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333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333B1
KR101506333B1 KR1020130083934A KR20130083934A KR101506333B1 KR 101506333 B1 KR101506333 B1 KR 101506333B1 KR 1020130083934 A KR1020130083934 A KR 1020130083934A KR 20130083934 A KR20130083934 A KR 20130083934A KR 101506333 B1 KR101506333 B1 KR 10150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ntainer
groove
elastic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689A (ko
Inventor
문영민
Original Assignee
문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민 filed Critical 문영민
Priority to KR102013008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3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bottom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closure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상하로 움직이게 장착되며 하부에 제1홈이 형성된 눌림부재와, 상기 눌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홈과 연통되는 제1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가압시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 사이를 밀폐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용기{An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용기 덮개를 개폐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과일, 혹은 조리하고자 하는 식품, 조리된 식품 등을 장시간 상하지 않도록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식품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패킹이 내장되는 뚜껑과, 이 뚜껑과 용기본체 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밀봉구조로 구성되는 밀폐용기가 흔히 사용되어 왔다.
기존의 공개특허 KR 10-2004-0109972는 본원 발명과 동일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외주연에 얇은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잠금날개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잠금날개의 내측에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걸리면서 뚜껑이 용기본체에 강하게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훅크는 상기 잠금날개가 뚜껑 표면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향 경사지게 위치되는 어느 한 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놓여지도록 그의 양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용기는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탈거시 바닥에 놓고 사방에 형성된 잠금날개를 열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는 단지 잠금날개를 용기본체에 결합을 시키는 구조로 밀폐가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KR 10-055606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뚜껑의 상부에 장착된 체결부재의 조작에 따라 간단히 용기본체로부터 용기뚜껑을 결합 또는 탈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밀폐홀을 용기뚜껑의 상부에 비대칭으로 형성시켜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밀폐를 시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상하로 움직이게 장착되며 하부에 제1홈이 형성된 눌림부재와, 상기 눌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홈과 연통되는 제1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가압시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 사이를 밀폐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된 하부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재의 제1홀을 관통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제1홈과 나사 결합되어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눌림부재의 제1홈과 상기 결합부재의 제1홀과 연통하는 제2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는, 상부에 상기 탄성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홈과 연통하는 길이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가압바를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홈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로와, 삽입된 돌기가 회전할 수 있는 이동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이 위치하는 상기 용기덮개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탄성부의 몸체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의 탄성편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밀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용기뚜껑의 상부의 눌림부재를 누르는 가압방식으로 용기를 밀폐시키고, 간단히 눌림부재를 돌려 용기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탈거를 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용기뚜껑의 상부에 밀폐홀을 비대칭으로 형성시켜 밀폐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된 밀폐용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된 밀폐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 테두리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용기덮개(20)와, 상기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2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30)는 크게 가압부(100), 탄성부(200) 및 고정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100)는, 상기 용기덮개(20)의 상부에 상하로 움직이게 장착되며 하부에 제1홈(111)이 형성된 눌림부재(110)와, 상기 눌림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홈(111)과 연통되는 제1홀(121)이 형성된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눌림부재(110)와 결합부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00)는, 상기 가압부(10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가압시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20)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본체(10)와 용기덮개(20)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용기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100)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100)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와 상기 가압부(100)의 결합방법에 따라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 나뉘게 된다.
먼저,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는, 외주면에 돌기(310)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310)가 상기 결합부재(120)에 구비된 하부홈(122)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100)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홈(122)은 상기 돌기(310)가 삽입되는 삽입로(123)와, 삽입된 돌기가 회전할 수 있는 이동로(12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삽입로(123)로 상기 돌기(310)가 삽입이 되고, 상기 가압부(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로(124)를 따라 상기 돌기(310)가 움직이게 된다. 상기 이동로(124)는 일정한 길이만큼 파여져 상기 돌기(310)가 상기 이동로(124)의 끝까지 움직이게 되면 상기 가압부(100)의 회전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00)가 상기 탄성부(200)를 가압하여 회전을 시킴으로써 가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상태를 해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압부(100)를 가압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을 시켜 상기 돌기(310)를 상기 하부홈(122)으로부터 이탈이 되면 상기 탄성부(20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전 상태로 돌아가게 되어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용기덮개(20)를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재(120)의 제1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눌림부재(110)의 제1홈(111)과 나사 결합되어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눌림부재(110)의 제1홈(111)을 상기 고정부(300)에 삽입시켜 상기 가압부(100)를 회전을 시키면 나사결합되며 상기 가압부(100)가 상기 탄성부(200)를 가압하여 가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200)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에 일체로 결합된 탄성편(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눌림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눌림부재(110)의 제1홈(111)과 상기 결합부재(120)의 제1홀(121)과 연통하는 제2홀(21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제2홀(211)을 관통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220)은, 상기 몸체(210)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용기덮개(20)의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20)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0)은 상기 용기덮개(20)의 테두리 중심부에 위치되며, 용기덮개의 테두리 각각에 위치될 수 있도록 4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덮개(20)의 테두리에는, 상부에 상기 탄성편(2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홈(4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400)과 연통하는 길이방향으로 수용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410)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편(220)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바(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바(5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덮개(20)의 가압면적을 넓혀 밀폐력을 높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바(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410)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가압바(500)를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600)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가 상기 가압바(500)와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바(500)를 동일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220)이 위치하는 상기 용기덮개(20)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42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420)은 상기 탄성부(200)의 몸체(210)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200)를 가압 시 상기 탄성부(200)의 하부면과 먼저 접하는 상기 관통홀(420)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늦게 접하는 관통홀(420)을 통하여 공기가 유출되어져 용기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밀폐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420)은 상기 탄성부(200)의 몸체(210)를 중심으로 좌우 1쌍 또는 전후좌후 2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200)의 탄성편(220)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420)과 대응되는 지점에 밀폐부재(221)가 더 구비되어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밀폐부재(221)의 재질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200)를 눌러 완전히 가압했을 때 상기 용기덮개(20)의 상단과 상기 가압부(100)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밀폐용기를 안전하게 적층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기뚜껑의 상부의 눌림부재를 누르는 가압방식으로 용기를 밀폐시키고, 간단히 눌림부재를 돌려 용기뚜껑을 용기본체로부터 탈거를 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게 하며, 또한, 용기뚜껑의 상부에 밀폐홀을 비대칭으로 형성시켜 밀폐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용기본체 20 : 용기덮개
30 : 체결부재 100 : 가압부
110 : 눌림부재 111 : 제1홈
120 : 결합부재 121 : 제1홀
122 : 하부홈 123 : 삽입로
124 : 이동로 200 : 탄성부
210 : 몸체 211 : 제2홀
220 : 탄성편 221 : 밀폐부재
300 : 고정부 310 : 돌기
400 : 제2홈 410 : 수용홈
420 : 관통홀 500 : 가압바
600 : 이탈방지부재

Claims (10)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상하로 움직이게 장착되며 하부에 제1홈이 형성된 눌림부재와, 상기 눌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홈과 연통되는 제1홀이 형성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가압시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본체와 용기덮개 사이를 밀폐시키는 탄성부; 및,
    상기 용기덮개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된 하부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재의 제1홀을 관통하여 상기 눌림부재의 제1홈과 나사 결합되어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눌림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눌림부재의 제1홈과 상기 결합부재의 제1홀과 연통하는 제2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는,
    상부에 상기 탄성편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덮개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홈과 연통하는 길이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가압바를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하부홈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로와, 삽입된 돌기가 회전할 수 있는 이동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위치하는 상기 용기덮개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탄성부의 몸체를 중심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탄성편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지점에 밀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130083934A 2013-07-17 2013-07-17 밀폐용기 KR101506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34A KR101506333B1 (ko) 2013-07-17 2013-07-17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934A KR101506333B1 (ko) 2013-07-17 2013-07-17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89A KR20150009689A (ko) 2015-01-27
KR101506333B1 true KR101506333B1 (ko) 2015-03-26

Family

ID=5248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934A KR101506333B1 (ko) 2013-07-17 2013-07-17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2858B2 (en) * 2021-08-03 2023-10-03 Delta Electronics, Inc. Airtigh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33U (ko) * 1989-08-17 1991-04-15
KR19980071414A (ko) * 1997-02-18 1998-10-26 스티븐 마플리트 식품 및 액체 용기용 뚜껑
KR100790549B1 (ko) 2007-10-11 2008-01-17 동양케미칼주식회사 식품 보관용기
KR20080012188A (ko) * 2006-07-31 2008-02-11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개구 용기 폐쇄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33U (ko) * 1989-08-17 1991-04-15
KR19980071414A (ko) * 1997-02-18 1998-10-26 스티븐 마플리트 식품 및 액체 용기용 뚜껑
KR20080012188A (ko) * 2006-07-31 2008-02-11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개구 용기 폐쇄 뚜껑
KR100790549B1 (ko) 2007-10-11 2008-01-17 동양케미칼주식회사 식품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689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114B2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RU2613170C2 (ru) Емкость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USD808712S1 (en) Beverage vessel lid with compartment
US10737850B2 (en) Container for food use
US11457773B2 (e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s that can be affected by humidity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506333B1 (ko) 밀폐용기
KR200486826Y1 (ko) 보관된 음식물이 눅눅해 지거나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습이나 냉각기능을 갖는 밀폐용기
RU201614952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мещения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20140050857A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659288B1 (ko)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10342371B2 (en) Bottle cover and bottle with the bottle cover
KR20160033400A (ko) 식품 저장 및 보존용 밀폐 용기(100)
KR200477700Y1 (ko) 식품 용기의 마개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KR200487921Y1 (ko) 식품 포장용기
KR101580161B1 (ko) 식품 보관 용기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101381642B1 (ko) 누름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