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902B1 -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902B1
KR101366902B1 KR1020117021127A KR20117021127A KR101366902B1 KR 101366902 B1 KR101366902 B1 KR 101366902B1 KR 1020117021127 A KR1020117021127 A KR 1020117021127A KR 20117021127 A KR20117021127 A KR 20117021127A KR 101366902 B1 KR101366902 B1 KR 10136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intenance
inspection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705A (ko
Inventor
하루히사 우에다
히데따까 오오시마
히데노리 미야따
히데따까 야마시따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10B29/06Preventing or repairing leakages of the brick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노체 관리 서버(1)와, 수기 입력한 코크스로체의 벽면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을 벽면 관리 정보(4)로서 노체 관리 서버(1)로 송신하는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3)과, 코크스로체의 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입력한 것을 노체 관리 정보(5)로서 노체 관리 서버(1)로 송신하는 노체 관리 정보 입출력 수단(2)을 구비한다. 노체 관리 서버(1)는,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로부터,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점검 부위를 특정하고, 또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손상도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보수 부위를 특정한다. 이에 의해, 점검 작업이나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의 결정을 할 때는, 내벽 연와의 열화에 더하여, 코크스로체의 그 외의 부위(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의 열화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COKE OVEN BODY INSPECTION/REPAI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로는 일반적으로, 탄화실(이하, 킬른이라 칭함)과 연소실이 쌍으로 되어 구성된다. 코크스로에 있어서, 특히 킬른의 내벽에 사용되는 내화 연와는, 장기간 고열에 노출되고, 또한 건류 종료(코크스 완성) 후의 반출시에는, 코크스 압출기에 의한 측압 가중(코크스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코크스로의 노후화에 수반하여, 특히 킬른의 내부 연와 등, 킬른의 각 부위에 경년 변화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들 손상을 방치하는 것은, 석탄의 건류 불량이나 킬른 막힘 등 각종 조업 트러블의 요인이 된다. 이들 조업 트러블 발생률을 저하시켜, 코크스로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점검에 의해 현 시점에서의 킬른 손상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킬른 보수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일반적으로 각 코크스로에는 수십 내지 백 수십실 정도의 킬른이 존재하고, 각 킬른의 내화 연와나 그 외의 노체 각 부의 열화 상황을 확인하는 점검 작업이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점검 작업은 작업자의 육안에 의해 행해지고, 그 결과가 점검 장표에 기록되어, 이후의 점검 및 보수 계획의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 관리 및 열람에는 노동력이나 시간이 걸려, 작업성이 나쁘고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킬른의 점검 실시일은, 상기한 점검 장표의 기록과 점검 주기표를 대조하여 정해지지만, 점검 장표에 기록되는 정보량은 방대한 것이기 때문에, 정보에의 액세스가 곤란하고, 결과적으로 점검 누락이나 점검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킬른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여 보수를 행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종래부터 킬른 내벽의 화상 해석이나 코크스 압출기의 전류 데이터 해석이나 매연 농도 데이터 해석 등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코크스로에는 수십 내지 백 수십실 정도의 킬른이 존재하지만, 이들 킬른을 보수해야 할 순서로 순위를 매기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킬른에 관한 각 데이터(내압출 전류 데이터, 화상 해석 데이터, 매진 농도 데이터)의 과거 n일분을 통계적으로 해석하여 얻어지는 지수로부터, 보수 킬른의 파악 및 보수 타이밍의 결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4331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81523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6066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5616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268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0055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우선적으로 보수해야 할 킬른을 결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당해 우선 순위는 킬른 열화 판단의 지표로서 오로지 내벽 연와 손상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노체 그 외의 부위의 열화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2 내지 6의 기술에서도, 내벽 연와 및 노체 그 외의 부위의 열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 관리 및 열람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저감하고, 코크스로체의 점검 작업 시에 발생하고 있었던 점검 누락이나 점검 지연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점검 작업이나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의 결정시에는, 내벽 연와의 열화에 더하여, 코크스로체의 그 외의 부위(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의 열화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점검 및 보수 작업 효율이 우수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은,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노체 관리 서버와, 수기 입력한 코크스로체의 벽면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을 벽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과, 코크스로체의 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입력한 것을 노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노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노체 관리 서버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입력 정보 기억부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작성한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노체 진단 기록 카드(karte) 정보로서 편집하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수단과, 상기 노체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점검 주기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로부터,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점검 부위를 특정하는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수단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보수 부위를 특정하는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다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보수 실시일이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과 손상도로부터, 보수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보수수명 평가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다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보수 수명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 보수 수명 평가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로부터, 예방 보전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예방 보전 보수 부위를 특정하는 예방 보전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다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은, 벽면 화상이 인쇄된 용지에 전자 펜으로 열화부 범위를 수기 입력 가능하게 한 것이고, 상기 벽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는, 상기 전자 펜으로 수기 입력된 열화부 범위의 면적에 따라서 구해지는 값인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다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는, 육안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해 미리 선택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는 손상도 레벨로부터 선택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방법은,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노체 관리 서버와, 수기 입력한 코크스로체의 벽면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을 벽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과, 코크스로체의 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입력한 것을 노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노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에 의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노체 관리 서버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입력 정보 기억 수순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 수순과, 상기 정보 처리 수순에 의해 작성한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기억 수순을 실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순에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로서 편집하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수순과, 상기 노체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점검 주기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로부터,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을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점검 부위를 특정하는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수순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우선적 보수 부위를 특정하는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순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 관리 및 열람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저감하고, 코크스로체의 점검 작업 시에 발생하고 있었던 점검 누락이나 점검 지연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점검 작업이나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의 결정시에는, 내벽 연와의 열화에 더하여, 코크스로체의 그 외의 부위(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의 열화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점검 및 보수 작업 효율이 우수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방법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노체의 점검 및 보수 대상 부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 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벽면 관리 정보의 수기 입력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PDA 단말의 작업 기록 입력 메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PDA 단말의 기록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벽면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보수 수명 평가 정보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의 출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노체 관리 서버를 활용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방법의 개략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노체 관리 서버이다. 부호 2는 PDA 단말, 3은 전자 펜으로, 점검 및 보수 작업을 현장에서 행하는 작업자가 휴대한다. PDA 단말(2)이 노체 관리 정보 입출력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전자 펜(3)이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부호 12는 노체 관리 서버(1)와 통신 가능한 PC(퍼스널 컴퓨터) 단말이며, 각 코크스로 조업 관리 관계자의 개인 단말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과거로부터 현재의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작업 기록을 노체 관리 서버(1)에서 관리하여, 노체 관리 서버(1)에 수시 입력되는 킬른마다의 점검 및 보수 기록으로부터 즉시 노체의 변화ㆍ동향을 검지하고, 상기 정보를 작업 현장의 작업자를 비롯하여, 각 코크스로 조업 관리 관계자 사이에서 공유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노체 관리 서버(1)에 수시 입력되는 킬른마다의 점검 및 보수 기록은, 점검 및 보수 작업을 현장에서 행하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PDA 단말(2) 및 전자 펜(3)을 이용하여 기록된다.
코크스로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은, 킬른 단위로 행해지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21개소의 부위를 대상으로 한다. 노상 관계에서는, 장입구(charging hole) 프레임(101), 장입구 덮개(102), 플루(flue) 금속 부재(103), 노정 타일(104), 상승관 전반(105), 상승관 라이닝(106), 장입구 내 연와 맞춤새(107), 벤드부(108), 타이로드(109)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노하 관계에서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프레임 장착 금속 부재(111), 노구 밖 줄눈(112), 노구 내 줄눈(113), 노구 보호 금속 부재(114), 노 덮개(115), 경 연와 보수(116), 탄화실 벽(117), 벨로우즈 보수(118)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변경 밸브 지하실 관계에서는, 플랫폼 타일(119), 면벽 맞춤새(120), 변경 밸브 둘레 맞춤새(121)를 대상으로 한다. 이들 대상 부위 중, 탄화실 벽(117)의 점검 및 보수 정보는, 벽면 화상으로서 파악 가능하게 관리하기 위해 전자 펜(3)에 의한 수기 입력으로 한다. 그 외 20개소의 부위의 점검 및 보수 정보는, PDA 단말(2)의 화면으로부터의 입력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체 관리 서버(1)는,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벽면 관리 정보(4)로서 취득하고,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노체 관리 정보(5)로서 취득한다. 노체 관리 서버(1)가 취득한 정보(4, 5)는 입력 정보 기억부(1a)에 저장된다. 이들 정보(4, 5)를 정보 처리부(1b)에서 처리하여,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 보수 수명 평가 정보(9),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의 각 정보로 한다. 처리된 각 정보(6 내지 10)는,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이하에, 노체 관리 서버(1)가 취득하는 벽면 관리 정보(4) 및 노체 관리 정보(5)에 대해 그 입력 수단을 설명한다.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노토(등록 상표) 기술(아노토 기능이라고도 칭해짐)을 이용한 전용의 특수 시트 상에, 전용의 수기 입력 수단인 전자 펜으로 수기의 화상 입력을 하고, 수기 내용을 전자 데이터화하여 서버 장치로 송신하는 수기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도 4에, 전자 펜(3)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전자 펜(3)은, 펜부(14), 감압부(15), 카메라부(16), 처리부(17), 기억부(18), 송신부(19) 등을 구비한다. 작업자가 전자 펜 대응의 전용 용지(13)에 전자 펜(3)을 사용하여 수기 입력하면, 전자 펜(3)은 용지(13)에 기입된 내용을 축차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펜부(14)는, 펜 끝이 용지(13)에 눌러진 상태에서 이동됨으로써 잉크를 나오게 하여, 용지(13)에의 기록을 행한다. 감압부(15)는, 압전 소자를 갖고 있어, 펜부(14)에 고정되어, 펜부(14)에 가해지는 힘이나 압력을 검출한다. 펜부(14)에 의해 용지(13)에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을 때, 펜부(14)가 용지(13)에 눌러지는 것으로부터, 감압부(15)는 전자 펜(3)에 의해 수기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카메라부(16)는, 적외선에 의해 펜부(14) 선단부 주변에서 용지(13)의 지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한다.
용지(13)에는, 카본을 함유하는 잉크에 의해 인쇄된 특수한 도트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트 패턴이 형성된 영역은, 사용자가 전자 펜(3)을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영역으로 된다. 입력 영역에 인쇄된 도트 패턴의 각각의 도트는, 그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인쇄되어 있다. 이 용지(13)에 전자 펜(3)에 의해 수기 입력되면, 우선 감압부(15)에 의해 전자 펜(3)에 의해 수기 입력되고 있는 것이 검출된다. 감압부(15)에 의해 수기 입력되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 카메라부(16)는 용지(13)의 도트 패턴을 판독한다. 이에 의해, 전자 펜(3)은, 수기 입력되고 있을 때의 펜부(14)의 선단의 궤적을 취득할 수 있어, 용지(13)에 기입된 내용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지(13)에 벽면 화상(52)이 인쇄되어 있고, 벽면 화상(52) 상에 전자 펜(3)에 의해 열화부 범위, 보수부 범위를 수기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의 수기 부분(51)을 참조]. 또한, 도 5에서는 벽면 화상(52)을 간단하게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내화 연와가 적층되어 있는 모습이나 각 부의 사이즈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용지(13)에는, 점검/보수의 지정란(53), 대상 킬른, 실시일, 작업자의 성명란(54), 손상 개소 점검 결과의 란(55)(연와 구멍 틈, 연와 결손, 연와 균열, 기타 특기 사항), 보수 내용의 란(56)(보수 방법, 노 꺼냄, 보수 개시 및 종료 시각, 도어 폐쇄 시각, 사용 재료), 보수 결과의 란(57)(보수 범위, 보수 상황, 기타 특기 사항) 및 코멘트의 란(58) 등이 인쇄되어 있어, 전자 펜(3)에 의해 각 란을 수기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예의 용지(13)에서는, 전자 펜(3)으로 자유롭게 코멘트 등을 기재할 수 있는 란[예를 들어 란(55 내지 57), 기타 특기 사항이나 코멘트의 란(58)]과, 미리 선택지가 인쇄되어 있고, 그것을 전자 펜(3)으로 체크하는 란[예를 들어 점검/보수의 지정란(53), 손상 개소 점검 결과의 란(55)의 연와 구멍 틈의 있음/없음, 연와 결손의 있음/없음, 연와 균열의 있음/없음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 펜(3)에 의해 용지(13)에 기입되는 점검 및 보수 정보가 전자 데이터화되어 벽면 관리 정보(4)로 된다. 또한, 전술한 정보 이외에 인출선 등이 포함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자 펜(3)은, 전자 데이터화하는 벽면 관리 정보(4)에, 벽면의 손상도를 0점 내지 5점의 6단계로 평가한 손상도를 포함시킨다. 손상도는, 전자 펜(3)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손상값=(미보수 손상 부위 면적)÷(전체 탄화실 면적)×100」의 계산식에 의해 자동 산출된 손상값을 기초로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상값>9」를 손상도 5점, 「손상값 : 7 내지 9」를 손상도 4점,「손상값 : 5 내지 7」을 손상도 3점,「손상값 : 3 내지 5」를 손상도 2점,「손상값 : 1 내지 3」을 손상도 1점,「손상값 : 0 내지 1」을 손상도 0점으로 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총 면적 S=68㎡의 탄화실에 대해 미보수 손상 부위를, 도 5에 도시하는 수기 부분(51)으로서 기록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상기 손상 부위 면적(S')이 전자 펜(3)의 필적으로부터 자동 산출되어, 손상값=S'/S×100(%)=3.2로부터 손상도가 2점으로 결정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자 펜(3)으로 손상도를 구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노체 관리 서버(1)에서 손상도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용지(13)는, 각각 용지 ID를 갖고 있다. 전자 펜(3)은, 도트 패턴을 판독함으로써 의해 이 용지 ID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용지(13)에 추기된 경우에 있어서도, 이전에 기입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어, 이 데이터에 추기 데이터를 용이하게 관련시킬 수 있다.
처리부(17)는, 카메라부(16)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압축 처리나 전자 펜(3)의 ID를 부가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기억부(18)는, 처리부(17)에 의해 처리가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19)는 기억부(18)에 저장된 정보를 노체 관리 서버(1)로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전자 펜(3)은, USB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어, USB 케이블에 의해 유선으로 외부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노체 관리 정보 입출력 수단 2)
도 6은, PDA 단말의 작업 기록 입력 메뉴 화면을 도시한다. PDA 단말(2)의 작업 기록 입력 메뉴 화면에는, 노체 각 부[탄화실 벽(117) 이외]의 점검 및 보수의 대상 부위(61)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또한, PDA 단말(2)로부터 외부 기기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버튼(62), 외부 기기로부터 PDA 단말(2)로 데이터 전송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버튼(63) 및 종료 버튼(64)이 표시된다. 작업자는, 대상 부위(61)를 선택하고, 기록 화면(도 7)을 불러내어, 작업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작업 기록 입력 메뉴 화면에 있어서 「상승관 입관」을 선택하면 불러내어지는 기록 화면을 도시한다. PDA 단말(2)의 기록 화면에는, 점검/보수의 지정(71), 대상의 노 및 킬른(72), 실시일(73), 코멘트(74)가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택 항목 "손상도"(76), 선택 항목 "일러스트"(77), 선택 항목 "손상도 표"(78)를 선택하여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체 각 부 중, 그 부위에서 발생한 손상이 노체 수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부위에 관한 열화 정도는, 수치화된 손상도로서 평가한다. 손상도의 수치화는, 작업자의 육안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해 미리 선택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는 손상도 레벨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객관적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상승관 입관」에 있어서는, 「구멍 틈 있음」이 5점, 「균열 착화 있음」이 4점, 「균열 가스 누출 있음」이 3점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손상도 레벨이 선택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다. 한편, 그 부위에서 손상이 있어도 노체 수명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위에 관한 열화 정도는, 「손상 있음」, 「손상 없음」으로 평가한다.
이하에, 도 2에 도시하는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의 각 수단에의해 행해지는 각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처리)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관리 정보(4)와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노체 관리 정보(5)가,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에 있어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를, 후술하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로서 편집함으로써 처리된다.
(정기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처리)
코크스로의 점검은 정해진 점검 주기마다, 킬른마다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관리 정보(4)와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노체 관리 정보(5)가,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에 있어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과, 노체 관리 서버의 기억부(1c)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노체 기본 정보(11)에 포함되는 정기 점검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을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노체 부위 21개소 중,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점검 부위로서 특정함으로써 처리된다.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처리)
코크스로의 점검은 킬른마다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관리 정보(4)와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노체 관리 정보(5)가,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에 있어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각 부위의 손상도를 종합한 값을, 각 킬른의 종합 손상도로서 평가하고, 상기 종합 손상도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노체 부위 21개소 중,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보수 부위로서 특정함으로써 처리된다.
(보수 수명 평가 처리)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관리 정보(4)와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노체 관리 정보(5)가,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에 있어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과 손상도로부터, 각 보수 효과의 지속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처리된다.
(예방 보전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처리)
전자 펜(3)으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관리 정보(4)와 PDA 단말(2)로부터 입력되는 노체 관리 정보(5)가, 노체 관리 서버(1)의 정보 처리부(1b)에 있어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과, 상기한 보수 수명 평가 처리에 의해 얻어진 보수 수명 평가 정보(9)로부터, 예방 보전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상기 킬른의 노체 부위 21개소 중,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예방 보전 보수 부위로서 특정함으로써 처리된다.
이하,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 보수 수명 평가 정보(9) 및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의 각 정보는, 예를 들어 코크스로의 점검 및 보수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PDA 단말(2)의 화면에 출력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코크스로 관리 관계자가 각자의 PC 단말(12)의 화면에 출력하여 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
상기한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처리에 의해 편집된 정보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로 하여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도 8에, 상기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의 출력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는 킬른마다의 점검 실적을 나타내고, 21개소의 대상 부위 각각의 점검 연월일, 결과, 평가 등을 일람한 것이다. 화면 상의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에서 선택한 항목의 상세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에서 탄화실 벽(117)을 선택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의 화상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부위에 대해 과거에 복수의 점검 및 보수 기록이 존재하는 경우, 사건 열순으로 거슬러 올라가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래,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 관리, 열람에 필요로 하고 있었던 노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
상기한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처리에 의해 킬른 단위로 특정된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와 상기 킬른의 우선적 점검 부위에 관한 정보는,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로서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도 10에는, 상기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의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의 출력 화면에서는, 킬른 단위로 특정된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와 상기 킬른의 우선적 점검 부위가 리스트업 된다. 점검 작업자는, 당해 정보를 PDA 단말(2)에 출력하면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점검 누락이나 점검 미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점검 지연 일수에 따라서 색별로 표시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해도 된다.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
상기한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처리에 의해 킬른 단위로 특정된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와 상기 킬른의 우선적 보수 부위에 관한 정보는,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로서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도 11에는, 상기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의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의 출력 화면에서는, 킬른 단위로 특정된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와 상기 킬른의 우선적 보수 부위가 리스트업 된다. 보수 작업자는, 당해 정보를 PDA 단말(2)에 출력하면서 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적절한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긴급도나 보수 지연 일수에 따라서 색별로 표시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해도 된다.
[보수 수명 평가 정보(9)]
상기한 보수 수명 평가 처리에 의해 특정된 보수 수명 평가 정보(9)는,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도 12에는, 상기 보수 수명 평가 정보(9)의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
상기한 예방 보전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처리에 의해 킬른 단위로 특정된 예방 보전 보수의 우선 순위와 상기 킬른의 우선적 예방 보전 보수 부위에 관한 정보는,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로 하여 노체 관리 서버(1)의 기억부(1c)에 저장된다. 도 13에는, 상기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의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당해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에 따라 예방 보전 보수를 행함으로써, 노후화된 노체에 발생하는 트러블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크스로 조업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노체 열화 진행을 방지하고, 노체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코크스로의 점검 및 보수 정보로서 취득한 데이터를, 정기 점검 가이던스 정보(7), 보수 킬른 가이던스 정보(8) 등의 정보로서 저장하는 구성에 의해, 종래 코크스로체의 점검 작업 시에 발생하고 있었던 점검 누락이나 점검 지연을 회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코크스로의 점검 및 보수 정보로서 취득한 데이터를,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6)로서 저장하는 구성에 의해, 종래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ㆍ관리ㆍ열람에 필요로 하고 있었던 노동력이나 시간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점검 작업이나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의 결정시에는, 내벽 연와의 열화에 더하여, 코크스로체의 그 외의 부위(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의 열화도 종합적으로 고려하므로, 적절하고 또한 구체적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코크스로의 점검 및 보수 정보로서 취득한 데이터를, 보수 수명 평가 정보(9)나 예방 보전 가이던스 정보(10)로서 저장하는 구성에 의해, 노후화된 노체에 발생하는 트러블을 사전에 회피함으로써, 코크스로 조업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노체 열화 진행을 방지하고, 노체의 수명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벽면 관리 정보(4)와 노체 관리 정보(5)에 포함되는 손상도에 대해서는, 정량적으로 처리하는 구성에 의해, 작업자의 경험이나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보다 객관적으로 점검 및 보수 우선 순위의 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대한 작업 기록의 기록, 관리 및 열람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저감하고, 코크스로체의 점검 작업 시에 발생하고 있었던 점검 누락이나 점검 지연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점검 작업이나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의 결정시에는, 내벽 연와의 열화에 더하여, 코크스로체의 그 외의 부위(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의 열화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점검 및 보수 작업 효율이 우수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노체 관리 서버와,
    수기 입력한 코크스로체의 벽면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을 벽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과,
    코크스로체의 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입력한 것을 노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노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노체 관리 서버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입력 정보 기억부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부와, 상기 정보 처리부에서 작성한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로서 편집하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수단과,
    상기 노체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점검 주기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로부터,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점검 부위로서 특정하는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수단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각 부위의 손상도를 종합한 값으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보수 부위로서 특정하는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보수 실시일이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과 손상도로부터, 보수 효과의 지속성을 평가하는 보수 수명 평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보수 수명 평가 수단에 의해 평가된 보수 수명 평가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보수 실시일로부터, 예방 보전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예방 보전 보수 부위로서 특정하는 예방 보전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은, 벽면 화상이 인쇄된 용지에 전자 펜으로 열화부 범위를 수기 입력 가능하게 한 것이고,
    상기 벽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는, 상기 전자 펜으로 수기 입력된 열화부 범위의 면적에 따라 구해지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손상도는, 육안 평가 결과를 수치화하기 위해 미리 선택 가능하게 규정되어 있는 손상도 레벨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6.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노체 관리 서버와,
    수기 입력한 코크스로체의 벽면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전자 데이터화한 것을 벽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벽면 관리 정보 입력 수단과,
    코크스로체의 벽면 이외의 소정의 부위에 관한 점검 및 보수 정보를 입력한 것을 노체 관리 정보로서 상기 노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노체 관리 정보 입력 수단을 구비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에 의한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방법이며,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는 각각 점검 실시일 및 손상도가 적어도 포함되어 있고,
    상기 노체 관리 서버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입력 정보 기억 수순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처리하여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작성하는 정보 처리 수순과, 상기 정보 처리 수순에서 작성한 보수 관리 지침 데이터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기억 수순을 실행하고,
    상기 정보 처리 수순에는,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를,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로서 편집하는 노체 진단 기록 카드 정보 편집 수순과,
    상기 노체 관리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점검 주기 정보와,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점검 실시일로부터, 점검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점검 부위로서 특정하는 점검 우선 순위 특정 수순과,
    상기 벽면 관리 정보와 상기 노체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각 부위의 손상도를 종합한 값으로부터, 보수 작업의 우선 순위를 킬른 단위로 특정하고, 또한 손상도가 높은 부위를 우선적 보수 부위로서 특정하는 보수 우선 순위 특정 수순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방법.
KR1020117021127A 2009-03-11 2010-03-04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66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7530 2009-03-11
JP2009057530 2009-03-11
PCT/JP2010/053556 WO2010103992A1 (ja) 2009-03-11 2010-03-04 コークス炉体の点検及び補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05A KR20110121705A (ko) 2011-11-08
KR101366902B1 true KR101366902B1 (ko) 2014-02-24

Family

ID=4272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127A KR101366902B1 (ko) 2009-03-11 2010-03-04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76000B1 (ko)
KR (1) KR101366902B1 (ko)
CN (1) CN102348782B (ko)
BR (1) BRPI1009144A2 (ko)
WO (1) WO20101039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758A (ko) * 2019-08-19 2021-03-02 조선내화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용 프리캐스트 대형 내화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3051B2 (en) 2012-12-28 2021-01-05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coke quenching
CN104884578B (zh) 2012-12-28 2016-06-22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通风竖管盖以及相关联的系统和方法
KR101538844B1 (ko) * 2013-07-16 2015-07-22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가스 누출 통제 시스템
EP3240862A4 (en) 2015-01-02 2018-06-20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ntegrated coke plant auto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dvanced contro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KR102392443B1 (ko) 2017-05-23 2022-04-28 선코크 테크놀러지 앤드 디벨로프먼트 엘엘씨 코크스 오븐을 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0140074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mproved oven uptakes
CA3125589A1 (en) 2018-12-31 2020-07-0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US11946108B2 (en) 2021-11-04 2024-04-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processing methods via cupol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111A (ko) * 1991-10-11 1993-05-21 후루가와 마사히코 코크스로의 조업방법
KR200282938Y1 (ko) 1998-12-12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탄화실 로벽 진단장치_
KR100862845B1 (ko) 2002-08-23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1915B2 (en) * 1993-10-29 1997-09-11 Kansai Netukagaku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coke oven
JP3042758B2 (ja) * 1995-02-17 2000-05-22 川崎製鉄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炭化室の炉壁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3924064B2 (ja) * 1998-03-16 2007-06-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炉体診断方法
DE19910300C1 (de) * 1999-03-09 2000-09-07 Thyssen Krupp Encoke Gmbh Verfahren zur Heißreparatur der Heizzüge einer Koksofenbatterie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ieses Verfahrens
JP4424021B2 (ja) * 2003-07-30 2010-03-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コークス炉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72822A (ja) * 2004-02-25 2005-10-06 Jfe Steel Kk コークス炉炉体診断システム、炉体診断方法、及び、炉体診断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5028929B2 (ja) * 2006-09-26 2012-09-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炉体診断システム、炉体診断方法、及び、炉体診断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5167997B2 (ja) * 2008-07-15 2013-03-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炭化室の補修順位決定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111A (ko) * 1991-10-11 1993-05-21 후루가와 마사히코 코크스로의 조업방법
KR200282938Y1 (ko) 1998-12-12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오븐 탄화실 로벽 진단장치_
KR100862845B1 (ko) 2002-08-23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758A (ko) * 2019-08-19 2021-03-02 조선내화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용 프리캐스트 대형 내화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293460B1 (ko) * 2019-08-19 2021-08-26 조선내화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용 프리캐스트 대형 내화블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6000B1 (ja) 2010-11-04
JPWO2010103992A1 (ja) 2012-09-13
BRPI1009144A2 (pt) 2016-03-08
CN102348782A (zh) 2012-02-08
KR20110121705A (ko) 2011-11-08
WO2010103992A1 (ja) 2010-09-16
CN102348782B (zh)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902B1 (ko)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021079B (zh) 巡回检查系统、巡回检查装置、巡回检查方法及记录介质
US109209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controlling incineration facility and solid fuel boiler and managing life cycle of facility through heat exchange and design program and operation mode analysis of operator
US1093532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a refractory lin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for molten metal in particular
KR20230133357A (ko) 결함들의 발생원들을 검출하기 위한 코킹 플랜트들의설비 검사용 항공기 및 방법
JP4677295B2 (ja) 現場調査報告作成支援システム
Zarea et al. Full scale experimental database of dent and gouge defects to improve burst and fatigue strength models of pipelines
Chi et al. Scaffolding progress monitoring of LNG plant maintenance project using BIM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ies
De Souza Procedures for mitigating safety risks associated with post-blast re-entry times
Zheng et al. State-of-the-Art Portable Measurement and Defect Detection Technology for Coiled Tubing String
Venkataraman Maintenance engineering and management
JP6401962B2 (ja) 品質関連情報の蓄積方法
Sekhar et al. Confluence of Six Sigma, simulation and environmental quality: An application in foundry industries
JP2003233414A (ja) プラント点検結果記録システム
CN1227517C (zh) 电极的数码观测
Hollins et al. An analysis of workplace exposures to asbestos at three steel mills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1972-1982)
Lisin et al. Probabilistic Analysis of Transportation Systems for Oil and Natural Gas
JP2013096741A (ja) 構造物の赤外線調査方法及び赤外線調査用演算装置
Arrieta et al. INCEFA-PLUS Findings on Environmental Fatigue
Tyuleneva et al. Improving the professional risk management system for methane and coal dust explosions using a risk-based approach
BRPI1009144B1 (pt) Sistema e método de gerenciamento de inspeção e reparo de carcaça de forno de coque
JP2005126487A (ja) コークス炉の炉体管理方法、炉体管理装置、炉補修方法及び炉操業方法
Thomas Smart Safety: More Data Means More Safety.
JP2003233419A (ja) プラント保守支援システム
EP3061902A1 (en) Underground structur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