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723A -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723A
KR20170103723A KR1020170107370A KR20170107370A KR20170103723A KR 20170103723 A KR20170103723 A KR 20170103723A KR 1020170107370 A KR1020170107370 A KR 1020170107370A KR 20170107370 A KR20170107370 A KR 20170107370A KR 20170103723 A KR20170103723 A KR 2017010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time
cigarette
daily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306B1 (ko
Inventor
전대연
Original Assignee
전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연 filed Critical 전대연
Publication of KR2017010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pidemiology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금연을 하기 위해 정말 노력이 필요하다. 금연앱 사용도 귀찮아진다
본 발명은 화면상에 나타난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으로 앱을 실행한다
수많은 좋은 금연앱이 출현되고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순수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흡연시간과 담배갯수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없었다
금연하기위해 흡연자는 최소한의 노력을 해야 한다.
산출된 흡연시간과 담배갯수를 평균적인 수치에 맞춰 금연을 유도하고 나중에 흡연자 스스로 흡연시간과 담배갯수를 줄이는 데 촛점을 두었다.

Description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The wiser smoking-quitting app system}
본 발명은 센서없이 순수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만 실제흡연시간과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알아내고, 앱내 저장된 흡연량데이타(흡연시간, 흡연담배갯수)와 비교하여 흡연이 과다할 시 경고메시지로 알려 금연을 돕는 방법이다.
흡연자가 금연하고자 할 때 한번에 끊는 것이 어렵다면 일일 흡연시간을 조절하여 금연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은 있다.
그러나 순수하게 소프트웨적으로 흡연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 없었다. 흡연시간을 입력하는 앱은 많으나 귀찮음으로 해서 제대로된 흡연시간을 측정하기 어려웠다. 마찬가지로 흡연담배갯수도 수동입력은 있다. 자동으로 산정하는 방법이 없었다 사용방법도 수월치 않았다. 본 발명은 화면상에 단지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으로 앱을 실행한다.
본 발명과 같이 흡연시간과 흡연담배갯수를 자동으로 산정하여 금연을 유도하는 필요성이 제기된 점이다
등록번호: 1013818880000 금연의욕 고취장치 및 그 제어 방법
하루에 핀 흡연시간과 하루에 핀 흡연담배갯수를 알아야 한다
하루에 필 흡연시간과 하루에 필 흡연담배갯수를 하루에 핀 흡연시간과 하루에 핀 흡연담배갯수를 비교하여 하루에 핀 흡연량데이타(일일실제흡연시간,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를 하루에 필 흡연량데이타(일일평균흡연시간,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 또는 일일희망흡연시간,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와 비교하여 하루에 핀 흡연량데이타가 하루에 필 흡연량데이타보다 크다면 흡연자에게 경고메시지로 알려 금연을 유도한다
흡연하면서 금연을 시도할 때 흡연자는 일일흡연시간과 일일흡연담배갯수를 생각해야 한다
앱내에 미리 일일평균흡연시간과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를 입력해 놓는다. 또는 수동으로 일별 또는 주기별 또는 월별로 일일희망흡연시간과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를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테이블에 입력한다.
담배를 피고 끊을 때마다 개피당실제흡연시간과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앱내에 저장한다
하루는 0시부터 24시이다. 24시간에 핀 개피당실제흡연시간을 다 더하면 일일실제흡연시간이다.
24시간에 핀 실제흡연담배갯수를 다 더하면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이다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일일실제흡연시간,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와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 또는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와 비교하여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가 크면 흡연자 스마트폰에 경고메시지로(문자 또는 음성) 알려 금연을 도와준다
개피당흡연시간은 앱내에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을 만들어 흡연시작버튼을 누른 시각과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시각으로 산정된다
흡연담배갯수는 개피당흡연시간과 연관하여 산정된다.
개피당흡연시간이 산정될 때 흡연담배갯수는 그 시간대에 1값을 갖는다.
1. 앱을 실행할 성의만 있으면 자신이 정한 또는 평균값을 갖는 흡연량에 맞춰 손쉬운 방법으로 금연을 시작할 수 있다.
2. 담배구입시부터 손쉽게 금연활동에 들어간다
3. 사용법이 간편하다
도1a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구성도
도1b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구성도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도2a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단계도
도2b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단계도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도3a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흐름도
도3b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흐름도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도4 더 현명한 금연앱 버튼
순수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실제흡연시간과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알아야 한다.
사용자의 편리성과 흡연시작시각과 흡연종료시각을 알기위해 앱내에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을 만든다.
흡연시작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흡연종료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앱내에 만든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을 도4와 같이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내고 스마트폰화면에 흡연시작버튼을 눌렀으면 시작버튼 배경색이 빨강색으로 변한다는 것을 알려주어 금연자가 시작버튼을 이중으로 누르지 않도록 한다.
앱내에 시작버튼배경색테이블을 만들어 버튼배경색을 변경한다
배경색변경이유테이블을 만들어 시작버튼을 눌렀으면 버튼배경색이 빨강색으로 변합니다라는 문구를 저장한다.
시스템클락은 YY MM DD mm ss로 표시된다
누른 버튼과 누르지 않은 버튼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흡연자가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경우와 흡연시작버튼을 눌렀지만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못한 경우와 흡연시작버튼은 못 눌렀지만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경우를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였다. 종료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기다린다. 일정시간은 개피당평균흡연시간보다 길게 잡는다. 본발명에서는 일정시간을 10분으로 한다. 7분 또는 15분도 가능하다
개피당평균흡연시간은 대략 3분으로 하고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는 10개로 하여 일일평균흡연시간은 30분이다.
앱내에 일정시간테이블 만든다 일정시간을 저장한다
앱내에 일일평균흡연시간테이블을 만들어 30분을 저장한다.
앱내에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테이블을 만들어 10개를 저장한다.
이 2개 데이타를 통칭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라 한다
또는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를 일별, 또는 주기별 또는 월별로 임의값을(자신이 원하는 값) 수동으로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테이블에 입력한다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는 일일희망흡연시간과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이다. 각각의 테이블을 만든다.
도1a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a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단계도이다.
도3a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흐름도이다.
S8은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 입력단계이다.
선택사항이다.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가 앱내에 있어 데이타흐름이 자동적이다.
이 단계는 수동으로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를 입력한다.
일별 또는 주기별 또는 월별로 흡연시간과 흡연담배갯수를 다르게 입력할 수 있다.
S10은 흡연시작버튼을 눌렀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앱작성시 흡연시작버튼을 만든다. 이때 버튼배경색은 흰색으로 한다.
흡연시작은 흡연시작버튼을 누르는 것이며 흡연시작버튼을 누른 시각이 흡연시작시각이다.
S20은 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는 단계이다.
S10 단계에서 시작버튼을 누르면 원래의 색인 흰색에서 버튼배경색을 빨강색으로 만든다. 식별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다
S30은 흡연시작시각저장단계이다
흡연시작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20 단계와 S30 단계는 순서: 바꿔도 된다
S40은 흡연종료버튼을 눌렀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앱작성시 흡연종료버튼을 만든다. 이때의 버튼배경색은 흰색으로 한다.
흡연종료는 흡연종료버튼을 누르는 것이며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시각이 흡연이 종료되는 시각이다
S50은 시작버튼색을 변경하는 단계이다
S40 단계에서 종료버튼 누른 후 시작버튼의 빨강색을 원래의 색인 흰색으로 변경한다
S60은 흡연종료시각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50 단계와 S60 단계는 순서를 바꿔도 된다
S70은 개피당실제흡연시간과 실제담배갯수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개피당실제흡연을 산출하는 방법은 3가지이다.
1) 첫번째 방법은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경우이다.
이때는 흡연시작시각과 흡연종료시각으로 개피당실제흡연시간을 알 수있다
2) 두번째 방법은 흡연시작버튼을 눌렀으나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못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흡연종료시작은 흡연시작시각+3분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3) 세번째 방법은 담배필 때 흡연시작버튼을 누르지 못하고 담배핀 후에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경우이다.
이때의 흡연시작시각은 흡연종료시각-3분이다
이값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개피당실제흡연시간은 흡연종료시각테이블값에서 흡연시작시각테이블값을 뺀 값이다. 이 값을 개피당실제흡연시간테이블에 저장한다.
개피당실제흡연시간에 대응하며 실제담배갯수테이블에 "1"값을 저장한다.
시간별 또는 일정시간별로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알려면 담배 1대를 필때마다 실제흡연담배갯수테이블에 "1"값을 개별적으로 저장한다.
즉 실제흡연시간테이블값에 대응하는 실제흡연담배갯수 테이블값이 존재하는 것이다.
S80은 일일실제흡연시간과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 산출하는 단계이다
하루는 "0시"부터 "24시" 까지이다
흡연시작시각을 또는 흡연종료시각을 기준으로 하룻동안에 핀 개피당실제흡연시간을 다 더하면 일일실제흡연시간이 되며 실제흡연담배갯수를 다 더하면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가 된다.
S90은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와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 또는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와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는 일일실제흡연시간과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이다.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는 일일평균흡연시간과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이다.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는 앱내에 만든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일일평균흡연시간은 30분이며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는 10개이다.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는 앱내에 저장되어 데이타흐름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를 고정값으로 하지 않고 변동값을 가지게 하려면 수동으로 입력하는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일별, 또는 주기별 또는 월별로 흡연시간과 담배갯수를 자신이 정한 값으로 입력한다.
S100은 경고메시지 알림단계이다.
일일실제흡연시간과 일일평균흡연시간 또는 일일실제흡연시간과 일일희망흡연시간을 비교하여 일일실제흡연시간이 많으면 경고메시지를 흡연자에게 알린다.
위의 값이 많지 않은 경우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와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 또는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와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를 비교하여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가 많으면 경고메시지를 흡연자에게 보낸다.
앱내에 경고메시지테이블을 만든다. 경고메시지는 흡연은 만병의 근원입니다 또는 당신의 폐는 건강합니까 또는 연기처럼 당신도 사라질 수 있읍니다 라는 문구이다
경고메시지는 문자 또는 음성으로 나타낸다
S15는 흡연종료버튼을 눌렀는 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담배를 피기 시작하고 S10 단계에서 흡연시작버튼을 누르지 못했으면 담배를 피고난 후에 이 단계로 온다.
S16은 흡연종료시각과 흡연시작시각을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담배를 다피고 나서 S15 단계에서 흡연종료버튼을 눌렀으면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시각이 흡연종료시각이다
흡연종료시각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흡연시작시각은 흡연종료시각에서 평균흡연시간인 3분을 뺀 값이다. 이 값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70 단계로 간다
S17은 일정시간 체크하는 단계이다
S15 단계에서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않았다면 일정시간을 기다린다. 금연자가 흡연종료버튼누르기를 잠시 기다리는 시간이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담배를 다 피고나서도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않았다면 이때는 앱상에서는 담배를 안핀 것으로 간주한다
S10 단계로 간다
S45는 일정시간을 체크하는 단계이다
S40 단계에서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않았다면 일정시간을 체크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S46 단계로 간다
S46은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는 단계이다
S45 단계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빨강색에서 원래 색인 흰색으로 변경한다
앱내 흡연시작버튼배경색테이블을 활용한다.
S47은 흡연종료시각을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흡연시작시각은 알 수 있으나 흡연종료시각은 알 수 없다. 흡연시작시각테이블값에서 평균흡연시간인 3분을 더하여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70 단계로 간다
도1b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도2b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단계도이다.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도3b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흐름도이다
(바코드/QR코드 또는 NFC태그를 활용한)
흡연자 스마트폰은 NFC기능, 또는 바코드/QR코드 읽는 기능이 있다
S2는 바코드/QR코드 스캐닝 또는 NFC태그 접촉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이다.
산 담배에 부착된 바코드/QR코드를 스캐닝하여 바코드/QR코드데이타를 읽거나 NFC태그를 접촉하여 NFC태그데이타를 수신한다.
앱내의 바코드/QR코드데이타테이블에 바코드/QR코드데이타를 저장하거나 NFC태그데이타테이블에 NFC태그데이타를 저장한다. 바코드/QR코드데이타 또는 NFC태그데이타는 특정담배제조사명, 특정담배명, 태그식별id이다.
S4는 담배제조사명 또는 담배명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금연앱을 모든 흡연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면 좋겠으나 특정담배를 구매한 흡연자스마트폰에서만 실행되기위해 앱내에 담배제조사명테이블 또는 담배명테이블을 만들어 담배제조사명 또는 담배명을 저장한다.
바코드/QR코드데이타 또는 NFC태그데이타인 담배제조사명 또는 담배명을 앱내 담배제조사명테이블값 또는 담배명테이블값을 비교하여 값이 같으면 S6 단계로 간다
S6는 담배제조사명 또는 담배명 표시단계이다.
S4 단계에서 비교값이 같으면 담배제조사명 또는 담배명을 흡연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한다.
금연을 목적으로 했지만 금연앱을 제공하는 댓가로 회사의 홍보를 하기위해 잠시 화면에 나타나고 사라진다.
화면에 나타나고 사라진 후 S8 단계 또는 S10 단계로 간다.
위와는 별도의 목적으로 바코드/QR코드를 읽거나 NFC태그를 접촉하면 금연앱을 내려받거나 금연앱이 실행되도록 바코드/QR코드데이타를 바코드/QR코드생성시 입력하거나 NFC태그데이타를 NFC태그에 입력한다. 이때는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에 관계없이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의 바코드/QR코드데이타 또는 NFC태그데이타는 금연앱 프로그램 코드등을 포함한다.

Claims (21)

  1. 흡연자 스마트폰에서 실행되어 흡연자가 간단하게 조작하는 앱내 버튼으로 개피당 실제흡연시간과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산출하여 현명하게 금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담배를 피기 시작할 때 흡연시작버튼을 누르면 흡연시작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담배피기를 그만하고 흡연종료버튼을 누르면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개피당 실제흡연시간은 상기 흡연시작시각테이블값과 상기 흡연종료시각테이블값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실제흡연담배갯수는 개피당 실제흡연시간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항의 담배를 피고난 후 담배핀 개피당 실제흡연시간들을 더하여 일일실제흡연시간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항의 담배를 피고난 후 담배핀 실제흡연담배갯수들을 더하여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3항의 일일실제흡연시간테이블값과 앱내에 저장된 일일평균흡연시간 또는 일일희망흡연시간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일실제흡연시간테이블값이 상기 일일평균흡연시간 또는 일일희망흡연시간보다 많으면
    흡연자스마트폰에 경고메시지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비교단계에서
    상기 일일실제흡연시간테이블값이 상기 일일평균흡연시간 또는 일일희망흡연시간보다 적으면
    상기 4항의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테이블값과 앱내에 저장된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 또는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테이블값이 상기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 또는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보다 많으면
    흡연자스마트폰에 경고메시지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명한 금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흡연시작버튼을 누르기 전에
    금연앱이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에만 실행되도록 담배를 피기 시작하기전에 담배갑에 부착된 바코드/QR코드를 읽거나 NFC태그를 수신하는 단계;
    바코드/QR코드데이타 또는 NFC태그데이타인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을 앱내에 저장한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값이 같으면 스마트폰화면에 잠시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명한 금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담배를 피기 시작할 때 흡연시작버튼을 눌렀지만 담배를 피고난 후 흡연종료버튼을 누르지 못한 경우 흡연종료시각은 흡연시작시각에 개피당평균흡연시간인 3분을 더한 값이며 흡연종료시각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담배를 피기 시작할 때 흡연시작버튼을 누르지 못하고 담배를 다 피고난 후 흡연종료버튼을 누른 경우 흡연시작시각은 흡연종료시각에 개피당평균흡연시간인 3분을 뺀 값이며 흡연종료시각은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하고 흡연시작시각은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일일평균흡연량데이타인 일일평균흡연시간과 일일평균흡연담배갯수를 앱내에 저장된 고정값으로 하여 일일실제흡연량데이타(일일실제흡연시간테이블값과 일일실제흡연담배갯수테이블값)와 비교했지만 일일희망흡연량데이타인 일일희망흡연시간과 일일희망흡연담배갯수는 일별 또는 주기별 또는 월별로 수동으로 입력하는 흡연자가 원하는 값을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1.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경고메시지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을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2.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에만 금연앱이 실행되도록 바코드/QR코드데이타 또는 NFC태그데이타는 특정담배제조사명 또는 특정담배명을 포함하는 바코드/QR코드가 인쇄된 또는 NFC태그가 부착된 담배갑.
  13. 바코드/QR코드를 읽거나 NFC태그를 접촉하면 금연앱을 내려받거나 금연앱이 실행되는 바코드/QR코드가 인쇄된 또는 NFC태그가 부착된 담배갑.
  14. 흡연시작시각을 알기 위한 흡연시작버튼과 흡연종료시각을 알기위한 흡연종료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 현명한 금연앱.
  15. 제 14항에 있어서
    흡연시작버튼을 눌렀을 경우와 누르지 않았을 경우에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여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6.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개피당평균흡연시간은 3분값이외에 다른값을 갖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담배필 때마다 담배피운 시각별로 자동으로 개피당실제흡연시간 또는 담배 피운 시각별로 실제흡연담배갯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흡연시작버튼을 누른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전 후에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흡연종료버튼을 누를 시각인 시스템클락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전후에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20. 제 8항에 있어서
    흡연종료시각을 흡연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전에 일정시간 체크하는 단계;
    흡연시작버튼배경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화면에 식별문구를 나타내는 것을 더 포함하는
    더 현명한 금연방법
KR1020170107370A 2016-09-19 2017-08-24 더 현명한 금연 시스템 KR102498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94 2016-09-19
KR1020160119394A KR20160116305A (ko) 2016-09-19 2016-09-19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723A true KR20170103723A (ko) 2017-09-13
KR102498306B1 KR102498306B1 (ko) 2023-02-10

Family

ID=57145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94A KR20160116305A (ko) 2016-09-19 2016-09-19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KR1020170107370A KR102498306B1 (ko) 2016-09-19 2017-08-24 더 현명한 금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94A KR20160116305A (ko) 2016-09-19 2016-09-19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163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797B1 (ko) * 2017-08-22 2021-02-09 전대연 똑똑한 금연 시스템
CN114343254B (zh) * 2021-11-30 2024-02-27 深圳自觉科技有限公司 辅助戒烟的方法、辅助戒烟平台及相关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717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연 일정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금연 일정 체크방법
KR100716417B1 (ko) * 2005-05-30 2007-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44958B1 (ko) * 2012-03-05 2013-12-24 조욱래 무연 흡연장치
KR101381888B1 (ko) 2012-08-01 2014-04-07 박민홍 금연 의욕 고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0900A (ko) * 2014-01-02 2015-07-10 전대연 스마트 금연방법
KR20150141162A (ko) * 2015-10-06 2015-12-17 전대연 스마트기기 전원 on/off 상태 모니터링 및 알림 방법
KR101608386B1 (ko) * 2013-11-01 2016-04-08 (주)몽태랑인터내셔날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54371B1 (ko) * 2013-01-30 2020-09-0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전자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심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717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연 일정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금연 일정 체크방법
KR100716417B1 (ko) * 2005-05-30 2007-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101344958B1 (ko) * 2012-03-05 2013-12-24 조욱래 무연 흡연장치
KR101381888B1 (ko) 2012-08-01 2014-04-07 박민홍 금연 의욕 고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4371B1 (ko) * 2013-01-30 2020-09-0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전자 흡연 물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심지
KR101608386B1 (ko) * 2013-11-01 2016-04-08 (주)몽태랑인터내셔날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80900A (ko) * 2014-01-02 2015-07-10 전대연 스마트 금연방법
KR102179414B1 (ko) * 2014-01-02 2020-11-17 전대연 스마트 금연시스템
KR20150141162A (ko) * 2015-10-06 2015-12-17 전대연 스마트기기 전원 on/off 상태 모니터링 및 알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306B1 (ko) 2023-02-10
KR20160116305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6836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20190051964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소비 전환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70103723A (ko) 더 현명한 금연앱 시스템
CN108685184B (zh) 辅助戒烟方法及辅助戒烟装置
US20150164144A1 (en)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an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50332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in locating and choosing a desired item in a storage location
JP6152289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更新用データの取得方法
US20150208723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moking
WO2008041424A1 (fr) Système de présentation de situation, serveur et programme de serveur
US201803612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O2019198552A1 (ja) 充電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9170041A1 (zh) 衣物管理系统和方法
JP6115976B1 (ja) 情報処理機器、プログラム
WO2017124695A1 (zh) 一种用户提醒事件的建立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2009181478A (ja) コンディション推定装置、及び、コンディション推定プログラム
KR102213797B1 (ko) 똑똑한 금연 시스템
CN105208094B (zh) 一种消息通知方法及消息通知系统
JP2006518619A (ja) 習慣関連動作制御に対するユーザー補助のための方法および器具
KR20170123293A (ko) 편리한 금연앱 시스템
KR102179414B1 (ko) 스마트 금연시스템
CN111158481B (zh) 一种提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6091010A1 (zh) 倒计时方法及装置
JP2019152940A (ja) ユーザパフォーマンス判定装置
JP5694027B2 (ja) 認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13229A (ko) 더 똑똑한 금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