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845B1 -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2845B1 KR100862845B1 KR1020020049951A KR20020049951A KR100862845B1 KR 100862845 B1 KR100862845 B1 KR 100862845B1 KR 1020020049951 A KR1020020049951 A KR 1020020049951A KR 20020049951 A KR20020049951 A KR 20020049951A KR 100862845 B1 KR100862845 B1 KR 100862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ization chamber
- coke oven
- cylinder
- wall
- moving be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10B29/06—Preventing or repairing leakages of the brick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측방에 마련된 이동기기상에서 영상자동 측정장치를 갖추어 로체 관리 운전실에서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축조된 내화물의 균열 및 융용상태를 온 라인으로 검출하여 정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분석정보에 의한 신속한 특별보수 및 관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여 코크스 오븐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기의 상부에 제 1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이동 빔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이동빔의 전방에는 제 2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후크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후크 프레임의 전단에는 영상장치를 장착하여 탄화실 내벽을 영상 데이터로 검출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프로세스 컴퓨터에 송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탄화실 내벽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찰하도록 구성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코크스 오븐,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영상 데이터, 프로세스 컴퓨터
Description
제 1도는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을 도시한 단면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작업자가 탄화실의 측방에서 목측으로 탄화실의 관리상태를 파악하는 설명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가 압출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가 압출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가 압출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가 압출기상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가 작동되는 순서를 차례대로 도시한 프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5.... 보디 빔 10.... 가이드 레일
12... 가이드 프레임 16.... 케리지 롤러
20... 가이드 이동 빔 30.... 제 1실린더
50.... 후크 프레임 52.... 베어링
80.... 디지털 영상 장치 82.... 전송 케이블
84.... 터미널 박스 88.... 압출기 운전실
90.... 운전 제어부 120.... 미니하드 저장장치
140... 변환부 160.... 수신 무선 랜(lan) 안테나 박스
180... 데이터 변환부 200.... 전송서버
210... 프로세스 컴퓨터 300.... 운전실
310... 코크스 오븐 320.... 탄화실
330... 탄화실 도어 370... 압출기
372... 램 설비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크스 오븐의 측방에 마련된 이동기기상에서 영상자동 측정장치를 갖추어 로체 관리 운전실에서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축조된 내화물의 균열 및 융용상태를 온 라인으로 검출하여 정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분석정보에 의한 신속한 특별보수 및 관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여 코크스 오븐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관 제철소에 갖춰진 코크스 오븐은 많은 종류의 내화연화 및, 크고 작은 철골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료가스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고열을 열원으로서 이용하고, 석탄을 코크스로 생산하는 고온의 공업로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된 석탄은 일정시간 건류되어 코크스화 되면, 코크스화된 코크스를 탄화실에서 추출하여 소화 후, 냉간 코크스로 만들어 용광로로 이송하고 쇳물을 녹이는 통기성 및 열원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코크스 오븐(310)은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본체에 다수개, 대략 132개가 갖추어진 다수의 탄화실(320)들을 구비하여 하나의 본체를 이루며, 하나의 탄화실(320)은 코크스 생산 작업시, 일측에서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오븐도어(330)의 장,탈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오븐 도어(330)는 코크스 오븐의 측방에서 이동가능한 이동기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코크스 오븐(310)의 탄화실(320)은 작업중에 그 내부는 1250℃의 고온이 유지되고 축조된 내화물로 내화물 벽(wall brick)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탄화실(320)은 코크스 오븐(310) 본체의 심장부로 제일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탄화실(320)은 조업과정에서 파생되는 온도변화가 반복적으로 발생(급가온,급냉각)되고, 코크스 생산과정에 발생되는 카본(340)들이 부착되며, 이동기기인 압출기(370)의 램(Ram) 설비(372)의 마찰등과, 탄화실내의 복합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내화물이 균열(350)되고 국부적으로 파손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보수하여야만 안전조업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코크스 오븐(310)의 수명 유지를 위한 몰탈 스프레이, 카본제거등의 특별 보수작업이 조기에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탄화실(320)은 일시적인 건류가 완성된 적열코크스의 추출 작업시에만 대략 10분 정도 개방되고, 또한 이 같은 개방 작업시에는 탄화실(320)로 부터 적열 코크스와 함께 1250℃의 고열이 함께 외부로 불출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실(320)을 작업자(360)가 직접 탄화실의 개방된 측방에 서서 내화벽부분의 목측에 의한 관찰 및 현상 파악은 실제로 불가능하며, 이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내화벽 조기 관리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작업인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관찰은 탄화실(320)의 원거리 관찰은 가능하나, 근거리 내벽 관찰은 불가능하여 항상 탄화실(320) 내벽의 전체 원인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코크스 오븐(310) 전체의 탄화실(320) 상태를 파악하고 보수할 것인가를 판정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그 보수 시기를 놓쳐 탄화실(320)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작업중에 고열 노출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까지 있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무인 자동화에 의해서 탄화실 내벽의 상태를 신속하게 현상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어 탄화실의 조기 관리를 통하여 예상되는 문제점을 신속히 도출시키고,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탄화실 내벽의 관리상 문제 발생을 극소화하므로서 코크스 오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 필요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크스 오븐의 코크스 생산과정에서 파생되는 탄화실의 현상들을 영상자료로 검출하고, 로체
관리실및 조업용 프로세스 컴퓨터로 전송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탄화실 내벽의 이상 현상 발견시, 적절한 조치를 신속히 취함으로서 문제 발생을 극소화하며, 탄화실의 수명유지는 물론 작업 생산성의 향상과 탄화실의 수명 연장을 이룰 수 있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축조된 내화물의 균열 및 융용상태를 원격으로 분석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에 있어서, 압출기의 상부에는 제 1실린더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이동 빔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이동빔의 전방에는 제 2실린더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후크 프레임을 갖추며, 상기 후크 프레임의 전단에는 영상장치를 장착하여 탄화실 내벽을 영상 데이터로 검출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프로세스 컴퓨터에 송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탄화실 내벽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310)의 도어 탈착장치인 압출기(370)를 이용하여 각각의 탄 화실마다의 내벽의 현재 상태를 영상 데이터로서 수집하고, 로체관리실 및 관리용 프로세스 컴퓨터(210)로 분석하여 자동 관리를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1)는 이동기기인 압출기(370)의 운전실내에 운전 제어부(90)와 실린더 제어반(95)을 갖추며, 상기 운전 제어부(90)의 출력에 의한 동작장치로는 압출기(370)의 전면부 본체의 차체 보디빔(5)에 일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그 상단에는 ㄷ형 단면의 가이드 레일(10)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레일(10)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양단에 각각 케리지 롤러(16)가 축(18)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이동 빔(20)이 갖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이동 빔(20)의 후미측으로는 전 ,후진 동작을 이루도록 유압 또는 공압 제 1실린더(30)가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 이동 빔(20)의 전면 중심부측에는 탄화실(320) 전면부을 향하여 돌출된 상,하 회전식 이동용 후크 프레임(50)이 베어링(5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실린더(30)의 작동으로 상기 가이드 이동빔(20)은 롤러(16)들이 상기 가이드 레일(10)내에서 활주이동됨으로써 가이드 프레임(12)상을 전,후진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압출기(370)의 상부에서 탄화실(320)을 향해 전,후진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크 프레임(50)의 상부측 중심부 위치에는 공압식 제 2실린더(40)의 로드(42)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실린더(40)는 가이드 이동 빔(20)위에 부착되어 제 2실린더(40)가 동작시, 로드(42)가 전,후진하게 됨으로서 후크 프레임(50)이 상,하 회전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후크 프레임(50)의 끝단은 가이드 이동빔(20)의 전단에 베어링(5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중간부분의 상부측이 브라켓트(54)를 통하여 상기 제 2실린더(40)의 로드(42)에 회전가능하도록 핀(44)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 2실린더(40)의 후단이 가이드 이동빔(20)에 힌지(58)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린더(40)의 로드(42)가 당겨지면 이는 브라켓트(54)를 통하여 상기 후크 프레임(50)을 실선과 같이 상향회동시키고, 상기 로드(42)가 인출되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프레임(50)을 하향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크 프레임(50)은 상하로 회동되는 아암과 같이 동작한다.
한편, 상기 후크 프레임(50)의 끝 단부에는 디지털 영상 장치(80)가 부착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장치(80)는 통상적인 고해상도의 디지탈 화상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탄화실(320)의 정면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탄화실(320)의 오븐 도어(330)가 개방되면, 후크 프레임(50)이 상 ,하 회전 동작하면서 탄화실(320)의 내벽을 디지털 영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상장치(80)는 전송 케이블(82)을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2)에 장착된 터미널 박스(84)에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84)로 부터의 케이블(86)은 압출기 운전실(88)에 갖춰진 운전 제어부(90)를 통하여 미니 하드 저장장치(120)에 연결되어 영상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압출기 운전실(88)의 미니하드 저장장치(120)는 근거리 송신제어를 위 한 변환부(140)와 소프트 웨어(S/W)로 구성되된 파일 전송서버(130)를 갖는다.
또한, 원거리에 위치된 로체 관리 운전실(300)로 송출제어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연결 용 송신 무선 랜(lan) 안테나 박스(150)을 압출기(370)에 일체형으로 갖추는 것이다.
한편, 현장 설비에서 송출된 자료을 분석및 관리할 수 있도록 원거리에 위치된 로체 관리 운전실(300)에는 수신 무선 랜(lan) 안테나 박스(160)와, 수신된 데이터 변환부(180)와, 디지털 동영상 재생(셋-톱 박스)부(190)들을 가지고, 또한 저장기능에 의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프로세스 제어반인 메인하드 저장장치(170)를 갖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드 저장장치(170)에 저장된 데이터 결과를 전송서버(200)가 프로세스 컴퓨터(210)에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220)가 프로세스 컴퓨터(210)를 통해서 탄화실 영상자료를 조사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설비관리자및, 운영관리자들 모두가 운전실(300)에서 원격으로 각각의 탄화실(320) 내벽 상태를 신속히 검색하고, 분석하여 탄화실(320)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 관리를 함으로써 탄화실(320)의 이력 관리를 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95)는 운전 제어반(90)에 연결된 실린더제어반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작용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1)는 코크스 오븐(310)의 조업과 병행해서 탄화실(320)의 내벽상태를 영상 테이터로 축적관리가 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도7의 플로우 챠트(FLOW CHART)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순서를 따 라서 동작한다.
먼저, 코크스 오븐(310)의 생산작업 계획에 의한 132문의 각각의 탄화실(320)을 압출기(370)가 이동하면서 코크스 생산작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탄화실(320)에 대해 탄화실 도어(330)를 개방하게 되면, 압출기(370)에 갖춰진 램 설비(372)가 탄화실(320)내의 적열 코크스를 밀어서 추출하고 나면, 탄화실의 내부는 텅 빈상태이고, 이때에 본 발명의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1)가 동작된다.
이는 압출기(370) 작업자가 운전실(88)에서 영상장치 운전 제어반(90)를 "ON" 하면, 실린더 제어반(95)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전동식 제 1실린더(30)가 전진 작동을 하고, 이는 이동 빔(20)을 전진시켜서 탄화실(320)의 개방된 전면부에 정위치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위치되면, 전동식 제 2실린더(40)가 로드(42)의 전진상태에서 후진동작을 하여 후크 프레임(5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회전동작을 하도록 하며, 상기 후진 동작과 동시에 후크 프레임(50)의 끝단부에 마련된 디지털 영상 장치(80)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장치(80)는 탄화실(320) 내벽의 하측부,중심부,상층부를 향해 회전 이동하면서 영상자료를 수십 초간 수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2실린더(40)의 동작중에 영상장치(80)가 상승되면서 탄화실(320)의 내벽상태를 영상데이터로서 검출하고, 상기 수집된 영상자료는 압출기 운전실(88)에 갖추어진 미니하드 저장장치(120)에서 저장처리를 하며, 이러한 데이터는 근거리 송신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 운전실(88)에 갖추어진 미니하드 저장장치(120)는 영상 자료를 저장하고, 신호변환부(140)및 소프트 웨어(S/W)로 구성된 파일 전송 서버(130)에서 상기 영상테이터는 가공되고, 근거리 송신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통신기기 연결 용 송신 무선 랜(lan) 안테나(150) 를 통해 각각의 탄화실(320) 영상 자료를 원거리에 위치한 로체 관리 운전실(300)로 무선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실(300)에 갖춰진 수신용 무선 랜(lan) 안테나(160)를 통해 테이터는 수신되고,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로체 관리 운전실(300)에 위치한 신호변환부(180)에 의해 수신 출력이 변환되고, 또한 디지털 동영상 재생(셋-톱 박스)부(190)에 의해 영상자료로 전환된 후, 파일로서 메인 하드 저장장치(17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하드 저장장치(170)에 저장된 테이터는 전송용 서버(200) 기능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프로세스 컴퓨터(210)에 전송되어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각의 탄화실(320) 내벽상태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보수여부를 판단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 다음에는, 제 2실린더(40)가 복귀작동을 하게 되고, 제 2실린더(40)가 복귀 완료되면 제 1실린더(30)가 복귀되며, 압출기 운전실(120)에서는 각각의 탄화실(320) 내벽상태에 관한 정보 파악을 종료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개방된 상태의 탄화실 도어(330)가 닫치게 되고, 1 사이클의 탄화실 (320) 내벽 검출작업이 종료되고, 후속적인 코크스 오븐(310)의 정상조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크스 오븐(310)의 정상적인 가동에 맞추어 반복해서 각각의 탄화실(320) 상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탄화실(320)에 대한 정보를 압출기(370)에 위치한 탄화실 내부 자동 영상장치(80)를 통해 영상자료로 검출하고, 이를 로체 관리운전실(300)의 조업용 프로세스 컴퓨터(210)로 전송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열 작업장의 특수한 환경속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상자료의 분석에 의해 문제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극소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탄화실(320)의 수명유지를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코크스 오븐(310) 조업및 설비에 관한 모든 제 요소의 불합리점을 개선시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크스 오븐의 정상적인 조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코크스 생산성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 코크스 오븐(310)의 탄화실(320)에 축조된 내화물의 균열 및 융용상태를 원격으로 분석할 수 있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에 있어서,압출기(370)의 상부에는 제 1실린더(30)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10)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이동 빔(20)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이동빔(20)의 전방에는 제 2실린더(40)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후크 프레임(50)을 갖추며, 상기 후크 프레임(50)의 전단에는 영상장치(80)를 장착하여 탄화실(320) 내벽을 영상 데이터로 검출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원격의 프로세스 컴퓨터(210)에 송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탄화실(320) 내벽의 상태를 원격으로 관찰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제 1실린더(30)는 압출기(370)의 전면부 본체의 차체 보디빔(5)에 일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그 상단에는 ㄷ형 단면의 가이드 레일(10)이 대칭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12)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레일(10)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양단에 각각 케리지 롤러(16)가 축(18)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이동 빔(20)이 갖춰지며, 상기 가이드 이동 빔(20)의 후미측으로 제 1실린더(30)의 로드(32)가 연결되어 전,후진작동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실린더(40)는 후단이 가이드 이동빔(20)에 힌지(58)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 2실린더(40)의 로드(42)는 후크 프레임(50)의 중간부분의 상부측에 브라켓트(54)과 핀(4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후크 프레임(50)의 끝단은 가이드 이동빔(20)의 전단에 베어링(52)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서, 제 2실린더(40)의 로드(42)가 당겨지면 이는 브라켓트(54)를 통하여 상기 후크 프레임(50)을 상향회동시키고, 상기 로드(42)가 인출되면, 후크 프레임(50)을 하향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80)는 전송 케이블(82)을 통하여 가이드 프레임(12)에 장착된 터미널 박스(84)에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84)로 부터의 케이블(86)은 압출기 운전실(88)에 갖춰진 운전 제어부(90)를 통하여 미니 하드 저장장치(120)에 연결되어 영상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미니하드 저장장치(120)는 근거리 송신제어를 위한 변환부(140)와 소프트 웨어(S/W)로 구성되된 파일 전송서버(130)를 갖추고, 원거리에 위치된 로체 관리 운전실(300)로 송출제어 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연결 용 송신 무선 랜(lan) 안테나 박스(150)을 압출기(370)에 일체형으로 갖추며; 상기 로체 관리 운전실(300)에는 수신 무선 랜(lan) 안테나 박스(160)와, 수신된 데이터 변환부(180)와, 디지털 동영상 재생(셋-톱 박스)부(190)들을 가지고, 또한 저장기능에 의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프로세스 제어반인 메인하드 저장장치(170)를 갖추며, 상기 하드 저장장치(170)에 저장된 데이터 결과 를 전송서버(200)가 프로세스 컴퓨터(210)에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220)가 프로세스 컴퓨터(210)를 통해서 탄화실의 내벽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9951A KR100862845B1 (ko) | 2002-08-23 | 2002-08-23 |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9951A KR100862845B1 (ko) | 2002-08-23 | 2002-08-23 |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8582A KR20040018582A (ko) | 2004-03-04 |
KR100862845B1 true KR100862845B1 (ko) | 2008-10-09 |
Family
ID=373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9951A KR100862845B1 (ko) | 2002-08-23 | 2002-08-23 |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28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6902B1 (ko) | 2009-03-11 | 2014-02-24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02320A (ja) * | 2018-06-29 | 2020-01-09 | 鎬榮 李 | コークス炉とコークス炉のドアフレームの診断装置および診断システム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2018U (ko) * | 1998-12-12 | 2000-07-05 | 이구택 | 코크스오븐 탄화실 로벽 진단장치 |
JP2000212566A (ja) * | 1999-01-27 | 2000-08-02 | Nippon Steel Corp | コ―クス炉の診断補修装置及び診断補修方法 |
JP2001003058A (ja) * | 1999-06-16 | 2001-01-09 | Sumitomo Metal Ind Ltd | コークス炉炭化室の壁面検査方法及び壁面検査装置 |
JP2001011465A (ja) * | 1999-06-30 | 2001-01-16 | Sumitomo Metal Ind Ltd | コークス炉炭化室の内壁観測装置 |
JP2002080852A (ja) * | 2000-06-23 | 2002-03-22 | Nkk Corp | コークス炉炉壁形状計測方法 |
JP2002226861A (ja) * | 2001-02-05 | 2002-08-14 | Nippon Steel Corp | コークス炉炭化室内診断方法及び診断装置 |
-
2002
- 2002-08-23 KR KR1020020049951A patent/KR1008628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2018U (ko) * | 1998-12-12 | 2000-07-05 | 이구택 | 코크스오븐 탄화실 로벽 진단장치 |
JP2000212566A (ja) * | 1999-01-27 | 2000-08-02 | Nippon Steel Corp | コ―クス炉の診断補修装置及び診断補修方法 |
JP2001003058A (ja) * | 1999-06-16 | 2001-01-09 | Sumitomo Metal Ind Ltd | コークス炉炭化室の壁面検査方法及び壁面検査装置 |
JP2001011465A (ja) * | 1999-06-30 | 2001-01-16 | Sumitomo Metal Ind Ltd | コークス炉炭化室の内壁観測装置 |
JP2002080852A (ja) * | 2000-06-23 | 2002-03-22 | Nkk Corp | コークス炉炉壁形状計測方法 |
JP2002226861A (ja) * | 2001-02-05 | 2002-08-14 | Nippon Steel Corp | コークス炉炭化室内診断方法及び診断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6902B1 (ko) | 2009-03-11 | 2014-02-24 |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 코크스로체의 점검 및 보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8582A (ko) | 2004-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46335B (zh) | 一种炼钢转炉炉门自动测温取样方法 | |
US8498740B2 (en) | Arrangement for the maintenance of a sliding closure mounted on the spout of a container for molten metal | |
CN110066901B (zh) | 一种转炉炉门自动测温取样装置 | |
CN106774134B (zh) | 一种焦炉上升管清扫联锁控制方法及系统 | |
KR100862845B1 (ko) |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벽 관리장치 | |
CN111206141A (zh) | 一种转炉副枪故障自动诊断系统和方法 | |
CN113832276B (zh) | 一种高炉出铁智能化堵铁口自动控制方法 | |
CN210215428U (zh) | 一种转炉炉门自动测温取样装置 | |
CN108117875A (zh) | 一种焦炉加煤口堵塞的检测方法 | |
CN207650118U (zh) | 一种专用于钢坯质量判断的系统 | |
CN116161852A (zh) | 窑炉碹顶检修系统 | |
CN111157118A (zh) | 一种焦炉直行火道温度自动测温系统 | |
CN105441611A (zh) | 一种高炉炉顶更换探尺方法 | |
CN201473212U (zh) | 一种吊车用监控系统 | |
CN221631309U (zh) | 立式连退炉内设备状态点检装置 | |
KR100526859B1 (ko) |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내화벽돌 파손확인장치 | |
KR20010054889A (ko) | 적열 코크스 온도 측정 장치 | |
CN212512544U (zh) | 一种石油焦煅烧炉观火装置 | |
CN107573954A (zh) | 一种焦炉看火孔盖状态的检测方法 | |
CN219188561U (zh) | 钢包可视化智能热成像在线安全监测报警系统 | |
CN219016166U (zh) | 一种链箅机上罩耐火材料内衬移动巡检系统 | |
CN114235164B (zh) | 一种用于钢包空包及出钢过程的热状态监测系统及方法 | |
KR100428892B1 (ko) | 무선통신에 의한 코크스 오븐 데이터 전송관리시스템 및 전송관리방법 | |
CN220040264U (zh) | 一种卸煤沟存料检测系统 | |
CN112597625B (zh) | 基于大数据的钢包内衬材料的预计寿命的预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