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882B1 -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882B1
KR101362882B1 KR1020100140733A KR20100140733A KR101362882B1 KR 101362882 B1 KR101362882 B1 KR 101362882B1 KR 1020100140733 A KR1020100140733 A KR 1020100140733A KR 20100140733 A KR20100140733 A KR 20100140733A KR 101362882 B1 KR101362882 B1 KR 10136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fractive index
optical film
pigment
pi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435A (ko
Inventor
이병후
강경구
구영권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8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필터(Display Filter)에 포함되는 광학 필름(Optical Fil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나타내면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기능 및 리모컨 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근적외선 흡수 기능이 1장의 필름에 동시에 구현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OPTICAL FILM WITH ANTI-REFLECTION, NEAR INFRARED ABSORPTION AND HIGH COLOR REPRODU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필터(Display Filter)에 포함되는 광학 필름(Optical Fil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상재현능력 증가,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기능 및 리모컨 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근적외선 흡수 기능이 1장의 필름에 동시에 구현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 Ray Tube), ELD(Electro Lumiance Display) 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옥외나 밝은 조명 하에서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 형광등 등의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표면에 비치면서 반사된다. 외부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이 맺히며, 이러한 외부광에 의한 상 맺힘 현상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시인성 저하와 눈부심 현상과 같은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반사 방지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방식 등으로 외부광 등의 반사율을 줄이고 있다.
반사 방지 필름에는 반사율을 줄일 수 있는 빛의 난반사와 상쇄 간섭을 이용한 특성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난반사 유도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저가의 제조경비가 소요되는 장점이 있어 태양전지나 기타 광학부품의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요철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때는 요철의 크기, 높낮이, 모양에 따라 화상 표시에 문제점, 즉 요철로 인한 해상도, 선명도, 시인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다층형(multi layer) 반사 방지 필름을 이용하여 빛의 회절에 의한 상쇄 간섭을 통하여 반사 방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층형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에는 진공 증착, 스퍼터링,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용액도포법(Wet Coating)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굴절률이 서로 다른 재료로 복수의 얇은 막의 다층 적층 필름을 제조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반사율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진공증착, 스퍼터링, CVD와 같은 방법은 설비 및 제조비용, 대면적화 측면에서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비용적 측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면적화에 따라 근래에는 용액도포법을 이용한 반사 방지 필름의 제조가 각광 받고 있다.
일반적인 반사 방지 필름은 유리,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 등의 투명 기재상에 하드코트층, 고굴절층, 저굴절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지닌다. 고굴절층은 일반적으로 무기금속 산화물 및 황화물 입자를 첨가하여 1.6 이상의 굴절률을 갖도록 하며, 저굴절층은 실리카, 불화마그네슘, 불소수지 등을 첨가하여 1.3 ∼ 1.5 정도의 굴절률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반사 방지 필름은 헤이즈(Haze) 1%이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 이하이며, 플라스틱 기재상에 굴절률이 다른 1층 이상의 층을 코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근적외선 발생 문제가 있는데, 예를 들어 PDP의 경우, 방전가스가 형광체를 발광시키기 위해 자외선을 방출할 때 다량의 근적외선이 발생된다. 이러한 근적외선은 PDP 자체 뿐만 아니라 주위의 다른 오디오 등의 가전 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는 많은 가전 제품의 리모컨에 사용되는 930nm 부근의 파장대와 PDP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의 파장대가 겹치기 때문에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연색에 얼마나 가깝게 색상을 재현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기존 음극선관 TV에서 PDP TV로 대체되어 감에 따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내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페닝가스(penning)의 주성분 중 하나인 네온 가스에 의해 585nm 부근에서는 주황색의 네온광이 발광색에 관계 없이 항상 발광하여 녹색 및 적색의 색순도를 떨어뜨리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색순도가 높은 적색 및 녹색광을 얻기 위해서는 580 ~ 600nm의 가시광선 영역 내의 네온광을 선택적으로 커트할 수 있는 광학필름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색소로서 테트라아자포피린(tetraazaporphyrin)계 색소 또는 시아닌계 색소를 이용한 색보정 필름의 개발도 시도된 바 있다. (일본 공개 2000-275432, 미국 등록 6532120)
이러한 녹색 및 적색의 색순도 저하는 전체적인 색재현력을 떨어뜨리고 자연색에 가까운 색상을 복원하는데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색재현율(Color Reproduction Range)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NTSC 색상재현면적 대비 PDP 색상재현면적 증가분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NTSC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 컬러텔레비전 송수신 방식의 하나이다. 흑백이나 컬러의 구별 없이 방송과 수신이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NTSC는 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등에서 쓰이고 있는 방식의 하나이다. 색재현율은 디스플레이에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국제조명학회(CIE: Commossion internation del'Eclairage)의 'XY 색좌표'를 주로 이용해 면적비로 표현하며 NTSC 규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CIE 색좌표에 R(빨강), G(초록), B(파랑) 꼭지점을 표시하고 그 점을 이은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해 NTSC 대비 페센트(%)로 나타낸다. NTSC 색재현 면적은 0.1582이다. 예를 들어 색재현 면적이 0.12656이면 색재현율은 80%이며 색재현율 80%라는 것은 NTSC 기준 색상의 갯수를 80%정도 표현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결국 색재현율이 높을수록 더 많은 색상을 표현한다는 것은 더욱 사실에 가까운 색을 낸다는 뜻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눈부심을 방지하는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진 광학 필름과 리모컨 오작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근적외선을 차단 및 색순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는 광학 필름이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별개의 광학 필름으로 적용되어 왔다. 이 경우, 반사 방지 기능 및 높은 색재현성을 가지면서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2장의 광학 필름이 요구되고, 각각의 광학 필름을 점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필요하게 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색재현성을 나타내면서도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기능과 리모컨 등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단일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투명 기재, 반사 방지층 및 근적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에 550~62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기능을 가지고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구현하며, 900~980nm 파장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근적외선 흡수층을 적용시킨 광학 필름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투명 기재, 반사 방지층 및 근적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일면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되고, 투명 기재 타면에 근적외선 흡수층이 형성되며,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550~62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기능을 가지고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구현하며, 900~980nm 파장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수기능이란 광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900~980nm 파장에서의 최대 광선 투과율과 최저 광선 투과율의 차이가 2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반사방지층은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하여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굴절 하드코팅층, 및 수산기를 함유한 불소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고굴절 하드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저굴절층을 포함하며, 380~750nm 파장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도 1에서 보듯이, 투명기재(10), 고굴절 하드코팅층(21)과 저굴절층(22)으로 이루어진 반사방지층(20), 및 근적외선 흡수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기재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투명 기재(10)는 투명한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예: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니트로 셀룰로오스), 폴리 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1,4-사이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1,2-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예: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 메테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등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이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완전 평면 컴퓨터 모니터,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 필터 기재로 주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
본 발명에서 반사 방지층(20)은 가시광선 영역인 380~750nm의 파장에서 평균 반사율이 3% 이하인 흡수 파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반사 방지층(20)은 투명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굴절 하드코팅층(21)과 상기의 고굴절 하드코팅층 상에 형성되는 저굴절층(22)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에서 상기 380~750nm의 파장에서 평균 반사율이 3% 이하인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는 빛의 회절에 의한 상쇄 간섭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저굴절층을 형성하고, 저굴절층과 고굴절층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상쇄 간섭에 의한 반사 방지 효과가 크다. 따라서, 저굴절층은 1.35~1.50의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굴절 하드코팅층과의 굴절률차가 적어도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 하드코팅층과 저굴절층의 굴절률 차이가 0.05 미만일 경우, 반사 방지 효과가 현저히 저하된다.
(a) 고굴절 하드코팅층
본 발명에서 고굴절 하드코팅층(21)은 굴절률이 1.55~2.40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60~2.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굴절 하드코팅층은 표면 내구성이 강한 하드코팅 특성이 구현되기 위해 500~30,000nm 범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1,000~10,0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 하드코팅층(21)에는 고굴절 특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굴절률이 높은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산화물 입자의 평균입경은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산화물의 평균입경이 100nm를 초과하면, 반사 방지층에서 무기산화물의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고굴절 코팅 조성물에서 무기산화물 입자가 침강하기 쉬워져서 보존 안정성이 결여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무기 산화물의 평균입경이 100nm를 초과하면, 반사 방지막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헤이즈(Haze)가 상승하기도 한다. 따라서 무기 산화물의 1차 평균 입경은 100nm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균입경이 50nm이하인 무기산화물 입자를 이용하는 것 가장 바람직하다.
무기산화물 입자는 가시광 흡수율이 적으면서 대전방지성 및 자외선 차단특성을 갖는 GZO(Ga-doped ZnO) 입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GZO 입자는 용제에 분산된 형태의 졸(sol)을 사용하거나, 분말상을 분산기를 이용하여 용제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산화물 입자는 고굴절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0~50중량%의 함량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굴절 하드코팅층(21)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의 무기산화물 입자 10~70중량%, 고분자 수지 10~30중량%, 열 또는 광 경화성 바인더 5~20중량% 및 잔량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고분자 수지는 수산기 함유 중합체이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페놀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이 일종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수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고굴절 하드코팅층에서 무기산화물 입자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굴절률의 조절이 어려워진다.
상기의 열 또는 광 경화성 바인더는 고분자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열 또는 광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지니는 화합물로서, t-부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N-메타크릴록-N,N-디카르복시메탈-p-페닐렌 디아민, 멜리민 포름알테히드 알킬 모노알콜, 2-[ㅐ-(1'메틸크릴록시에틸 프탈레이트,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4-메타크릴록시에틸 무수트리멜리트산 등이 일종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5~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양이 5중량% 미만이면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굴절률 저하를 초래한다.
용매는 알콜계와 키톤계 외 몇 가지의 용매를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는 고굴절 층 경화성 수지의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우수한 고굴절의 반사 방지성이나 투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용매의 첨가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조성물 전체 중량의 50~90중량%의 양이 적당하며, 50중량% 미만 혹은 90중량% 초과의 양을 첨가 하였을 경우에는 고굴절 하드코팅 조성물의 점도 조정 및 고굴절층의 두께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열 또는 광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또는 광 중합 개시제는 라디칼 발생제나 산 발생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또는 광 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인, 벤조 인 메틸에테르, 아크릴포시핀 옥사이드 화합물, 벤조일 퍼옥사이드, 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 화합물, 이소 프로필 티오크산톤, 벤조 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 인계 화합물, 벤질, 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아조디벤조일 등의 아조 화합물, 디케톤과 삼급 아민과의 혼합물, 양이온 광 개시제, 무수산, 과산화물, 하이드록시알킬페논 화합물, 디알콕시아세토페논, 하이드록시 알킬페논 화합물, 아미노알킬페논 유도체 화합물, 히드록시알킬페논 고분자 화합물, 티옥산톤 유도체 화합물, 수용성 방향족 케톤 화합물, 티나노센 화합물 등의 개시제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상기의 열 또는 광경화성 바인더와 성분이 같은 관능기를 지니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반응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또는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열 또는 광경화성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의 범위가 적합하다. 열 또는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완전한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긴 반응시간이 요구되어 실제 공정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 및 경도가 충분하게 나오지 않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반응되지 않고 남는 개시제로 인해 헤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고굴절층에서의 무기산화물 입자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커플링제(분자 내에 불포화 이중 결합, 에폭시기, 메르캅탄기를 갖는 유기 알콕시 실란계, 알콕시 티타늄, 알콕시 지르코늄과 무기물 알콕사이드)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광 증감제, 광 감감제, 중합금지제, 중합 개시제, 레벨링제, 습윤성 개량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무기 충전제, 소포제 등을 첨가제로서 더 첨가할 수 있다.
(b) 저굴절층
본 발명에서 저굴절층(22)은 굴절률이 1.35~1.50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굴절률이 1.35 미만일 경우에는 사용 가능한 재료의 종류가 과도하게 제한되며, 굴절률이 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굴절 하드코팅층(21)과 조합한 경우에 반사 방지 효과가 저하된다.
저굴절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0~1,000nm 범위가 좋고, 50~300nm의 값이 가장 좋다. 다만, 저굴절층의 구체적인 두께는 고굴절 하드코팅층과 맞추어 상쇄 간섭 현상인 광학 현상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
저굴절층(22)은 수산기를 함유한 불소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불소수지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이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는 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와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불소원자를 함유하는 단량체로서는 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불화비닐리덴, 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 트리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불화알킬비닐에테르, 불화알콕시 알킬비닐에테르, 과불수 함유 알킬비닐에테르, 과불소 함유 알콕시비닐에테르, 불소함유 (메타)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산기 또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는 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 프로필비닐에테르, 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헥실 비닐에테르, 히드록시에틸아릴에테르, 히드록시부틸아릴에테르, 글리세롤모노알릴 에테르, 알릴알콜, 히드록시 메타(에틸)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저굴절층(22)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상기의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 경화제로서 열 또는 광 중합 개시제, 그리고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낮은 굴절률을 갖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입자 혹은 마그네슘 계열의 무기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로는 열 또는 광 중합 개시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함불소 공중합체,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의 함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층(22)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로는 고굴절 하드코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용매와 같은 종류의 것을 사용하면 특별한 제한이 없고, 코팅 공정 상에서 비점 및 점도 조절 용도로 주 용매 외에 부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굴절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로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판올, 이소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 이소 브틸 케톤, 메틸 에틸 케톤 등의 케톤류, 초산 메틸, 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 류, 톨루엔, 크실렌, 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 디 에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 류 등을 들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층
본 발명에서 근적외선 흡수층은 도 1에서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 개선층(30)을 의미한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30)은 투명 기재(10)의 타면에 형성되며, 550~62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기능을 가지고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구현하며, 근적외선을 안정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900~980nm 파장의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인 물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900~980nm 파장에서의 최대 광선 투과율과 최저 광선 투과율의 차이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층은 티올 니켈 착물, 디임모늄계 화합물, 폴리 메틴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및 나프탈로사아닌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제1색소; 및 포피린계 화합물, 시아닌계 화합물 및 스쿠아릴륨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제2색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색소는 근적외선 흡수를 위한 성분이며, 제2색소는 색재현율 증진 및 색보정, 즉, 550~62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기능을 가지고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구현하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제1색소의 티올 니켈 착물, 디임모늄계 화합물, 폴리 메틴계 화합물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로서 시판되는 것으로는 야마모토 케미칼의 YKR3080, YKR3070, YKR2900, 일본 촉매의 IR 시리즈, 미도리 화학의 MIR101, 나가세의 AM 및 IM 시리즈, Japan Carlit 사의 CIR 1081, CIR 1085, FD-HB, FD-RH, Nippon Kayaku 사의 PDC 220 C, PDC 680, 일본촉매 PD 311, PD 319, PD346 Asahi Denka TY171, TY102 등이 있다.
상기 제2색소의 포피린계 화합물, 시아닌계 화합물 또는 스쿠아릴륨계 화합물로서 시판되는 것으로는 하야시바라 바이오케미칼(Hayashibara biochemical)사 제품인 HAO-01, 아사히 덴카(Asahi Denka)사 제품인 TY-171, 야마다 케미칼(Yamada Chemical)사 제품인 TAP-2, TAP-5, TAP-9, TAP-10, 일본화학사 제품인 TAP 18 및 미쯔이 케미칼사 제품인 PD-319, PD-311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색소로서, 상기 포피린계, 시아닌계, 스쿠아릴륨계 색소 외에, 효과적인 색보정을 위해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메틴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및 디스아조(Disazo)계 색소 등을 추가로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안트라퀴논계 색소 중 아미노안트라퀴논계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엠도흐멘(M.Dohmen)사 제품의 색소 Green-5B, Blue-RR, Redvio-RV, Violet-R 및 Green-G 등이 있고, 상기 페린온(Perinone)계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엠도흐멘사 제품의 색소 Red A2G 등이 있으며, 상기 디스아조(Disazo)계 색소로서 시판되는 상품으로는 엠도흐멘사 제품의 색소 Black KB, Black K 및 야방(Yabang)사 제품의 색소 Yellow 93(C21H18N4O2)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근적외선 흡수층은 효과적인 근적외선 차단을 위해 금속 산화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주석 도핑 산화 인듐, 안티모늄 도핑 산화 주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제1색소, 제2색소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열, 자외선, 전자선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경화 또는 건조되는 수지로서 멜라민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이미드계, 실리콘계 및 아크릴계 수지를 1종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인더 수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색소 0.01~30중량부 및 상기 제2색소 0.000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로는 케톤화합물인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아세톤(Ac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사이클로펜타논(Cyclopentanone)이나 에테르 화합물인 디옥솔란(Dioxolane), 디옥신(Dioxan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그리고 방향족화합물인 톨루엔(Toluene) 및 자일렌(Xylene)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함량에는 제한이 없으며, 조성물의 점도나 막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9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상술한 제1색소 및 제2색소를 용제에 교반하고,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투명 기재(10)에 코팅한 후 가열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근적외선 흡수를 위한 제1색소와 색재현율 증진 및 색보정을 위한 제2색소를 동시에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보다 선명한 색재현성과 동시에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반사방지층(20)이나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 개선층(30) 내부 또는 표면에 점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사방지층(20)이나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 개선층(30) 내부에 점착제를 포함시켜 이용하거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시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광학 필름용 점착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아크릴계 점착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열 경화형 점착제 등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마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1종 이상을 중합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산, 말레익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시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메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나,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중합성 비닐계 모노머 등을 공중합 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 성분은 점착제에 대해서 0.5 ~ 20 중량%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양호한 점착성을 나타낸다. 점착성 바인더의 분자량은 5만 ~ 200만 정도의 것이 적당하고, 유리전이온도는 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나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등의 에폭시계 가교제, 부톡시 멜라민 등의 멜라민계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도 좋다. 가교제를 첨가하면 점착층의 탄성을 높여 준다. 특히 색소의 첨가시 점착층의 탄성이 낮으면 라미네이션할 때 점착층의 무너짐으로 인해 색조의 불균형을 가져오기 쉽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점착성 수지에 대하여 0.1 ~ 5 중량%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외에 실리콘계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점착제는 시아닌계 색소의 파괴를 적게 일으킨다. 이러한 점착제는 알케닐기를 포함한 유기폴리실록산(organopolysiloxane)과 SiH기를 포함한 포함한 유기수소 폴리실록산(organohydrogen polysiloxane)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과 백금화합물과 같은 촉매에 의하여 부가반응이 일어나 경화하게 된다. 점착특성은 알케닐기를 포함한 유기폴리실록산과 SiH기를 포함한 유기수소 폴리실록산의 배합비를 바꿈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케톤화합물인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Acetone),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사이클로펜타논(Cyclopentanone) 이나 에테르 화합물인 디옥솔란(Dioxolane), 디옥신(Dioxane),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그리고 방향족화합물인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착제는 본 발명의 반사방지기능이나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사방지층 또는 근적외선 흡수층 제조를 위한 조성물에 대해 5~50중량%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리콘으로 처리된 중박리 이형필름에 클로즈드 에지 다이 코팅이나 리버스롤 코팅, 바코팅 등의 방법으로 코팅한 후 경박리 이형필름을 코팅면 위에 라미네이션하여 점착필름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제 상에 박리필름이나 시트(이형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점착층에 자외선 차단을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기도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학 필름의 반사 방지층(20)에 상술한 GZO 입자 등의 자외선 차단 특성을 도입할 경우, 그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색 콘트라스트(contrast)의 향상을 위해 반사 방지층(110)에 안료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을 함유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디스플레이 필터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전자파 차폐 필름 상단(40)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적층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 필름은 전자파 차폐 필름과의 접착을 위해, 근적외선 흡수층과 전자파 차폐 필름 사이에 점착층을 형성시켜 이용하거나, 근적외선 흡수층에 점착제 성분을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필터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색재현성 증진, 반사방지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이 1장의 필름에서 구현되므로, 단일 필름만으로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리모컨 오작동 등의 원인이 되는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으며,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들이 1장의 필름에 구현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디스플레이 필터 제작을 위한 필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는 CRT(Cathode-Ray Tube) 디스플레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이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 개선층에 점착제 성분이 포함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도 1의 광학 필름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광학 필름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근적외선 흡수 및 색재현 개선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는 가시광선 반사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1~2 , 비교예1 ~2. 광학 필름의 제조
[실시예1]
일본 칼릿(Japan Carlit)사의 색소인 CIR 1085(제1색소) 0.23g과 일본화약의 색소인 TAP 18(제2색소, 포피린계 색소) 0.01 g을 메틸에틸케톤 8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바인더 수지인 Halshybrid IR-G 205 17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액을 반사 방지층이 있는 투명 기재(도요보社 PET필름 A4300)의 반사 방지 처리층 반대면에 코팅한 후 80℃로 1분간 건조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2]
일본 화약(Nippon Kayaku)사의 색소인 PDC 680(제1색소) 0.13g과 Asahi Denka사의 색소인 TY 171(제2색소, 시아닌계 색소) 0.007g을 메틸에틸케톤 8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바인더 수지인 Halshybrid IR-G 205 17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액을 반사 방지층이 있는 투명 기재(도요보社 PET필름 A4300)의 반사 방지 처리층 반대면에 코팅한 후 80℃로 1분간 건조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1]
일본 칼릿(Japan Carlit)사의 색소인 CIR 1085(제1색소) 0.18g과 엠도흐멘(M.Dohmen)사의 색소인 Red A2G 0.03g(페린온계 색소)을 메틸에틸케톤 8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바인더 수지인 Halshybrid IR-G 205 17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액을 반사 방지층이 있는 투명 기재(도요보社 PET필름 A4300)의 반사 방지 처리층 반대면에 코팅한 후 80℃로 1분간 건조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하였다.
[비교예2]
일본 칼릿(Japan Carlit)사의 색소인 CIR 1085(제1색소) 0.20g을 메틸에틸케톤 8g과 혼합하여 색소가 충분히 녹을 때까지 교반한 후 일본촉매(Nippon Shokubai)사의 바인더 수지인 Halshybrid IR-G 205 17g을 첨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액을 반사 방지층이 있는 투명 기재(도요보社 PET필름 A4300)의 반사 방지 처리층 반대면에 코팅한 후 80℃로 1분간 건조하여 광학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1,2 및 비교예1,2의 조성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제1색소 CIR 1085 PDC 680 CIR 1085 CIR 1085
제2색소 TAP 18 TY 171 Red A2G -
바인더수지 HalshybridIR-G
용제 메틸에틸케톤
실험예 . 광투과율 광반사율 측정
상기 실시예1,2 및 비교예1,2에서 수득한 광학 필름을 스펙트로포토미터(Perkin-Elmer사제 Lambda 950 spectrophotometer)로 광투과율 및 광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으며, 특히 380 ~ 750nm의 특정파장 영역에서의 광최저 반사율, 최저 반사율 파장, 평균반사율과 980nm에서의 근적외선 투과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색재현율은 CS 1000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TSC 대비
색재현율
380nm~750nm 900 ~ 1000nm
색재현율(%) 최저 반사율
(%)
최저 반사율
파장(nm)
평균반사율
(%)
근적외선 투과율
(%, 980nm)
실시예 1 83.9 1.0 635 1.3 1.7
실시예 2 82.2 0.9 629 1.5 10.2
비교예 1 78.2 1.0 609 1.4 4.6
비교예 2 79.9 1.1 618 1.4 2.4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색소 및 제2색소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1 및 실시예 2의 광학 필름은 각각 평균 반사율 1.3%, 1.5%, 근적외선 투과율 1.7%, 10.2%이며, 색재현율이 83.9%, 82.2%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제1색소만 포함하고 제2색소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광학필름이나, 제2색소로서 포피린계, 시아닌계, 스쿠아릴륨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페린온계 색소만을 포함한 비교예 2의 광학필름은 각각 평균 반사율은 1.4%, 1.4%로 양호하였으며, 근적외선 투과율도 4.6%, 2.4%로 양호하였으나, 색재현율 78.2%, 79.9%로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비교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반사 방지 및 근적외선 흡수 효과는 있으나, 색재현 개선 효과는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반사 방지 기능, 근적외선 차단 기능 및 색상 재현 등을 1장의 필름에 동시에 구현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리모컨의 오작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색상 재현 능력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투명 기재, 반사 방지층 및 근적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일면에 반사방지층이 형성되고, 투명 기재 타면에 근적외선 흡수층이 형성되며,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550~620nm 파장 영역에서 흡수기능을 가지고 NTSC 대비 80% 이상의 색재현율을 구현하며, 900~980nm 파장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고,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티올 니켈 착물, 디임모늄계 화합물, 폴리 메틴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및 나프탈로사아닌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제1색소; 및 포피린계 화합물인 제2색소를 포함하고,
    상기 근적외선 흡수층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색소 0.01~30중량부 및 상기 제2색소 0.0001~3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광학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900~980nm 파장에서의 최대 광선 투과율과 최저 광선 투과율의 차이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소는 안트라퀴논계 색소, 페린온(Perinone)계 색소, 메틴계 색소, 모노아조(Monoazo)계 색소 및 디스아조(Disazo)계 색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은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무기산화물 입자를 포함하여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굴절 하드코팅층, 및 수산기를 함유한 불소수지를 포함하여 상기 고굴절 하드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저굴절층을 포함하며, 380~750nm 파장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은 1.35~1.50의 굴절률을 갖고, 고굴절 하드코팅층은 1.55~2.40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화물 입자는 GZO(Ga-doped ZnO)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 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 메테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염화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 또는 근적외선 흡수층은 내부 또는 표면에 점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11. 제1항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KR1020100140733A 2010-12-31 2010-12-31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KR10136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33A KR101362882B1 (ko) 2010-12-31 2010-12-31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33A KR101362882B1 (ko) 2010-12-31 2010-12-31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35A KR20120078435A (ko) 2012-07-10
KR101362882B1 true KR101362882B1 (ko) 2014-02-14

Family

ID=4671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733A KR101362882B1 (ko) 2010-12-31 2010-12-31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0889A (zh) * 2014-02-12 2016-09-28 罗羽柱 滤光片及包括该滤光片的成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343A (ko) *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7265B1 (ko) 2015-09-15 2019-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11067847B2 (en) 2015-09-15 2021-07-20 Lg Chem, Ltd.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polarizing plate
KR102373629B1 (ko) * 2019-04-08 2022-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137641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구조체, 광학 필터,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210027928A (ko) 2019-09-03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구조체, 광학 필터,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KR20210030764A (ko) 2019-09-10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구조체, 광학 필터,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CN115335731A (zh) * 2020-03-26 2022-11-11 三星Sdi株式会社 光学构件及包含其的光学显示装置
WO2021194305A1 (ko) * 2020-03-26 2021-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68A (ko) * 2005-06-27 2007-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용 필터
KR20100090057A (ko) * 2009-02-05 2010-08-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 및 그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35087A (ko) * 2009-06-16 2010-12-24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 방지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68A (ko) * 2005-06-27 2007-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근적외선 흡수 및 색보정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용 필터
KR20100090057A (ko) * 2009-02-05 2010-08-13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 및 그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35087A (ko) * 2009-06-16 2010-12-24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 방지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0889A (zh) * 2014-02-12 2016-09-28 罗羽柱 滤光片及包括该滤光片的成像装置
US10114155B2 (en) 2014-02-12 2018-10-30 Woo Joo LAH Optical filter and imaging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35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882B1 (ko) 반사 방지, 근적외선 흡수 및 고색재현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KR101178720B1 (ko) 반사 방지 기능 및 근적외선 흡수 기능을 동시에 갖는 광학 필름
KR1011291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JP3679976B2 (ja) 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JP7100225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0002825A (ja) 近赤外線吸収能を有する反射防止材
WO2014119505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101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24308B1 (ko) 반사방지 필름의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JP5165689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光学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0549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JP5050681B2 (ja) ディスプレイ用減反射性近赤外線低減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画像表示装置
JP2009500664A (ja) 耐衝撃性直接接触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フィルタ
JP200226053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JP2005114842A (ja) 近赤外線遮蔽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JP200901528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KR100737131B1 (ko) 반사방지 필름용 저굴절층 코팅액 및 이를 채용한반사방지필름
JP4311635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前面板
US20090148691A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5301004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21009244A (ja) 表示装置
KR100642438B1 (ko) 색보정층 및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용 필름
JP201001481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100715099B1 (ko) 대전방지성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반사방지필름 및 이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JP200616315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この反射防止フィルム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