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848B1 -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 Google Patents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848B1
KR101367848B1 KR1020130053554A KR20130053554A KR101367848B1 KR 101367848 B1 KR101367848 B1 KR 101367848B1 KR 1020130053554 A KR1020130053554 A KR 1020130053554A KR 20130053554 A KR20130053554 A KR 20130053554A KR 101367848 B1 KR101367848 B1 KR 10136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ntamination
soil
reclaimed land
red soil
fre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근
Original Assignee
심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근 filed Critical 심성근
Priority to KR102013005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or bracki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척지의 해저 사토나 개펄을 직접 간척에 적용, 객토 및 복토를 위한 별도의 운송비용을 줄이는 것은 물론, 간척지 주변의 해수를 담수로 전환하는 인공 담수화 관련 설비를 접목시켜 물류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짧은 시간 내에 용도에 적합한 토질의 제염 개선이 가능하도록, 간척을 위한 방조제 내측에 구비되어 간척지의 제염 개량을 위한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방호제방과, 상기 방호제방에 의해 한쪽 면이 둘러싸이고, 상기 간척지 중 상기 방조제의 내측 해수면보다 더 높이 토양을 쌓아 올리는 적토대, 상기 방호제방 중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적토대의 제염을 위한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설비 및 상기 담수설비의 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적토대 내에 구비되는 관개용로를 포함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System for accelerating salt removal by artificial water supply and method for accelerating sal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간척지의 해저 사토, 개펄을 이용하므로 객토 및 복토를 위한 별도의 운송비용 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를 이용하는 인공 담수화 관련 설비를 접목시켜 짧은 시간 내에 용도에 알맞은 토질의 제염 개선이 가능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간척지의 경우, 1991년 146,726㏊(약 1,467㎢)에 달하는 규모의 땅이 토양 중의 염분으로 인해 식물의 생장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2008년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인해 드러난 개펄토지의 이용계획을 보면 282.9㎢ 중 농지, 산업용지, 관광레저, 주거, 환경녹지 등 제반시설 용도로 계획되어 있다.
하지만, 간척지의 실제 염농도를 조사해보면, 0.33~1.15% 정도이고, 간척지 내에 있는 담수호만 하더라도 염농도가 대략 0.35%대로 조사되고 있다.
그런데 농작물이나 수목이 생육할 수 있는 한계는 일반적으로 토양의 염농도가 0.3% 이하로 알려져 있다. 농작물이나 수목의 종류에 따라 염도에 강한 식물과 약한 식물이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염농도 0.1~0.3%인 토양에서도 느리지만 생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가뭄에는 심토에서 올라오는 염분을 포함하는 물이 모세관 현상으로 뿌리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삼투압 작용에 장애를 일으키므로 염분 스트레스로 인해 죽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척지 주변의 담수를 그대로 이용하는 종래의 간척지 제염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 간척지에 대한 제염 방식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마다 나름의 특징이 있겠지만, 대부분 간척지의 표토 위에 염분이 없는 내륙의 흙을 운반하여 2m 이상 쌓는 객토 내지는 복토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표토의 기반이 자연상태의 개펄로 이루어지므로 개펄의 염분농도가 물리적 작용 즉, 토양 중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약 1m 내외의 지표까지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물이나 조경 수목의 뿌리 부분에서부터 염분에 따른 흡수 장애를 일으켜 결국 생육이 불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땅 속 염분은 자연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수 십년이 지나도 생태환경으로서 적절치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실제로 군산지역의 산업단지 등에서는 수목이 생육하다가 일정수준에서 성장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비단 군산지역에 국한되는 문제라기 보다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간척지에 대해 "생육환경으로서의 부적합성"이 종래의 복토나 객토 정도의 기술로는 개선될 수 없음을 방증하는 예라고도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토나 객토에 필요한 흙을 내륙에서 운반해야만 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막대한 물동량이 발생함은 물론, 토석 채취에 의한 복토자원의 경우에는 자연파괴와 같은 부수적인 문제점을 떠안게 된다.
또 다른 형태의 종래기술을 들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899019 호(2009.05.15. 등록, 이하 '선행문헌기술'이라 함)에서 개시하고 있는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기술은 간척지에서의 석션 드레인 제염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략하게는 담수를 펌핑하여 간척지에 분무, 살포함으로써, 염분을 낮추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간척지 주변의 담수호 염분농도 자체가 대략 0.35%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므로 이와 같은 담수를 충분히 살포한다 하더라도 간척지의 토양 염도를 0.3% 이하로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긴 쉽지 않을 것이다.
물론, 간척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염도 0.064%(1 ds/m) 이하의 담수를 끌어다가 충분히 살수(撒水)한다면 어느 정도의 제염효과는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충분한 양의 물을 수년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만 하는 기술상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복토 및 객토에 필요한 흙을 나르는 비용에 버금가는 물류비용의 소진을 예상할 수 있다.
자연 강우(연간 1,300mm 기준)만으로 3년 정도 지나면 간척지의 지표 약 20cm 내외 깊이의 경우, 비가 흘러가는 경사진 수로와 같은 지형에서만 상당한 염분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된다. 그러나 이 또한 농사에는 여전히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유는 간척지의 염분이 지중 전반에 분포하는데 비해 빗물의 흐름은 수직방향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점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점으로부터 착안된 상기 선행문헌기술은 간척지의 지표 위에 소정의 배수둑을 쌓고, 둑 사이에 수평면으로 석탄 바닥재로 배수층을 설치한 후 이 배수층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방수 배수둑을 통과하는 배수로로 물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문헌기술은 석탄 바닥재인 배수층 위에 간척지의 흙을 덮은 뒤, 배수둑 사이에 물을 담으면 간척지의 적토층을 통과하여 배수관의 물이 배수로로 흘러나오므로 간척지 속의 염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간척지의 흙은 침수성으로 인해 둑의 소재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은 물론, 일정 간격으로 방수둑, 배수로를 만들고, 여기에 또 조밀한 배수파이프를 설치해야 하는 등 복잡한 구조로 인한 시설 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아울러, 석탄재와 같은 경우에는 발전소에서 별도로 운송하여 간척지의 바닥재로 적용하는 데에는 엄청난 시공비용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부터 착안 된 것으로, 간척지의 해저 사토나 개펄을 직접 간척에 적용하여 객토 및 복토를 위한 별도의 운송비용 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을 제공하는 우선의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간척지 주변의 해수를 담수로 전환하는 인공 담수화 관련 설비를 접목시켜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짧은 시간 내에 용도별로 적합한 토질의 제염 개선이 가능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기술구성 및 그 상호 간의 유기적인 작동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분명히 밝혀지는 것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은 간척을 위한 방조제 내측에 구비되어 간척지의 제염 개량을 위한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방호제방과, 상기 방호제방에 의해 한쪽 면이 둘러싸이고, 상기 간척지 중 상기 방조제의 내측 해수면보다 더 높이 토양을 쌓아 올리는 적토대, 상기 방호제방 중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적토대의 제염을 위한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설비 및 상기 담수설비의 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적토대 내에 구비되는 관개용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방조제의 내측 해수와 경계를 이루는 외측 면상에 호안석축이 구비되는 형태나 상기 적토대와 맞닿는 경계 부위의 지중에 방수수단이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호제방 중의 어느 한쪽에는 해저 사토나 갯펄을 상기 적토대로 직접 퍼올리는 준설펌프가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적토대은 상기 담수가 지면 속으로 고르게 스며들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면적 및 계단식으로 구획하는 두둑 또는, 복수의 수평 이랑과 같은 관개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토대는 일정 간격으로 판 적어도 3~6m 깊이의 구덩이에 배수조를 구비하되, 상기 적토대의 구덩이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는 개펄과 같은 진흙을 거르기 위한 여과층이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적토대는 상기 배수조 내에 고인 물을 상기 해수 쪽으로 퍼내기 위한 양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수설비는 역삼투압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은 간척지 중 제염 개량을 위한 적토대의 위치 및 규모를 정하고, 간척을 위한 방조제의 내측 해수 경계 부위에 상기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호제방을 축조하는 제방축조과정과, 준설펌프를 이용하여 해저 사토나 갯펄 같은 토양을 상기 적토대로 직접 퍼올리는 동시에 담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토대 상에 적치된 토양 중의 제염 개량이 가능하도록 그 지형을 정리하는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 상기 방호제방 중 어느 한쪽에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담수를 생산, 공급할 수 있는 담수설비를 설치하고, 상기 적토대 내에 관개용로를 구비, 상기 담수설비 및 상기 관개용로로부터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고르게 공급하는 담수공급과정, 상기 적토대의 토양 중으로 스며든 후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상기 토양 중의 염도를 떨어뜨린 상기 담수를 다시 상기 해수로 내보내 버리는 배수 및 제염과정 및 상기 적토대의 용도별 토양의 염도가 충족되는지를 평가하여 상기 담수공급과정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의 반복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염도평가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방축조과정은 상기 적토대와 맞닿는 상기 방호제방의 경계 부위 지중에 방수수단을 설치하여 토양 속 모세관현상에 의한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하는 지중방수과정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은 상기 적토대의 지형 및 지면을 상기 담수가 고르게 스며들도록 일정 단위면적으로 구획하거나 수평 이랑 형태의 관개수단을 형성하는 경지구획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을 완료하고 난 이후 상기 담수공급과정을 시작하기 이전에는 상기 적토대 상에 적어도 3~6m 깊이의 구덩이를 일정 간격으로 파서 배수조를 형성하는 배수조설치과정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수조 설치과정은 상기 적토대의 구덩이마다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 자갈과 모래 및 직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을 구성하는 여과층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담수공급과정에서는 상기 담수를 상기 적토대의 단위면적당 적어도 20㎝ 정도로 공급하고,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에서는 적어도 7~10일 정도 지체한 뒤 상기 배수조 내에 고인 상기 담수를 양수기로 배출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염도평가과정에서 상기 염도가 부적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일련의 상기 담수공급과정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을 적어도 10일 간격을 두고 반복실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의하면, 간척지의 해저 사토나 개펄을 준설펌프를 이용하여 직접 퍼올리는 간척 방식이므로 객토 및 복토를 위한 별도의 운송비용 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의하면, 간척지 주변의 해수를 담수로 전환하는 인공 담수화 관련 설비를 접목시켜 물동량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짧은 시간 내에 목적별 용도에 적합한 토질의 제염 개선이 가능한 기술효과를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의하면, 적토대와 맞닿는 방호제방의 경계 부위 지중에 방수수단을 구비하여 토양 속 모세관현상에 의한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해수에 의한 토양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의하면, 일정 간격으로 판 구덩이에 배수조를 구비하여 지면으로 스며든 상기 담수가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지중 염도를 떨어뜨리는 효율을 높이는 등 기술구성상의 특징을 발휘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의하면, 자갈과 모래 및 직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을 형성하여 배수중 해저 사토나 개펄과 같은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술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관련 기술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관련 기술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중 방호제방 및 방수수단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중 방호제방 및 방수수단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중 배수조 및 여과층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중 배수조의 기능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의 방수수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의 방수수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중 관개용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방호제방(10)과 적토대(20), 담수설비(30) 및 관개용로(40)와 같이 나눠 볼 수 있다.
상기 방호제방(10)은 간척을 위한 방조제(1)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간척지의 해당 토양 중 염분을 제거하는 제염 개량을 위해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죽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방호제방(10)은 상기 방조제(1)의 내측 해수와 경계를 이루는 외측 면상에 돌무더기 등을 이용한 호안석축(11)이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방호제방(10)은 상기 방조제(1)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는 적어도 해발 2~4m, 상단 부위의 폭은 적어도 4~10m로 축조하는 것이 좋다.
도 3이나 도 4에서 표시한 것처럼 상기 방호제방(10)은 상기 적토대(20)와 맞닿는 경계 부위 지중에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수단(1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수단(12)은 토양 중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상기 해수 즉, 상기 방조제(1)의 내측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방수수단(12)은 상기 방조제(1)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해발 0.5~-3.5m까지 설치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토양 중의 모세관현상에 따른 해수의 유입 즉, 상기 해수가 개펄 지하수를 통하여 간척지의 땅속으로 침투하는 것이 해수면보다 높은 지형이나 해발 -3.5m 이하에서는 유발되지 않고, 혹시 유발된다 하더라도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방수수단(12)은 적어도 해발 0.5m에서 -3.5m까지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수수단(12)은 도 7 및 도 8에서처럼 복수의 설치공(12b)이 형성된 방수패널(12a)이나 복수의 연결고리(12e)가 구비된 방수시트(12d)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패널(12a)의 경우에는 패널 상호 간의 연결 및 고정을 위한 앵커(12c)를 상기 설치공(12b)으로 결합, 고정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12d)의 경우에는 적어도 4m에 달하는 폭의 양쪽 끝단 부위에 각각 상기 연결고리(12e)를 구비하고, 별도의 막대형 고정바(12f)를 상기 연결고리(12e)에 끼워 설치상태를 고정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수패널(12a)은 방수 콘크리트나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방수시트(12d)는 방수 수지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적토대(20)는 상기 방호제방(10)에 의해 한쪽 면 즉, 상기 방조제(1)의 내측 해수면과 맞닿은 경계면이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적토대(20)는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상기 간척지 중 상기 방조제(1)의 내측 해수면보다 더 높이 토양을 쌓아 올리는 것이 좋다. 왜냐면, 지면이 상기 해수면보다 더 높아야만 상기 담수설비(30)의 담수를 이용한 제염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척지의 최종 표고가 해발 2~4m에 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m 이하에서는 토양 중의 모세관현상에 따른 해수의 유입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고, 4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제반 작업비용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표시한 것처럼 상기 방호제방(12) 중의 어느 한쪽,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나 갯펄과 가까운 쪽에는 소정의 준설펌프(50)가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준설펌프(50)는 해저 사토나 갯펄을 상기 적토대(20)로 직접 퍼올려 상기 간척지의 지형을 형성하기 위한 토양을 공급하는 것으로, 객토 및 복토를 위한 별도의 운송비용을 줄이는 등의 기술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 적토대(20)은 불도우저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담수가 지면 속으로 고르게 스며들게 하기 위한 관개수단(21)을 구비하는 등 지형 및 지반에 대한 정리작업 등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관개수단(21)은 도 1 및 도 3에서처럼 상기 적토대(20)를 단위면적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계단식으로 정리하는 두둑 형태 또는, 도 2 및 도 4에서처럼 복수의 수평 이랑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둑 및 수평 이랑은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쌓을 경우, 상기 담수를 관개할 때 무너질 위험성 등을 대비하는 차원에서 바닥에 소정 형태 예를 들면, 사각형 등의 모양을 갖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 개펄이나 사질 토양을 담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는 대체로 다양한 규격을 적용, 구성할 수 있으나,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적어도 30㎝×30㎝×50㎝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두둑 및 수평 이랑이 배치되는 상기 적토대의 해당 부위는 적어도 2㎝ 깊이로 고랑을 파고, 그 위에 비닐을 덮은 뒤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채운 상기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를 고착시키고, 상기 적토대의 고랑에 깐 비닐로 상기 두둑 및 수평 이랑을 형성하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를 감싸 줌으로써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상기 두둑 및 이랑 내의 지면은 상기 담수의 흐름이 상기 적토대(20)의 지표면 위에서 연직방향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적토대(20)의 지면을 계단식으로 평탄하게 정리한 후 가로 및 세로를 40m×100m 단위로 구획, 정리하는 두둑을 형성하되, 상기 두둑의 높이를 적어도 30㎝로 구성하여 일정 이상의 담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적토대(20)는 일정 간격으로 구덩이를 형성하고, 상기 구덩이에 배수조(22)를 구비하여 지면으로 스며든 상기 담수를 다시 모을 수 있도록 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담수는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상기 적토대(20)의 지중 염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간척지의 토양은 미사질 또는 사질 토양으로 Ca++, Mg++, Na+, K+, SO4 - -, Cl-, HCO3 등을 포함하고, 이는 상기 담수에 의해 녹아서 지하 수압을 따라 상기 배수조(22)로 흘러들어가 고인다.
상기 구덩이는 적어도 3~6m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조(22)는 도 5와 도 6에서 표시한 것처럼 상기 적토대(20)의 지면으로부터 적어도 50㎝ 가량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배수조(22)의 깊이는 제염대상이 되는 상기 적토대(20)의 토양 깊이로 하고, 상기 적토대(20)의 지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관개수단(2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
상기 배수조(22)는 양쪽 끝단이 개구된 콘크리트 또는 수지재의 통형 벽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토대(20)의 구덩이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22)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는 도 5에서처럼 개펄과 같은 진흙을 거르기 위한 여과층(2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여과층(23)은 상기 적토대(20)의 제염 중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자갈층(23a)과 직물층(23b) 및 자갈과 모래를 섞은 혼재층(23c)을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토대(20)는 상기 배수조(22) 내에 고인 물을 퍼내기 위한 소정의 양수기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양수기는 이동이 자유로운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배수조(22)에 고인 물은 상기 해수 쪽으로 퍼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서 표시한 것처럼 상기 방호제방(10) 중의 어느 한쪽,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와 가까운 쪽에 담수설비(30)가 구성된다. 상기 담수설비는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적토대(20)의 제염을 위한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담수 공급을 위한 별도의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짧은 시간 내에 목적별 용도에 적합한 토질의 제염 개선효과를 향상시키는 기술효과 또한 도모한다.
상기 담수설비(30)는 기본적으로는 어떤 방식의 설비든 간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증기를 이용하는 인공 담수화 설비의 경우, 비교적 에너지의 소비가 많기 때문에 이보다는 역삼투압방식과 같은 것을 채택, 적용하는 것이 유지를 위한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담수설비(30)는 관개용로(40)로 이어지는 공급배관(31)은 물론, 소정 용량의 저수조와 필터가 일련의 공정순서 예를 들면,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상기 해수를 끌어들여 상기 담수로 전환한 뒤 상기 공급배관(31)을 통해 흘러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배관(31)에는 도 9에서처럼 상기 담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31a)가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관개용로(40)는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적토대(20) 내에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개용로(40)는 되도록 지대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할 때, 별도의 에너지 소비없이 상기 담수의 흐름을 유발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상기 관개용로(40)는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골고루 공급하는 세부 지선 관수로를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세부 지선 관수로는 일종의 대구경 호스(41)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대구경 호스(41) 또한 상기 공급배관(31)의 개폐밸브(31a)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잠금밸브(41a)가 구비되어 해당 세부 지선 관수로마다 상기 담수의 공급 상황을 제각각 제어할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은, 도 10의 순서도를 통해 표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제방축조과정(S10)과,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S20), 담수공급과정(S30), 배수 및 제염과정(S40), 염도평가과정(S50)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상기 제방축조과정(S10)은 간척지 중 제염 개량을 위한 적토대(20)의 위치 및 규모를 정하고, 간척을 위한 방조제(1)의 내측 해수 경계 부위에 상기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호제방(10)을 축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상기 방호제방(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적토대(20)와 상기 해수의 경계를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적토대(20)의 한쪽 둘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호제방(10)은 상기 방조제(1)의 내측 해수와 경계를 이루는 외측면에 호안석축(11)이 구비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호안석축(11)은 파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해수가 상기 적토대(20)로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상기 호안석축(11)은 돌무더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호제방(10)은 상기 방조제(1)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적어도 해발 2~4m, 상단 부위의 폭은 적어도 4~10m로 축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방축조과정(S10)은 상기 적토대(20)와 맞닿는 상기 방호제방(10)의 경계 부위 지중에 방수수단(12)을 설치하는 지중방수과정(S11)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수단(12)은 지중의 모세관현상에 의한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방수패널(12a)이나 방수시트(12d)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중방수과정(S11)은 상기 방조제(1)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해발 0.5~-3.5m까지의 간극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수단(12)을 지중 매설한다. 상기 방수수단(12)은 콘크리트나 수지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수패널(12a)은 복수의 설치공(12b)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시트(12d)는 복수의 연결고리(12e)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S20)은 준설펌프(50)를 이용하여 해저 사토나 갯펄 같은 토양을 상기 적토대(20)로 직접 퍼올리는 동시에 담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토대(20) 상에 적치된 토양을 제염 개량할 수 있도록 지형을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토대(20)의 지형 및 지면은 상기 담수가 고르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진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적토대(20) 전반을 일정 단위면적으로 구획하는 두둑이나 수평 이랑 형태의 관개수단(21)을 형성하는 경지구획과정(S21)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경지구획과정(S21) 중의 상기 관개수단(21) 즉, 상기 두둑이나 수평 이랑은 적어도 30㎝ 높이로 형성하여 구획된 단위면적당 상기 담수의 수용량을 적어도 20㎝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단위면적은 가로 및 세로 길이가 40m×100m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의 기술사상이 이와 같은 단위면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관개수단(21)은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쌓을 경우, 상기 담수의 관개로 인한 무너질 위험성 등을 대비하기 위한 차원에서 바닥에 소정 형태 예를 들면, 사각형 등의 모양을 갖춘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를 이용하여 그 속에 개펄이나 사질 토양을 담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는 대체로 다양한 규격을 적용할 수 있으나,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적어도 30㎝×30㎝×50㎝의 규격을 충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관개수단(21)이 배치되는 상기 적토대의 해당 부위에는 적어도 2㎝ 깊이로 고랑을 파고, 그 위에 비닐을 덮은 뒤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채운 상기 관개수단(21)을 고착시키되, 상기 적토대의 고랑에 깐 비닐로 상기 관개수단(21)을 감싸는 등의 방식으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담수공급과정(S30)은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상기 방호제방(10) 중의 어느 한쪽에 상기 해수를 끌어들여 역삼투압방식으로 상기 담수를 생산, 공급하는 복수의 저수조 및 필터로 이루어지는 담수설비(30)를 구비하고, 상기 적토대(20) 내에는 관개용로(40) 즉,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고르게 공급하는 대구경 호스(41) 형태의 세부 지선 관수로를 포함하는 관개용로(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관개용로(40)로 상기 담수설비(30)의 공급배관을 연결, 구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담수설비(30) 및 상기 관개용로(40)로부터 상기 적토대(20)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S20)을 완료하고 나서 상기 담수공급과정(S30)을 시작하기 이전에는 배수조설치과정(S25)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설치과정(S25)은 상기 적토대(20) 상의 토양 깊이를 고려하여 적어도 3~6m 깊이의 구덩이를 일정 간격으로 파고, 이 구덩이에 소정의 배수조(22)를 삽입, 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수조(22)는 양쪽 끝단이 개구된 콘크리트 또는 수지재의 통형 벽체를 이용한다.
나아가, 상기 배수조설치과정(S25)은 상기 적토대(20)의 구덩이마다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22)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 자갈과 모래 및 직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층상 구조로 형성된 여과층(23)을 구성하는 여과층형성과정(S26)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여과층(23)은 상기 적토대(20)의 제염 중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으로,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자갈층(23a)과 직물층(23b) 및 자갈과 모래를 섞은 혼재층(23c)으로 구성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층(23b)과 혼재층(23c)은 각각 상기 배수조(22) 내에 구비하되, 상기 배수조(22) 내의 대응 부위에는 볼트 등으로 상기 직물층(23b)을 고정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형태로 가능하다.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S40)은 상기 적토대(20)의 토양 중으로 스며든 상기 담수를 다시 상기 해수로 내보내 버리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상기 토양 중의 염도를 실질적으로 떨어뜨리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담수공급과정(S30)에서는 상기 담수를 상기 적토대(20)의 단위면적당 적어도 20㎝ 정도로 공급하고,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S40)에서는 상기 배수조(22)의 설치간격에 따라 적어도 2~10일 정도 지체하여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제염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배수조(22)의 설치간격이 좁을수록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위해 지체하는 일수는 통상 7~10일 정도로 하고, 반대로 상기 배수조(22)의 설치간격이 넓을수록 대략 2~3일 정도로 그 지체 일수를 짧게 줄여 실시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배수조(22) 내에 고인 상기 담수는 소정의 양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해수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염도평가과정(S50)은 상기 적토대(20)의 용도별 토양의 염도가 충족되는지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용도별 상기 토양의 염도 충족여부에 따라 일련의 상기 담수공급과정(S30)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S40)의 반복실시 여부를 결정하여 실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수목이 생육할 수 있는 토양 중의 염도 한계는 0.3% 이하이면 되지만, 농작물이나 수목의 종류에 따라 염도 기준이 다르므로 그에 따라 맞는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염도평가과정(S50)에서는 상기 적토대(20)의 염농도가 적어도 0.1~0.3% 수준의 범위는 충족하도록 실시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염도평가과정(S50)에서 상기 염도가 부적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일련의 상기 담수공급과정(S30)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S40)을 적어도 10일 간격으로 반복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제염대상인 간척지의 토양 염도가 최초 0.33~1.15% 내외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매번 30~60%씩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상기 간척지의 경우에는 6회 정도 반복하면 토양 중의 염도 감소가 급격히 이루어져 0.01~0.03%로 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정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방조제 10 : 방호제방 11 : 호안석축
12 : 방수수단 12a: 방수패널 12b: 설치공
12c: 앵커 12d: 방수시트 12e: 연결고리
12f: 고정바 20 : 적토대 21 : 관개수단
22 : 배수조 23 : 여과층 23a: 자갈층
23b: 직물층 23c: 혼재층 30 : 담수설비
31 : 공급배관 31a: 개폐밸브 40 : 관개용로
41 : 호스 41a: 잠금밸브 50 : 준설펌프

Claims (30)

  1. 간척을 위한 방조제 내측에 구비되고, 간척지 중 제염 개량을 위한 해수 유입을 차단하는 방호제방;
    상기 방호제방에 의해 한쪽 면이 둘러싸이고, 상기 간척지 중 상기 방조제 내측 해수면보다 더 높이 토양을 쌓아 올리는 적토대;
    상기 방호제방 중의 어느 한쪽에 구비되며,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적토대의 제염을 위한 담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설비; 및
    상기 담수설비의 공급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적토대 내에 구비된 관개용로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설비는 상기 관개용로로 이어지는 공급배관 및 상기 해수를 끌어들여 역삼투압방식에 의해 상기 공급배관으로 상기 담수를 흘러보내는 복수의 저수조 및 필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관개용로는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골고루 공급하는 대구경 호스 형태의 세부 지선 관수로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배관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대구경 호스에는 잠금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담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방조제의 내측 해수와 경계를 이루는 외측 면상에 호안석축이 구비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방조제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해발 2~4m, 상단 부위의 폭이 4~10m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적토대와 맞닿는 경계 부위 지중에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수단을 포함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방조제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해발 0.5~-3.5m까지 차단하도록 구비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방수패널 또는 복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된 방수시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제방 중의 어느 한쪽에는 해저 사토나 갯펄을 상기 적토대로 직접 퍼올리는 준설펌프가 구비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대는 상기 담수가 지면 속으로 고르게 스며들게 하기 위한 관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관개수단은 상기 적토대를 단위면적 및 계단식으로 구획하는 두둑 또는, 복수의 수평 이랑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대는 일정 간격으로 판 적어도 3~6m 깊이의 구덩이에 배수조를 구비하여 지면으로 스며든 상기 담수를 다시 모으는 것이 가능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는 양쪽 끝단이 개구된 통형 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대의 구덩이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는 개펄과 같은 진흙을 거르기 위한 여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은 밑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자갈층과 직물층 및 자갈과 모래를 섞은 혼재층으로 구성된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는 콘크리트 또는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대는 상기 배수조 내에 고인 물을 상기 해수 쪽으로 퍼내기 위한 양수기를 포함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16. 삭제
  17. 간척지 중 제염 개량을 위한 적토대의 위치 및 규모를 정하고, 간척을 위한 방조제의 내측 해수 경계 부위에 상기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호제방을 축조하는 제방축조과정;
    준설펌프를 이용하여 해저 사토나 갯펄 같은 토양을 상기 적토대로 직접 퍼올리는 동시에 담수를 이용하여 상기 적토대 상에 적치된 토양을 제염 개량할 수 있도록 지형을 정리하는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
    상기 방호제방 중 어느 한쪽에 상기 해수를 끌어들여 역삼투압방식으로 상기 담수를 생산, 공급하는 복수의 저수조 및 필터로 이루어지는 담수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적토대 전반으로 상기 담수를 고르게 공급하는 대구경 호스 형태의 세부 지선 관수로를 포함하는 관개용로를 상기 적토대 내에 구비하되, 상기 관개용로로 상기 담수설비의 공급배관을 연결, 구비하여 상기 해수로부터 상기 담수를 생성, 공급하는 담수공급과정;
    상기 적토대의 토양 중으로 스며든 후 이화학적 용해과정을 통해 상기 토양 중의 염도를 떨어뜨리는 상기 담수를 다시 상기 해수로 내보내 버리는 배수 및 제염과정; 및
    상기 적토대의 용도별 토양의 염도가 충족되는지를 평가하여 일련의 상기 담수공급과정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의 반복실시 여부를 정하는 염도평가과정을 포함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축조과정 중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방조제의 내측 해수와 경계를 이루는 외측면에 호안석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축조과정 중 상기 방호제방은 상기 방조제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적어도 해발 2~4m, 상단 부위의 폭은 적어도 4~10m로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축조과정은 상기 적토대와 맞닿는 상기 방호제방의 경계 부위 지중에 방수수단을 설치하여 토양 속 모세관현상에 의한 해수의 지하 유입을 차단하는 지중방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방수과정은 상기 방조제 내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해발 0.5~-3.5m까지의 간극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방수과정 중의 상기 방수수단은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방수패널 또는 복수의 연결고리가 구비된 방수시트를 이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은 상기 적토대의 지형 및 지면을 상기 담수가 고르게 스며들도록 단위면적으로 구획하는 두둑이나 수평 이랑 형태의 관개수단을 형성하는 경지구획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지구획과정에서 상기 관개수단은 적어도 30㎝ 높이로 형성되어 구획된 단위면적당 상기 담수의 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지구획과정의 상기 관개수단은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쌓되, 바닥이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비닐 또는 합성수지 필름 주머니를 이용하여 상기 개펄이나 사질 토양을 담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지구획과정은 상기 관개수단이 배치되는 상기 적토대의 부위에 적어도 2㎝ 깊이의 고랑을 파고, 상기 고랑에 비닐을 덮은 뒤 개펄이나 사질 토양으로 채운 상기 관개수단을 고착시키되, 상기 적토대의 고랑에 깐 비닐로 상기 관개수단의 외형을 다시 감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토 및 지형정리과정을 완료하고 난 이후 상기 담수공급과정을 시작하기 이전에는 상기 적토대 상의 토양 깊이를 고려하여 적어도 3~6m 깊이의 구덩이를 일정 간격으로 파서 배수조를 형성하는 배수조설치과정을 더 포함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설치과정은 상기 적토대의 구덩이마다 밑바닥 및 상기 배수조의 하단 내부와 외부 주변에 자갈과 모래 및 직물을 이용하여 복수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을 구성하는 여과층형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공급과정에서는 상기 담수를 상기 적토대의 단위면적당 적어도 20㎝ 정도로 공급하고,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에서는 상기 배수조의 간격에 따라 적어도 2~10일 정도 지체한 뒤 상기 배수조 내에 고인 상기 담수를 양수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평가과정에서 상기 염도가 부적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일련의 상기 담수공급과정과 상기 배수 및 제염과정을 적어도 10일 간격으로 반복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을 이용한 제염공법.
KR1020130053554A 2013-05-13 2013-05-13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KR10136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54A KR101367848B1 (ko) 2013-05-13 2013-05-13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554A KR101367848B1 (ko) 2013-05-13 2013-05-13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848B1 true KR101367848B1 (ko) 2014-02-25

Family

ID=5027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554A KR101367848B1 (ko) 2013-05-13 2013-05-13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77B1 (ko) * 2015-07-24 2017-01-25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척지 중 지정된 일부 대상용지에 대한 제염 시스템 및 제염 방법
CN110195379A (zh) * 2019-05-17 2019-09-0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考虑剧烈气温影响的无砟轨道粗粒盐渍土路堤结构及构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158A (ja) * 2004-03-30 2005-10-13 Ohbayashi Corp 干潟の淡水化構造
KR100821321B1 (ko) * 2007-01-10 2008-04-14 김동수 간척지 제염 방법
KR20090029938A (ko) * 2007-09-19 2009-03-24 한국농어촌공사 자연강우 및 인공급수를 통한 간척지의 담수제염촉진공법
KR101018247B1 (ko) * 2010-06-14 2011-03-03 손용만 간척지의 고소득 과수 재배를 위한 기반조성 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158A (ja) * 2004-03-30 2005-10-13 Ohbayashi Corp 干潟の淡水化構造
KR100821321B1 (ko) * 2007-01-10 2008-04-14 김동수 간척지 제염 방법
KR20090029938A (ko) * 2007-09-19 2009-03-24 한국농어촌공사 자연강우 및 인공급수를 통한 간척지의 담수제염촉진공법
KR101018247B1 (ko) * 2010-06-14 2011-03-03 손용만 간척지의 고소득 과수 재배를 위한 기반조성 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77B1 (ko) * 2015-07-24 2017-01-25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척지 중 지정된 일부 대상용지에 대한 제염 시스템 및 제염 방법
CN110195379A (zh) * 2019-05-17 2019-09-0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考虑剧烈气温影响的无砟轨道粗粒盐渍土路堤结构及构筑方法
CN110195379B (zh) * 2019-05-17 2023-09-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考虑剧烈气温影响的无砟轨道粗粒盐渍土路堤结构及构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8870B (zh) 一种格宾网生态石笼河道护坡施工方法
CN100473271C (zh) 利用暗管排水改良盐碱地的系统工程方法
CN100577918C (zh) 一种治理水土流失的流域堰系及其构筑方法
CN105970875B (zh) 利用自然能量在海滩促淤固砂的方法
CN104692532B (zh) 一种高潜水位煤矿区积水次生湿地景观构建方法
CN108130888B (zh) 一种软质生态护岸结构及其构建方法
KR100932091B1 (ko)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CN104234007B (zh) 一种河流盐碱土质堤坡绿化方法
CN105442491B (zh) 一种河湖底泥就地处理与生态护坡方法
CN110565577A (zh) 一种渠道整治工程的生态修复方法
KR101367848B1 (ko)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CN210840602U (zh) 一种滨海区域重盐碱地改良系统
CN111778922A (zh) 一种河道流域防汛堤坝的施工方法
JP4194460B2 (ja) 潮汐のある塩水の影響を受ける水域の水生植物帯
CN207987862U (zh) 一种绿色生态护坡水岸结构
KR100487405B1 (ko) 식물자생용 돌붙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2320409A (ja) 人工ヨシ原およびその造成方法
CN109577276A (zh) 一种适于水库消落区岩质岸坡的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703847A (zh) 基于物理排盐的滨海盐碱地改良方法
KR100290334B1 (ko) 호안(護岸)공사용 환경친화적 섬유대(纖維袋) 및 이를 이용한 호안공사방법
RU2492292C1 (ru) Способ охраны земель прибрежных ландшафтов рек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101699877B1 (ko) 간척지 중 지정된 일부 대상용지에 대한 제염 시스템 및 제염 방법
KR20130113058A (ko) 다용도 식생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수변지역의 친환경 시공방법
CN214177981U (zh) 盐碱地生态改良的土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