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630B1 - 친환경 버너 석재 - Google Patents
친환경 버너 석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0630B1 KR101460630B1 KR20140101462A KR20140101462A KR101460630B1 KR 101460630 B1 KR101460630 B1 KR 101460630B1 KR 20140101462 A KR20140101462 A KR 20140101462A KR 20140101462 A KR20140101462 A KR 20140101462A KR 101460630 B1 KR101460630 B1 KR 1014606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ner
- vacuum suction
- basket
- stone
- suc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친환경 버너 석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의 불꽃을 판석의 표면에 분사하여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불꽃의 분사에 의해 판석의 표면에서 분리된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흡입하는 진공흡입기가 형성되어 불꽃에 의해 잔유물이 형성되는 동시에 흡입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잔유물을 제거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도록 품질이 향상된 친환경 버너 석재로서,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의 표면에 버너가공부의 버너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한 후, 상기 버너가공부와 연결된 진공흡입부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가공부에 의해 형성된 잔유물 및 비산먼지를 흡입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버너 석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의 불꽃을 판석의 표면에 분사하여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불꽃의 분사에 의해 판석의 표면에서 분리된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흡입하는 진공흡입기가 형성되어 불꽃에 의해 잔유물이 형성되는 동시에 흡입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잔유물을 제거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도록 품질을 향상시키고, 판석의 표면에서 분리된 잔유물인 고 순도의 모래를 구조물 등을 제조하는 데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버너 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가공, 설치, 포장 등에 관한 공사를 돌공사(masonry)라 하고, 돌공사는 주로 화강암, 안산안 등 화성암, 사암, 웅회암 등의 퇴적암, 대리석(이하, 석재라 정함) 등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석재는 천연상태 보다는 흑두기, 도드락 정다듬, 잔다듬, 물갈기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돌공사에 사용되어지는 석재는 먼저, 채석장에서 채석된 원석을 할석기를 이용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켜낸 후 켜내진 할석의 표면에 쇠메로 면을 다듬는 흑두기를 하고, 다음에 정을 가지고 평탄하게 하는 정다듬을 한다. 다음, 네모 망치에 뿔이 많이 돋은 도드락 망치를 이용하여 정다듬한 면을 보다 평탄하고 세밀하게 다듬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돌공사를 마치게 되면 판상의 판석이 형성되는데, 상기 판석은 건축 및 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방법은 인공적인 가공이 가해지는 것으로서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시도가 있었으나, 대량생산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번번이 실패하였다.
따라서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석의 표면에 버너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불꽃을 가하여 석재의 질감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또한, 고온의 불꽃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에는 비산먼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비산먼지는 공중으로 쉽게 날리게 되어 환경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흡입하는 경우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닥으로 떨어지는 잔유물은 바닥에 쌓이게 되어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쌓이는 잔유물로 인해 환경오염 및 인체에 해로운 영향으로 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판석의 표면이 일부 잔유물이 잔류하게 되면, 표면이 거칠고, 울퉁불퉁하여 장기간 사용 시 거친 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며, 거칠어진 면이 쉽게 벗겨져서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친환경 버너 석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의 불꽃을 판석의 표면에 분사하여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함과 동시에 불꽃의 분사에 의해 판석의 표면에서 분리된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흡입하는 진공흡입기가 형성되어 불꽃에 의해 잔유물이 형성되는 동시에 흡입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잔유물을 제거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도록 품질을 향상시키고, 판석의 표면에서 분리된 잔유물인 고 순도의 모래를 구조물 등을 제조하는 데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 버너 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의 표면에 버너가공부의 버너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한 후, 상기 버너가공부와 연결된 진공흡입부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가공부에 의해 형성된 잔유물 및 비산먼지를 흡입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단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레일에서 바퀴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하는 가이드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석의 표면에 불꽃을 분사하는 버너가공부; 및 상기 버너가공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대, 상기 버너가공부가 장착된 연결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버너가공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너가공부와 동시에 이동되는 진공흡입부;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낙하하여 바닥면에 쌓이는 잔유물을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탈된 잔유물을 담는 바스켓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버너가공부 및 상기 진공흡입부 상측에 구비되는 후드를 포함하되, 상기 후드에서 흡입한 비산먼지를 바스켓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후드와 상기 바스켓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의 끝단 또는 바스켓 중 어느 하나에는 살수장치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진공흡입부에서 흡입한 잔유물을 바스켓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진공흡입부에는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하는 제2연결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 및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판석을 버너가공부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버너 불꽃을 이용하여 표면을 거칠게 벗겨지도록 가공하는 동시에 표면이 벗겨지면서 발생된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진공흡입부에서 흡입하여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판석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유물을 흡입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아진 잔유물은 분순물이 섞이지 않은 고 순도의 모래이기 때문에 구조물 등을 만드는 재료로 재활용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판석의 표면이 벗겨지면서 발생되어 바닥으로 낙하하는 잔유물을 바스켓으로 모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진공흡입부의 상부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후드를 구비하여 진공흡입입부에서 흡입하지 못하고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흡입할 수 있고, 판석위에 잔류하는 잔유물을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바닥면에 낙하하고, 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판석의 표면을 거칠게 벗겨내어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을 제거하여 가공함으로써, 판석의 표면을 부드럽고 매끈하게 처리하여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표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의 버너가공부 및 진공흡입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의 바닥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스크류 및 바스켓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에 후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의 버너가공부 및 진공흡입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의 바닥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스크류 및 바스켓을 장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가공장치에 후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버너 석재를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버너 석재는 최초, 석산에서 채광되어진 자연석인 원석을 지게차와 같은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운반된 원석을 할석기를 통하여 켠 후 판석(200)으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판석(200)은 용도에 맞게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할석기를 통해 생성된 판석(200)을 이송컨베이어(100)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컨베이어(100)의 전후방에는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판석(200)이 운반수단에 의해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며, 이송컨베이어(100)의 구동력을 통해 하중을 분산하고 이동을 보조하는 운반컨테이너(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판석(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200)의 표면에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200)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한 후, 상기 버너가공부(300)와 연결된 진공흡입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가공부(300)에 의해 형성된 잔유물 및 비산먼지를 흡입시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석(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200)의 표면에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을 직접 분사에 의해 불꽃에 의해 열이 직접 닿는 면을 1차가공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불꽃을 받은 상기 1차가공면이 열을 전달하면서 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상기 1차가공면이 분리되면서 형성된 면을 2차가공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가공면 형성 시 상기 1차가공면의 분리는 상기 버너가공부(300)와 연결된 진공흡입부(400)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열이 직접 닿는 상기 1차가공면은 열의 전달에 의해 잔유물 및 비산먼지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유물 및 비산먼지는 상기 진공흡입부(400)에 의해 분리되어 판석(200)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에 직접 닿아 상기 1차가공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열이 전달되면서 상기 1차가공면이 잔유물 및 비산먼지로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진공흡입부(400)에 의해 상기 잔유물 및 비산먼지가 흡입되어 2치가공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판석은 상기 1차가공면과 상기 2차가공면이 공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1차가공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버너가공부(300)는 지지체(310), 이동레일(320), 이동체(330) 및 가이드(340)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어 지며, 상기 지지체(31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양단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는 막혀있는 형태이며, 버너가공부(300)가 이동하는 좌우방향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320)은 상기 지지체(310)의 양단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체(330)는 바퀴(331) 및 고정체(335)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레일(320)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이송레일에서 바퀴(331)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레일(320) 및 상기 이동체(330)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330)가 상기 이동레일(320)을 따라 이동 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하고, 상기 이동체(330)에 결합되는 가이드(34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버너가공부(300)는 다수의 결합체(500)에 의해 상기 이동체(33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이동체(33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판석(200)의 표면에 불꽃을 직접 분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컨베이어(100)는 연속적으로 판석(200)을 이송시킬 수 있고, 버너가공부(300)가 좌우로 이동 중에는 이송컨베이어(100)의 이송이 중단되었다가 버너가공부(300)의 좌우이동이 완료되면 이송컨베이어(100)의 이송이 개시될 수 있고,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좌우이동과 무관하게 이송컨베이어(100)가 연속적으로 천천히 판석(200)을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위의, 상기 버너가공부(300)를 상기 이동체(330)와 결합시키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동체(33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체(500)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체(33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체(335)는 상기 이동체(330)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500)는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구(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체(500)는 다수로 구비되어 볼트너트 결합으로 인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체(335)에 상기 결합체(500)의 관통구(510)의 일단을 일치시키고 상기 결합체(500)의 관통구(510)보다 크게 머리가 크게 형성된 너트와 볼트를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합된 결합체(500)의 일단에 다른 결합체(5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결합되는 결합체(500)의 개수는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결합체(500) 중 상기 버너가공부(300)에 연결되는 결합체(500)는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외주면 일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일단에 원통형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500) 결합 시 상기 결합체(500)의 결합각도 및 설치 간격에 따라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결합체(500)의 개수를 많게 하여 결합 할수록 상기 이동체(330)로 부터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체(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가공부(300)를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사선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버너가공부(300)를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판석(200)에 닿는 불꽃의 면적이 커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체(500) 결합 시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버너가공부(300)가 상기 판석(200)으로부터 가깝게 위치되거나 멀리 위치 될 수 있으며, 결합체(500)의 결합각도 및 설치간격은 제한을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열에 의해 형성된 잔유물을 흡입시키는 진공흡입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400)는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대(450)와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대(450)의 일단은 상기 버너가공부(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진공흡입부(400)와 상기 연결대(450)의 타단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연결대(450)는 상기 진공흡입부(400)와 상기 버너가공부(300)와의 설치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버너가공부(300)와 상기 진공흡입부(400)와의 간격은 상기 버너가공부(300)에서 발생되는 불꽃이 상기 진공흡입부(40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부(400)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기 안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공기를 먼지와 함께 빨아들이고, 모터의 회전력을 늘리면 흡입력이 높아지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동일한 원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부(400)의 흡입력은 판석(2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흡입하고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크기의 잔유물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500W이상의 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진공흡입기는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에 의해 표면을 거칠게 벗겨지도록 가공하는 동시에 표면이 벗겨지면서 발생된 비산먼지 및 잔유물을 진공흡입부(400)에서 흡입하여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부(400)에서 흡입한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은 후술할 후드(600)에 구비되는 제1연결관(610)과 연결되는 제2연결관(410)을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렇게, 비산먼지를 포함한 잔유물을 흡입하지만,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강력한 불꽃으로 인해 상기 진공흡입부(400)에서 흡입할 수 있는 반경을 벗어나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잔유물들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가벼운 비산먼지는 공중으로 날리게 될 수 있다.
이렇게, 입자가 작은 비산먼지들은 공중으로 날리게 되고, 입자가 비교적 큰 잔유물들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잔유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스크류(7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700)에 의해 이탈된 잔유물을 담아내는 바스켓(9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이렇게 바닥으로 낙하하는 잔유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수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집부(미도시)에서 모아진 모래를 이탈시키는 스크류(700) 및 상기 스크류(700)에 의해 이탈된 잔유물을 담아내는 바스켓(9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미도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0)가 구비되는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1차가공면 생성 시 발생되어 바닥면에 떨어지는 잔유물을 경사가 깊은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미도시)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폭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부(미도시)의 경사는 낙하한 잔유물이 스스로 경사가 가장 깊은 곳으로 모일 수 있는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각도는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수집부(미도시)의 경사가 가장 깊은 중앙부에는 스크류(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700)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집부(미도시)에서 모아진 잔유물을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700)에 의해 이탈된 잔유물은 상기 스크류(700)의 일측에 구비된 바스켓(900)으로 담기게 되며 상기 바스켓(900)은 상기 스크류(700)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유물이 바스켓(900)에 가득 찰 경우 지게차 등 바스켓(900)을 들어올릴 수 있는 수단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잔유물을 일정한 장소로 모아질 수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입기로 흡입되지 못하고,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는 상기 버너가공부(300) 및 상기 진공흡입부(400) 상측에 구비되는 후드(60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600)는 상기 진공흡입부(400)에서 흡입되지 못하고 넓은 반경의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드(6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00)의 길이와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드(600)에서 흡입한 비산먼지를 상기 바스켓(900)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후드(600)에는 상기 바스켓(900)과 연결되는 제1연결관(610)이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관(610)의 끝단 또는 바스켓(900) 중 어느 하나에는 이송되어진 상기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잔유물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에서 물보라처럼 분사가 가능한 살수장치(8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살수장치(800)는 밸브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양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판석(200)의 표면을 부드럽고 미끈하게 처리하여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표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석(200)에서 벗겨져 바스켓(900)에 모아진 잔유물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잔유물은 고 순도의 모래이기 때문에 구조물 등을 만들 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버너 석재의 제작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친환경 버너 석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1차가공면형성단계(S1), 제2차가공면형성단계(S2), 잔유물 처리단계(S3) 및 살수단계(S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차가공면형성단계(S2)와 잔유물 처리단계(S3) 사이에는 후드흡입단계(S23), 낙하잔유물수집단계(S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가공면형상단계(S1)는 판석(200)을 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하여 이송하면서 상기 표면에 버너가공부(300)의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200)의 표면을 거칠게 벗겨지게 하는 것이며, 제2차가공면형성단계(S2)는 상기 1차가공면형성단계(S1)에 의해 상기 판석(200)에 잔류하고 있는 잔유물 및 비산먼지를 상기 버너가공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진공흡입부(400)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제2차가공면형성단계(S2)에서 미처 흡입하지 못하고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는 후드흡입단계(S22)를 통하여 흡입, 제거 할 수 있으며, 바닥으로 낙하한 잔유물을 경사진 수집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중앙으로 모아주는 상기 낙하잔유물수집단계(S21)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잔유물처리단계(S3)는 상기 2차가공면형성단계(S2), 후드흡입단계(S22)를 통해 흡입된 잔유물을 제1연결관(610) 및 제2연결관(410)을 통하여 바스켓(900)으로 이송시키고 낙하잔유물수집단계(S21)를 통해 모아진 잔유물을 스크류(700)를 이용하여 바스켓(900)으로 모아 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비산먼지를 포함한 잔유물들이 다시 공중으로 날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 끝단 또는 바스켓(900)에 살수장치(800)를 구비하여 물을 분사하는 살수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공중으로 날리는 비산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판석(200)의 표면을 부드럽고 미끈하게 처리하여 석재 고유의 아름다운 질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표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100: 이송컨베이어
200: 판석
300: 제2가공면 400: 버너가공부
500: 진공흡입부 600: 결합체
700: 후드 800: 스크류
900: 바스켓
200: 판석
300: 제2가공면 400: 버너가공부
500: 진공흡입부 600: 결합체
700: 후드 800: 스크류
900: 바스켓
Claims (5)
-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판석의 표면에 버너가공부의 버너 불꽃을 직접 분사하여 고열에 의한 반발력으로 판석의 표면이 거칠게 벗겨지도록 하여 형성한 후,
상기 버너가공부와 연결된 진공흡입부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가공부에 의해 형성된 잔유물 및 비산먼지를 흡입시켜 형성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단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에서 바퀴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딩하는 가이드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판석의 표면에 불꽃을 분사하는 버너가공부; 및
상기 버너가공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대, 상기 버너가공부가 장착된 연결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버너가공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너가공부와 동시에 이동되는 진공흡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버너 석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며 낙하하여 바닥면에 쌓이는 잔유물을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에 의해 이탈된 잔유물을 담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버너 석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가공부 및 상기 진공흡입부 상측에 구비되는 후드를 포함하되,
상기 후드에서 흡입한 비산먼지를 바스켓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후드와 상기 바스켓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의 끝단 또는 바스켓 중 어느 하나에는 살수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버너 석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부에서 흡입한 잔유물을 바스켓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진공흡입부에는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하는 제2연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버너 석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01462A KR101460630B1 (ko) | 2014-08-07 | 2014-08-07 | 친환경 버너 석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01462A KR101460630B1 (ko) | 2014-08-07 | 2014-08-07 | 친환경 버너 석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0630B1 true KR101460630B1 (ko) | 2014-11-11 |
Family
ID=522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01462A KR101460630B1 (ko) | 2014-08-07 | 2014-08-07 | 친환경 버너 석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06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563A (ko) | 2018-12-17 | 2020-06-25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오염방지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잔다듬 브러쉬 석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잔다듬 브러쉬 석재 및 이를 제조하는 잔다듬 브러쉬 형성기 |
CN118404454A (zh) * | 2024-07-04 | 2024-07-30 | 江苏德胜体育用品有限公司 | 一种篮球架篮筐打磨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1479A (ko) * | 2010-05-31 | 2011-12-07 | (주)지디스톤 |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361144B1 (ko) * | 2013-08-13 | 2014-02-17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
-
2014
- 2014-08-07 KR KR20140101462A patent/KR1014606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1479A (ko) * | 2010-05-31 | 2011-12-07 | (주)지디스톤 |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361144B1 (ko) * | 2013-08-13 | 2014-02-17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563A (ko) | 2018-12-17 | 2020-06-25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오염방지에 따라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잔다듬 브러쉬 석재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잔다듬 브러쉬 석재 및 이를 제조하는 잔다듬 브러쉬 형성기 |
CN118404454A (zh) * | 2024-07-04 | 2024-07-30 | 江苏德胜体育用品有限公司 | 一种篮球架篮筐打磨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9393Y1 (ko) | 콘크리트 전주·파일용 몰드 청소 및 탈형유 분사 장치 | |
KR101460630B1 (ko) | 친환경 버너 석재 | |
CN210678349U (zh) | 一种钢结构通过式抛丸机 | |
CN104084411A (zh) | 一种矿山除尘装置 | |
CN104971913B (zh) | 一种清除平台上残留水泥的清洗机 | |
CN113733318B (zh) | 一种预制混凝土构件平台清洁及喷脱模剂一体化设备 | |
CN204866622U (zh) | 一种清除平台上残留水泥的清洗机 | |
CN101229974A (zh) | 一种陶瓷墙地砖的加工方法 | |
CN105200455A (zh) | 一种清除残余阳极结壳的方法及装置 | |
KR101361144B1 (ko) | 오염방지 기능성 버너 브러시 석재 | |
CN108527624B (zh) | 用于洁具的喷釉设备 | |
CN203886636U (zh) | 一种碎石装置 | |
KR100739277B1 (ko) | 석판재용 요철처리시스템 | |
CN207310216U (zh) | 一种干粒布料机及防尘罩 | |
JPH10184034A (ja) | ライニング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装置 | |
CN204748348U (zh) | 无房环保型喷砂机 | |
CN106111632A (zh) | 一种封闭式洗衣机顶盖板除尘方法 | |
KR100285616B1 (ko) | 표면 가공용 다용도 샌드블라스터 | |
GB2554758B (en) | Mobile picking/sorting system utilising air separation means | |
CN201872088U (zh) | 移动轻便型循环喷砂雕刻机 | |
JP4986386B2 (ja) |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スケール除去装置 | |
CN219092350U (zh) | 一种拆卸式场地除铁器 | |
CN218554221U (zh) | 一种花岗岩破碎装置 | |
CN220071814U (zh) | 一种土木工程房屋建筑废料处理装置 | |
KR101069820B1 (ko) |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