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476B1 -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 Google Patents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476B1
KR950014476B1 KR1019930000038A KR930000038A KR950014476B1 KR 950014476 B1 KR950014476 B1 KR 950014476B1 KR 1019930000038 A KR1019930000038 A KR 1019930000038A KR 930000038 A KR930000038 A KR 930000038A KR 950014476 B1 KR950014476 B1 KR 95001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anting
bark
ag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007A (ko
Inventor
전부영
Original Assignee
전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부영 filed Critical 전부영
Priority to KR10199300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4476B1/ko
Publication of KR94001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09K17/48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 C09K17/50Organic compounds mixed with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e.g. polymerisation catalysts the organic compound being of natural origin, e.g.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1/00Agricultural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재방법으로 식재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식재 방법에 의해 식재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간척지에 식재하는 방법에 의해 식재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재혈 2 : 바크제
3 ,6 : 식재혈토 4 : 수목의 분
5 : 소일제 7 : 배합토
a : 자갈 b : 식재토
c : 천 d : 비닐벽
본 발명은 국토 확장을 위해 시행중인 해안매립지(일명 간척지)에 용도에 따라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가로수를 식재한다든가 가로분리대, 녹지 및 공원등을 설계시공하고져 할때 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하토층인 해양토(갯펄)로부터 상승하는 염함유 모관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염분에 함유된 이온을 치환하면서 식물에 결핍되기 쉬운 이온들을 보충해야 했고, 상승하는 모관수가 부족하므로. 건조하기 쉬워 근군주변에 수분을 보유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염함유 모관수를 차단하고 식물생육에 필요한 이온을 보유하며 근군주변에 항상 소정량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해안매립지에 단지를 조성시키기 위해서는 산토를 1-2m 두께 정도로 복토시켜 준 다음 식재한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모관수에 함유되어 상승하는 염분에 의해 일어나는 수목에 대한 피해를 완전하게 해소시킬 수가 없었으며 이때 발생하는 염분의 피해는 기반토인 개펄로부터 염분을 함유한 수분이 모세관을 통하여 지표면으로 이동하면서 지표면에서 수분을 잃고 표토에 다량의 염분이 축적된다. 염분농도의 증가로 인해 생기는 식물에 대한 대표적인 장애는 삼투압의 저하로 인한 흡수장애와 과도한 염분의 축적에 기인된 이온장애가 발생되는 것이다.
수분의 흡수장애의 원인은 염농도의 과잉으로 토양의 수분보유력이 높아져서 식물의 모근이 수분흡수불능에 빠지게 되고 과도한 염분농도는 뿌리의 생리작용을 억제하여 흡수불능현상을 가속화 하는 것이다.
즉, 과도히 축적된 나트륨(Na+), 마그네슘(Mg++), 염소(C1-), 황산(So4-) 등의 이온들은 예를들면 Na+ 이온의 고농도는 세포막에서 칼슘(Ca++)이 치환, 칼슘(Ca++)결핍을 초래하여 뿌리기능을 퇴화시키므로써 흡수불능상태에 빠지며 따라서, 칼슘이 나트륨으로 치환될때는 세포로부터 칼륨의 누출이 병행되어 칼륨결핍 증상을 수반하여 여기서 퇴화된 근기능이 치환불능에 빠지게 된다.
또한 마그네슘(Mg++)의 과잉은 산성도의 상승과 망간결핍, 아연결핍을 가져오게 되고, 과다한 염소이온은 초산태 질소의 흡수감소 등을 야기하며, 황산은 급격한 산성화를 초래하게 되면서, 전술한 퇴화근군과 치환불능으로 치유구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염해토양에서 발생하는 이와 같은 다량의 필수적인 이온들의 불균형 장애는 염분의 농도가 0.2% 정도에서 생리장애가 발생하며, 0.5% 이상에서 고사하게 되는데 수경액에서는 염류농도가 0.3% 이상이라도 생리장애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염분토양에 나트륨, 염소의 과잉이 다른 이온의 결핍을 유발시키는 결과이므로 이식수목은 이온의 과다, 결핍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서 칼슘(Ca++) 이온결핍의 피해인 근부발달의 저하, 칼륨(K+)결핍의 피해인 동화작용 저해와 생리저해를 야기시키며 망간결핍 피해인 엽막간황화 현상등이 나타나며 그외에도 아연, 철, 인산, 구리, 규소, 초산태 질소등의 결핍도 예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염분에 함유된 과다이온과 이로인해 결핍된 이온들의 영향으로 염해지에서의 식물은 지상부에서 낙엽, 잎의 왜소화, 잎주변의 갈반발생, 엽소증, 생장점분열중지, 고사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지하부에서는 신근의 발육정지, 흡수불가능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런 토양환경이 지속되면 식재된 식물은 이식초기에는 체내에 축척된 양분과 소량의 흡수(吸水)로 생명을 유지하다가도 월동중이나 월동후에 급격히 쇠약해져 고사(枯死)하고, 설령 고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미관을 잃기 쉬웠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면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깊이와 넓이로 식재혈을 파낸 다음 하층에 자갈(a)을 깔아 염분의 모관수 상승을 차단하고 그 위에 충진되는 식재토(b)가 하강하여 자갈층의 간극 사이를 막아주므로서 발생되는 모관수의 연결현상을 방지코져 마포등 천(c)을 깔아주고 그 위에 유기물을 혼합한 식재토(b)를 충진시켜 주고 염분수의 좌우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식재혈의 내주벽면에 비닐벽(d)을 설치하여 주는 방법으로 식재하므로써 상술한 간척지의 식재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코져 시도하였으나, 이러한 식재방법은 염분수의 모세관 이동을 차단하여 나트륨등 이온의 표토집적은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겠으나 결핍이온의 보충이나 모관수 차단에 의한 근부의 건조는 방지할 수 없던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침하되는 수분이 비닐벽에 차단되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그대로 잔존하므로써 과량의 수분보유현상이 발생되고 반면에 가뭄이 계속되면 비닐벽이 수분흡수를 막게 되므로 건조하게 되어 고사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며, 또한 관수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가장 보편적으로 추천되지만 시일이 오래 걸리고 많은 경비가 소요되어 비경제적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다년간 연구 실험에 의해 결실을 얻게 된 것으로서 간척지에 식재하는 식재방법을 개량하여 식재시 충전되는 수피층(바닥층)과 식재용토층으로 나누너 수피층에는 특수제조된(친수성이 아니고 구조가 섬유상이 아닌) 상자형태의 바크제를 일정 두께로 깔아주고 그 상면의 식재용토층에는 흡수제등을 혼합시킨 배합토인 소일제를 충진시켜 주므로서 염분의 상승, 유입을 차단하여 수목의 정상적인 생육을 기하고져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먼저 수목의 식재토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수피층에 충진되는 바크제와 식재용토층에 충진되는 소일제의 제조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수피층(바닥층)에 충진되는 바크제는 입경 1-2cm로 분쇄,조제하여 인산칼슘, 인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칼륨, 시안화칼슘, 질산암모늄, 황산칼륨, 황산망간등을 각 100-500PPM이 용해된 15-30℃ 수용액에 분무 혹은 침지하여서 전착, 흡수시켜 수분함량이 20-30% 정도 되게 반건조한 후 탄산분말, 버미큐라이트, 유황분말 등을 피복시켜 되는 것이다
이때 피복재로의 양은 염농도의 차이에 의해 결정한다.
식재용토층에 충진되는 소열제는 발효부식시킨 퇴비에 유기분해성 및 무기분해성의 수분팽창성 고분자화합물 코-포리머, 포리머를 3-8% 혼합, 50PPM 정도의 황산아연과 몰리브덴처리 과인산염을 혼합시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피층(바닥층)에 충진되는 바크제와 식재용토층에 충진되는 소일제를 병합사용하는 것으로서 바크제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승되는 염분을 차단하여 주고 소일제는 좌우로 이동되는 염분의 이동을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수목의 식재방법을 설명하면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1m3크기의 식재혈(1)을 파낸 다음 수피층에 바크제(2)를 5-10cm 두께가 되게 약 1.5kg 정도를 깔아준 다음 그 상부에 30-35cm 높이로 중앙부위가 약간 높아지게 파낸 흙(3)을 넣어준 후 수목의 분(4) 외주면에 약 5cm 두께로 식재용토와 혼합케 되는 소일제(5)를 도포시키고 그 외측공간부에 식재혈에서 파낸 흙(6)을 채워 준 다음 충분한 양의 관수를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식재 방법으로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1m3크기의 식재혈(1)을 파낸 다음 수피층에 바크제(2)를 5-10cm 두께가 되게 약 1.5kg 정도 깔아주고 식재혈에서 파낸 흙과 농축된 소일제를 혼합시킨 배합토(7)를 중심부가 약간 높게 30-35cm 정도 높이로 깔아주고 다시 나머지 공간부에도 배합토(7)를 채워준 다음 충분한 양의 관수를 주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바크제의 상부에 깔아주는 식재혈이나 배합토의 중앙부위를 약간 높게하는 것은 수목의 뿌리가 편안하게 자리를 잡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제1의 식재방법은 비교적 경비는 절약되지만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활착율도 약간 저하되는 문제점은 있으나 기존의 식재방법 보다는 배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비교적 적은 양의 수목을 식재하는 곳에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며 제2의 식재방법은 제1식재방법에 비해 소일제의 재료비가 50% 정도 증액되나 식재혈에서 파낸 흙에 농축된 소일제를 혼합해서 전량을 배합토로 사용하므로써 작업능률은 물론 활착률도 높아서 염농도가 비교적 높고 많은 양의 수목을 식수해야 하는 가로수 식재시 매우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염해지에서 일어나는 고농도 염분으로 인한 피해를 없애는데 유효한 것으로서 기반토인 갯펄로부터 상승하는 고농도의 염분을 함유한 모관수는 입경 1-2cm의 바크제(2)에 충진된 수피층에서 일차 차단하고 기축적되었거나 좌우 이동하는 염분내의 유해이온들은 수피층의 바크제에 전착흡수시킨 각종 이온으로 치환되던지 C. E. C치가 높은 재료에 흡착되게 되는 것이다.
모관수의 차단으로 식재 토양내에는 건조가 예상되나 강력흡수제(수분팽창성 고분자물질, 유,무기분해성 코-포리머, 포리머)를 혼합시키므로써 이를 해결하고 처리 바크제와 유기질 퇴비에 포함된 각종 양분이온물질이 식물에 공급되어 근본적으로 염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다음의 도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생존개체수의 비교
조사기간 : 재식후 1개월(총수 18주)
생장량의 비교
조사기간 : 재식후 6개월
참고 A : 유기질 비료, 퇴비 3%
B : 유기질 비료, 퇴비 3% +강력 수분 흡수제 2%
C : 유기질 비료, 퇴비 3%+강력 수분 흡수제 3%
D : 처리 바크제 5%+유기질 비료, 퇴비 3%+강력 흡수제 5%
상기의 도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야외실험에서 버즘나무와 오리나무 모두 생육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보유력 및 양분보유력의 증가로 인해 염해지 및 매립지등의 인위적인 조성지에서 토양개량제로 조제된 소일제는 토양의 물리성 개량과 근권환경에 개선을 가져와 수목의 생육상태를 양호하게 하며 염분의 좌우이동 및 모세관현상에 의한 상승을 차단시켜 염해가 예상되는 간척지에 식재하더라도 염해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수피층에 충진되는 바크제는 입경 1-2cm로 분쇄,조제하여 인산칼슘, 인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칼륨, 시안화칼슘, 질산암모늄, 황산칼륨, 황산망간등을 각 l00-500PPM이 용해된 15-30℃수용액에 분무 혹은 침지하여서 전착,흡수시킨 후 수분함량이 20-30% 정도되게 반건조하여 탄산분말, 버미큐라이트, 유황분말을 피복시켜 되는 염해지 토양개량제.
  2. 식재용토층에 충진되는 소일제는 발효부식시킨 퇴비에 유기분해성 및 무기분해성의 수분 팽창성 고분자 화합물 코-포리머, 포리머를 3-8% 혼합하고, 퇴비내에 50PPM 정도의 황산아연과 몰리브덴처리 과인산염을 혼합시켜 되는 염해지 토양개량제.
  3. 1㎥ 크기의 식재혈(1)을 파낸 다음 수피층에 바크제(2)를 5-10cm 두께가 되게 약 1.5kg 정도를 깔아준 다음 식재혈에서 파낸 흙과 농축된 소일제(5)를 혼합시킨 배합토(7)를 중심부가 약간 높게 30-35cm높이로 깔아주고 다시 나머지 공간부에도 배합토(7)를 채워준 후 충분한 양의 관수를 주입시켜 되는 염해지 토양개량제를 이용한 식재방법.
KR1019930000038A 1993-01-05 1993-01-05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KR95001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038A KR950014476B1 (ko) 1993-01-05 1993-01-05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038A KR950014476B1 (ko) 1993-01-05 1993-01-05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07A KR940018007A (ko) 1994-08-16
KR950014476B1 true KR950014476B1 (ko) 1995-12-02

Family

ID=1934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038A KR950014476B1 (ko) 1993-01-05 1993-01-05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4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21B1 (ko) * 2007-01-10 2008-04-14 김동수 간척지 제염 방법
KR100945257B1 (ko) * 2009-09-15 2010-03-03 주식회사 에코탑 간척지 식생용 염분차단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321B1 (ko) * 2007-01-10 2008-04-14 김동수 간척지 제염 방법
KR100945257B1 (ko) * 2009-09-15 2010-03-03 주식회사 에코탑 간척지 식생용 염분차단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07A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ome et al. The relationship of mineral nutrients to growth of Spartina alterniflora in North Carolina: II. The effects of N, P, and Fe fertilizers
Artikova et al. Prevent Salinization And Increase The Fertility Of Irrigated Sandy And Loamy Soils
CN108990460A (zh) 滨海盐碱地改良方法、滨海盐碱地改良结构及应用
CN106467748A (zh) 一种盐碱地的改良方法
Mohamed Management of salt-affected soils in the Nile Delta
CN107046841A (zh) 一种盐碱地绿化造林的方法
CN105941085A (zh) 一种滨海盐碱地造林技术
CN107517611A (zh) 一种盐碱地原土改良方法
CN109392349B (zh) 一种江苏沿海滩涂修复种植田菁方法
CN108476649A (zh) 一种园林陡坡植物绿化方法
CN107155790A (zh) 一种通过微生物发酵秸秆改良盐碱土质的方法
KR101133542B1 (ko) 염해토양 식재지 조성 방법
CN105993779A (zh) 一种采用含蚯蚓粪的有机质对轻度盐碱地进行原土栽培的方法
CN108934251A (zh) 祁连山高寒草甸草原改良为刈割草场的方法
CN112425305A (zh) 一种综合治理盐碱土壤的方法
CN112088607A (zh) 一种盐碱地土壤的改良方法及其应用
KR100945257B1 (ko) 간척지 식생용 염분차단매트
CN110915348A (zh) 一种石漠化山地生态修复方法
KR950014476B1 (ko) 염해지 토양개량제 및 그를 이용한 식재방법
CN108018044A (zh) 重度盐碱土的改良材料及改良方法
CN207167001U (zh) 盐碱地园林绿化水土改良系统
CN107211810A (zh) 香樟树的移植方法
CN113264590A (zh) 一种受损湿地的修复方法
CN105993276A (zh) 一种采用剑麻纤维基生物质炭渗滤层的根部控盐方法及其在盐碱地盐地碱蓬种植中的应用
CN106068747A (zh) 一种采用蒙脱石渗滤层的根部控盐方法及其在盐碱地乌桕种植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