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897B1 -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897B1
KR101363897B1 KR1020130023212A KR20130023212A KR101363897B1 KR 101363897 B1 KR101363897 B1 KR 101363897B1 KR 1020130023212 A KR1020130023212 A KR 1020130023212A KR 20130023212 A KR20130023212 A KR 20130023212A KR 101363897 B1 KR101363897 B1 KR 10136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piece
clos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규
Original Assignee
이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규 filed Critical 이복규
Priority to KR102013002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와 덮개의 분리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덮개의 분리시 덮개 테두리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이 별도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진공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하되, 용기 본체 양측 단부에 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수평편과 수직편 및 걸림편으로 구성된 개폐구를 축결합한 다음 탄지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게 하고, 상기 개폐구는 내측방향으로 회전이 제어되게 하고, 덮개 양측 단부에는 걸림판을 돌출구성하여 개폐구에 의해 걸림이 되거나 개방되게 하고, 상기 걸림판 내면에는 밀폐용 패킹이 확장설치되게 하여, 개폐구의 개방작동시 수평편의 단부가 밀폐용 패킹의 확장편을 함께 밀어올리면서 덮개가 개방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COVER OPENING STRUCTURE OF VACUUM VESSEL}
본 발명은 식품이나 식자재 등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진공 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와 덮개의 결합이 간편하면서, 덮개의 개방시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개폐구를 회전시키면 본체로부터 덮개가 간편하게 개방되게 하되, 덮개 개방시 패킹이 덮개로부터 별도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식자재 등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식품보관용기나 진공용기류 혹은 진공봉투 등을 사용하여, 내장된 식품을 외부공기와 차단, 미생물의 활성화를 억제시킴으로서, 상온 혹은 냉장상태에서 장기간 보존될 수 있게 하며, 일반식품보관용기에 비하여 진공수단이 구비된 식품보관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진공식품보관용기의 경우 식품용기를 진공화하는 과정에서 밀폐를 위하여 덮개 혹은 용기 본체에 끼워진 패킹이 강한 압력으로 압축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덮개 개방을 위하여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를 개방하고자 할 때 덮개의 개방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덮개가 개방되면서 밀폐용 패킹도 함께 분리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 제109747호 "식품보관용기"로 등록한 것이 있다.
상기 특허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용기 본체 상단 테두리에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턱을 구성하고, 덮개 양측부에는 절개부를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결속구를 축결합하여 축을 지점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되, 결속구의 걸림부가 용기 본체 테두리에 구성된 걸림턱과 결합되게 하여 덮개의 개폐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수단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식품보관용기의 경우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를 개방하기 위하여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덮개 양측에 구성된 결속구를 상향회전시키면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게 한 것으로서 덮개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덮개 개방시 덮개에 끼워진 패킹이 용기 본체 상단 테두리와 접착되어 덮개와 함께 분리되지 못하고, 간혹 덮개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 제10-2012-144071호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및 덮개의 개방구조"에 대하여 선출원한 기술이 있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20) 상단에 플랜지(22)와 돌부(23)를 구성하고, 상기 돌부(23) 상에 걸림편(32)이 형성된 밀폐용 패킹(30)을 끼우고, 상기 패킹 테두리에 패킹결속구(40)를 끼워 패킹결속구(40)가 밀폐용 패킹(30)을 지지토록 함으로서, 덮개(60)의 개방시 용기 본체(20)로부터 밀폐용 패킹(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상기 선출원 특허의 경우 덮개(60) 개방시 용기 본체(20) 상단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30)이 패킹결속구(40)에 지지되어 덮개(60) 개방시 밀폐용 패킹(30)이 별도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될 뿐 아니라 사용중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밀폐용 패킹 부분에 떨어질 경우 세척에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등의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와 덮개의 분리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덮개의 분리시 덮개 테두리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이 별도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진공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하되, 용기 본체 양측 단부에 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수평편과 수직편 및 걸림편으로 구성된 개폐구를 축결합한 다음 탄지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게 하고, 상기 개폐구는 내측방향으로 회전이 제어되게 하고, 덮개 양측 단부에는 걸림판을 돌출구성하여 개폐구에 의해 걸림이 되거나 개방되게 하고, 상기 걸림판 내면에는 밀폐용 패킹이 확장설치되게 하여, 개폐구의 개방작동시 수평편의 단부가 밀폐용 패킹의 확장편을 함께 밀어올리면서 덮개가 개방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진공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 양측 단부에 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개폐구를 축결합한 다음 탄지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되게 하고, 덮개 양측 단부에는 걸림판을 돌출구성하여 개폐구에 의해 걸림이 되거나 개방되게 하고, 상기 걸림판 내면에는 밀폐용 패킹이 확장설치되게 하여 개폐구의 개방작동시 수평편의 단부가 밀폐용 패킹의 확장편을 함께 밀어올리면서 덮개가 개방되게 함으로서, 용기 본체와 덮개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덮개의 분리시 덮개 테두리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이 별도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 덮개의 저면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의 요부확대도
도 7 : 본 발명의 개방상태 단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의 개방상태 단면구성도
도 9 : 선출원 식품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진공식품 보관용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진공식품 보관용기(10)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20)와 덮개(60)로 구성되며, 용기 본체(20)는 내면에 수장실(21)이 구성되고, 용기 본체(20) 상단 양측부에는 한쌍의 브라켓(22)을 돌출구성하고, 상기 브라켓(22) 사이에 수평편(31)과 수직편(32) 및 경사면(34)이 형성된 걸림편(33)으로 구성된 개폐구(30)를 끼운 다음 축핀(35)을 끼워 개폐구(30)가 회전개폐되게 한다.
상기 축핀(35)에는 탄지스프링(40)을 끼워 설치하되, 탄지스프링(40)의 일측 걸림부(41)는 브라켓(22) 사이에 돌출구성된 걸림턱(23) 하단에 걸려 고정되고, 타측 절곡부(42)는 개폐구(30) 측면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개폐구(30)가 축핀(35)을 축으로 내측방향으로 탄지되게 하며, 이때 개폐구(30)의 수평편(31)은 용기 본체(20) 측부에 돌출구성된 걸림턱(23) 상단에 위치되게 하여, 탄지스프링(40)에 의해 개폐구(30)가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게 구성한다.
용기 본체(20)와 결합되는 덮개(60) 양측에는 걸림판(80)을 돌출구성하여 개폐구(30)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되, 덮개(60) 저면 테두리에는 패킹결합홈(61)을 구성하고, 상기 패킹결합홈(61)에 밀폐용 패킹(70)을 결합한다.
상기 걸림판(80) 내면에는 패킹결합홈(61)이 확장된 확장홈(62)과 지지편(81)을 구성하고, 상기 확장홈(62)과 지지편(81)에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과 삽입홈(72)이 끼워지게 한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에 덮개(60)를 결합하게 되면 걸림판(80)이 개폐구(30)의 걸림편(33)에 걸려 결합고정되고, 동시에 걸림판(80)의 확장홈(62)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은 개폐구(30)의 수평편(31)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식품보관용기(10)가 아닌 일반식품보관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90)은 진공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진공 식품보관용기(10)에 구성된 수장실(21)에 식품이나 식자재 등을 보관한 다음 진공화시켜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20)와 덮개(60)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할 뿐 아니라,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용기 본체(20)로부터 덮개(60)를 분리시킬때 밀폐용 패킹(70)이 별도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용기 본체(20)와 덮개(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60)를 분리하고자 할 때, 진공밸브(90)를 통하여 용기 본체(20) 내부에 진공을 해지시킨 다음, 용기 본체(20) 양측에 구성된 개폐구(30)의 수직편(32) 상단부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당기면(화살표(A)방향), 축핀(35)을 축으로 개폐구(30)가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평편(31)의 단부는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덮개(60) 양측 단부에 구성된 걸림판(80) 저면을 밀어올리게 되므로 용기 본체(20)로부터 덮개(60)가 간단히 분리된다.
이때 개폐구(30)의 수평편(31) 단부가 걸림판(80) 저면을 밀어올리는 과정에서 확장홈(62)에 끼워진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 부분을 함께 밀어올리기 때문에 덮개(60)의 분리과정에서 밀폐용 패킹(70)이 별도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덮개(60) 개방을 위하여 외측방향으로 당겼던 개폐구(30)를 놓으면 탄지스프링(40)의 탄지력에 의해 원복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분리된 덮개(60)를 다시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60)를 용기 본체(20) 직상부에 위치시키면 덮개(60)의 걸림판(80)이 용기 본체(20)의 개폐구(30), 즉 걸림편(33)의 경사면(34)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가볍게 누르면 걸림판(80)이 경사면(34)을 따라 하강하면서 개폐구(30)를 확장시킨 다음 결합이 완료되면 탄지스프링(40)의 탄지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진공밸브(90)를 통하여 진공화시키면 밀폐용 패킹(70)이 압축되면서 용기 본체(20)와 덮개(6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식품보관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의 분리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덮개분리시 밀폐용 패킹이 별도분리되는 현상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진공식품 보관용기 (20)--용기 본체
(21)--수장실 (22)--브라켓
(23)--걸림턱 (30)--개폐구
(31)--수평편 (32)--수직편
(33)--걸림편 (34)--경사면
(35)--축핀 (40)--탄지스프링
(41)--걸림부 (42)--절곡부
(60)--덮개 (61)--패킹결합홈
(62)--확장홈 (70)--밀폐용 패킹
(71)--확장편 (72)--삽입홈
(80)--걸림판 (81)--지지편

Claims (2)

  1. 용기 본체 상에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덮개가 개폐구에 의해 개폐되게 한 진공식품 보관용기의 덮개개방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20) 양측에 걸림턱(23)과 한쌍의 브라켓(22)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22) 사이에 수평편(31)과 수직편(32) 및 경사면(34)이 형성된 걸림편(33)으로 구성된 개폐구(30)를 끼운 다음 축핀(35)으로 결합하고, 상기 축핀(35)에 탄지스프링(40)을 끼워 설치하되, 탄지스프링(40)의 일측 걸림부(41)는 브라켓(22) 사이에 돌출구성된 걸림턱(23) 하단에 위치되게 하고, 타측 절곡부(42)는 개폐구(30)의 측면에 결합되게 함으로서, 개폐구(30)가 용기 본체(20) 내측방향으로 탄지되게 하되, 개폐구(30)의 수평편(31) 하단부가 걸림턱(23)에 걸려 회전이 제어되게 하고, 저면테두리에 밀폐용 패킹(70)이 결합된 덮개(60) 양측에는 걸림판(80)을 돌출구성하여, 덮개(60)를 용기 본체(20)에 결합하면 개폐구(30)의 걸림편(33)와 걸림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걸림판(80)은 개폐구(30)의 수평편(31)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개폐구(30)를 외측방향으로 당기면(화살표(A)방향) 축핀(35)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수평편(31)이 걸림판(80) 저면을 밀어올려 덮개(60)가 개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품 보관용기의 덮개개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판(80) 저면에 확장홈(62)과 지지편(81)을 구성하고, 상기 확장홈(62)과 지지편(81)에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과 삽입홈(72)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되, 상기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은 개폐구(30)의 수평편(31)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개폐구(30)를 이용한 덮개(60)의 개방시 걸림판(80)과 밀폐용 패킹(70)의 확장편(71)을 동시에 밀어올려 덮개(60)로부터 밀폐용 패킹(70)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품 보관용기의 덮개개방구조.
KR1020130023212A 2013-03-05 2013-03-05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KR10136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12A KR101363897B1 (ko) 2013-03-05 2013-03-05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12A KR101363897B1 (ko) 2013-03-05 2013-03-05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897B1 true KR101363897B1 (ko) 2014-02-18

Family

ID=5027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212A KR101363897B1 (ko) 2013-03-05 2013-03-05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8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93Y1 (ko) 2005-05-11 2005-08-19 왕수창 진공해제레버 개폐장치를 구비한 식품진공보존용기 덮개
KR101091747B1 (ko) 2009-09-29 2011-12-08 이복규 식품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93Y1 (ko) 2005-05-11 2005-08-19 왕수창 진공해제레버 개폐장치를 구비한 식품진공보존용기 덮개
KR101091747B1 (ko) 2009-09-29 2011-12-08 이복규 식품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114B2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20110008138A (ko) 밀봉 뚜껑을 갖는 용기
KR100790549B1 (ko) 식품 보관용기
KR20140076018A (ko)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EP3403945B1 (en) Airtight container
KR101363897B1 (ko) 진공 식품보관용기의 덮개 개방구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KR20190028033A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1091747B1 (ko) 식품보관용기
KR200336409Y1 (ko) 밀폐보장이 가능한 용기 밀폐구조
KR101969989B1 (ko) 밀폐 용기
KR200478767Y1 (ko) 텀블러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200407648Y1 (ko) 캡의 분리 없이 보관대 내부의 공기흡입이 가능한 이불압축 보관대
KR200371206Y1 (ko) 밀폐용기 뚜껑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1446483B1 (ko) 진공의 해제시에도 뚜껑의 임의 해제를 방지하면서 밀폐기능을 보유하는 진공용기
KR20130121641A (ko) 저장용기
KR101506333B1 (ko) 밀폐용기
KR101674401B1 (ko) 거치식 양념 수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