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144B1 -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 Google Patents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144B1
KR101361144B1 KR1020130096158A KR20130096158A KR101361144B1 KR 101361144 B1 KR101361144 B1 KR 101361144B1 KR 1020130096158 A KR1020130096158 A KR 1020130096158A KR 20130096158 A KR20130096158 A KR 20130096158A KR 101361144 B1 KR101361144 B1 KR 10136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lagstone
brush
fieldston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숙
오지석
Original Assignee
통명석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통명석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통명석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버너의 불꽃을 애벌 가공된 판석의 표면에 분사하여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석재 고유의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브러시로 그 표면의 거친면을 부드럽게 가공하여 유지보수의 용이 및 수명이 길도록 한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산지에서 운반된 원석을 소정 규격에 맞춰 할석기를 통하여 켠 후 판석을 형성하고, 상기 판석을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상기 판석의 표면에 버너 가공부의 버너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게 한 후, 브러시 가공부를 통하여 거칠게 된 부분의 잔유물을 이탈시킨 후 재단하여 석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Burner brushed fieldstone for prevention of pollution}
본 발명은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버너의 불꽃을 판석의 표면에 분사하여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석재 고유의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브러시로 그 표면의 거친면을 부드럽게 가공하여 오염이 잘 안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수명화가 가능한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가공, 설치, 포장 등에 관한 공사를 돌공사(masonry)라 하고, 돌공사에는 주로 화강암, 안산암 등의 화성암, 사암, 응회암 등의 퇴적암, 대리석(이하, "석재"라 칭함) 등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석재는 천연 상태 보다는 흑두기, 도드락 정다듬, 잔다듬, 물갈기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돌공사에 사용되어지는 석재는 먼저, 채석장에서 채석된 원석을 할석기를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켜낸 후 켜내진 할석의 표면에 쇠메로 면을 다듬는 흑두기를 하고, 다음에 정을 가지고 평탄하게 하는 정다듬을 한다. 다음, 네모 망치에 뿔이 많이 돋은 도드락 망치를 이용하여 정다듬한 면을 보다 평탄하고 세밀하게 다듬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돌공사를 마치게 되면 판상의 판석이 형성되는데, 상기 판석은 건축 및 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방법은 인공적인 가공이 가해지는 것으로서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시도가 있었으나, 대량생산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번번이 실패하였다.
따라서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석의 표면에 버너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불꽃을 가하여 석재의 질감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표면이 거칠고, 울퉁불퉁하여 장기간 사용 시 거친 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제거가 매우 어렵고, 거칠어진 면이 쉽게 벗겨져서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099632호 등록특허 10-109963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너의 불꽃을 이용하여 판석의 표면을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석재 고유의 자연미를 느끼게 하면서도, 브러시로 버너 가공에 의해 거칠게 된 면을 가공하여 부드럽게 함으로서 석재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석재의 대량생산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10)의 표면에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10)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되는 1차 가공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후단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41), 상기 각 지지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42),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축공(44)이 형성되는 지지축(43),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축(43)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지지축(43)을 당겨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45), 상기 각 축공(44)에 삽입되되 표면에 브러시(46)가 구비되는 회전축(47), 및 상기 회전축(47)에 구동력을 벨트(52)에 의해 전달하는 모터(50)를 포함하는 브러시 가공부(4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가공면 중 거친 부분의 잔유물을 이탈시켜 형성되는 2차 가공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 가공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 후단부 영역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판석의 표면에 불꽃을 분사하는 버너가 결합되는 제1 이동체; 상기 제1 이동체와 결합되어 제1 이동체와 동시에 이동되는 제2 이동체; 상기 제2 이동체를 가이딩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를 지지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 외측부에 구비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에 의하면, 건축 및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판석의 표면을 버너를 통하여 1차로 가공하고, 버너 가공을 통하여 발생된 잔유물을 브러시 가공부를 통하여 2차로 가공함으로써 판석의 표면을 부드럽고 매끈하게 처리하여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 버너 가공부 및 브러시 가공부를 통하여 대량으로 석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기간의 단축 및 인건비 절감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하여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 가공부에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으로서, 다양한 두께의 판석의 가공 시에도 별도로 브러시의 조작이 필요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건비 등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버너에 의해 석재의 가공된 면이 브러시에 의해 연마됨으로 인하여 가공면이 마치 코팅층이 형성된 것처럼 부드럽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표면의 청소가 단순히 버너가공만 한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편리하고, 나아가 표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판석이 배출되는 측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의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판석이 배출되는 측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 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는, 최초, 석산에서 채광되어진 자연석인 원석을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운반된 원석을 할석기를 통하여 켠 후 판석(10)으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석(10)은 사용되어지는 용도에 맞춰 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할석기를 통하여 생성된 판석(10)을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전후방에는 가공전 또는 가공후의 판석이 운반수단에 의해 하역이 용이하도록 운반컨베이어(21)가 구비된다.
이후, 상기 이송컨베이어(20)로 이송되는 판석(30)의 표면에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 불꽃을 직접 분사하게 된다.
이후, 상기 버너(30)에 의해 표면이 거칠게 된 판석(10)을 브러시 가공부(40)를 통하여 잔유물을 이탈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잔유물이 이탈된 판석을 용도에 따른 사이즈 즉, 후술할 표준에 맞춰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버너브러시 석재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사항을 정리하면,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는, 판석(10)의 표면을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를 통하여 1차로 가공하여 1차 가공면을 형성하고, 버너 가공을 통하여 발생된 잔유물을 브러시 가공부(40)를 통하여 2차로 가공하여 2차 가공면을 형성함으로써 석재의 표면을 부드럽고 매끈하게 처리하여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컨베이어, 버너 가공부, 브러시 가공부를 통하여 대량으로 석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시간의 단축 및 인건비 절감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하여 경제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살펴 본 천연산 석재를 가공하여 유통되는 석재는, 주로 토목 및 건축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기술표준원의 표준에 따라 가공되어야만 하며, 상기한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도 하기의 표준에 의거하여 제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상기 표준은 KS F 2375 : 노면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방법, KS F 2518 : 석재의 흡수율 및 비중 시험방법, KS F 2519 : 석재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530 : 석재, KS F 2530-1 : 보차도 포장용 판석과 같은 인용 표준에 따라 가공되어야 하며 상기한 각 방법은 필수적이다.
둘째, 상기 판석의 경우 용도에 따라 구분되며, 포장용 판석과 건축용 판석으로 구분된다.
게다가 상기 각 판석은 표면 마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표면마감에 따른 구분은 표 1에 따른다.
호 칭 마감처리방법
잔다듬 날망치 등을 이용하여 쪼는 방법으로 거칠게 마감처리
고운다듬 쇠구슬 등을 이용하 쪼는 방법으로 거칠게 마감처리
도두락 다듬 뾰족한 망치 등을 이용하여 쪼는 방법으로 마감처리
정다듬 정을 이용하여 쪼는 방법으로 마감처리
줄다듬 롤러 톱을 이용하여 줄을 만드는 방법으로 거칠게 마감처리
버너 표면에 열을 가하여 돌이 튀게 하는 방법으로 마감처리
연마 그라인더 물갈기용 연마돌을 부착하여, 물을 뿌리면서 연마하는 방법으로 광이 나게 마감처리
흑두기 표면에 자연스럽게 돌기(흑두기)를 형성하여 마감처리
굴림판석 굴림통에 사고석을 넣고 회전시켜 모서리 등을 마모되게 마감처리
셋째, 상기 판석의 겉모양을 균일하고, 구부러짐, 균열, ?음, 빠진 조각, 오목, 철분 등이 사용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함유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그 성능은 포장용 판석의 경우 KS F 2530에서 규정한 2등품 이상, 건축용 판석은 1등품 이상으로 하기 표 2에 적합하여야 하며, 기타 함유물로 인하여 설치 후 형태나 색상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구 분 압축강도
Mpa(=N/㎟)
휨강도
Mpa(=N/㎟)
흡수율
(%)
미끄럼저항
(BPN)
경 석 80 이상 5.0 이상 3 미만 40 이상
넷째, 상기 판석 치수의 경우 하기 표 3에 적합하여야 한다.
종 류 호칭치수 치 수
가로 세로 두께(1)
포장용 판석 T30, 200
T40, 300
T50, 450
200
300
450
200
300
450
30, 40, 50, 60,
70, 80, 100,
120, 150
건축용 판석 T30, 300
T30, 450
T30, 600
300
450
600
300
450
600
30, 40
허용차 ±2.0 ±3.0
다섯째, 상기 판석의 경우 가공방법에 경우에도 다음과 같다.
형상과 치수에 맞도록 기계켜기한 후 자국 및 결점 등이 있을 때에는 이를 없애고 마감처리 한다.
또한, 시공한 후 연결되는 석재와의 이음부분 틈새 간격이 일정하도록 부착면과 노출면에 대하여 켜기 부분이 직각이 되어야 한다. 단, 표면마감에 따른 구분 중 부정형 판석과 굴림 판석은 예외로 한다.
게다가 표면마감은 노출면을 상기한 표면마감처리 방법에 따라 마감처리 한다.
여섯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가공된 판석은 여러 가지 시험을 거치게 된다. 압축강도 시험의 경우 KS F 2519를 따르며, 휨강도의 경우 KS F 2530-1에 따르며, 흡수율 시험의 경우 KS F 2518에 따르고, 미끄럼 저항 시험의 경우 KS F 2375에 따라 시험을 거치게 된다.
일곱째, 상기와 같이 시험을 마친 판석은 겉모양, 치수 및 치수 허용차, 압축강도, 휨강도, 흡수욜 및 미끄럼 저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겉모양, 치수 및 허용차에 대해 살펴보면, 겉모양 검사는 전수에 대하여 실시하고, 치수 및 치수 허용차 검사는 10000개 미만은 5개, 10000~100000개 미만은 10개, 100000개 초과시에는 50000개마다 5개를 추가한 시료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상기 표 3에서 정한 규정에 적합하면 그 시료가 대표하는 로트전부를 합격으로 한다.
또한, 압축강도, 휨강도 및 흡수율에 대해 살펴보면, 압축강도의 검사는 건축용 판석에 적용하고 휨강도 검사는 포장용 판석에 적용하되, 시료의 길이가 시간과 시료두께를 합한 치수보다 적어 휨강도 시험이 불가능한 경우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압축강도, 휨강도, 흡수율 검사는 판석의 종류별로 6개월 마다 시편 3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표 2에서 정한 규정에 적합하면 합격으로 한다.
게다가 미끄럼 저항에 대해 살펴보면, 미끄럼 저항의 검사는 포장용 판석 중 잔다듬, 고운다듬, 도두락다듬, 정다듬, 줄다듬, 버너로 표면마감된 제품에 적용하며, 마감 종류별로 1년 마다 3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표 2에서 정한 규정에 적합하면 합격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건축 및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판석의 경우 상기의 엄격한 규정을 통하여 불량률을 최대한으로 규제하고 있고, 이러한 규제는 안전사고와 직결되므로 상기한 표준의 여러 항목들에 의거하여 건축 및 포장용 판석을 제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상기한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제조장치는, 원산지에서 운반된 원석을 소정 규격에 맞춰 할석기를 통하여 켠 후 판석(10)으로 형성하고, 상기 판석(10)의 하중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운반컨베어어(21)가 설치되어 판석(10)이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구동력을 통해 이송될 시 하중을 분산하고, 이송컨베이어(20)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되는 판석(10)의 표면에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상기 판석(10)의 표면을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는 버너(36)가 설치되는 버너 가공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36)는 좌우로 이동을 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판석(10)의 표면에 불꽃을 직접분사하게 되된다.
상기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20) 후단부 영역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31)와, 상기 제1 가이드(31)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판석(10)의 표면에 불꽃을 분사하는 버너(36)가 결합되는 제1 이동체(32)와, 상기 제1 이동체(32)와 결합되어 제1 이동체(32)와 동시에 이동되는 제2 이동체(33)와, 상기 제2 이동체(33)를 가이딩하는 제2 가이드(34) 및 상기 제2 가이드(34)를 지지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20) 외측부에 구비되는 지지체(3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석(10)이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전진될 시 상기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판석(10)의 표면에 불꽃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송컨베이어(20)는 연속적으로 판석(10)을 이송시킬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판석(10)을 이송시킬 수도 있다. 즉, 버너(30)가 좌우로 이동하는 중에는 이송컨베이어(20)의 이송이 중단되었다가 버너(30)의 좌우이동이 완료되면 이송컨베이어(20)의 이송이 개시될 수도 있고, 버너(30)의 좌우 이동과 무관하게 이송컨베이어(30)가 연속적으로 천천히 판석(10)을 이송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버너(30)를 이용한 가공을 마친 판석(10)의 1차 가공면의 거친 부분의 잔유물을 이탈시켜 석재로 형성하는 브러시 가공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브러시 가공부(4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후단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41)와, 상기 각 지지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42)과,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축공(44)이 형성되는 지지축(43)과,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축(43)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지지축(43)을 당겨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45)과, 상기 각 축공(44)에 삽입되되, 표면에 브러시(46)가 구비되는 회전축(47) 및 상기 회전축(47)에 구동력을 벨트(52)에 의해 전달하는 모터(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50)의 회전축에는 모터풀리(5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7)에는 회전풀리(48)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풀리(51)와 회전풀리(48)에 벨트(52)가 결합되어 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축(47)으로 전달하여 회전축(47)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장스프링(45)은 인장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47)을 항시 당기고 있게 되므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와 브러시(46)는 소정 간격 떨어져 있도록 구성된다. 단, 판석(10)의 두께보다는 짧게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브러시(46)는 인장스프링(45)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여기서 인장스프링(45)의 탄성을 잘 조절하여서 이송컨베이어(20)와 브러시(46) 사이의 간격이 가공할 판재의 두께보다 약간 좁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하여 이송되는 판석(10)이 이송되면서 상기 브러시(46)와 이송컨베이어(20) 사이를 통과할 시 판석(10)의 두께에 의해 브러시(46)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인장스프링(45)이 회전축(47)을 탄성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46)와 판석(10)은 밀착될 수 있어 판석(10)의 브러시 가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석(10)의 가공은 정밀한 기계를 이용하여 가공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판석(10)의 두께는 그 편차가 크게 되므로 본 발명과 같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판석(10)의 두께 편차에 따라 가공된 제품의 품질이 차이가 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브러시의 높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판석(10)의 두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45)이 하우징(42)과 지지축(43) 사이에 개재되어 브러시(46)가 판석(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인장스프링(45)에 의해 지지축(43)은 항상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벨트(52)도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
벨트(5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신축성이 적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판석(10)의 두께 편차가 많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2)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모터가 지지대(41)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석(10)의 두께 편차가 적은 경우에는 도 2와 달리, 벨트(52)의 길이를 굳이 길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대(41)의 상부면에 모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제조장치를 통하여 할석된 판석에 버너 가공 및 브러시 가공을 하게 되면, 대량으로 석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기간의 단축 및 인건비 절감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하여 경제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판석 20 : 이송컨베이어
21 : 운반컨베이어 30 : 버너 가공부
31 : 제1 가이드 32 : 제1 이동체
33 : 제2 가이드 34 : 제2 이동체
35 : 지지체 36 : 버너
40 : 브러시 가공부 41 : 지지대
42 : 하우징 43 : 지지축
44 : 축공 45 : 인장스프링
46 : 브러쉬 47 : 회전축
48 : 축풀리 50 : 모터
51 : 모터풀리 52 : 벨트

Claims (4)

  1.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10)의 표면에 버너 가공부(30)의 버너(36)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10)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되는 1차 가공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후단 양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41), 상기 각 지지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42),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축공(44)이 형성되는 지지축(43),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축(43)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지지축(43)을 당겨서 지지하는 인장스프링(45), 상기 각 축공(44)에 삽입되되 표면에 브러시(46)가 구비되는 회전축(47), 및 상기 회전축(47)에 구동력을 벨트(52)에 의해 전달하는 모터(50)를 포함하는 브러시 가공부(40)를 이용하여 상기 1차 가공면 중 거친 부분의 잔유물을 이탈시켜 형성되는 2차 가공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가공부(3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 후단부 영역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31);
    상기 제1 가이드(31)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판석(10)의 표면에 불꽃을 분사하는 버너(36)가 결합되는 제1 이동체(32);
    상기 제1 이동체(32)와 결합되어 제1 이동체(32)와 동시에 이동되는 제2 이동체(33);
    상기 제2 이동체(33)를 가이딩하는 제2 가이드(34) 및
    상기 제2 가이드(34)를 지지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20) 외측부에 구비되는 지지체(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KR1020130096158A 2013-08-13 2013-08-13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KR10136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158A KR101361144B1 (ko) 2013-08-13 2013-08-13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158A KR101361144B1 (ko) 2013-08-13 2013-08-13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144B1 true KR101361144B1 (ko) 2014-02-17

Family

ID=5027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158A KR101361144B1 (ko) 2013-08-13 2013-08-13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2580A (zh) * 2014-04-02 2014-06-18 青岛农业大学 一种全自动大理石火焰加工机
KR101460630B1 (ko) * 2014-08-07 2014-11-11 통명석재 주식회사 친환경 버너 석재
CN111152365A (zh) * 2020-01-17 2020-05-15 北京德生密山雕刻有限公司 一种石板切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63A (ko) * 1997-02-24 1998-10-26 김영창 건축 구조물의 내외장용 석판재 제조방법
JPH1134036A (ja) * 1997-07-14 1999-02-09 Deisuton:Kk 石材タイルの加工方法
KR20030050184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브러시롤 표면 연마휠을 갖춘 스트립 청정장치
KR100756017B1 (ko) 2006-11-07 2007-09-07 김병구 대리석 타일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763A (ko) * 1997-02-24 1998-10-26 김영창 건축 구조물의 내외장용 석판재 제조방법
JPH1134036A (ja) * 1997-07-14 1999-02-09 Deisuton:Kk 石材タイルの加工方法
KR20030050184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브러시롤 표면 연마휠을 갖춘 스트립 청정장치
KR100756017B1 (ko) 2006-11-07 2007-09-07 김병구 대리석 타일 제조 시스템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2580A (zh) * 2014-04-02 2014-06-18 青岛农业大学 一种全自动大理石火焰加工机
KR101460630B1 (ko) * 2014-08-07 2014-11-11 통명석재 주식회사 친환경 버너 석재
CN111152365A (zh) * 2020-01-17 2020-05-15 北京德生密山雕刻有限公司 一种石板切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144B1 (ko)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CN101195255A (zh) 大理石复合板生产工艺
CN103963174A (zh) 一种切割与打磨一体机
Kishore et al. A study on waste utilization of marble dust in high strength concrete mix
US111106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crete blocks
CN103882789B (zh) 一种道路或桥梁路面的修复工艺
CN102744792A (zh) 一种用于石材地板组块加工的自动切削设备
KR100457208B1 (ko) 석판재용 요철처리장치 및 요철처리방법
CN101927422B (zh) 一种钢丝切丸的制作工艺
KR101099632B1 (ko) 줄다듬 자연석 제조방법 및 줄다듬 자연석
CN104941767A (zh) 一种浮法玻璃生产线在线碎玻璃破碎装置
CN107020547A (zh) 一种石材磨边加工方法
CN202318035U (zh) 一种增强耐磨涂附磨具
EP1124774A1 (de) Oberflächenbehandelte mineralische werkstoff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579406B1 (ko) 석재 무늬 성형 절단기
CN103341826B (zh) 竹材表面处理的方法及竹地板的加工方法
CZ2010682A3 (cs) Zpusob úpravy povrchu plochého skla a zarízení k provádení tohoto zpusobu
CN212124240U (zh) 一种人造石的装饰花纹成型装置
JPH05131434A (ja) 自然石の地肌面加工方法
DE69922095D1 (de) Maschine zum Bearbeiten von Gesteinsoberflächen, insbesondere von Steinplatten oder dergleichen, sowie Marmor, Granit, aber auch Keramik und andere Baumaterialen, verwendet für Böden und Beläge
RU2619250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дереворежущих пил
CN108857594B (zh) 仿古地板及其表面处理方法、砂光机
JP2007126343A (ja) 混合骨材及びその利用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185972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uilding brick
KR101460630B1 (ko) 친환경 버너 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