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724B1 -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724B1
KR101364724B1 KR1020120066273A KR20120066273A KR101364724B1 KR 101364724 B1 KR101364724 B1 KR 101364724B1 KR 1020120066273 A KR1020120066273 A KR 1020120066273A KR 20120066273 A KR20120066273 A KR 20120066273A KR 101364724 B1 KR101364724 B1 KR 10136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irror
reflective layer
mounting groove
mirr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763A (ko
Inventor
이현동
정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to KR102012006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724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의 시야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에 대한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는, 사출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반사층이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미러, 및 상기 미러에 결합되어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Automotive mirr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의 시야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방에 대한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인사이드 미러가 설치되고, 차량의 좌측 및 우측 프론트 도어에 아웃 사이드 미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인사이드 미러나 아웃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보되는 시야에 따라 차량의 후진, 추월 및 차선 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10)의 좌측 및 우측 프론트 도어에 각각 아웃 사이드 미러(21, 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각(θ) 내에서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 또는 보행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는 아웃 사이드 미러(21, 2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야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와 더불어 육안을 통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약간이라도 부주의한 경우에는 후방 차량이나 장애물 또는 보행자 등에 부딪혀 차량 사고나 인명 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는 아웃 사이드 미러(21, 22)를 통해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거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별도의 미러를 구입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에 부착하거나 차량 실내의 전방 필터 등에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확인할 수 있는 시야가 제한적이며, 별도로 미러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아웃 사이드 미러(21, 22)와 별도로 부착된 미러를 번갈아 보아야 하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미러가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영역에 반사층을 증착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는, 사출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반사층이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미러, 및 상기 미러에 결합되어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에 증착을 통해 반사층을 증착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에 반사층을 증착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차량 후방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반사층을 증착을 통해 형성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의 측면이 도시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부재 및 장착 홈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부재 및 장착 홈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러의 측면이 도시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패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100)는 미러(110) 및 지지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100)가 차량의 좌측 및 우측 프론트 도어에 설치되는 아웃 사이드 미러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사이드 미러나 그 외의 다른 종류의 미러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러(110)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111a, 111b)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11),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반사층(112) 및 반사층(113)에 코팅되어 형성되는 보호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11)는 사출 성형이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질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영역(111a, 111b)을 각각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라 칭하기로 하며, 메인 영역(111a)은 법규로 규정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영역이고, 서브 영역(111b)은 메인 영역(111a)에 의한 시야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메인 영역(111a)과는 다른 곡률를 가진 영역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11)에 포함된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영역(111a)으로 확보되지 않는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미러를 구입하여 부착하지 않아도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111)의 일면, 예를 들어,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의 전면에 반사층(112)이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 미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크롬, 크롬 합금 및 알루미늄 등이 반사층(112)의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반사율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반사층(112)은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에 대하여 동시에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에 대하여 별도로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에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반사층(112)이 미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리 재질의 미러를 곡률에 따라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반사층(112) 상에는 플레이트(111)에 증착을 통해 형성된 반사층(112)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113)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13)은 이물질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반사층(112)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층(113)으로는 비교적 높은 경도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코팅층(113)을 형성하기 이전에 반사층(112) 상에 경고 문구, 예를 들어 "사물이 실제 보이는 것 보다 가까이에 있음"과 같은 경고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층(112)에 경고 문구를 인쇄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고 문구가 인쇄되는 층이나 인쇄되는 경고 문구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미러(110)에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의 분리할 수 있는 분리 부재(130)가 장착될 수 있다.
분리 부재(130)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a)에 의해 각각 확보되는 시야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a)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로 인해 혼선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부재(130)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곡률 차이로 인해 각 영역(111a, 111b)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 사이에서 영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 부재(130)를 미러(110)에 장착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111)에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의 경계를 따라 장착 홈(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 부재(130)는 장착 홈(114)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장착 홈(114)의 양측 상단 사이에는 단차, 즉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장착 홈(111a)의 일단으로부터 단차가 점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되나, 장착 홈(114)의 양측 상단 사이의 단차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의 곡률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리 부재(130)는 장착 홈(114)의 저면으로부터 메인 영역(111a)까지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부재(130)는 플레이트(111)의 일면, 즉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홈(114)의 양측 상단 사이에는 단차가 있는 경우 분리 부재(130)의 일단은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나, 타단으로 갈수록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분리 부재(130)의 높이에 대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부재(130)의 높이는 다양한 실험을 거쳐 운전자의 혼선을 방지하고 각 영역(111a, 111b)간에 영향이 발생되지 않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장착 홈(114)을 따라가면서 분리 부재(130)의 요철 형상 등과 같이 가변되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분리 부재(130)는 장착 홈(114)의 내측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장착될 수도 있고, 분리 부재(130)에 장착 홈(114)의 내측 일면, 예를 들어 저면에 형성된 삽입 홈(114a)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31)를 형성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장착 홈(114)에 접착제(115)를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제(115)에 분리 부재(130)를 부착시켜 장착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분리 부재(130)의 일측에 삽입 돌기(131)를 형성하고, 삽입 돌기(131)를 장착 홈(114)에 형성된 삽입 홈(114a)에 삽입시키는 후크 결합을 통해 분리 부재(130)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분리 부재(130)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13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 돌기(131)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그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삽입 돌기(131)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여 장착 홈(114a)도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부재(130)의 상단부는 장착 홈(11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분리 부재(130)의 하단부는 장착 홈(114)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착 홈(114)의 폭에 따라 형성되나, 분리 부재(130)의 상단부는 장착 홈(11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분리 부재(130)를 장착 홈(114)에 장착한 후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장착 홈(114)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도 3 및 도 4에서는 플레이트(111)의 전면에 반사층(112)과 보호층(11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반사층(112)이 증착을 통해 형성되고 전면에 보호층(113)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반사층(112)이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미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11)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경고 문구는 플레이트(111)의 전면에 보호층(113)을 형성하기 이전에 인쇄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고 문구가 인쇄되는 층이나 인쇄되는 경고 문구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미러(110)는 지지 브라켓(12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 브라켓(120)는 미러(1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미러(1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만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는 액추에이터와 연동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각종 기어나 로드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미러(110)의 후면은 도 9와 같이 양면 접착 패드(140)에 의해 지지 브라켓(1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 결합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210)이 주행하는 상태에서 옆차선에서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220)이 존재할 때 자차량(210)에서 메인 영역(111a)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310)에서는 타차량(220)의 존재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때, 서브 영역(111b)이 메인 영역(111)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므로 메인 영역(111)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에 추가적으로 시야(320)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는 타차량(220)의 존재를 확인하고, 추월이나 차선 변경시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므로 차량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자차량(210)의 후진 주차시에서 자차량(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220)의 존재를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먼저 사출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111a, 111b)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11)를 형성하게 된다(S110). 이때, 플레이트(1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1)에 반사층(112)을 증착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S120). 반사층(112)은 전술한 크롬, 크롬 합금 및 알루미늄 등의 재료가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에 대하여 동시에 증착될 수도 있고, 별도로 증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112)은 플레이트(111)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사층(111)이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111)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층(112)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에 경고 문구를 인쇄한다(S130). 이때, 경고 문구는 반사층(112)이 플레이트(111) 전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반사층(112) 상에 인쇄되고, 반사층(112)이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플레이트(111) 전면에 인쇄될 수 있으며, 경고 문구가 인쇄되는 층이나 내용은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경고 문구를 인쇄하는 단계도 변경될 수 있다.
경고 문구가 인쇄된 보호층(113)을 코팅하게 된다(S140). 이러한 보호층(113)은 반사층(112)이 플레이트(111)의 전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반사층(112) 상에 코팅되고, 반사층(112)이 플레이트(111)의 후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플레이트(111) 전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는 전술한 미러(110)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들로 이해될 수 있으며, 미러(110)를 제조하는 단계들은 경우에 따라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미러(110)에는 메인 영역(111a) 및 서브 영역(111b)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부재(130)가 장착된다(S150). 이때, 분리 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장착 홈(114)에 접착제(115) 또는 삽입 돌기(131)와 삽입 홈(114a)에 의한 후크 결합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미러(110)를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지지 브라켓(120)에 장착한다(S160). 이때, 전술한 S160 단계에서는 미러(110)가 지지 브라켓(120)에 장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플레이트(111)의 후면이 지지 브라켓(1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미러(110)는 양면 접착 패드(140) 등을 통해 지지 브라켓(20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 결합 등을 통해서도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111a, 111b)를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복수의 영역(111a, 111b)에 반사율이 높은 재료의 증착을 통해 미러(110)를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리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 및 작업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 확보를 위한 미러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미러
111: 플레이트
111a: 메인 영역
111b: 서브 영역
112: 반사층
113: 코팅층
114: 장착 홈
114a: 삽입 홈
115: 접착제
120: 지지 브라켓
130: 분리 부재
131: 삽입 돌기
140: 양면 접착 패드

Claims (19)

  1. 사출 공정을 통해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증착을 통해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하는 미러;
    상기 미러에 결합되어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미러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분리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 홈이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장착 홈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복수의 영역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장착 홈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장착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장착 홈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에 경고 문구가 인쇄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코팅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크롬, 크롬 합금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양면 접착 패드를 통해 상기 지지 브라켓과 결합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3.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이 일체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증착을 통해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 홈을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영역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 홈의 폭이 상기 분리 부재의 상단부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층이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형성되는 경우, 투명 재질의 상기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에 경고 문구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8. 제 13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반사층 상에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에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KR1020120066273A 2012-06-20 2012-06-20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73A KR101364724B1 (ko) 2012-06-20 2012-06-20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73A KR101364724B1 (ko) 2012-06-20 2012-06-20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63A KR20130142763A (ko) 2013-12-30
KR101364724B1 true KR101364724B1 (ko) 2014-02-20

Family

ID=4998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73A KR101364724B1 (ko) 2012-06-20 2012-06-20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7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686A (ko) * 2005-07-01 2007-01-05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미러의 제조 방법
KR20080065075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면 및 볼록 미러 일체형 사이드 미러
US20100315732A1 (en) * 2009-06-15 2010-12-16 Visiocorp Patents S.A.R.L.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a composite reflective surface
US20110157732A1 (en) 2008-01-03 2011-06-30 Smr Patents S.A.R.L.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3686A (ko) * 2005-07-01 2007-01-05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용 미러의 제조 방법
KR20080065075A (ko) * 2007-01-08 2008-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면 및 볼록 미러 일체형 사이드 미러
US20110157732A1 (en) 2008-01-03 2011-06-30 Smr Patents S.A.R.L.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US20100315732A1 (en) * 2009-06-15 2010-12-16 Visiocorp Patents S.A.R.L.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a composite reflective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63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299B2 (en) Electro-optic assembly
EP1370457B1 (en) Transparent roof structure in vehicle
EP2546103B1 (en) Device for visually confirming forward direction
US7553552B2 (en) Ornament
EP2441620B1 (en) Device for viewing front-lateral area of vehicle
US20100039691A1 (en) Vehicular blind spot mirror assembly
JP7163608B2 (ja) 車両用部品の取付け構造、車両用部品の取付け方法および車両用のウインドシールド
KR101779266B1 (ko) 동일 높이로 마운팅된 불투명 가장자리 대역을 갖는 중합체성 차량 글레이징
KR100605462B1 (ko) 가시각이 넓고 상 뒤틀림이 적은 차량 백미러
US20100195228A1 (en) Functional field of view for blind spot mirrors
JP6040969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KR101364724B1 (ko)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N218463585U (zh) 主体透明式无缝集成激光雷达的汽车饰件
KR102512462B1 (ko) 차량용 얼비침 방지 필름
US7475932B2 (en) Windscreen
DE202018004741U1 (de) Retroreflektor
KR200387240Y1 (ko) 차량용 미러
CN218839350U (zh) 一种汽车前挡支架
CN102279428A (zh) 镜子元件
US20230039226A1 (en) Bumper lens unit of a vehicle
CN204712966U (zh) 能消除汽车a柱盲区的折射膜
JP2021054132A (ja) 死角補助装置
KR20210001345U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커버 일체형 사각지대 볼록거울
JP2021054131A (ja) 死角補助装置
JP2009056934A (ja) 車両用後写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