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874B1 -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874B1
KR101362874B1 KR1020100139105A KR20100139105A KR101362874B1 KR 101362874 B1 KR101362874 B1 KR 101362874B1 KR 1020100139105 A KR1020100139105 A KR 1020100139105A KR 20100139105 A KR20100139105 A KR 20100139105A KR 101362874 B1 KR101362874 B1 KR 101362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draw ratio
stretching
film
alcoho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220A (ko
Inventor
박한수
배창석
정해룡
남주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8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다단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 및 이를 채용한 액정 디스플레이는 명암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Polarizing film,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보잉을 감소시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에 존재하는 전극에 전기장을 인가하면 그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하게 되고, 이를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어레이 기판과 칼라필터 기판의 외측에는 편광필름(편광판)이 구비되어 있다. 편광판은 백라이트로부터 입사되는 빛 및 액정층을 통과한 빛 중 특정 방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함으로써 편광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판은 빛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는 편광자(polarizer) 및 이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연신하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의 필름 중앙부는 고분자 주쇄가 연신방향에 평행하지만, 중앙부에서 단부로 벗어나면서부터는 연신방향에서 일정한 각도로 벗어나게 된다. 이 벗어난 각도를 보잉이라 한다. 보통 편광필름은 두 장을 직교 상태로 LCD TV 등에 적용되는데, 보잉에 의해 각도가 연신방향에서 벗어난 부분은 직교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보잉이 제거 내지 축소된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잉을 감소시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은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다단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다단연신에 의한 총연신비는 5.0배 내지 8.0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편광판은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다단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제1연신비(S1)로 연신하는 제1연신단계와 제2연신비(S2)로 연신하는 제2연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신단계 이후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연신단계를 거쳐 연신되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총연신비는 5.0배 내지 8.0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S1 및 S2는 1.5배 내지 3.0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연신단계는 상기 제2연신단계 이후 제3연신비(S3)로 연신하는 제3연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팽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가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연신비는 상기 폴리니닐알콜 필름의 주행경로를 따라 차례로 설치된 한 쌍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롤러 간의 회전속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연신비는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3롤러와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은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보잉을 감소시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은 다단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하며,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 바람직하게는 0.01도 내지 0.20도일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다단연신에 의해 연신되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총연신비는 5.0배 내지 8.0배, 바람직하게는 5.5배 내지 7.0배일 수 있다. 상기 총연신비 범위 내에서 고연신을 달성하면서도 연신시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절단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100)를 포함하며, 제1보호필름(102), 제2보호필름(106), 제3보호필름(104) 및 이형필름(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100)의 적어도 일면에는 보호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즉, 편광자(100)의 일면(상부면)에는 제1보호필름(102)이,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편광자(100)의 타면(하부면)에는 제2보호필름(106)이 적층될 수 있다. 제1보호필름(102)의 상부면에는 제3보호필름(104)이, 제2보호필름(106)의 하부면에는 접착층(108)을 매개로 이형필름(11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필름(102)과 제2보호필름(106)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Tri-Acetyl-Cellulose)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계,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폴리이미드(polyimide)계,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에스테르술폰(polyether sulfon)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TAC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3보호필름(104)은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용 편광판일 수 있으며, IPS(In-Plane Switching), Super-IPS, FFS(Fringe Field Switching) 등의 수평배향모드용 편광판일 수도 있고, 수직배향(VA)모드용 편광판일 수도 있다.
전술한 구체예는 일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제1보호필름(102)과 제3보호필름(104)의 사이에 AG(AntiGlare)층, ARC(AntiReflective Coating)층 등이 더 존재할 수 있으며, 제2보호필름(106)과 접착층(108) 사이에는 보상층(보상필름)이 더 존재할 수 있다. 그 밖에 휘도향상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반사 필름, λ/4 필름, 확산 필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편광판은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다단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기판(칼라필터기판)과 하부기판(어레이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구조를 취한다. 액정의 종류에 따라 액정모드가 결정되는데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액정모드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TN, STN 모드일 수도 있고, IPS, Super-IPS, FFS 등의 수평배향모드일 수도 있고, 수직배향(VA)모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패널일 수도 있고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패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필름을 다단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은 상용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용매 캐스팅법, 용융 압출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용매 캐스팅법은 수지를 용제에 녹인 용액을 캐스팅롤 또는 벨트에 코팅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고, 용융 압출법은 수지를 용융온도 이상으로 올려 융융시킨 후 냉락롤에 압출, 냉각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필름 제조를 위한 용액에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가소제, 건조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벨트 또는 드럼 등에서 잘 박리되도록 하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비닐알콜 필름 또는 상용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다단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수세/팽윤하고, 염색, 다단연신 및 보색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편광자 제조공정은 일 예에 불과하며,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고 일부 공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아래의 번호는 반드시 공정순서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공정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수세공정
수세 공정은 수세조(124)에서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공정의 전/후에 걸쳐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팽윤공정 전, 염색공정 후, 가교공정 후에 수세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B) 팽윤공정
팽윤 공정은 이후의 염색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팽윤시키는 공정으로서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분자사슬을 보다 유연하게 하는 공정이다. 즉, 물 또는 염화물, 붕산, 무기산, 유기 용매 등이 포함된 팽윤조(120)에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통과시킨다. 상기 팽윤조의 온도는 20~30℃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C) 염색공정
팽윤을 거친 폴리비닐알콜 필름(F)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dichoroic material)로 염색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색성 물질은 분자의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의 흡광도의 차이가 큰 물질로 서로 직교하는 편광의 한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편광성을 부여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 분자로 염색하기 위한 요오드 염색조(122)는 요도드 외에, 요오드화 칼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붕산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요오드 염색은 20~4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D) 가교공정
상기 염색공정 이후에 가교공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요오드 분자를 폴리비닐알콜 고분자 매트릭스에 강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가교제로는 붕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산화합물, 요오드화 칼륨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E) 다단연신공정
염색(염착)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은 다단연신공정을 거친다. 상기 다단연신은 2단 이상의 다단연신일 수 있으나, 도 2에는 설명의 편의상 3단 연신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3단 연신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단연신을 위해 한 쌍의 제1롤러(R1), 한 쌍의 제2롤러(R2), 한 쌍의 제3롤러(R3) 및 한 쌍의 제4롤러(R4)가 준비되며, 상기 롤러(R1, R2, R3, R4)의 회전속도의 차이로 연신비를 조절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 필름(F)은 제1롤러(R1)와 제2롤러(R2)를 통과하면서 첫번째로 연신되는 제1연신공정(단계)을 거치며, 제2롤러(R2)와 제3롤러(R3)를 통과하면서 두번째로 연신되는 제2연신공정(단계)을 거치며, 제3롤러(R3)와 제4롤러(R4)를 통과하면서 세번째로 연신되는 제3연신공정(단계)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제3연신공정은 생략될 수 있으며, 제3연신공정에 이은 제4연신공정 등이 더 존재할 수도 있다.
제1연신공정의 연신비를 S1, 제n연신공정의 연신비를 Sn이라 하면, 총연신비(ST)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1]
ST = S1 × S2 × … × Sn
예를 들어, 2단연신인 경우 ST = S1 × S2, 3단연신인 경우 ST = S1 × S2 × S3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 1m인 폴리비닐알콜 필름(F)을 제1연신에서 2m로 연신시키면 제1연신비(S1)는 2가 되며, 제2연신에서 4m로 연신시키면 제2연신의 연신비는(S2) 2가 되고, 제3연신에서 6m로 연신시키면 제3연신의 연신비(S3)는 6/4=1.5가 되고, 총연신비(ST)는 6(=2×2×1.5)이 된다.
상기 총연신비(ST)는 5.0배 내지 8.0배, 바람직하게는 5.5배 내지 7.0배일 수 있다. 상기 총연신비 범위 내에서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절단현상 등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고배율 연신이 수행될 수 있다. 각 연신단계에서의 연신비(S1, S2, …, Sn)는 1.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1.5배 내지 2.5배일 수 있다. 상기 연신비 범위 내에서 연신되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절단현상, 주름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고편광도, 고투과율의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다단연신공정은 팽윤공정, 염색공정, 가교공정, 보색공정 등과 같이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연신방법으로는 건식연신과 습식연신이 모두 가능하다. 건식연식법으로는 인터롤연신법(inter-roll stretching method), 압축연신법(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가열롤연신법(heated roll stretching metho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습식연신을 위한 연신조에는 붕산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연신조의 온도는 35℃ ~ 65℃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연신공정은 염색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가교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염색공정과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용액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가교공정과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에는 붕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진행될 수 잇다.
(F) 보색공정
연신공정을 거친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색보정을 하는 보색공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보색공정은 요오드화칼륨과 붕산이 함유된 보색조(126)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색공정은 요오드화칼륨은 1중량% 내지 10중량%, 붕산은 0.1중량% 내지 3중량% 포함된 보색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편광자는 두께가 0.5∼400㎛, 바람직하게는 5∼200㎛의 범위를 갖는다.
(G) 기능성 필름 부착공정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편광자가 와인더에 의해 감기면서 이동하는 동안 기능성 필름(128, 130)을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보호필름, 보상필름(compensation film), 휘도향상필름, λ/4 플레이트(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으로는 전술한 다양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TAC 필름이 바람직하다. TAC 필름은 목재펄프 등에서 파생되는 리그닌, 헤미셀룰로오스 등의 불순물을 제거해 얻어진 정제셀룰로오스를 용제로 녹인 후 가공해 필름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에 사용되는 TAC 필름은 투명성, 평활성, 광학적 등방성을 필요로 하며 빛을 편광시키는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편광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편광자 상하부(양면)에 2장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C 필름의 부착은 언와이딩 롤러(R5, R6)에 감긴 TAC 필름을 와인딩 롤러(R7, R8)로 감으면서 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부착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필름 부착공정 전 및/또는 후에 건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공정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이 건조로를 통과하는 동안 열풍건조 또는 근적외선 램프에 의한 복사열 건조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 실시예 비교예 >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연신비와 연신 수를 달리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공정조건 및 그 특성평가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S1, S2, S3는 각 연신단계에서의 연신비율이다. 아래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총연신비가 6배이고, 2단 또는 3단의 연신을 실시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명암비가 우수하였으며, 3단의 연신을 실시한 경우가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 연신을 실시한 비교예 1은 보잉 및 명암비 면에서 가장 열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총 연신비율 S1 S2 S3 보잉 편광도(%) 명암비
실시예 1 6 2 2 1.5 0.14 99.995 5,552
실시예 2 6 1.5 2 2 0.16 99.995 5,436
실시예 3 5 1.5 2 1.66 0.13 99.990 5,246
비교예 1 6 6 - - 0.28 99.995 5,153
비교예 2 6 2 3 - 0.26 99.995 5,345
상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은 Kuraray社의 VF-PS 75um이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수세/팽윤 공정, 염착 공정, 세정 공정 이후 1단, 2단 3단 연신을 실시하였다.
[흡수축 보잉 평가]
Axoscan(Axometrics社)를 사용해 필름의 보잉을 Cross Nicol법으로 측정하였다.
[편광도]
Jasoco社 V-7100 UV-Vis Spectrometer로 두 편광필름의 직교상태의 투과율(To) 및 평행상태의 투과율(Tp)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편광도를 구하였다.
편광도(%) =
Figure 112010087698485-pat00001

[명암비]
두 장의 편광판을 LCD 패널에 합지 후 SR-3(Topcon社)로 white 상태와 dark 상태에서 휘도 측정 후 그 비율로 구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편광자 102 : 제1보호필름
104 : 제3보호필름 106 : 제2보호필름
108 : 접착층 110 : 이형필름
120 : 팽윤조 122: 염색조
124 : 수세조 126 : 보색조
128, 130 : 기능성 필름
R1 : 제1롤러 R2 : 제2롤러
R3 : 제3롤러 R4 : 제4롤러

Claims (10)

  1.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3단 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3단 연신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제1연신비 1.2 내지 1.5배, 제2연신비 2 내지 3배, 제3연신비 1.5 내지 1.66배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 연신에 의한 총연신비는 5.0배 내지 8.0배인 편광판.
  3.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양면에 부착된 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편광판은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이며, 3단 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포함하고,
    상기 3단 연신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제1연신비 1.2 내지 1.5배, 제2연신비 2 내지 3배, 제3연신비 1.5 내지 1.66배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4.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제1연신비(S1)로 연신하는 제1연신단계, 제2연신비(S2)로 연신하는 제2연신단계, 및 제3연신비(S3)로 연신하는 제3연신단계를 포함하는 3단 연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신비는 1.2 내지 1.5배, 상기 제2연신비는 2 내지 3배, 제3연신비는 1.5 내지 1.66배이고,
    상기 3단 연신 단계 이후 보잉이 0.01도 내지 0.25도인 편광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를 거쳐 연신되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총연신비가 5.0배 내지 8.0배인 편광판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팽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색하는 단계 이후,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가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신비는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주행경로를 따라 차례로 설치된 한 쌍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롤러 간의 회전속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연신비는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주행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제3롤러와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KR1020100139105A 2010-12-30 2010-12-30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KR101362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05A KR101362874B1 (ko) 2010-12-30 2010-12-30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05A KR101362874B1 (ko) 2010-12-30 2010-12-30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20A KR20120077220A (ko) 2012-07-10
KR101362874B1 true KR101362874B1 (ko) 2014-02-14

Family

ID=4671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105A KR101362874B1 (ko) 2010-12-30 2010-12-30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8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437A (ja) 2000-11-08 2002-05-22 Nitto Denko Corp 光学補償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2008015000A (ja) 2006-07-03 2008-01-24 Japan Steel Works Ltd:The 偏光フィルムの湿式延伸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437A (ja) 2000-11-08 2002-05-22 Nitto Denko Corp 光学補償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2008015000A (ja) 2006-07-03 2008-01-24 Japan Steel Works Ltd:The 偏光フィルムの湿式延伸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20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32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31399B1 (ko) 광학 적층체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KR101437139B1 (ko)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CN101025456B (zh) 偏振镜的制造方法、偏振镜、偏振片、光学薄膜、图像显示装置及清洗装置
KR101768253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966079B2 (ja) 円偏光板、円偏光板用位相差板、有機el表示装置
KR101799133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94709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0170147A (ja) 液晶表示装置
US87736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plate
KR20190131575A (ko) 액정 표시 장치
US108456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76888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TW201641275A (zh) 光學積層體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該光學積層體之圖像顯示裝置
KR101362874B1 (ko)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CN107664789A (zh) 偏光板以及包含此偏光板的光学显示装置
KR20130074663A (ko) 편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1659134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217723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5997160A (zh) 偏光板、带相位差层的偏光板和图像显示装置
KR20140093908A (ko)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