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832B1 - 클러치용 마찰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용 마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832B1
KR101363832B1 KR1020060126637A KR20060126637A KR101363832B1 KR 101363832 B1 KR101363832 B1 KR 101363832B1 KR 1020060126637 A KR1020060126637 A KR 1020060126637A KR 20060126637 A KR20060126637 A KR 20060126637A KR 101363832 B1 KR101363832 B1 KR 10136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friction lining
clutch
radially
l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932A (ko
Inventor
필립프 월터
제라우드 배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filed Critical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Publication of KR2007006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10)는, 대향하는 마찰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축방향으로 분리되며 실질적으로 환상 동축인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를 포함한다.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는 마찰 라이닝(26A)을 포함하는 방사상 외부(32A)와,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에 고정되는 방사상 내부(30A)와, 방사상 외부(32A)와의 접속을 위한 제 1 단부(36A) 및 방사상 내부(30A)와의 접속을 위한 제 2 단부(38A)가 각각 제공된 탄성 접속 텅(35A)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 단부(36A) 및 제 2 접속 단부(38A)는 2개의 마찰 라이닝 부재(24A, 24B)의 축 분리에 따라 가변되는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을 갖는다.

Description

클러치용 마찰 장치{IMPROVED FRICTION DEVICE FOR A CLUTCH,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의 축방향 섹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마찰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마찰 장치의 지지대의 정면도,
도 4는 이 마찰 장치의 마찰 라이닝용 지지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의 축방향 섹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마찰 장치의 지지대의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마찰 디스크 14 : 댐퍼
16 : 허브 18 : 가이드 와셔
20 : 판 22 : 탄성 수단
24A, 24B : 마찰 라이닝 부재 26A, 26B : 마찰 라이닝
28A, 28B : 지지대 30A, 30B : 방사상 내부
32A, 32B : 방사상 외부 33A, 33B : 내부 윤곽
34A : 외부 윤곽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를 위한 개선된 마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클러치는 자동차의 엔진 플라이휠과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클러치는 엔진 플라이휠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메카니즘 및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마찰 장치를 포함한다.
메카니즘은 마찰 장치의 제 1 마찰 라이닝 및 제 2 마찰 라이닝과 협동하도록 압력판 및 반응판을 포함한다. 이 마찰 라이닝은 일반적으로 보통 회전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마찰 장치는 다양한 기술적인 제약들 간에 타협을 이루어야 한다.
반면에, 마찰 장치의 질량 및 관성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마찰 라이닝의 치수, 예를 들어 두께 및 방사상 폭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능한 한 이 라이닝의 접착 본딩(adhesive bonding)을 선택함으로써 라이닝을 이들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리벳의 존재를 회피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클러치를 진행적으로(progressively)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전진성을 보장하도록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매스(mass)인 탄성 수단을 마찰 장치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전단 효과는 라이닝과 자신의 지지대 사이에 엘라스토머 매스를 배열하는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인 유럽 특허 공개 제 0 419 329 A1 호에서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를 개시하되, 특히 대향하는 마찰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축방향으로 분리되며 실질적으로 환상 동축인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를 포함하는 타입인 자동차의 클러치용 마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마찰 장치에서, 마찰 라이닝 부재의 각각은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엘라스토머 매스를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 사이에 삽입한다.
특히,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0 419 329 A1 호에 개시되어 있는 라이닝 지지대 각각은, 전체적으로 환상 형상의 주변부 및 나머지 라이닝 지지대와 접속하기 위한 중심부를 포함한다. 이 지지대의 중심부는 인접한다. 이 지지대의 주변부는 서로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로 향하여 수렴하는 중간부(intermediate part)에 의해 중심부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마찰 라이닝이 압력판과 반응판 사이에 클램핑될 때, 라이닝 지지대의 주변부가 변형되어, 축방향으로 비교적 강성인 지지대의 중간부를 향하여 발산된다. 결국, 라이닝 지지대의 주변부 간의 분리는, 마찰 라이닝이 압력판과 반응판 사이에 클램핑되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가변되지 않는다.
그 결과, 마찰 라이닝이 압력판 및 반응판과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협동하지 않게 되며, 이것은 클러치 성능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압력판과 반응판에 의해 동작할 때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마찰 라이닝 지지대를 구비한 마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타입의 마찰 장치를 오브젝트로서 구비하고, 여기서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는 마찰 라이닝을 포함하는 방사상 외부와,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에 접속되는 방사상 내부와, 방사상 외부와의 접속을 위한 제 1 단부 및 방사상 내부와의 접속을 위한 제 2 단부가 각각 제공된 탄성 접속 텅(elastic connecting tongue)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 단부 및 제 2 접속 단부는 2개의 마찰 라이닝 부재의 축 분리에 따라 가변되는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angular offset)을 갖는다.
접속 텅은 방사상 외부로 하여금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에 대하여 마찰 라이닝 부재의 회전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스크류잉(screwing)에 의해 이동할 수 있게 한다(축을 따른 스크류잉은 그 축을 따른 회전과 이 축에 평행한 병진과의 동시 조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사상 외부와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 간의 축 분리가 증가하면, 각각의 접속 텅의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이 감소하고, 방사상 외부와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 간의 축 분리가 감소하면, 각각의 접속 텅의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이 증가한다.
접속 텅을 이용함으로써, 방사상 외부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에 의해 각 각 지지되는 마찰 라이닝 부재는, 반응판과 압력판에 의해 동작될 때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마찰 라이닝과 압력판 및 반응판과의 접촉이 최적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텅이 접혀져 제 1 접속 단부 및 제 2 접속 단부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접속 텅은 방사상 내부 및 방사상 외부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찰 장치는 방사상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오리피스를 구비하며 방사상 내부를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와 접속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수단은, 방사상 내부에 형성된 오리피스에 대향하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오리피스와, 이 접속 오리피스를 관통하는 접속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수단은 또한 방사상 내부를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와 결합할 수 있다.
마찰 장치는 클러치의 진행성을 보장하도록,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의 축방향 브레이싱(axial bracing)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의 방사상 내부는, 한편으로는 허브에 대하여 제 1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의 중심설정에 관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찰 베어링 상의 숄 더와의 협동에 의해 마찰 베어링의 축방향 위치 설정에 관여하도록, 마찰 베어링이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에 결합되는 허브를 둘러싸고 허브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는 마찰 라이닝을 구비하는 방사상 외부와,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에 고정되는 방사상 내부와, 방사상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단부 및 방사상 내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단부가 각각 제공된 탄성 접속 텅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는 2개의 마찰 라이닝 부재의 축방향 분리에 따라 가변되는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단지 예로 든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을 더욱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특히 자동차의 클러치용 마찰 장치(10)를 나타낸다.
마찰 장치(10)는 마찰 디스크(12)와,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허브(16) 및 마찰 디스크(12)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종래 타입의 댐퍼(14)를 포함한다.
댐퍼(14)는 마찰 디스크(1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2개의 가이드 와셔(guide washer)(18)와, 허브(1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판(20)을 포함한다. 또한, 댐퍼(14)는 임의의 진동을 댐핑하는 동안 가이드 와셔(18)와 판(20)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는 탄성 수단(22)을 포함한다.
마찰 디스크(12)는 도 2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환상 동축인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를 포함한다.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는 자동차의 엔진 플라이휠(도시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압력판 및 반응판(도시되지 않음)과 각각 협동하며 대향하는 마찰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제 1 마찰 라이닝(26A) 및 제 2 마찰 라이닝(26B)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는 마찰 라이닝(26A, 26B)을 위한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를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는 실질적으로 환상이며, 동축을 갖고, 서로 축방향으로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는 바람직하게 (프랑스 AFNOR 표준에 따른 XC68 및 XC75로 각각 지정되는) 0.68% 또는 0.75% 탄소를 함유하는 강철이나 합성 물질로 제조된다.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의 각각은 가이드 와셔(1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방사상 내부(30A, 30B), 및 제 1 마찰 라이닝(26A)과 제 2 마찰 라이닝(26B)이 예를 들어 접착 본딩에 의해 각각 고정된 방사상 외부(32A, 32B)를 포함한다. 변형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닝 및 하나의 지지대를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동일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방사상 내부(30A, 30B)는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의 내부 윤곽(33A, 33B)의 경계를 각각 정한다. 방사상 외부(32A, 32B) 는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 상의 외부 윤곽(34A)의 경계를 각각 정한다.
제 1 지지대(28A)는 도 3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는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제 1 지지대(28A)는 탄성 접속 텅(35A)을 포함하며, 각각의 텅은 방사상 외부(32A)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단부(36A) 및 방사상 내부(30A)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단부(38A)를 구비한다.
설명한 실시예에서, 접속 텅(35A)은 방사상 내부(30A) 및 방사상 외부(32A)와 일체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접속 텅(35A)은 방사상 내부(30A) 및 외부(32A) 간의 지지대(28A)에서의 윈도우(30A)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며, 이에 따라 접속 텅(35A)은 윈도우(40A)의 경계를 정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대(28A)의 접속 텅(35A)은 접혀지고 이에 따라 이들의 제 1 접속 단부(36A) 및 제 접속 단부(38A)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각각의 접속 텅(35A)의 제 1 접속 단부(36A) 및 제 2 접속 단부(38A)는 2개의 마찰 라이닝 부재(24A, 24B)의 축 분리에 따라 가변적인 제 1 접속 단부와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접속 텅(35A)의 제 1 접속 단부(36A) 및 제 2 접속 단부(38A) 간의 거리는 5mm 내지 60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40mm이다.
접속 텅(35A)이 한편에서의 제 1 및 제 2 지지대(28A, 28B)와 다른 한편에서 의 허브(16) 간의 축 정렬에서의 오프셋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swivel) 접속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따라서, 마찰 라이닝(26A, 26B)은 이러한 오프셋이 존재하더라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또한, 마찰 장치(10)는 지지대(28A)를 가이드 와셔(18)에 고정하는 수단(42)을 포함한다. 이 고정 수단(42)은 방사상 내부(30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오리피스(44A), 예를 들어 각방향으로 분포된(angularly distributed) 3개의 오리피스(44A)를 포함한다. 이 오리피스(44A)는, 예를 들어 종래의 고정 리벳(46)인 보충 고정 부재(46)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가이드 와셔(18)를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지지대(28B)는 제 1 지지대(28A)와 유사하다. 또한, 이것은 접속 텅(35B)에 의해 함께 접속된 방사상 내부(30B) 및 방사상 외부(32B)를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한 예에서, 제 2 지지대(28B)의 접속 텅(35B)은 제 1 지지대(28A)의 접속 텅(35A)과는 달리 접혀지지 않는다.
그러나, 스위블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이 접속 텅(35B)의 존재는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찰 라이닝(26A, 26B)의 평행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보장한다.
또한, 제 2 지지대(28B)는 자신의 방사상 내부(30B) 상에서 이 지지대(28B)를 가이드 와셔(18)에 고정하기 위한 오리피스(44B), 예를 들어 오리피스(44A)에 대향하며 각방향으로 분포되어 방사상 내부(30B)에 형성된 3개의 오리피스(44B)를 포함한다.
접속 수단(42)에 의해 지지대(28A, 28B)의 방사상 내부(30A, 30B)는 일체가 되며, 마찰 라이닝을 지지하는 방사상 외부(32A, 32B)는 자신들의 축을 따른 스크류잉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마찰 디스크(12)는 클러치의 전진성을 보장하도록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를 축방향 브레이싱하는 탄성 수단(47)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탄성 축 브레이싱 수단(47)은 바람직하게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 사이에 배열되며 실질적으로 동축이고 일반적으로 환상인 3개의 비드(bead)를 구비하는 엘라스토머 매스(48)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 축 브레이싱 수단(47)은 접속 텅(35A, 35B)을 포함한다. 그 이유는 이 접속 텅(35A, 35B)의 탄성이 클러치의 전진성에 관여하기 때문이라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찰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서, 이전 도면들과 유사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지정한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의 방사상 내부(30A, 30B)는 마찰 베어링(50)이 가이드 와셔(1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허브(16)를 둘러싸는 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의 내부 윤곽(33A, 33B)은 먼저 허브(16)에 대한 제 1 지지대(28A) 및 제 2 지지대(28B)의 중심설정에 관여하고 다음에 이 베어링(50) 상의 숄더(50E)와의 협동에 의해 베어링(50)의 축방향 위치 설정에 관여하도록, 베어링(50)과 협동한다.
방사상 내부(30A, 30B)는 탄성 수단(22)용 통로를 남겨두기 위한 윈도우(52)를 포함한다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방사상 내부(30A, 30B)의 각각은 바람직하게 고정 오리피스(44A, 44B)와 동일한 반경 상에서 제공된 중심설정 오리피스(53)를 포함한다. 이 중심설정 오리피스(53)는, 예를 들어 가이드 와셔 상에 제공된 대응 오리피스와 오리피스(53)를 통한 로드(rod)(도시되지 않음)의 통과에 의해, 가이드 와셔에 대한 대응 지지대(28A, 28B)의 중심설정에 관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내부(30A, 30B)가 고정 오리피스(44A, 44B)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변형예에 따라 이 오리피스(54)는 이 마찰 와셔를 지지대(28A, 28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와셔(18)에 고정하도록, 탄성 수단(22)용 댐핑 와셔의 돌기부(lug)를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접속 텅을 가이드 와셔에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오리피스로부터 결합 해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길 바란다. 그 이유는 소정의 마찰 디스크들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 오리피스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최소 개수의 텅이 필요하며, 이 최소 개수는 고정 오리피스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에 주목하길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장치는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실제 로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라이닝 접속이 유연성 있도록, 지지대의 외측 직경 상에서 개방되어 있는 슬롯을 제공할 수 있다(변형예에서, 이 슬롯은 실질적으로 방사상 형태를 갖는다). 이것은 2개 성분이 일반적으로 상이한 팽창 계수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열적 스트레스 동안의 그 2개 성분 간의 이금속(bimetallic) 효과를 저감한다.
일반적으로, 지지대의 설계는 접속 텅이 위치하는 영역을 벗어나 실리콘 비드를 위한 충분한 지지면을 유지하고 토크를 전달하는 기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어떠한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천공 또는 슬롯이 시스템의 관성을 제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텅을 이용함으로써, 방사상 외부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마찰 라이닝 부재가, 반응판과 압력판에 의해 동작될 때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마찰 라이닝과 압력판 및 반응판과의 접촉이 최적화되고, 마찰 라이닝의 평행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보장한다.

Claims (11)

  1. 대향하는 마찰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축방향으로 분리되며 환상 동축인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를 포함하는 클러치를 위한 마찰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는,
    마찰 라이닝(26A)을 포함하는 방사상 외부(32A)와,
    상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내부(30A)와,
    상기 방사상 외부(32A)와의 접속을 위한 제 1 단부(36A) 및 상기 방사상 내부(30A)와의 접속을 위한 제 2 단부(38A)가 각각 제공된 탄성 접속 텅(elastic connecting tongue)(35A)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 단부(36A) 및 상기 제 2 접속 단부(38A)는 2개의 상기 마찰 라이닝 부재(24A, 24B)의 축 분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angular offset)을 구비하며,
    각각의 접속 텅(35A)은 상기 방사상 내부(30A) 및 상기 방사상 외부(32A)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텅(35A)이 접혀져 상기 제 1 접속 단부(36A) 및 상기 제 2 접속 단부(38A)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내부(30A)를 상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와 접속하는 수단(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수단(42)은 상기 방사상 내부(30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오리피스(4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42)은,
    상기 방사상 내부(30A)에 형성된 상기 오리피스(44A)에 대향하며 상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오리피스(44B)와,
    상기 접속 오리피스(44A, 44B)를 관통하는 접속 리벳(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42)은 또한 상기 방사상 내부(30A)를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의 진행성을 보장하도록, 상기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 및 상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의 축방향 브레이싱(axial bracing)을 위한 탄성 수단(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의 방사상 내부(30A)는, 한편으로는 허브(16)에 대하여 제 1 지지대(28A)와 제 2 지지대(28B)의 중심설정에 관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찰 베어링(50) 상의 숄더(50E)와 협동하여 상기 마찰 베어링(50)의 축방향 위치 설정에 관여하도록, 상기 마찰 베어링(50)이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허브(16)를 둘러싸고 상기 허브(1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찰 라이닝 부재(24B)는,
    마찰 라이닝(26A)을 포함하는 방사상 외부(32A)와,
    상기 제 1 마찰 라이닝 부재(24A)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방사상 내부(30A)와,
    상기 방사상 외부(32B)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단부 및 상기 방사상 내부(30B)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단부가 각각 제공된 탄성 접속 텅(35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속 단부(36A) 및 상기 제 2 접속 단부(38A)는 2개의 상기 마찰 라이닝 부재의 축방향 분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 사이의 각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10. 삭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42)은 또한 상기 방사상 내부(30A)를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 샤프트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용 마찰 장치.
KR1020060126637A 2005-12-13 2006-12-12 클러치용 마찰 장치 KR101363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3856A FR2894637B1 (fr) 2005-12-13 2005-12-13 Dispositif de friction perfectionne pour un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FR05/53856 2005-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932A KR20070062932A (ko) 2007-06-18
KR101363832B1 true KR101363832B1 (ko) 2014-02-14

Family

ID=3680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637A KR101363832B1 (ko) 2005-12-13 2006-12-12 클러치용 마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07525B2 (ko)
EP (1) EP1798434B1 (ko)
KR (1) KR101363832B1 (ko)
AT (1) ATE439529T1 (ko)
BR (1) BRPI0605193A (ko)
DE (1) DE602006008408D1 (ko)
FR (1) FR2894637B1 (ko)
MX (1) MXPA06014644A (ko)
SI (1) SI179843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538B1 (fr) * 2004-06-14 2006-07-28 Valeo Materiaux De Friction So Dispositif de friction pour un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FR2887605B1 (fr) * 2005-06-23 2007-08-24 Valeo Materiaux De Friction Sa Element de progressivite pour friction d'embrayage
DE102009019588A1 (de) * 2008-05-16 2009-11-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Nasskupplung
DE102012210070A1 (de) * 2012-06-15 2013-12-19 Zf Friedrichshafen Ag Trägerelement für einen Reibbelag
DE102012014811A1 (de) * 2012-07-26 2014-01-30 Borgwarner Inc. Reibteil für eine reibschlüssig arbeitende Einrichtung
FR2996613B1 (fr) * 2012-10-04 2016-03-04 Valeo Materiaux De Friction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US20140166427A1 (en) * 2012-12-18 2014-06-19 Rekluse Motor Sports Clutch separator plate
AT519131B1 (de) * 2016-09-12 2018-04-15 Miba Frictec Gmbh Reiblamelle
DE102019127238A1 (de) * 2019-04-10 2020-10-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kupplung, insbesondere für einen Hybrid-Antriebsstrang
DE102019112566A1 (de) * 2019-04-10 2020-10-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mellenkupplung, insbesondere trockene Lamellenkupplung, insbesondere für hybriden Antriebsstra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133A (en) * 1990-02-27 1992-08-11 Valeo Low inertia friction clutch, especially for an automotiv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151A (en) * 1947-08-09 1953-07-21 Sk Wellman Co Clutch plate
DD134980B1 (de) * 1978-03-14 1980-10-01 Alfred Lorenz Kupplungsscheibe,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kupplungen
FR2600732B1 (fr) * 1986-06-30 1990-11-02 Valeo Friction d'embrayages a faible inertie et embrayage incorporant une telle friction.
DE3922730C2 (de) * 1989-07-11 1997-11-20 Fichtel &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Torsionsschwingungsdämpfer
FR2652397B1 (fr) 1989-09-22 1995-06-02 Valeo Friction d'embrayage a faible inerti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652104C1 (de) * 1996-12-14 1998-06-04 Mannesmann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elastischer Lagerung
FR2764019B1 (fr) * 1997-05-30 1999-07-16 Valeo Disque de friction progressif pou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GB2341901B (en) * 1998-07-17 2003-05-28 Mannesmann Sachs Ag Clutch disc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FR2871538B1 (fr) * 2004-06-14 2006-07-28 Valeo Materiaux De Friction So Dispositif de friction pour un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133A (en) * 1990-02-27 1992-08-11 Valeo Low inertia friction clutch, especial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4637B1 (fr) 2008-02-15
KR20070062932A (ko) 2007-06-18
BRPI0605193A (pt) 2007-10-09
US7607525B2 (en) 2009-10-27
US20070131515A1 (en) 2007-06-14
SI1798434T1 (sl) 2010-01-29
DE602006008408D1 (de) 2009-09-24
MXPA06014644A (es) 2008-10-09
EP1798434B1 (fr) 2009-08-12
ATE439529T1 (de) 2009-08-15
EP1798434A1 (fr) 2007-06-20
FR2894637A1 (fr)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832B1 (ko) 클러치용 마찰 장치
CN103492749B (zh) 扭转振动减振器
KR101226326B1 (ko) 토크 전달 장치
US10570986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KR830002123B1 (ko) 토오크 전달장치
EP2942225B1 (en) Fixing structure of shift cable
US20170023095A1 (en) Torsional damp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system
KR102289993B1 (ko) 차량용 토션 댐퍼
KR102494891B1 (ko) 클러치 디스크
KR830002122B1 (ko) 회전토오크 전달장치
EP1426652B1 (en) Flywhee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7218348B (zh) 摆式减振装置
JPH09144813A (ja) フレキシブルプレート機構
KR101878198B1 (ko) 저강성 댐퍼가 채용된 3-웨이 방식의 토크 컨버터
KR101765644B1 (ko) 하이브리드 변속기용 엔진 클러치의 모터 연결구조
KR101267102B1 (ko) 클러치 디스크
GB2269641A (en) Clutch disc assembly with lining springs
KR100217197B1 (ko) 진동 댐퍼닝 메카니즘, 감소된 축 두께, 진동 댐퍼닝 메카니즘내에 배치된 파형 스프링을 가지는 클러치 장치
CN113557370A (zh) 离合器从动盘及离合器
KR10196302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KR101765645B1 (ko) 하이브리드 변속기용 엔진 클러치의 모터 연결구조
US6568521B2 (en) Clutch disk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US6202810B1 (en) Lock-up clutch mechanism of torque converter
JP4889847B2 (ja) 自動車のクラッチのための可撓性フライ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