 편리함과 욕구를 만족시킴은 물론, 타인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연 흡연장치{Smokeless smoking device}
본 발명은 흡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 연기를 필터링하여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흡연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흡연을 즐길 수 있게 하는 무연 흡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대부분 순수한 잎담배 외에 담배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각종의 향료, 담배맛을 맵지 않도록 일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담배불이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연제 등이 첨가된다.
그리고 권련지(잎담배를 말은 종이)는 마(麻)를 주재료로 한 유기질 섬유와 경질 탄산칼슘 등의 충전재료를 사용하며, 연소성을 향상시키고 타고난 재의 모양을 좋게 하기 위하여 인산암모늄 등의 조연제가 들어있고, 권련지를 원통형으로 유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담배는 흡연 시, 연기가 발생되며, 이 연기에는 아크로레인, 페놀, 벤조피렌,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나이트로자민, 니코틴 등 많은 발암물질과 몸에 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된다.
이 연기를 타인이 흡입할 경우,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공공장소와 거리 및 실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여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이에 애연자들은 불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타인에게 유해를 가하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흡연장치를 등록특허 제10-0598131호에서 개진하였다.
도 1은 종래 흡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물질을 연소시키거나 가열하여 기체와 에어로졸을 발생시켜 이를 흡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흡연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은 폐쇄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방 또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몸체(1)와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단 점화되면 지속적으로 연소 또는 가열하며 기체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연소물(2) 및 연소물을 초기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3)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흡연장치는 담배 자체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연기나 유해물질은 처리가 가능하지만, 흡연자가 흡입 후, 내뿜는 연기는 여전히 외부공간으로 배출됨에 따라 여전히 흡연구역에서 흡연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흡연시 발생되는 모든 연기를 용이하게 필터링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흡연을 즐길 수 있는 흡연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담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는 열선부와 연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가 구비되고, 흡연자가 흡연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경우, 담배 연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한 연기를 내뿜으면 필터부로 이동되어 필터링함에 따라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흡연을 즐길 수 있는 무연 흡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되, 몸체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담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담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열선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흡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흡연자가 담배를 흡연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와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흡연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연기가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부에 의해 수납부의 담배가 연소되면, 흡입자가 상기 흡연부를 통해 수납부의 담배연기를 흡입하고, 내뿜은 연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부를 통해 배기되어 오염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부는, 개폐되어 담배를 수납 또는 제거하기 위한 도어, 담배를 홀딩시키기 위한 집게,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으로 상기 집게에 홀딩된 담배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파이프, 상기 몸체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수납부로 흡기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기댐퍼, 및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수납부의 공기가 상기 흡연부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연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흡기댐퍼와 흡입댐퍼가 일방향으로 동시에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연소되는 담배와 흡입댐퍼를 통해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와 집게는, 홀딩된 담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선부는, 열선,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선전원, 상기 열선전원을 열선으로 인가시키기 위한 열선버튼, 및 상기 열선에 인가된 열선전원을 일정시간 후 차단시키는 열선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용기, 연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연기에 의해 개방되어 연기를 흡연부에서 저수용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도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송풍모터, 송풍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송풍전원, 상기 송풍전원을 송풍모터로 인가 또는 차단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버튼, 상기 저수용기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연기를 상기 저수용기에 저수된 물속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흡입부에서 내뿜는 연기가 저수용기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출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기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흡연부에서 연기를 내뿜을 경우,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로 배기되고, 그 반대로 외부 공기의 흡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흡연부에 빨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더 구비되고, 상기 빨대를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탈부착 가능한 빨대보관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빨대는, 일단이 흡연자의 잇몸에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의 상면과 하면에 흡연자의 잇몸이 끼워지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외면을 따라 다수의 지압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연 흡연장치에 의하면, 장소에 무관하게 각 흡연자의 기호에 따라 흡연할 수 있어 편리함과 욕구를 만족시킴은 물론, 타인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흡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수납부와 열선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에 빨대와 빨대보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수납부와 열선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의 필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연 흡연장치에 빨대와 빨대보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연 흡연장치(10)는 몸체(100)와 수납부(200), 열선부(300), 필터부(400), 흡연부(500), 및 배기부(600)로 구성된다.
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수납부(2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되, 몸체(100)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담배(20)가 수납된다.
그리고 열선부(3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수납부(200)에 수납된 담배(20)에 불을 붙여 연소시키고, 필터부(4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흡연 연기를 필터링하여 연기를 공기에서 제거하게 된다.
흡연부(500)는 몸체(100)에 구비되어 흡연자가 담배(20)를 흡연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수납부(200)와 필터부(400)에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다시 말해, 흡연부(500)를 통해 흡연자가 담배(20)를 흡연할 경우, 수납부(200)와 연통되어 흡연이 가능하며, 이때, 필터부(400)와는 폐쇄된다.
그리고 흡입했던 연기를 내뿜을 경우, 수납부(200)와 폐쇄됨과 동시에 필터부(400)와 연통되어 담배 연기가 필터부(400)로 이동됨에 따라 필터링된다.
또한 배기부(600)는 몸체(100)에 구비되어 필터부(400)를 통해 연기가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된다.
이러한 무연 흡연장치(10)의 사용 상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200)를 개방시켜 담배(20)를 수납한 후, 열선부(300)에 의해 수납부(200)의 담배(20)에 불을 붙여 연소시킨다.
그리고 흡입자가 흡연부(500)를 통해 수납부(200)의 담배 연기를 흡입하고, 내뿜은 연기는 필터부(400)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부(600)를 통해 배기되어 담배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소에 무관하게 각 흡연자의 기호에 따라 흡연할 수 있어 편리함과 욕구를 만족시킴은 물론, 타인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수납부(200)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10)와 집게(220), 파이프(230), 흡기댐퍼(240) 및 흡입댐퍼(250)로 구성된다.
도어(210)는 개폐되어 담배를 수납하거나 연소된 담배를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며, 집게(220)는 담배(20)를 홀딩시켜 불을 붙이고, 담배(2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흡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파이프(230)는 내부가 통공되어 흡연부(500)와 연통되는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으로 집게(220)에 홀딩된 담배(20)의 일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다시 말해, 파이프(230)를 통해 담배(20)의 흡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담배(20) 의 자체 필터를 통해 흡연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수납부(200)에 존재하는 불붙은 담배의 단순 연소된 연기가 흡연자에게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흡기댐퍼(240)는 몸체(100)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수납부(200)로 흡기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흡입댐퍼(250)는 흡연부(500)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수납부(200)의 공기가 흡연부(500)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수납부(2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200)에 수납된 담배(20)에 열선부(300)에 의해 불이 붙은 상태에서, 흡연자가 흡연부(5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댐퍼(250)와 흡기댐퍼(240)가 순차적으로 개방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수납부(200)로 흡기되어 불붙은 담배(20)와 파이프(230)를 통해 흡입된다.
이에 따라, 흡연자는 담배 연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연자가 흡입을 멈추면 흡입댐퍼(250)와 흡기댐퍼(240)가 순차적으로 폐쇄됨이 당연하다.
여기서, 파이프(230)와 집게(220)는 홀딩된 담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종류에 따라 길이가 다른 담배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파이프(230)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직경이 다른 담배를 수납할 경우, 그 담배에 맞는 내경으로 이루어진 다른 파이프를 설치함에 따라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열선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선(310)과 열선전원(320), 열선버튼(330) 및 열선제어부(340)로 구성된다.
열선전원(320)은 열선(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열선버튼(330)은 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열선전원(320)의 전원을 열선(310)으로 인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납부(200)에 수납된 담배(20)에 불을 붙여 연소시킬 수 있다.
물론, 열선전원(320)은 열선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열선버튼(330)을 눌러 열선(310)에 열선전원(320)의 전원이 인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열선(310)의 과도한 발열을 방지하여 열선부(300)는 물론, 흡연장치(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40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용기(410)와 송풍팬(420), 필터도어(430), 송풍모터(440), 송풍전원(450), 조작버튼(460), 가이드판(470) 및 배출댐퍼(480)로 구성된다.
저수용기(410)는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저수용기(410)로 물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출입부(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송풍팬(420)은 내 뿜은 연기를 송풍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필터도어(430)는 송풍팬(420)에 의해 송풍된 연기에 의해 개방되어 연기를 흡연부(500)에서 저수용기(41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 필터도어(430)는 저수용기(410)에 저수된 물이 송풍팬(42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도 방지함이 당연하다.
송풍모터(440)는 송풍팬(4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송풍전원(450)은 송풍모터(440)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조작버튼(460)은 송풍전원(450)을 송풍모터(440)로 인가 또는 차단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 흡연 시, 이 조작버튼(460)을 눌러 송풍팬(420)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가이드판(470)은 저수용기(410)에 다수 개 구비되어 송풍팬(420)에 의해 송풍된 연기를 저수용기(410)에 저수된 물속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연기를 물속에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을 물속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출댐퍼(480)는 흡연부(500)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흡입부(500)에서 내뿜는 연기가 저수용기(410)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배기부(600)는 배기댐퍼(610)가 구비되어 흡연부(500)에서 연기를 내뿜을 경우, 필터부(400)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로 배기되고, 그 반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연부(500)에 빨대(70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빨대(700)에 의해 위생적으로 흡연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빨대(700)는 일단이 흡연자의 잇몸에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의 상면과 하면에 흡연자의 잇몸이 끼워지기 위한 안착홈(710)이 형성된다.
물론, 흡연부(500)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됨이 당연하다.
또한 이 빨대(7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0)에 탈부착 가능한 빨대보관부(800)가 더 구비된다.
이 빨대보관부(800)는 하나 이상의 빨대(7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타인도 새로운 빨대(700)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흡연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몸체(100)는 외면을 따라 다수의 지압돌기(900)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흡연을 하지 않을 경우, 지압돌기(900)를 이용하여 지압을 할 수 있어 건강 유지를 보조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10 : 무연 흡연장치 20 : 담배
100 : 몸체 200 : 수납부
210 : 도어 220 : 집게
230 : 파이프 240 : 흡기댐퍼
250 : 흡입댐퍼 300 : 열선부
310 : 열선 320 : 열선전원
330 : 열선버튼 340 : 열선제어부
400 : 필터부 410 : 저수용기
420 : 송풍팬 430 : 필터도어
440 : 송풍모터 450 : 송풍전원
460 : 조작버튼 470 : 가이드판
480 : 배출댐퍼 500 : 흡연부
600 : 배기부 610 : 배기댐퍼
700 : 빨대 710 : 안착홈
800 : 빨대보관부 900 : 지압돌기

Claims (9)

  1.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되, 몸체 외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담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담배를 연소시키기 위한 열선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흡연 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흡연자가 담배를 흡연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와 필터부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흡연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연기가 필터링된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되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부에 의해 수납부의 담배가 연소되면, 흡입자가 상기 흡연부를 통해 수납부의 담배연기를 흡입하고, 내뿜은 연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부를 통해 배기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수납부는,
    개폐되어 담배를 수납 또는 제거하기 위한 도어;
    담배를 홀딩시키기 위한 집게;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부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일단으로 상기 집게에 홀딩된 담배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파이프;
    상기 몸체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수납부로 흡기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기댐퍼; 및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수납부의 공기가 상기 흡연부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연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흡기댐퍼와 흡입댐퍼가 일방향으로 동시에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연소되는 담배와 흡입댐퍼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흡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와 집게는,
    홀딩된 담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흡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부는,
    열선;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선전원;
    상기 열선전원을 열선으로 인가시키기 위한 열선버튼; 및
    상기 열선에 인가된 열선전원을 일정시간 후 차단시키는 열선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연 흡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용기;
    연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연기에 의해 개방되어 연기를 흡연부에서 저수용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도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송풍모터;
    송풍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송풍전원;
    상기 송풍전원을 송풍모터로 인가 또는 차단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버튼;
    상기 저수용기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연기를 상기 저수용기에 저수된 물속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흡연부와 연통되는 단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흡입부에서 내뿜는 연기가 저수용기로 이동되고,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출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연 흡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배기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흡연부에서 연기를 내뿜을 경우,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로 배기되고, 그 반대로 외부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흡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22384A 2012-03-05 2012-03-05 무연 흡연장치 KR10134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84A KR101344958B1 (ko) 2012-03-05 2012-03-05 무연 흡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84A KR101344958B1 (ko) 2012-03-05 2012-03-05 무연 흡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23A KR20130101323A (ko) 2013-09-13
KR101344958B1 true KR101344958B1 (ko) 2013-12-24

Family

ID=4945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84A KR101344958B1 (ko) 2012-03-05 2012-03-05 무연 흡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9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723A (ko) * 2016-09-19 2017-09-13 전대연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KR20180060760A (ko) * 2016-11-29 2018-06-07 최성수 간접 흡연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240A (ja) 1999-04-15 2000-10-31 Keiji Nakaya 煙を出さない喫煙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240A (ja) 1999-04-15 2000-10-31 Keiji Nakaya 煙を出さない喫煙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723A (ko) * 2016-09-19 2017-09-13 전대연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KR102498306B1 (ko) 2016-09-19 2023-02-10 전대연 더 현명한 금연 시스템
KR20180060760A (ko) * 2016-11-29 2018-06-07 최성수 간접 흡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23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131B1 (ko) 밀폐형 흡연장치
JP6062358B2 (ja) 封入型喫煙装置
US7861726B1 (en) Filtration device for tobacco products
NL1031051C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filteren van tabaksrook.
EP3711510B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KR20170137931A (ko) 자동 담배-연소 정화기
US10306920B1 (en) Cigarette smoke filtration apparatus
WO2006017739A1 (en) Smoking enclosure
KR101344958B1 (ko) 무연 흡연장치
WO2020193196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643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KR101746811B1 (ko) 흡연용 보조기구
KR102195745B1 (ko) 담배 연기로 인한 간접 흡연을 방지하는 흡연통
EP3711554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514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KR20180060760A (ko) 간접 흡연 방지 장치
KR100650159B1 (ko) 휴대용 담배 파이프 겸용 재떨이
KR20220118601A (ko) 휴대용 담배연기 저감장치
EP3711528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1511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EP3712081A1 (en) Packaging for a smoking substitute device
TW202042670A (zh) 吸煙替代系統
EP3711495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TWI839489B (zh) 吸煙替代系統、吸煙替代設備、及操作吸煙替代設備的方法
CN218790483U (zh) 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