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321B1 - 간척지 제염 방법 - Google Patents

간척지 제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321B1
KR100821321B1 KR1020070002789A KR20070002789A KR100821321B1 KR 100821321 B1 KR100821321 B1 KR 100821321B1 KR 1020070002789 A KR1020070002789 A KR 1020070002789A KR 20070002789 A KR20070002789 A KR 20070002789A KR 100821321 B1 KR100821321 B1 KR 10082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haff
reclaimed land
form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나의식
Original Assignee
김동수
나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나의식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7000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4Aerobic processes using trickle filters
    • C02F3/046Soil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척지의 제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면적을 갖는 간척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에 왕겨를 매립하는 단계; 및 상층부 전체를 복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간척지를 제염함으로써, 간척지 내에 매몰된 왕겨가 수분을 머금고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염을 용해시키고, 그 자체로도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왕겨 매몰층의 인접 염분을 계속 배수시킴으로써 표층으로 염분이 올라와 작토층에 염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염작업 후 단기간 내에 경작이 가능해짐으로써 간척지 활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별도의 석고비료 등을 이용하여 염분을 치환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화학적 처리로 인한 고비용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양 및 물을 오염시키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이며, 토양 내에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이 소요되면 제염이 완료되고, 왕겨가 부숙되어 유기물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토양을 개질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척지 제염 방법{Desalinization Techniques from tideland}
도 1은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에 따른 시공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을 갖는 시공의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복토 이전).
도 3은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에 따른 시공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복토 이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복토 이후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4의 시공의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복토 이전).
도 7은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에 따른 시공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복토 이전), 도 8은 도 7의 B-B 단면도, 도 9는 복토 이후의 B-B 단면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8의 시공의 실례를 보여주는 사진(복토 이전).
도 11은 제염공법 수행 1년 후의 갯벌의 상태(좌측), 배추 이식 직후의 상태(가운데), 및 배추 이식 후 50일 경과된 상태(우측)의 사진.
도 12는 무(좌측), 갓(가운데) 및 배추(우측) 이식후 40일 경과된 상태의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갯벌 20 - 복토층
100 - 골 110 - 중심골
120 - 가지 골 200 - 왕겨 포대
210 - 왕겨
본 발명은 간척지 제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척지에 소정의 간격으로 골을 형성하고 여기에 왕겨를 담은 포대를 쌓은 다음 전체적으로 표층을 복토함으로써 심층 토양 중의 염분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토층의 염해를 줄일 수 있는 간척지 제염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척지를 조성하기 위해 댐으로 물의 교환이 끊기면 내륙의 갯벌은 나대지로 변한다. 그런데 간척지는 염분이 높기 때문에 제염의 과정이 필요하다.
일예로 우리나라 서해안 간척지 토양은 pH가 7.0~9.0 정도로 높으며, 치환성 나트륨(Na+)함량이 9.0~15.0 cmol+ kg-1이고 마그네슘(Mg2+) 함량이 10 cmol+ kg-1 내외로서 그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아무런 조치 없이 작물을 재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이를 농경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존재하는 과다한 염을 제거하여야 한다.
종래는 간척지의 제염을 위해 긴 세월 자연 방치하거나 간단히 석고 처리를 했다.
일예로 간척지 논에 석고를 시용하고 충분한 제염을 하면 석고중의 Ca 이온이 물속에서 서서히 용해되어 관개수중의 Na 이온과 치환하여 토양입자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석고를 이용한 경우에도 최소 4~5년, 혹은 근 10년을 기다려야 겨우 경제성 있는 농지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화학적 방법에 의한 제염의 경우에는 토양의 유기물 파괴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제염의 방법으로는 유공관이나 골재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제염을 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같은 제염방법은 많은 경비가 소요되며 구조물 설치시 운반도 용이하지 않아서 사실상 일반 농가에서는 이와 같은 제염방법을 이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특히 우리 나라의 간척지는 바닷물의 영향을 받아 염류함량이 많으며, 따라서 벼의 생육이 매우 불량하다. 일반 논에 비해 유기물의 함량이 1/10정도 치환성 석회의 함량 1/3정도, 활성철의 함량이 1/4정도로 적지만, 마그네슘과 갈슘의 함량은 5배 이상 많고 나트륨의 함량은 20배 이상 많으며, 25℃에서는 비전도도는 30-40mmho/cm로서 논벼 재배의 적정한계인 2mmho/cm보다도 15-20배나 높다.
따라서 유리상태의 염분을 상층에서 물로 씻어내어 없애야 한다. 유리 염분 을 씻어내기 위해서는 다량의 민물이 필요하므로 개막은 논을 만들려면 반드시 저수지가 있어야 한다.
염류토에 민물을 대주면 물이 담긴 표층토의 염분은 쉽게 물에 용해되어 물이 이동함에 따라 염분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유리염분의 농도가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토양교질 표면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가 커지고 따라서 교질이 분산된다.
교질이 분산된 상태에서는 교질입자가 하나하나 떨어져서 물이 떠 있다가 물이 하층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층에 쌓이게 되어 물의 삼투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간척지 논벼의 재배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대체로 염분함량이 0.3% 이하로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벼는 염분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고 볍씨는 식염수 1.5%정도까지에서 발아할 수 있지만 생육하지 못하며, 유묘기에는 염분농도 1.0∼1.3%에서도 다소 생육할 수 있고, 0.6% 이하가 되면 생육은 더욱 좋아지지만 완전하지 못한다.
벼가 건전하게 생육할 수 있는 염분의 함량은 품종의 내염력의 차이에 따라 다르지만 재배기간 중 표면에서 15-18cm까지의 작토(풍건토) 중에 0.1%, 담수상태의 농도가 0.15% 이하가 되어야 한다.
간척지에 있어서 통상 염해피해를 보지 않고 농사를 짓는 데는 약 10년이 걸린다.
벼가 염스트레스를 받으면, 도체내의 삼투압을 높게 하여 수분 및 필수원소 의 흡수 이동을 억제하고 광합성, 흡수작용, 단백질대사, 핵산, 효소활성 등의 각종 대사작용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벼의 생장과 발육이 억제된다.
이앙 후에 벼가 염해를 받으면 근수와 근모가 줄고, 뿌리신장이 억제되어 근균이 축소되며, 각종 무기성분의 흡수가 감소되어 활착이 부진하다.
간척지를 제염하여 논으로 경작하는 것은 물론이고, 밭으로 작물 재배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작토층의 염해로 인하여 간척지 조성 후 최소 7년 이상의 장기간 휴경상태가 지속되어야만 실질적인 농업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농업인들의 반응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척지구내 경작에 있어서 염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 왕겨가 수분을 흡수하면 장기간 동안 수분을 유지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간척지의 작토층 아래층으로부터 염분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지속적으로 올라와 염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고 비료 등을 이용한 화학적 제염 방법에 비하여 토양의 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면서도, 단시간 내에 작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간척지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공관 등의 구조적 설비의 도입 없이 경제적이고 용이하면서, 단시간 내에 작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간척지 제염방법 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담수 공급 시설이나 암거배수로 등의 시공이 필요없는 친환경적인 간척지 제염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척지 조성 후 3개월 이내에 밭으로의 경작이 가능하며, 논으로도 당해 년도에 경작이 가능하도록 간척지를 제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소정 면적을 갖는 간척지에 적어도 50cm의 깊이를 갖는 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에 왕겨를 매립하는 단계; 및 상층부 전체를 복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척지 제염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왕겨를 매립하는 단계는 왕겨를 다공성을 갖는 포대에 담아서 단층 또는 다수 층으로 적층시공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이고, 바람직하게는 왕겨를 다공성을 담는 포대에 담아서 다수 층으로 적층시공할 때 포대 층간을 엇갈리게 배열하여 적층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골과 골을 적어도 2m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골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바 람직하게는 원주 내면에 왕겨를 채워주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Y자형으로 중심골을 형성한 후 이를 중심으로 분지되는 형태로 다수의 가지 골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중심골은 가지 골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가지 골은 중심골을 중심으로 어긋나기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골은 수로(水路)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토는 황토마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왕겨는 벼의 겉겨를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은 왕겨를 이용한 것이다. 왕겨는 일단 수분을 흡수하면 장시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며, 또한 부숙하면 유기물의 공급원으로도 유용하다.
왕겨를 이용한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의 공통적인 방법은 간척지에 일정의 깊이를 갖는 다수의 골을 형성하고 그 골 내를 왕겨로 매입한 다음, 간척지의 표층을 복토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간척지에 일정의 깊이를 갖도록 다수의 골을 형성하고 여기에 왕겨를 매입하면, 왕겨는 수분을 흡수하고 그 수분을 장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왕겨가 매입된 인접 토양층으로부터의 염분을 흡수한다.
간척지에 작물을 경작하는 데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 것은 작물을 경작할 수 있는 토양층, 즉 작토층의 염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인바, 표층의 염분은 비 등으로 인하여 용해되고 햇볕으로 인해 증발되어 일정 부분 제거되지만 심층의 염분이 삼투압 현상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표층으로 올라온다. 따라서 작토층이 조성되더라도 빠른 시일 내에 작물의 경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심층의 염분이 표층으로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토층의 염해가 없도록 하는 제염방법으로서, 심층의 염분은 왕겨가 매립된 골쪽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서 염분이 표층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토층의 염해를 방지한 것이다. 염분은 물보다 비중이 무거우며 물에 쉽게 용해되어 가열이나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는 이상 항상 가라앉아 있게 된다.
매몰된 왕겨는 수분을 항시 머금고 있으며 이에 인접 토양의 소금이 왕겨에 용해되고 왕겨 매몰골에 가라앉아 있으며 외부로부터 순수한 물을 공급받았을 때, 일예로 비가 내리면 왕겨골 내의 염분은 흘러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심층 토양이 제염되는 것이다.
왕겨가 토양내에 매몰될 경우 사막화되기 전까지는 50cm 지하고에서는 절대 마르지 않는다. 왕겨는 수분상태에서의 모세관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골 형성에 따른 토주 절단에 의한 지하수의 모세관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왕겨는 일정 기간 동안 이와 같은 일련의 기능을 유지하다가 완전히 부숙되어 유기물화되는데, 보통 유기물화 기간은 약 3년 정도이며, 그 후 3년으로부터는 양질의 부숙 퇴비로서 작물에 영양을 공급하게 되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염의 원리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그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그 시공의 일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피면,
도 1 내지 도 2는 간척지에 다수의 골을 평행하게 형성하고 여기에 왕겨를 매몰시키는 시공의 방법을 보여주는 바, 본 발명 간척지 제염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간척지(10)에 다수의 골(100)을 형성하고, 골 내에 왕겨 포대(200)를 두 층으로 적층한 다음 표층 토양에 복토(20)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경우는 전답 형태가 사각형태로 쉽고 일반적인 형태일 경우 적용될 수 있다.
간척지(10)에 다수의 골(100)을 형성하고 골 내에 왕겨 자체를 매몰할 수도 있으나 작업의 편의성 및 취급의 용이성, 운반 등을 고려하여 다공성을 갖는 포대에 왕겨를 넣고, 이 왕겨 포대(200)를 단층 또는 다층으로 골 내에 매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성을 갖는 포대라 함은, 포대 내부로 수분이나 공기의 침투가 용이한 형태의 것이면 그 재질이나 형상에 각별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토양 내 매몰되어 부숙될 것을 고려하여 천연 재료의 것 내지는 생분해성 재질의 인공 재료이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다공성을 갖는 포대에 왕겨를 담아 골(100) 내에 왕겨 포대(200)를 적층시공할 경우 뻘이 포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상하층간의 왕겨 포대를 어긋나게 적층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간척지 제염방법의 시공시 골(100)의 깊이는 적어도 50cm는 되는 것이 왕겨 매몰 이후로 왕겨의 수분을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어서 바 람직하다.
만일 골과 골의 간격이 2.5m 간격이라면 골의 폭은 0.3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골과 골의 간격이 이보다 넓어지게 되면 골의 폭도 다소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의 간격, 골의 폭의 설정은 간척지 토양 내의 염분의 농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전답의 면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 간척지 제염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의 실례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2 상단의 사진은 간척지에 골을 형성한 상태를, 하단의 사진은 골 내에 왕겨 포대를 시공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의 사진을 참조하여 살피면, 골의 끝단에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통상 간척지에는 전답의 둘레에 배수로가 형성되며 수로 이후로 대수로로 합류되어 바다로 배수되도록 한다. 이를 감안하여 골은 배수로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로 방향으로의 경사면의 각도는 각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경사각이 5°이상은 되는 것이 배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2의 사진은 복토 이전의 도면으로서, 사진으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골을 형성하고, 그 골내에 왕겨 포대를 매입한 후 전체적으로 복토하면 본 발명의 간척지 제염방법 시공이 완결된다. 필요에 따라서 복토층은 단층 내지 다층, 혼합층일 수 있다.
복토(20)의 두께는 적어도 30cm 정도는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복토는 토양 을 개질하는 의미도 있으며 후속적으로 간척지를 개간하는 작업, 일예로 땅 뒤엎기 등을 진행할 때 왕겨 포대가 매입된 골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복토시 흙은 황토마사가 가장 바람직하며, 진흙은 바람직하지 않다. 진흙으로 복토할 경우 제염작업 효과도 떨어지며 나무 및 화초류의 뿌리내림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은 전답 형태가 타원형태인 경우에 바람직한 시공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골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도 3은 이와 같은 시공의 일예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이의 A-A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복토 이전 단계를 보여주며, 복토 이후의 A-A 단면도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원주 내면에 왕겨(210)를 채우는데,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함에 있어서 원형의 골로 인해 형성된 내주면의 면적은 본 시공의 용도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작물의 근권이 클 경우에는 내주면의 면적이 크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근권이 작은 경우에는 내주면의 면적이 작게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의 골을 형성한 후 다수의 골(100)을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사형으로 형성하는바, 방사형으로 뻗어간 골의 끝은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형의 골을 형성한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나간 골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시공되는 것이 배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경사각이 5°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배수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여기에 왕겨를 채우면 왕겨가 염분을 흡수하고 머금고 있으므로 복토 이후로도 여기에 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의 깊이나 폭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대동소이하며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골이 방사형으로 뻗어나간 형태가 되어 골과 골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나, 일정 량의 염분을 중심의 왕겨(210)에서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골 간격이 벌어짐으로 인한 제염효과의 감소는 없다.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중심에 원형으로 골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골(100)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후, 내주면에는 왕겨(210)를 채우고 나머지의 골(100) 내에는 왕겨 포대(200)를 적층시공한 후 복토하면 도 5와 같다. 복토(20)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황토마사를 적어도 30cm 정도로 깔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과 도 4의 단면을 갖는 시공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한편, 지형지물의 형태가 부정형이며 경사면이 불균형한 상태인 악조건의 간척지에는 상기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의 제염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때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제염방법에 따른 시공이 필요한데, 이를 도 7 내지 도 8로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염방법 시공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이의 B-B 단면도로서, 이 두 도면은 모두 복토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복토 이후의 B-B 단면은 도 9로서 도시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제 3 실시예의 제염방법에 따라 시공하기 위해서는 배수관계를 위한 고저 상태를 확인한 다음, 주 골(110)을 Y자형으로 형성한다.
그 다음 Y자형의 주 골(110)을 중심으로 하여 분지되는 형태로 가지 골(120)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Y자형 주 골(110)을 중심으로 하여 골 내림을 하는 방법으로 골을 형성한다. Y자형 주 골(110)을 중심하여 골 내림을 하는 경우 가지 골(120)은 어긋나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수가 서서히 이루어지면서 배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Y자형 주 골(110)은 가지 골(120)에 비하여 다소 넓게 시공하는 것이 배수에 있어서 용이하다.
시공의 일예로, 가지 골(120)은 적어도 폭 30cm, 깊이 50cm 정도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 골은 폭이 적어도 50cm 정도 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지 골(120) 간의 간격은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다소 좁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하고에서 배수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예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골간의 간격이 적어도 2.5m 정도라면,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2m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 골간의 교차지점이나 주 골과 가지 골의 교차지점의 경우에는 왕겨 포대(200)를 적층시공함에 있어서는 도 7의 부분 확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A, B, C 순으로 하층의 왕겨 포대를 매입하고,그 다음 상층에 왕겨 포대를 적층함에 있어서는 우선 교차지점에 횡축으로 길게 D를 적층하는 것이 뻘이 왕겨 포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는 왕겨 포대를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긋나기 형태로 상층부에 적층하면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주 골(110)과 가지골(120)에 왕겨 포대를 적층시공한 다음 복토(20)를 하는데, 복토시 두께는 적어도 30cm 이상이 되도록 하여 전체 지형지물 형태에 따른 지표수 물 흐름을 완만히 할 수 있다.
만일 지형지물이 급경사인 경우라면 골 중간에 둑을 형성하여 지하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제염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토사 유실도 막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제염방법의 실제시공의 예를 도시한 사진으로, 이는 복토 이전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형태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의 제염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줄포면 우포리 간척지에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648,541㎡ 면적에 해당되는 간척지 토양에 대해서 염 농도를 조사하였다. 제염 이전의 당해 토양은 표층으로부터 30cm 정도 되는 깊이에서의 염분 함량이 1.42% 정도여서 작물(수도, 밭) 재배시험 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염공법에 따라 제염을 수행한 이후(제염기간 1년 이후)로는 0.3 내지 0.18%였다.
토양 중 염분의 함량은 토양염분측정장치(DY-2501B)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염공법을 수행하고 1년 되는 시점에서의 갯벌의 상태는 도 11의 맨 좌측과 같았으며, 제초한 후 밭을 조성하여 배추씨앗(황성, 동부한농화학 제품)을 이식한 직후의 포장 전경은 도 11의 가운데 사진과 같다. 또한 이식 후 50일이 지난 시점에서의 포장 전경을 도 11의 맨 우측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무(기찬무, 농우종묘)와 갓(강화도 재래 품종)을 이식한 후 40일이 경과한 상태도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의 좌측 사진은 무를 이식한 후 40일 경과된 상태이고, 가운데는 갓을 이식한 후 40일 경과된 상태, 그리고 맨 우측은 배추를 이식한 후 40일 경과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염공법에 따라 제염을 수행한 토양에서는 1년 정도가 지난 시점에서 통상의 밭작물의 재배가 가능해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왕겨를 제염에 이용하 는 경우 간척지 내에 매몰된 왕겨가 수분을 머금고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염을 용해시키고, 그 자체로도 배수로의 역할을 수행하여 왕겨 매몰층의 인접 염분을 계속 배수시킴으로써 표층으로 염분이 올라와 작토층에 염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염작업 후 단기간 내에 경작이 가능해짐으로써 간척지 활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석고비료 등을 이용하여 염분을 치환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화학적 처리로 인한 고비용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토양 및 물을 오염시키지 않아서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토양 내에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이다.
또한, 일정 기간이 소요되면 제염이 완료되고, 왕겨가 부숙되어 유기물로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토양을 개질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Claims (11)

  1. (정정) 간척지를 제염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면적을 갖는 간척지에 적어도 50cm의 깊이를 갖는 골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골에 왕겨를 매립하는 단계; 및
    상층부 전체를 복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왕겨를 매립하는 단계는 왕겨를 다공성을 갖는 포대에 담아서 단층 또는 다수 층으로 적층시공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왕겨를 다공성을 담는 포대에 담아서 다수 층으로 적층시공할 때 포대 층간을 엇갈리게 배열하여 적층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골과 골을 적어도 2m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수의 골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중심에 원형의 골을 형성하고 원주 내면에 왕겨를 채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을 형성하는 단계는 Y자형으로 중심골을 형성한 후 이를 중심으로 분지되는 형태로 다수의 가지 골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중심골은 가지 골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가지 골은 중심골을 중심으로 어긋나기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골은 수로(水路)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토는 황토마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척지 제염방법.
KR1020070002789A 2007-01-10 2007-01-10 간척지 제염 방법 KR10082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89A KR100821321B1 (ko) 2007-01-10 2007-01-10 간척지 제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89A KR100821321B1 (ko) 2007-01-10 2007-01-10 간척지 제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321B1 true KR100821321B1 (ko) 2008-04-14

Family

ID=3953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789A KR100821321B1 (ko) 2007-01-10 2007-01-10 간척지 제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92B1 (ko) 2010-02-18 2010-08-30 김동수 간척지 제염답 형성방법
KR101367848B1 (ko) * 2013-05-13 2014-02-25 심성근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476B1 (ko) * 1993-01-05 1995-12-02 전부영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JP2002030285A (ja) 2000-07-17 2002-01-31 Nikken Sohonsha Corp 塩害発生土壌の改良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476B1 (ko) * 1993-01-05 1995-12-02 전부영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JP2002030285A (ja) 2000-07-17 2002-01-31 Nikken Sohonsha Corp 塩害発生土壌の改良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농공학회지, 12(3), pp.2029~2034, 197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92B1 (ko) 2010-02-18 2010-08-30 김동수 간척지 제염답 형성방법
KR101367848B1 (ko) * 2013-05-13 2014-02-25 심성근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4155B (zh) 一种改良盐碱地的装置和方法
CN105230167B (zh) 一种滨海重度盐碱地土壤改良及植被构建体系
CN101849454B (zh) 盐碱滩地的生物综合改良方法
TWI593855B (zh) An Artificial Waters System for Ecological Control of Algae Bloom
CN102138491B (zh) 沿海滩涂地土壤与生态治理方法
Tomar et al. Performance of some forest tree species in saline soils under shallow and saline water-table conditions
CN204762460U (zh) 盐碱地的种植系统
Li et al. First and second-year assessments of the rapid reconstruction and re-vegetation method for reclaiming two saline–sodic, coastal soils with drip-irrigation
Mohamed Management of salt-affected soils in the Nile Delta
CN106718602A (zh) 一种在新建热带吹填岛礁的珊瑚砂上的苗木栽植方法
CN105706555B (zh) 盐碱地绿化工程原土改良结构及其施工方法
Reddy et al. FARM PONDS: A Climate Resilient Technology for Rainfed Agricul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CN102060384B (zh) 一种除磷抑藻的“水下草坪”及构建方法
Sunday E et al. Contemporary global issue of rising water scarcity for agriculture: the quest for effective and feasible soil moisture and free-water surface conservation strategies
KR100821321B1 (ko) 간척지 제염 방법
Kelly et al. Climate, site, and pond design
CN105960163A (zh) 用于表面和表面下保水的方法和系统
CN102177830A (zh) 一种沿海防护林的建设方法
CN109463061A (zh) 一种盐碱地植物栽植方法
CN109566288B (zh) 一种滨海重度盐碱地的改良方法
RU2253225C1 (ru) Способ мелиорации (варианты)
KR100978392B1 (ko) 간척지 제염답 형성방법
CN205389381U (zh) 盐碱地绿化工程原土改良结构
RU2107422C1 (ru) Способ закладки многолетних насаждений на каменистых почвах
KR101698035B1 (ko) 임해 간척지 식재용 토양적층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