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736B1 -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 Google Patents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736B1
KR101362736B1 KR1020130113768A KR20130113768A KR101362736B1 KR 101362736 B1 KR101362736 B1 KR 101362736B1 KR 1020130113768 A KR1020130113768 A KR 1020130113768A KR 20130113768 A KR20130113768 A KR 20130113768A KR 101362736 B1 KR101362736 B1 KR 10136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nding wall
device storage
enclosure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양
Priority to KR102013011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함체가 지붕부와 기기 저장부를 갖게 하고, 상기 지붕부 내부에 기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유통하는 자연풍통로 공간을 만들고, 상기 기기 저장부의 4개의 기립벽부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지붕부의 4개의 기립벽부 중 전후 기립벽부보다 함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지붕부의 전후 밑면에 자연풍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만들고, 상기 지붕부의 4개의 기립벽부에 통풍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빗물이 상기 함체 내부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풍구에 위에서 아래로 경사진 빗물침입방지용 루버를 상기 통풍구에 구비시키고, 상기 기기 저장부의 4개의 기립벽부를 평판의 속판과 파형판의 겉판을, 상기 속판이 상기 겉판에 대하여 밑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겉판이 상기 속판에 대하여 위로 더 돌출되게 배치하여 이들을 적층시켜서 리벳팅 등에 의해 이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속판의 하부에 외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구멍에 외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함체 내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box of switchgear having cooling sturcture by natural wind}
본 발명은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154,000㎸의 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되고, 1차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압을 22,900㎸로 강하하여 2차 변전소 및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소에서 고압으로 송전된 전력은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쪽으로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인 수배전반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수배전반은 통상적으로, 박스 형태를 이루면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지상의 특정위치나 전원공급이 필요한 위치 등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기초대위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전기의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전기의 설비가 대형화 및 첨단화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전기 사용의 다양화에 부응하여 수전부, 변압부, 배전부, 정류부, 차단부 및 콘센트 등이 내장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배전반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의 용량이 커지면서 점점 복잡하게 됨에 따라, 내부에 장착된 전기기기 등이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방열량이 매우 높아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데, 이러한 배전반 내부의 온도 상승 시 적절한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배전반 내부에 내장된 기기들이 녹아 버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단전을 초래할 수 있는 취약성이 있고, 이는 수용가에 대한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저하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을 종래의 수배전반은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배전반이 한국특허등록 제10-103309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수배전반의 함체는 환풍기의 날개의 힘에 의해서만 외기를 수배전반의 상하, 전후, 좌우에서 유입하여 환풍기의 날개를 거쳐서 다시 수배전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어서, 하절기에는 온종일 환풍기가 가동되게 되어 운용비용이 증대되고 환풍기의 노후가 신속하게 되어 자주 교체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배전반의 함체 내부에 그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시키고 상기 센서에서 소정된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환풍기를 가동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지만, 한번 수배전반의 함체 내부가 소정된 온도까지 상승되면 수배전반의 함체가 이미 가열되어 있지 때문에 상기 환풍기에 의해 신속하게 그 소정된 온도를 낮추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함체가 지붕부와 기기 저장부를 갖게 하고, 상기 지붕부 내부에 기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과 유통하는 자연풍통로 공간을 만들고, 상기 기기 저장부의 4개의 기립벽부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지붕부의 4개의 기립벽부 중 전후 기립벽부보다 함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지붕부의 전후 밑면에 자연풍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구를 만들고, 상기 지붕부의 4개의 기립벽부에 통풍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통풍구를 통하여 빗물이 상기 함체 내부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풍구에 위에서 아래로 경사진 빗물침입방지용 루버를 상기 통풍구에 구비시키고, 상기 기기 저장부의 4개의 기립벽부를 평판의 속판과 파형판의 겉판을, 상기 속판이 상기 겉판에 대하여 밑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겉판이 상기 속판에 대하여 위로 더 돌출되게 배치하여 이들을 적층시켜서 리벳팅 등에 의해 이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속판의 하부에 외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구멍에 외기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함체 내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를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외기가 상기 지붕부에서 출입하는 상태에서 대류현상에 의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대류외기가 겉판과 속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아래로 들어와 상기 공간을 따라 위로 그리고 상기 속판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기기 저장부 내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간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속판을 식힌 대류외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거나 상기 루버가 달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지붕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지붕부에서 출입하는 출입외기의 흐름속에 들어가 출입외기와 함께 수배전반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속판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기기 저장부 내로 이동하는 대류외기가 기기 저장부 내에 배치된 기기들을 식히면서 상기 지붕부 내로 유입되어 상기 지붕부에서 출입하는 출입외기의 흐름속에 들어가 출입외기와 함께 수배전반 밖으로 배출되게 되어, 자연력에 의해 함체의 속판을 식히고 동시에 기기 저장부에 내에 마련된 기기들도 식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함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빈도수를 종래보다 현저히 낮추어서 환풍기의 가동수를 줄여 유지보수비용을 종래보다 낮출 수 있고, 겉판과 속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기기 저장부의 기립벽부가 단열판재로서 작용하게 되어 신속하게 함체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기기 저장부의 기립벽부가 평판과 파형판의 2겹으로 되어 있어서 후육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수배전반의 함체보다 구조적으로도 강도가 상승되어 상기 기기 저장부의 기립벽부의 평판의 속판과 파형판의 겉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종래보다 수배전반의 함체 제조비용이 절감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함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및
도 4는 도 1의 속판에 대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수배전반의 함체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함체(100)는 지붕부(10)와 기기 저장부(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붕부(10) 내부에는 기기 저장부(20)의 내부 공간(S2)과 유통하는 자연풍통로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기 저장부(20)의 4개의 기립벽부(21)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지붕부(10)의 4개의 기립벽부(11) 중 전후 기립벽부보다 함체(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지붕부의 전후 밑면(12)에는 자연풍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붕부(10)의 4개의 기립벽부(11)에는 통풍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풍구(14)를 통하여 빗물이 상기 함체(100)의 내부공간(S1, S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풍구(14)에는 위에서 아래로 경사진 빗물침입방지용 루버(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기 저장부(20)의 4개의 기립벽부(21)는 평판의 속판(21A)과 파형판의 겉판(21B)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속판(21A)은 상기 겉판(21B)에 대하여 밑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겉판(21B)은 상기 속판(21A)에 대하여 위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속판(21A)과 상기 겉판(21B)은 서로 적층되어 리벳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속판(21A)과 상기 겉판(21B) 사이에는 대류통로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4개의 기립벽부(21) 중 도어(24)가 구비된 기립벽부(21)를 제외한 기립벽부(21)의 상기 속판(21A)의 상변은 상기 지붕부(10)의 기립벽부(11)의 하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속판(21A)의 하부에는 외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22)에는 외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기기 저장부(20)의 내부공간(S2) 내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23)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도어(24)가 구비된 기립벽부(21)에는 종래와 같이 환풍기(30)가 구비되어 강제적으로 함체(100)의 내부공간(S1, S2)에 존재하는 공기가 함체(10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100) 내부에는, 종래와 같이,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는 상기 환풍기(30)에 접속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환풍기(30)가 가동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배전반의 함체는 다음과 같이 작용될 수 있다.
외기가 상기 지붕부(10)의 자연풍통로 공간(S1)에서 출입구(13)를 통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출입하는 상태에서 외기의 대류현상에 의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대류외기가 겉판(21B)과 속판(21A)에 의해 형성된 대류통로공간(S3)의 아래로 들어와 상기 대류통로공간(S3)을 따라 위로 그리고 상기 속판(21A)의 관통구멍(22)을 통하여 기기 저장부(20) 내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대류통로공간(S3)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속판(21A)을 식힌 대류외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거나 또는 상기 루버(15)가 달린 통풍구(14)를 통하여 상기 지붕부(10)의 내부로 들어왔다가, 속도수두가 높으면 압력수두가 낮아진다는 베르누이 정리에 의거하여, 상기 지붕부(10)의 자연풍통로 공간(S1)에서 출입하는 출입외기의 흐름 속에 들어가 출입외기와 함께 수배전반의 함체(100) 밖으로 배출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속판(21A)의 관통구멍(22)을 통하여 기기 저장부(20)의 내부공간(S2) 내로 유입된 대류외기가 기기 저장부 내에 배치된 기기들을 식히면서, 상기 베르누이 정리에 의거하여, 상기 지붕부(10)의 자연풍통로 공간(S1)에서 출입하는 출입외기의 흐름 속에 들어가 출입외기와 함께 수배전반의 함체(10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배전반의 함체는, 자연력에 의해 함체(100)의 속판(21A)을 식히고 동시에 기기 저장부(20) 내에 마련된 기기들도 식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함체(1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빈도수를 종래보다 현저히 낮추어서 환풍기(30)의 가동수를 줄여 유지보수비용을 종래보다 낮출 수 있고, 겉판(21B)과 속판(21A)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기기 저장부(20)의 기립벽부(21)가 단열판재로서 작용하게 되어 신속하게 함체(100)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기기 저장부(20)의 기립벽부(21)가 평판과 파형판의 2겹으로 되어 있어서 후육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수배전반의 함체보다 구조적으로도 강도가 상승되어 상기 기기 저장부(20)의 기립벽부(21)의 평판의 속판과 파형판의 겉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서, 종래보다 수배전반의 함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지붕부, 20; 기기 저장부, 30; 환풍기

Claims (3)

  1. 지붕부(10)와 기기 저장부(20)를 포함하고 있는 수배전반의 함체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10) 내부에는 기기 저장부(20)의 내부 공간(S2)과 유통하는 자연풍통로 공간(S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 저장부(20)의 4개의 기립벽부(21)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지붕부(10)의 4개의 기립벽부(11) 중 전후 기립벽부보다 함체(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지붕부의 전후 밑면(12)에는 자연풍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부(10)의 4개의 기립벽부(11)에는 빗물침입방지용 루버(15)가 달린 통풍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기 저장부(20)의 4개의 기립벽부(21)는 평판의 속판(21A)과 파형판의 겉판(21B)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속판(21A)은 상기 겉판(21B)에 대하여 밑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겉판(21B)은 상기 속판(21A)에 대하여 위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속판(21A)과 상기 겉판(21B)은 서로 적층되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속판(21A)과 상기 겉판(21B) 사이에는 대류통로공간(S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판(21A)의 하부에는 외기가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22)에는 외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기기 저장부(20)의 내부공간(S2) 내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2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기립벽부(21) 중 도어(24)가 구비된 기립벽부(21)를 제외한 기립벽부(21)의 상기 속판(21A)의 상변은 상기 지붕부(10)의 기립벽부(11)의 하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4)가 구비된 기립벽부(21)에는 환풍기(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함체(100) 내부에는,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는 상기 환풍기(30)에 접속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환풍기(30)가 가동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KR1020130113768A 2013-09-25 2013-09-25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KR10136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68A KR101362736B1 (ko) 2013-09-25 2013-09-25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68A KR101362736B1 (ko) 2013-09-25 2013-09-25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736B1 true KR101362736B1 (ko) 2014-02-14

Family

ID=5027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768A KR101362736B1 (ko) 2013-09-25 2013-09-25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7826A (zh) * 2019-05-29 2019-08-16 吕美连 一种耐高温动力配电箱
KR102483452B1 (ko) 2021-12-01 2023-01-02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방열수단을 구비한 수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315A (ja) 2007-01-18 2008-07-31 Meidensha Corp 配電盤の冷却装置
KR100917415B1 (ko) 2009-04-07 2009-09-1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공냉식 냉각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090126688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배전반
KR101155300B1 (ko)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315A (ja) 2007-01-18 2008-07-31 Meidensha Corp 配電盤の冷却装置
KR20090126688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배전반
KR100917415B1 (ko) 2009-04-07 2009-09-14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공냉식 냉각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155300B1 (ko)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7826A (zh) * 2019-05-29 2019-08-16 吕美连 一种耐高温动力配电箱
KR102483452B1 (ko) 2021-12-01 2023-01-02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방열수단을 구비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752B2 (en) Electrical cabinet with two cooling channels
KR200411963Y1 (ko) 배전반의 방열장치
KR20090126688A (ko) 워크인 배전반
CN203150958U (zh) 一种具有散热结构的高压开关柜
KR20070103730A (ko) 수배전반 온습도 조절장치
EP3263803B1 (en) Substation
KR100917379B1 (ko) 수, 배전반용 큐비클 및 변압기 함체
KR20160005583A (ko) 지중 온도를 이용한 수배전반 냉각 시스템
KR102153257B1 (ko) 자연배기가 가능한 옥외용 자가대류 수배전반 장치
CN207801282U (zh) 一种中压柜散热结构
CN205791086U (zh) 一种具有良好散热效果的配电柜
RU2598475C2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м модулем дл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в башне
KR101362736B1 (ko)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수배전반의 함체
KR101403013B1 (ko) 수배전반
NZ527125A (en) K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ctric power cabinet for an outdoor area
KR101637181B1 (ko) 자연풍냉각구조를 가진 함체
KR20180025497A (ko) 열배출이 가능한 배전반
KR20190090586A (ko) 수배전반의 온도상승 방지구조
KR101032348B1 (ko) 칼콤 도어를 갖는 수배전반
NL1018804C2 (nl) Cabine ter bescherming van een zenderinstallatie of andere elektrotechnische telecommunicatie-apparatuur.
CN216085854U (zh) 一种隧道配电柜防潮除湿装置
KR102390776B1 (ko) 기류 방열기능을 갖는 전기외함
CN204992344U (zh) Ggd型低压固定式开关柜
CN211352690U (zh) 一种防凝露矿用隔爆兼本安型控制箱
CN207743362U (zh) 一种锂电池阻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