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86A -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86A
KR20150144086A KR1020140072749A KR20140072749A KR20150144086A KR 20150144086 A KR20150144086 A KR 20150144086A KR 1020140072749 A KR1020140072749 A KR 1020140072749A KR 20140072749 A KR20140072749 A KR 20140072749A KR 20150144086 A KR20150144086 A KR 20150144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od
smoking
cigarette smoke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777B1 (ko
Inventor
정종현
정유진
손병현
Original Assignee
정종현
정유진
손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현, 정유진, 손병현 filed Critical 정종현
Priority to KR102014007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7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흡연가능한 밀폐된 박스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 측부에 설치되어 담배 연기를 흡입하는 측방형 후드; 상기 후드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담배연기를 접촉되는 세정액 채워진 수조(300); 상기 후드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세정하는 사이클론 세정 집진부(Cyclone wet scrubber); 상기 후드 상면 및 상기 몸체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 집진부에서 유입된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담배 연기 및 담배 재 등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배기 흐름이 다시 급기로 전환되는 재순환 방식에 따라 PUSH-PULL 형태의 기류 흐름이 형성되어 담배 연기의 보다 신속한 제어 및 정화가 가능하고, 부스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외기 도입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부스 내 공기 질 관리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외기 희석에 의한 필터 수명도 연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흡연부스{smoking booth}
본 발명은 이동이 편리하고 선택적인 확장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정 효율이 높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대부분 순수한 잎담배 외에 담배의 향을 좋게 하기 위한 각종의 향료, 담배맛을 맵지 않도록 일정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담배불이 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연제 등이 첨가된다.
이러한 담배는 흡연 시, 연기가 발생되며, 이 연기에는 아크로레인, 페놀, 벤조피렌, 일산화탄소, 질소화합물, 나이트로자민, 니코틴 등 많은 발암물질과 몸에 해로운 성분이 다량 함유된다.
이 연기를 타인이 흡입할 경우,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공공장소와 거리 및 실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여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이에 애연가들은 불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타인에게 유해를 가하지 않고 실내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실내흡연 배기장치를 특허공개공보 제1997-0016363호에서 개진하였다. 이러한 실내흡연 배기장치는 내부 흡입관을 실내에 장착하고, 외부 흡출관을 실외에 장착하여 양관을 연결도관으로 연통시키며, 내부 흡입관의 단부에 파라솔을 설치하여 실내에서 공기(연기)가 파라솔과 흡입관, 연결도관 및 흡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흡연 배기장치는 연기를 강제 배출시키지 못함에 따라 환기율이 낮고, 흡연자에 의해 발생된 연기가 파라솔로 이동되는 시간이 길어 주변에 위치한 비 흡연자에게 피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내 전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함에 따라 흡연공간과 비흡연공간에 대한 구획이 없어 비 흡연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흡연자들이 실내에서 흡연을 즐김은 물론, 비 흡연자에게 피해를 가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 및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흡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고, 흡연 부스 내의 공기가 쾌적할 수 있도록 정화 효율이 높은 양질의 정화 또는 환기 장치가 구비된 흡연부스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68004호 (등록일자: 2014년02월20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이동이 편리하고, 선택적인 확장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정 효율이 높은 세정액을 공급하고 효율적인 다단 정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환기 및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흡연부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흡연가능한 밀폐된 박스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 측부에 설치되어 담배 연기를 흡입하는 측방형 후드; 상기 후드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담배연기를 접촉되는 세정액 채워진 수조; 상기 후드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세정하는 사이클론 세정 집진부(Cyclone wet scrubber); 상기 후드 상면 및 상기 몸체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 집진부에서 유입된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방형 후드는 상단부의 공간이 넓은 아치(arch) 타입 측방형 후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치 타입 측방형 후드는, 상기 상단 및 하단에 상기 담배 연기를 유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 집진부는, 상기 후드 후면을 따라 설치된 원통형 배관과, 상기 원통형 배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 및/또는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가이드 베인과, 상기 가이드 베인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관 중심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수조는, 상부면 및/또는 전면에 투명창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박스형 몸체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하단 모서리에 설치된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수조 하단부에 상기 세정액 공급 및 순환을 위한 펌프 및 슬러리 배출용 펌프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터부는, 박스형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팬(fan) 유닛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설치된 판형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판형 필터는 프리필터, 중간필터 및 활성 카본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스의 출입구에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동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센서와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팬 유닛을 동작시키는 팬 제어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터부 내측 하부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댐배연기를 필터부 내에서 확신시키는 급기 확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드는, 외측 상단에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외기 도입구 중심에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댐퍼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연결되어 다수의 부스가 연결 가능한 것으로, 몸체부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각각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장착되고, 상기 양측 프로파일의 홈에 고정용 클립을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되는 각 부스의 측면 벽에 양쪽 부스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탈 부착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액은, Ca(OH)2, CaO, CaCO3, Na2CO3, NaHCO3, NaOH, Na2SO3, MgO, Mg(OH)2, K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세정액과, NaCl, CaCl2, CuO, NaClO2, MgCl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배합된 혼합액인 것일 수 있고, 상기 기본 세정액과 상기 첨가제의 배합비가 9:1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담배 연기 및 담배 재 등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배기 흐름이 다시 급기로 전환되는 재순환 방식에 따라 PUSH-PULL 형태의 기류 흐름이 형성되어 담배 연기의 보다 신속한 제어 및 정화가 가능하고, 부스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외기 도입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부스 내 공기 질 관리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외기 희석에 의한 필터 수명도 연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액이 담기 수조 및 싸이클론 세정 집진부에 의해 1차로 정화하고, 2차로 부스 상단 필터부의 고효율 다단 필터에 의해 정화되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이고 쾌적한 흡연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담배연기의 순환 사이클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 내에서의 담배연기 측면 흐름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세정 집진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 상단에 설치된 필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의 후드 상단 후면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의 기능을 설명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의 수조 전면 및 상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 하단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설치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부스가 연결된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양쪽의 부스가 체결되는 벽면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센서 연계형 팬 유닛을 제어하는 흡연부스의 사용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기본 세정액을 Ca(OH)2로 하고 첨가제를 NaCl로 하여 배합 비율에 따른 유해물질(NO, NOx)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기본 세정액을 CaCO3로 하고 첨가제를 NaCl로 하여 배합 비율에 따른 유해물질(NOx, SO2)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담배연기의 순환 사이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흡연가능한 밀폐된 박스형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측부에 설치되어 담배 연기를 흡입하는 측방형 후드(200); 상기 후드(200)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담배연기를 접촉되는 세정액 채워진 수조(300); 상기 후드(200)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30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세정하는 사이클론 세정 집진부(400)(Cyclone wet scrubber); 및 상기 후드(200) 상면 및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 집진부(400)에서 유입된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습식 세정 집진부(400)와 세정액 및 필터 일체형 실내용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 기류 재순환 및 외기 도입 가능형 구조를 형성하고 부스내에서 흡연하여 발생한 담배연기를 세정 집진부(400)(Wet scrubbing)에서 1차 처리하고, 고효율 다단 필터로 2차로 처리하는 담배연기 다단 처리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인용 전환이 용이한 모듈 타입의 이동식 부스가 가능하고, 동작센서(590)를 연계하여 팬(fan)을 구동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를 제공한다. 또한, 담배연기 세정첨가제로서 세정 기본액과 첨가제의 최적 배합비율을 제안하고, 습식 세정집진과 세정첨가제 및 필터 일체형 실내용 이동식 흡연부스의 포집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흡연부스를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가능한 밀폐형 박스형 몸체부(100)를 구성하는데, 몸체부(100)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박닥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4개의 프레임에 상단이 천정구조에 필터부(500)를 형성하고, 4개의 벽면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서 아크릴 또는 PC 재질을 사용하여 투명창(310)을 확보하는 구조이다.
어느 한족 벽면은 흡연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개폐형 도어가 설치되고, 그 바대 벽면에는 흡연자가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정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연부스가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형 부스도 가능하고, 편리하게 이동 가능한 이동식 부스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흡연부스는 부스 내의 어느 한쪽의 벽면에 아치 모양의 측방형 후드(200)가 설치되고, 그 하단에 세정액의 담기는 수조(300)가 설치되며, 상기 후드(200) 후단면에 상기 수조(300)에서 수직으로 부스 상단의 필터부(500)와 연결되는 세정 집진부(400)(wet scrubber)가 설치된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드(200)의 상단 후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기류를 재순환시킬 수 있는 외기 도입구(250)가 형성된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상기 필터부(500) 내측 하부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댐배연기를 필터부(500) 내에서 확신시키는 급기 확산부(5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연자가 부스내에서 흡연을 하여 발생된 담배연기가 후드(200), 수조(300) 및 세정 집진부(400) 및 필터부(500)를 통과하여 정화되고, 외기 도입구(250)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급기 확산부(570)로 이동하여 다시 부스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재순환하는 기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부스 내의 공기 질 관리 및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아치(arch) 형태의 측방형 후드(200)가 설치되어 담배 연기 및 담배 재 등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배기 흐름이 다시 급기로 전환되는 재순환 방식에 따라 PUSH-PULL 형태의 기류 흐름이 형성되어 담배 연기의 보다 신속한 제어 및 정화가 가능하고, 부스 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외부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후드(200) 뒷편으로 외기 도입구(250)가 설치되어 외기 도입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부스내 공기 질 관리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외기 희석에 의한 필터 수명도 연장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흡연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내로 들어가서, 흡연을 시작하면, 담배 연기는 후드(200)의 전면 또는 상단에 위치된 개구부(230)를 통해 후드(200)로 유입되고, 후드(2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수조(300)의 세정액과 접촉한 후, 세정 집진부(400)(wet scrubber)를 따라 수직 상승하여 필터부(500)로 인입되고, 담배연기가 필터링 또는 정화된다. 그리고, 다시 급기 확산부(570)를 통해 재순환되어 부스 내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여 쾌적한 흡연부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필터링 또는 세정 단계를 적용하여 정화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액이 담기 수조(300) 및 세정 집진부(400)에 의해 1차로 정화하고, 2차로 부스 상단 필터부(500)의 고효율 다단 필터에 의해 정화되는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이고 쾌적한 흡연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드(200) 상면 후단에 외기 도입구(250)를 형성하여 담배 연기와 외부 공기를 포함하는 기류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고 부스내 쾌적한 공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 내에서의 담배연기 측면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넓어지면서 아치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평부로 구성된 측방형 후드(200)의 개구부(230)를 통해 담배연기가 유입되고, 후드(200) 하단에 연결된 수조(300)로 이동하고, 수조(300)에 담기 세정액을 접촉하여 세정액을 통한 담배재 및 담배연기의 유해한 물질 일부를 걸러내고, 세정 집진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수직으로 수조(300)와 필터부(500)를 연결하는 세정 집진부(400)는, 상기 후드(200) 후면을 따라 설치된 원통형 배관과, 상기 원통형 배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 및/또는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가이드 베인(450)과, 상기 가이드 베인(45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관 중심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정 집진부(400) 하단에서 유입된 담배연기 및 세정액 일부는 가이드 베인(450)을 통해 선회류를 형성하고 상승하게 되고, 상승 후 담배연기는 필터부(500)로 이동하여 다단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된다. 이처럼 세정 집진부(400)에서 담배 연기와 세정액이 혼합 기류를 선회시키는 것은 선회류에 의해 기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담배연기와 세정액의 접촉에 의한 세정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300)의 하단부에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펌프는 수조(300)내 상등 수를 스크러빙 세정액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세정액 재순환용 펌프(330), 신규 세정액을 시간에 맞추어 공급하기 위한 신규 세정액 공급용 펌프(350) 및 수조(3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슬러리 배출용 펌프(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조(300)애 일정 유량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input)과 출력(ouput)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서 세정 집진부(4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세정 집진부(400)(wet scrubber)는 습식 세정부로서 담배연기와 세정액이 혼합된 기류를 형성하여 담배연기와 세정액의 접촉에 의한 세정 작용을 수행하는 정화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드(200) 후면을 따라 설치된 원통형 배관과, 상기 원통형 배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 및/또는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가이드 베인(450)과, 상기 가이드 베인(45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관 중심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베인(450)은 상기 배관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심축으로 다수의 회전날개를 형성하여 후드(200)를 통해 유입된 담배연기가 수조(300)에서 후드(200)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난류를 방지하여 원활하게 기류를 이동시키고, 수조(300)에 담긴 세정액 일부를 물방울 형태로 유입시켜 상기 담배연기와 함께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날개는 담배 연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중심축에서 사선으로 형성된 수직 날개형으로 담배 연기 및 세정액 일부가 통과하면서 회전을 유도하고, 가이드 베인(450)의 날개 회전으로 담배 연기 및 세정액의 혼합 기류를 상승 선회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 상단에 설치된 필터부(5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필터부(500)는, 박스형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팬(fan) 유닛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설치된 판형 필터(550)를 포함하되, 상기 판형 필터(550)는 프리필터, 중간필터 및 활성 카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집진부(400)에서 담배연기 및 세정액 혼합기류 선회하면서 상승시켜 1차적으로 담배연기를 정화처리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집진부(400)에서 필터부(500)로 담배연기가 이동하면서 판형 필터(550)를 통해 2차적으로 필터링 정화하게 된다.
여기서, 필터부(500)는 팬(fan)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데, 팬 유닛(570)은, 세정 집진부(400)를 통해 담배연기 및 세정액 혼합기류가 선회 상승하도록 흡기하는 역할과 함께 외기 도입구(2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확산시키도록 유도한다. 필터부(500)에 유입된 담배 연기는 판형 필터(55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되는데, 판형 필터(550)는 프리 필터, 중간 필터 및 활성 카본 필터로 형성된 다단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리필터는 전처리 필터로서 극세사망으로 이루어져, 기본적인 유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중간 필터는 준 HEPA 급 필터로서 복합 향균 필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HEPA 필터는 미세 분진에 탁월한 제거 성능을 발휘하며, 나노 실버 및 카테킨의 복합 항균, 항곰팡이 작용으로 담배연기, 바이러스, 세균 및 미세먼지들을 제거한다.
활성 카본 필터(Activate Carbon Filter)는 활성 카본을 재질로 하는 필터로서, 활성 카본은 주로 야자껍질, 목재, 석탄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소성시킨 특수탄소로서 활성화 과정에서 형성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탄소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활성탄은 1g 당 800∼1200㎥의 내부표면적을 갖고 있는 흡착제로, 부분적인 화학흡착이 일어나지만, 대부분의 흡착은 활성카본 내부에 존재하는 탄소원자의 관능기가 주위의 액체나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흡착질 분자를 포집하는 물리흡착이다. 따라서 활성탄은 온도, 압력, 농도, pH 등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서 그 흡착량이 여러 정도로 변화될 수 있고, 활성카본의 넓은 내부 표면적을 바탕으로 한 흡착특성으로 물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흡착제거가 가능하며, 특히 잔류염소, 유기물흡착, 탈취성능이 우수하여 이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의 후드(200) 상단 후면에 설치된 외기 도입구(250)의 기능을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후드(200)의 상단 후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외기 도입구(2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담배연기를 혼합 확산시켜 판형 필터(550)의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하여 필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외기 도입구(250) 중심부에는 회전 가능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데, 댐퍼의 회전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개폐도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가 닫히는 경우(closed),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댐퍼가 45°회전된 경우, 적당량의 외부 공기를 필터부(500)로 유입하고, 90°로 회전된 경우, 완전히 댐퍼가 개방되어 전면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류를 재순환시키거나 확산시켜 필터링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의 수조(300) 전면 및 상면에 투명창(310)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수조(300) 상부면 및/또는 전면에 투명창(310)이 설치되도록 하여, 세정액 교체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담배 연기가 걸러지는 것을 확인하고 백색의 세정액이 누렇게 바뀌면 세정액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을 위한 디스플레이 투명창(310)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흡연부스 하단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50)가 설치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이동식 흡연부스로서, 몸체부(100) 하단 각 모서리에 캐스터(150)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흡연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연부스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소 및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동식 흡연부스는 건축물 허가를 받을 필요없이 자유롭게 원하는 장소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실내외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 하단에 설치된 캐스터(150)는 스톱퍼(stopper)가 장착되어 부스 위치를 선정하고 선택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설치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부스가 연결된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양쪽의 부스가 체결되는 벽면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는 상기 몸체부(1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 방향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부스가 연결 가능한 것으로, 몸체부(10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각각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장착되고, 상기 양측 프로파일의 홈에 고정용 클립을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연부스에서 출입하는 도어가 설치된 면을 제외하고 모든 면으로 확장이 가능하도록 흡연부스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에 벽체를 수평 및 수직 벽체 일부를 삽입시키고, 상부 및 측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체결 프레임을 설치하고, 각각의 체결 프레임의 홈에 고정용 클립을 삽입 체결시켜 고정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의 체결구조는 다인용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되고, 각각의 부스에 환기 및 정화장치를 구비하게 되어 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유지하면서 넓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1인용 및 다인용 등 수요자 맞춤형 자유로운 공간 배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흡연부스의 결합시 프레임에 간단한 고정용 클립으로 부착하여 결합가능하여 확장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흡연부스가 어느 한쪽 벽면을 대면시켜 연결하게 되면, 대면하는 각각의 벽면에 통로를 형성하여, 2개의 부스를 연결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2개의 환기 또는 정화 장치를 통합하여 환기 효율성을 높은 다인용 통합부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 통로의 도어는 연결되는 벽체면에 볼팅 등으로 탈착형 도어를 형성하고, 부스를 결합한 후 상기 탈착형 도어를 제거하게 되면 통합형 부스로 손쉽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개인용 또는 통합용 흡연부스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동작센서(590) 연계형 팬 유닛(570)을 제어하는 흡연부스의 사용 모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흡연부스는, 상기 부스의 출입구에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동작센서(590)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센서(590)와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팬 유닛(570)을 동작시키는 팬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의 구조는 상시 팬 가동 방식이 아니라, 흡연자가 부스로 들어오면 동작센서(590)가 이를 인식 또는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팬이 가동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부스 출입을 위한 도어 근처에 동작센서(590)를 설치하고, 동작센서(590)와 팬 제어부가 연결시켜 팬 제어부가 상기 팬 유닛(5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자의 출입이 없으면 동작센서(590)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신호 감지가 없는 경우, 팬 제어부에서 팬 유닛(570)을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연자가 흡연부스에 들어가게 되면, 동작센서(590)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팬 제어부에 보내고, 팬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팬 유닛(570)을 동작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동작센서(59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모션 센서, 광센서 등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에 사용되는 세정액은 기본 세정액에 첨가제를 혼합한 용액으로, Ca(OH)2, CaO, CaCO3, Na2CO3, NaHCO3, NaOH, Na2SO3, MgO, Mg(OH)2, K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세정액과, NaCl, CaCl2, CuO, NaClO2, MgCl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배합된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본 세정액과 첨가제의 배합 비율을 9: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액 성분에 따른 제거효율은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도 12는 기본 세정액을 Ca(OH)2로 하고 첨가제를 NaCl로 하여 배합비율에 따른 유해물질(NO, NOx)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기본 세정액을 CaCO3로 하고 첨가제를 NaCl로 하여 배합 비율에 따른 유해물질(NOx, SO2)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기본 세정액과 첨가제를 사용하여 세정액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본 세정액과 첨가제의 배합 비율이 9:1 일대 최고치의 유해물질(NO, NOx, SO2 등) 제거율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몸체부, 150: 캐스터, 200: 후드, 230: 개구부, 250: 외기 도입구,
300: 수조, 400: 세정 집진부, 450: 가이드 베인,
500: 필터부, 550: 판형 필터, 570: 팬 유닛, 590: 동작센서

Claims (15)

  1. 흡연가능한 밀폐된 박스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 측부에 설치되어 담배 연기를 흡입하는 측방형 후드;
    상기 후드 하부에서 유입되는 상기 담배연기를 접촉되는 세정액 채워진 수조(300);
    상기 후드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세정하는 사이클론 세정 집진부(Cyclone wet scrubber);
    상기 후드 상면 및 상기 몸체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 집진부에서 유입된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형 후드는 상단부의 공간이 넓은 아치(arch) 타입 측방형 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타입 측방형 후드는,
    상기 상단 및 하단에 상기 담배 연기를 유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집진부는,
    상기 후드 후면을 따라 설치된 원통형 배관과,
    상기 원통형 배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액 및/또는 담배연기를 선회 상승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가이드 베인과,
    상기 가이드 베인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배관 중심에 설치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부면 및/또는 전면에 투명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몸체부를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하단 모서리에 설치된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하단부에 상기 세정액 공급 및 순환을 위한 펌프 및 슬러리 배출용 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박스형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팬(fan) 유닛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설치된 판형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판형 필터는 프리필터, 중간필터 및 활성 카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의 출입구에 사람의 출입을 감지하는 동작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센서와 연결되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팬 유닛을 동작시키는 팬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 내측 하부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댐배연기를 필터부 내에서 확신시키는 급기 확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외측 상단에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외기 도입구 중심에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한 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연결되어 다수의 부스가 연결 가능한 것으로,
    몸체부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 각각에 홈이 형성된 프로파일이 장착되고,
    상기 양측 프로파일의 홈에 고정용 클립을 삽입하여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되는 각 부스의 측면 벽에 양쪽 부스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탈 부착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Ca(OH)2, CaO, CaCO3, Na2CO3, NaHCO3, NaOH, Na2SO3, MgO, Mg(OH)2, K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세정액과,
    NaCl, CaCl2, CuO, NaClO2, MgCl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배합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세정액과 상기 첨가제의 배합비가 9: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KR1020140072749A 2014-06-16 2014-06-16 흡연부스 KR10160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49A KR101604777B1 (ko) 2014-06-16 2014-06-16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49A KR101604777B1 (ko) 2014-06-16 2014-06-16 흡연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86A true KR20150144086A (ko) 2015-12-24
KR101604777B1 KR101604777B1 (ko) 2016-03-18

Family

ID=5508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49A KR101604777B1 (ko) 2014-06-16 2014-06-16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480A (zh) * 2019-06-19 2019-09-10 成都中康大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吸烟舱
KR20210107373A (ko) 2020-02-24 2021-09-01 황승환 개방형 흡연부스
US20220268466A1 (en) * 2021-02-24 2022-08-25 John Doerr Collapsible Smoke Contain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90B1 (ko) * 2018-07-03 2021-07-12 김용진 흡연부스
KR20230091481A (ko) 2021-12-16 2023-06-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닥공조를 이용한 바이러스 교차감염방지 흡연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04B1 (ko) 2012-03-05 2014-02-26 조욱래 이동식 흡연부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3058A (ja) 2004-06-17 2006-01-05 Tornex Inc 空気清浄機付喫煙所
KR101309017B1 (ko) 2012-08-24 2013-09-16 황인근 정화처리형 흡연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04B1 (ko) 2012-03-05 2014-02-26 조욱래 이동식 흡연부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480A (zh) * 2019-06-19 2019-09-10 成都中康大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吸烟舱
KR20210107373A (ko) 2020-02-24 2021-09-01 황승환 개방형 흡연부스
US20220268466A1 (en) * 2021-02-24 2022-08-25 John Doerr Collapsible Smoke Contain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777B1 (ko) 2016-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777B1 (ko) 흡연부스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461168B1 (ko) 창문형 공기청정장치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KR101337152B1 (ko) 흡연부스
CN104879838B (zh) 一种具有多种工作模式的空气处理器
CN208694595U (zh) 一种新型公共场所用气体净化设备
KR20050123308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CN101991992A (zh) 室内空气净化装置
CN105444301A (zh) 净化空调
KR20170084863A (ko) 공기정화형 시스템 흡연부스
KR20200065454A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80003751A (ko) 흡연 부스
CN104613551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CN105737359A (zh) 家用自动空气净化系统
CN205824980U (zh) 一种空气净化灯
CN205481327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CN205783681U (zh) 一种内外循环可控型空气净化器
CN100516671C (zh) 具有换气功能的壁挂式空气过滤器
KR102261751B1 (ko) 환기 청정공기 공급장치
JP2006038392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