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05B1 -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 Google Patents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05B1
KR101367905B1 KR1020120069054A KR20120069054A KR101367905B1 KR 101367905 B1 KR101367905 B1 KR 101367905B1 KR 1020120069054 A KR1020120069054 A KR 1020120069054A KR 20120069054 A KR20120069054 A KR 20120069054A KR 101367905 B1 KR101367905 B1 KR 10136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means
mat
filter
seat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459A (ko
Inventor
윤윤모
이임락
노병훈
Original Assignee
노병훈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병훈,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노병훈
Priority to KR102012006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 축조하는 호안 및 안벽의 내측 매립토(또는 준설토)가 외측(바다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 및 안벽 내측 경사면에 설치하는 필터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바다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시트밸브가 수압을 받아 개방되어 해수가 유입되므로 매립토 또는 준설토의 유실과 매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필터사석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매트부재와;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과;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측이 부착되어 고정되며 타측은 부착된 일측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여 유입수단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시트밸브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Water pressure dissipating filter mat}
본 발명은 바다에 축조하는 호안 및 안벽의 내측 매립토(또는 준설토)가 외측(바다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 및 안벽 내측 경사면에 설치하는 필터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바다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시트밸브가 수압을 받아 개방되어 해수가 유입되므로 매립토 또는 준설토의 유실과 매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부지 또는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하기 위하여는 외곽에 호안을 축조하게 되고 선박 접안을 위하여는 안벽을 축조하게 되는데, 호안이나 안벽 공의 내측에 매립토(또는 준설토)를 투기하였을 때에도 안정하도록 계획하고, 특히 토립자가 외측(바다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 및 안벽 내측 경사면에 필터매트를 포설하는 것으로 계획한다.
그러나 시공중에 호안 및 안벽 외측(바다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수압이 작용하게 되어 필터매트가 부양되므로, 일정 수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토사(또는 토석 등)를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매트 위에 포설하게 되는데 이는 시공중에 필터매트의 인열 등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손상부위의 발견이 용이치 않아 부지조성 완료 후 토립자 유출에 의한 부지 침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준설토 투기장 호안일 경우에는 수토량이 적게 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1186호의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를 등록받은바 있으나,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1186호는 관통유로가 개방될 때 관통유로의 수평 길이는 줄어들면서 수직 높이가 벌어지면서 면적 변화를 가져와 매트 전체의 길이가 수축과 팽창을 일으켜 매트 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는 문제와 관통유로에 의해 유입되는 해수의 량이 적게 유입되어 내압이 지속적으로 필터매트에 전달되므로 필터매트가 부양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부양 방지를 위한 배면 토사를 포설하지 않고, 시공중 발생할 수 있는 필터매트의 손상을 방지하며 준설토를 투기하도록 계획된 안벽 및 호안의 경우에는 전체 공사비도 절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필터매트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해수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내압을 저감시킴으로서 필터매트가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필터사석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매트부재와;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과;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측이 부착되어 고정되며 타측은 부착된 일측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여 유입수단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웨이트수단이 구비된 시트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벌명의 다른 구조로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의 양측에 유입수단을 개폐하는 시트밸브를 부착하되 유입수단의 일 끝단과 시트밸브의 일끝단이 부착 연결되고, 상기 시트밸브의 반대쪽은 유입수단의 중간부에 부착 연결되어 유입수단의 일 끝단이 인접하는 시트밸브에 부착된 유입수단에 겹쳐지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시트밸브의 일측에는 웨이트수단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웨이트수단이 금속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무기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부양 방지를 위한 배면 토사를 포설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중 발생할 수 있는 필터매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준설토를 투기하도록 계획된 안벽 및 호안의 경우에는 전체 공사비도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필터매트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해수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내압을 저감시킴으로서 필터매트가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 등이 있는 유효한 발명이다.
도 1은 필터매트 부양방지를 위한 배면 토사가 있는 일반적인 호안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를 적용한 호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유입수단과 메인매트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발췌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요부인 시트밸브에 설치되는 웨이트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유입수단의 형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유입수단과 메인매트부재의 결합부에 보강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도 8의 다른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유입수단과 메인매트부재의 결합부에 보강용 띠를 설치한 상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인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1)는 자체사석(100)을 일정한 높이로 축조하여 형성한 제방의 내측에 필터사석(200)이 설치되며 필터사석(200)의 다른 한쪽으로는 준설토 또는 매립토(300)가 투기됨에 있어서 필터사석(200)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300) 사이에 필터매트(1)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400)은 샌드백으로 필요시 설치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1)는 필터사석(200)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300)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매트부재(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매트부재(10)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에 직포가 부착된 구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수단(20)은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강부(21)와 세로보강부(22)가 구비되며 가로보강부(21)와 세로보강부(22)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이 접합되어 공간부(23)를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가로보강부(21)와 세로보강부(22)는 테두리부(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20)을 형성하는 가로보강부(21)와 세로보강부(22)가 첨부도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매트부재(10)와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수단(20)을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매트부재(10)에 부착 설치할 때 유입수단(20)을 메인매트부재(10)에 초음파융착, 봉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첨부도면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통공 형태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공 형태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매트부재(10)에 유입수단(2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또는 메인매트부재(10)에 유입수단(20)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유입수단(20)은 펀칭기로 펀칭하여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매트부재(10)의 일측면에는 일측이 메인매트부재(10)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타측은 부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유입수단(20)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시트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밸브(30)는 메인매트부재(10)에 설치된 유입수단(20)의 설치숫자와 동일하게 설치되며, 첨부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이 가능한 일 끝단이 인접하게 설치된 시트밸브(30)를 구성하기 위해 메인매트부재(10)에 부착 고정한 일측과 겹쳐지도록 계단식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시트밸브(30)가 메인매트부재(10)에 초음파융착, 봉재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시트밸브(30)의 고정되지 않고 유동되는 일측에는 웨이트수단(40a)(40b)(40c)을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부도면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웨이트수단(40a)(40b)(40c)의 설치 구조는 시트밸트(30)에 금속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무기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웨이트수단(40a)을 시트밸트(30)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웨이트수단(40b)을 로우프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웨이트수단(40c)을 리벳 설치구조와 유사하게 시트밸브(30)를 관통하여 웨이트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수단(40a)(40b)(40c)을 사용하는 이유는 압력에 의해 해수가 유입된 후 압력이 떨어지거나 제거되었을 때 유입수단(20)을 무게에 의해 자연적으로 폐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로 메인매트부재(10)에 유입수단(20)을 부착 또는 일체로 형성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매트부재(10)에 시트밸브(30)의 일측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매트부재(10)를 생략하고 유입수단(20)의 양측에 시트밸브(30)를 부착하되 유입수단(20)의 일 끝단과 시트밸브(30)의 일 끝단이 부착 연결되고, 상기 시트밸브(30)의 반대쪽은 유입수단(20)의 중간부에 부착 연결되어 유입수단(20)의 일 끝단이 인접하는 시트밸브(30)에 부착된 유입수단(20)에 겹쳐지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수단(20)과 메인매트부재(10)이 부착 연결되는 부분 또는 유입수단(20)과 시트밸브(30)가 부착 연결되는 부분에 보강용 띠(50)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밀물시에 첨부도면 도 10에서와 같이 바다측에서 육지측으로 해수의 흐름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자체사석(100)과 필터사석(200)을 통과한 해수는 필터매트(1)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종래 필터매트의 설치시에는 호안 및 안벽의 외측(바다측)과 내측의 수위차가 생기게 되어 필터매트(1)가 수위차에 의한 수압을 받아 부양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면토사를 포설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필터매트(1)는 밀물시에는 필터사석(200)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300)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매트부재(10)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면서 내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내압은 유입된 해수에 전달되어 수압이 되며, 상기 수압을 갖는 해수는 상기 메인매트부재(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20)쪽으로 이동되어 유입수단(20)을 통과하면서 시트밸브(30)를 가압한다.
상기 해수에 의해 밀려지는 시트밸트(30)는 한쪽이 메인매트부재(10)에 부착 설치되어 있어 부착되지 않은 타측이 회전되어 유입수단(20)을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입수단(20)을 폐쇄하고 있던 시트밸브(30)를 해수가 가압하여 이동시키면 유입수단(20)이 개방되므로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20)을 통해 해수가 쉽게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바닷물의 수위가 낮아져 외측의 압력이 소실되거나 제거되면 시트밸브(30)를 밀고 있던 힘이 제거됨으로 시트밸브(30)의 자중에 의해 유입수단(20)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내외측의 수위차이가 없거나 외측(바다측) 수위가 낮을 때에는 시트밸브(30)에 의해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해수의 유입수단이 폐쇄되어 있어 매립토 투기시에도 토립자가 외측(바다측)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반 필터매트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밀물시에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메쉬망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20)을 폐쇄하고 있던 시트밸브(30)가 개방되어 투수계수를 갖는 메인매트부재(10)보다 유입량이 극대화됨으로 압력발생을 감소시켜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1)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며, 썰물시에는 시트밸브(30)에 의해 유입수단(20)이 폐쇄되어 있어 매립토 투기시에도 토립자가 외측(바다측)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반 필터매트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1 : 필터매트 10 : 메인매트부재
20 : 유입수단 30 : 시트밸브
40a,40b,40c : 웨스트수단
50 : 보강용 띠

Claims (9)

  1.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필터사석과 준설토 또는 매립토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매트부재와;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과;
    상기 메인매트부재에 일측이 부착되어 고정되며 타측은 부착된 일측을 중심으로 진자운동하여 유입수단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웨이트수단이 구비된 시트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2.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되 해수가 유입되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유입수단의 양측에 유입수단을 개폐하는 시트밸브를 부착하되 유입수단의 일 끝단과 시트밸브의 일끝단이 부착 연결되고, 상기 시트밸브의 반대쪽은 유입수단의 중간부에 부착 연결되어 유입수단의 일 끝단이 인접하는 시트밸브에 부착된 유입수단에 겹쳐지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밸브의 일측에는 웨이트수단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수단이 금속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무기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9. 삭제
KR1020120069054A 2012-06-27 2012-06-27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KR10136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54A KR101367905B1 (ko) 2012-06-27 2012-06-27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054A KR101367905B1 (ko) 2012-06-27 2012-06-27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9A KR20140001459A (ko) 2014-01-07
KR101367905B1 true KR101367905B1 (ko) 2014-03-03

Family

ID=5013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054A KR101367905B1 (ko) 2012-06-27 2012-06-27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11A (ja) * 1989-10-11 1991-05-29 Masatoshi Tanaka 土木用遮水シートの排水装置
KR20080075430A (ko) * 2007-02-12 2008-08-18 김현태 토목용 일방향 배수필터
KR20110099553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711A (ja) * 1989-10-11 1991-05-29 Masatoshi Tanaka 土木用遮水シートの排水装置
KR20080075430A (ko) * 2007-02-12 2008-08-18 김현태 토목용 일방향 배수필터
KR20110099553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459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8268A (ja) 洪水、沿岸又は水たまりの保護装置及び方法
JP5782734B2 (ja) 液状化対策を施した壁体および液状化抑止機能を有する鋼矢板
JP2008190200A (ja) プレキャスト擁壁およびプレキャスト擁壁の構築方法
JP5527173B2 (ja) 通水性鋼矢板とそれを用いた通水性鋼製壁
KR20160027646A (ko) 해안 및 하안의 침식방지용 제방축조를 위한 토목섬유 튜브공법의 항구적인 제방 시공방법과 제방축조물
JP6049382B2 (ja) 耐震耐越流堤体構造
KR20110135224A (ko) 조력 발전소용 사면보호공 및 세굴방지공 설치 공법
KR200387407Y1 (ko) 부유체와 앵커로프가 부착된 토목섬유 보강매트의 저면,사면 보강에 의해 축조되는 해상 토석구조물
KR101367905B1 (ko)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JP5572540B2 (ja) 遮水壁における最終締切部の仮締切構造とその締切方法
JP5405841B2 (ja) 既存の重力式構造物の耐津波・高潮補強工法
JP5322068B1 (ja) 潜堤の構築方法
KR101141186B1 (ko)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JP2019073964A (ja) 護岸埋立土砂流出防止構造
JP6659489B2 (ja) 防波構造物
JP5683040B2 (ja) 埋設構造物の周辺地盤の液状化に伴う影響対策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7105618A (ja) 廃棄物処分場の遮水構造
JP2013019134A (ja) 防波堤
Lawson Geotextiles in marine engineering
JP2001152425A (ja) 護岸の遮水構造
KR100872511B1 (ko) 토목용 일방향 배수필터
KR101404471B1 (ko) 제체 시공시 부력 및 수압에 의한 부상방지 및 억지 기능이 있는 저면, 필터 용 매트와 그 시공방법
JP5674560B2 (ja) 防潮堤の施工方法
JP2007039945A (ja) マンホール管及び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JP2013087526A (ja) 津波対策用岸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