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932B1 -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932B1
KR101360932B1 KR1020130085508A KR20130085508A KR101360932B1 KR 101360932 B1 KR101360932 B1 KR 101360932B1 KR 1020130085508 A KR1020130085508 A KR 1020130085508A KR 20130085508 A KR20130085508 A KR 20130085508A KR 101360932 B1 KR101360932 B1 KR 10136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speed
sens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하경
Original Assignee
차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하경 filed Critical 차하경
Priority to KR102013008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3Attitude of the vehicl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조작 없이도 전체적인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차량의 주정차시 미등과 전조등의 점등 여부를 효과적으로 전환함을 제공하도록, 차량등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개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 상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이 각각 입력되는 감지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수동적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과, 상기 신호입력단에 의한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중 상기 속도센서에 의한 차량의 속도로부터 설정기준속도에 비교판단하여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에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속도 및 방향에 따른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에 자동으로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신호제어부와, 상기 차량등에 출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상기 자동신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Vehicle Lamp by the Vehicle Speed}
본 발명은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량등(미등, 전조등, 방향지시등)을 속도 및 회전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여 스위치조작 없이도 전체적인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차량의 주정차시 미등과 전조등의 점등 여부를 효과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주행시 앞을 환하게 비추기 위해 차량의 앞쪽에 설치되는 전조등과 함께 차량의 앞/뒤쪽의 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운전자의 운행에 따른 차량의 회전방향을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알리는 방향지시등 등이 차량등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는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석 핸들 축의 한쪽에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해당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차량등을 제어하도록 한 차량등 제어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을 야간에 운행할 때 미등과 전조등을 온(on) 상태로 스위치 조작하여 운행하고, 잠시 정차할 경우 전조등만을 오프(off) 상태로 스위치 조작하여 주며 주차시에는 전조등과 함께 미등을 오프(off) 상태로 스위치 조작하여 소등시켜주는 것이 차량운행의 기본사항이다. 더불어 운행중 좌측이나 우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도록 스위치 조작하며 운행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차량등에 대한 제어시스템은 모두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차량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때문에 모든 제어가 수동에 의해 이루어져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이 미흡한 초보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챠량등을 조작하기 위해 시선이나 신경을 빼앗겨 교통사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6207호(2013.06.12.)에는 차량의 OBD-II 인터페이스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전후좌우에 각기 구비된 복수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가속도 센서값을 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통신부로부터 상기 차량정보를, 상기 제2 무선통신부로부터 상기 센서값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정보 및 상기 센서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으면 비상등 점등 명령을 상기 제1 무선통신부를 통해 제어 유닛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 유닛이 비상등을 점등하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등 자동 제어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차량등 자동 제어장치는 내비게이션의 안내방향만을 이용하여 지시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안내가 불필요한 시내 운행시 지시등의 자동제어가 불가하고 여전히 수동조작에 따라 방향지시등을 조작해야만 하여 운행이 불편하며, 운전자가 긴급하거나 잦은 방향전환으로부터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은 채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상대방 차량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을 신호하지 못하여 사고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상기한 종래기술은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 외에 미등이나 전조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차량의 미등과 전조등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운행 중 신호대기를 위한 정차시 전조등을 오프시키는 조작을 하지 않아 전방에서 진행해 오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정차시에도 전조등이 점등되어 있는 경우 연료소모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 주행 후 주차를 하고 운전자가 미등과 전조등이 점등 여부를 잊은 채 미등과 전조등을 소등하지 않았을 때에는 밧데리 방전으로 인하여 다음날 엔진시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정비업소에 도움을 받거나 밧데리를 교환해야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는 등 자동차 관리가 불편하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와 회전방향을 각각 감지하여 차량등의 점등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시스템을 구축하므로, 야간 주행시 미등과 전조등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제어와 함께 차량의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점멸 및 소등에 대한 제어를 일괄적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등 개개의 점등 여부에 대한 속도조건을 사용자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므로,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운전환경을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일시적인 정차시 전조등만을 소등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반대편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함은 물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은 차량등(미등, 전조등, 방향지시등)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개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 상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이 각각 입력되는 감지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수동적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과, 상기 신호입력단에 의한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중 상기 속도센서에 의한 차량의 속도로부터 설정기준속도에 비교판단하여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에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속도 및 방향에 따른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에 자동으로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신호제어부와, 상기 차량등에 출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상기 자동신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컨트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에 연결되어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에 대한 차량의 설정기준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제어설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고 한쪽 면에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설정토록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작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부에는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과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각각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게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에는 차량의 밧데리에 연결되고 밧데리의 남은 잔량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측정하는 밧데리잔량측정부와,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에 연결되고 전조등의 남은 수명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밝기를 측정하는 전조등수명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차량의 주행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등의 미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여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점멸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직선주행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미등 및 전조등과 함께 방향지시등을 점등 및 점멸 여부를 일괄적으로 자동제어하므로, 운전자의 운행이 편리함은 물론 초보운전자의 조작 여부를 간소화하여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은 차량이 교차로에서 신호대기할 때 전조등만을 자동으로 일시 소등하였다가 주행시 다시 점등하도록 구성하므로, 운전자의 운행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반대편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정차시 전조등을 소등하여 연료소모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은 주행 후 주차된 차량의 미등과 전조등을 자동으로 소등하도록 구성하므로, 밧데리의 소모에 따른 방전현상을 미연에 차단하여 차량관리에 대한 불편과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은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 차량을 비롯한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은 미등 및 전조등의 점등 여부와 함께 방향지시등의 점명 여부에 대한 속도나 방향각도의 환경조건을 사용가 설정하도록 구성하므로, 운전환경을 탄력적으로 설정가능하고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운전환경을 맞춤형으로 조작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제어설정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차량등(미등, 전조등, 방향지시등)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개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 상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이 각각 입력되는 감지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수동적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과, 상기 신호입력단에 의한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중 상기 속도센서에 의한 차량의 속도로부터 설정기준속도에 비교판단하여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에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속도 및 방향에 따른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에 자동으로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신호제어부와, 상기 차량등에 출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상기 자동신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에 연결되어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에 대한 차량의 설정기준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제어설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고 한쪽 면에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설정토록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작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부에는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과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각각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게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에는 차량의 밧데리에 연결되고 밧데리의 남은 잔량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측정하는 밧데리잔량측정부와,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에 연결되고 전조등의 남은 수명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밝기를 측정하는 전조등수명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차량의 주행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등의 미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여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점멸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직선주행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등(5)(미등(5a), 전조등(5b), 방향지시등(5c))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개개의 스위치(7)(미등스위치(7a), 전조등스위치(7b), 방향지시등스위치(7c))를 구비하여 차량등(5)의 점등 및 점멸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10)와, 자동컨트롤유닛(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10)는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나 차량의 기울어짐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속도센서(11)와 방향센서(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속도센서(11)는 차량의 계기판 상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속도센서(11)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자동변속장치나 미끄럼 방지장치, 오토드라이브 장치, 자동 도어록 장치 등 각종 전자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속도센서의 구조를 적용하여 사용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향센서(13)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한다. 즉 상기 방향센서(13)는 조향장치(핸들)로부터 좌/우측을 향해 기울어지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향센서(13)는 핸들 조향각 및 조향토크 센서의 출력에 대한 입력으로부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센서(13)는 핸들 조향각에 대해 좌측 혹은 우측으로의 돌림 각도를 입력받고 조향토크로부터 운전자가 핸들을 돌릴 때의 토크값을 입력받아 신호하게 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은 상기 차량등(5)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개개의 스위치(7), 상기 차량등(5)을 이루는 미등(5a) 및 전조등(5b)과 방향지시등(5c), 그리고 상기 센서부(10)의 각 배선라인들이 각각 연결되게 구성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에는 차량신호에 따른 전원라인과 차체접지라인이 각각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은 차량에 장착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은 차량의 스위치 컨넥터(도면에 미도시) 내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은 상기 센서부(10) 및 스위치(7)의 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5)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입력단(21)과 신호입력단(23), 자동신호제어부(25), 신호출력단(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감지입력단(21)과 신호입력단(23)은 상기 센서부(10) 및 상기 스위치(7)로부터 입력신호을 받을 수 있도록 입력배선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신호출력단(27)은 상기 차량등(5) 개개에 대해 출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출력배선라인이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감지입력단(21)은 상기 센서부(10)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이 각각 입력된다. 즉 상기 감지입력단(21)에는 상기 센서부(10) 중 속도센서(11)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센서부(10) 중 방향센서(13)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회전방향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신호입력단(23)은 차량의 내부 공간 즉 운전석 내에 구비된 스위치(7)(미등스위치(7a), 전조등스위치(7b), 방향지시등스위치(7c))로부터 상기 차량등(5)의 수동적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도록 입력배선이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입력단(23)에는 운전자의 미등스위치(7a)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등(5) 중 미등(5a)을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는 상기 감지입력단(21)과 상기 신호입력단(2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출력단(27)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는 운전자로부터 수동적으로 상기 스위치(7)를 조작하여 상기 신호입력단(23)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10)로부터 상기 감지입력단(21)에 입력되는 신호와는 무관하게 상기 차량등(5)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는 상기 신호입력단(23)에 의한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는 상기 감지입력단(21)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중 상기 속도센서(11)에 의한 차량의 속도로부터 설정기준속도에 비교판단하여 상기 차량등(5) 중 미등(5a) 및 전조등(5b)에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의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는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5)의 미등(5a) 및 전조등(5b)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5)의 미등(5a) 및 전조등(5b)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 상에 설정기준속도가 1킬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의 주행에 따른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1킬로 이상으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입력단(21)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를 통해 상기 차량등(5)의 미등(5a)과 전조등(5b)을 점등시키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1킬로 미만으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입력단(21)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를 통해 상기 차량등(5)의 미등(5a)과 전조등(5b)을 소등시키는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의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는 차량의 주행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등(5)의 미등(5a)을 점등상태로 변경하여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자동컨트롤유닛(20)을 통한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만을 제어함에는 주행상태 즉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 상에 설정기준속도가 1킬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교통신호에 따라 잠시 정차할 때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1킬로 미만으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입력단(21)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를 통해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을 소등하되 미등(5a)은 점등상태로 유지하는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1킬로 이상으로 감지하여 상기 감지입력단(21)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를 통해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을 점등시키는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는 상기 감지입력단(21)으로 입력되는 속도 및 방향에 따른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5) 중 방향지시등(5c)에 자동으로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차량등(5) 중 방향지시등(5c)의 제어신호는 상기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속도와 상기 방향센서(13)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방향에 대한 양자 모두의 설정기준치로부터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 판단하여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의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는 상기 센서부(10)의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10)의 방향센서(13)로부터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차량등(5)의 방향지시등(5c)을 점멸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10)의 방향센서(13)로부터 직선주행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등(5)의 방향지시등(5c)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에서는 상기 방향센서(13)로부터 차량의 방향전환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어도 상기 속도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방향지시등(5c)을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방향지시등(5c)을 제어하도록 자동신호제어부(25)를 구성하게 되면, 차량을 주차하는 등과 같이 방향지시등(5c)의 불필요한 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의 신호출력단(27)은 상기 차량등(5)에 출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5)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상기 자동신호제어부(25)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동컨트롤유닛(20)에 연결되어 차량등(5)의 점등 및 점멸에 대한 차량(1)의 설정기준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제어설정유닛(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3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로부터 자유롭게 설정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31)와 조작버튼부(3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1)는 차량(1)의 실내에 장착되고 한쪽 면에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3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31)의 하단에는 차량(1)의 실내에 장착하여 비치할 수 있게 평탄한 바닥면을 갖는 받침대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31) 받침대의 바닥면에는 차량(1)에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버튼부(33)는 상기 본체(31) 상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등(5)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설정토록 조작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조작버튼부(33)에는 설정값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상하설정버튼(35)을 구비한다.
상기 조작버튼부(33)에는 상기 차량등(5) 중 미등(5a) 및 전조등(5b)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과 상기 차량등(5) 중 방향지시등(5c)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각각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게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34)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미등(5a) 또는 전조등(5b)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상기 상하설정버튼(35)으로부터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게 상기 모드전환버튼(34)으로부터 해당모드로 전환하고, 방향지시등(5c)의 점멸 및 소등에 대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게 상기 모드전환버튼(34)을 사용하여 전환한 후 설정한다.
상기 방향지시등(5c)의 점멸 여부를 설정제어함에는 상기 방향센서(13)에 의한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30)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의 밧데리(3)에 연결되고 밧데리(3)의 남은 잔량을 상기 본체(31)의 디스플레이(32)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측정하는 밧데리잔량측정부(37)와, 상기 차량등(5)의 전조등(5b)에 연결되고 전조등(5b)의 남은 수명을 상기 본체(31)의 디스플레이(32)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밝기를 측정하는 전조등수명측정부(3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밧데리잔량측정부(37) 및 상기 전조등수명측정부(39)로부터 측정된 측정치는 평상시 상기 본체(31)의 디스플레이(32) 상에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밧데리잔량측정부(37)에 의한 밧데리(3)의 잔량 및 상기 전조등수명측정부(39)에 의한 전조등(5b)의 수명을 상기 디스플레이(32) 상에 출력함에는 이미지화하여 표시하거나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조등수명측정부(39)로부터 전조등(5b)의 밝기를 측정함에는 상기 전조등(5b)의 위치에 휘도계 및 휘도센서 등을 구비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 차량등 7 : 스위치 10 : 센서부
11 : 속도센서 13 : 방향센서 20 : 자동컨트롤유닛
21 : 감지입력단 23 : 신호입력단 25 : 자동신호제어부
27 : 신호출력단 30 : 자동제어설정유닛 31 : 본체
32 : 디스플레이 33 : 조작버튼부 34 : 모드전환버튼
35 : 상하설정버튼 37 : 밧데리잔량측정부 39 : 전조등수명측정부

Claims (7)

  1. 차량등(미등, 전조등, 방향지시등)에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개개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등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계기판 상에 신호를 송출하도록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와, 차량의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배선라인이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이 각각 입력되는 감지입력단과,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수동적인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단과, 상기 신호입력단에 의한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 중 상기 속도센서에 의한 차량의 속도로부터 설정기준속도에 비교판단하여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에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감지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속도 및 방향에 따른 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에 자동으로 점멸 및 소등 신호를 인가하는 자동신호제어부와, 상기 차량등에 출력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차량등의 점등 및 소등에 대한 상기 자동신호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컨트롤유닛과;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에 연결되어 차량등의 점등 및 점멸에 대한 차량의 설정기준속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제어설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고 한쪽 면에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설정토록 조작가능하게 형성되는 조작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부에는 상기 차량등 중 미등 및 전조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과 상기 차량등 중 방향지시등의 제어를 위한 설정기준속도의 설정값을 각각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게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설정유닛에는 차량의 밧데리에 연결되고 밧데리의 남은 잔량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측정하는 밧데리잔량측정부와,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에 연결되고 전조등의 남은 수명을 상기 본체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밝기를 측정하는 전조등수명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미등 및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차량의 주행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미만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차량등의 미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여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이면 상기 차량등의 전조등을 점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7.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컨트롤유닛의 자동신호제어부에서는 상기 센서부의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기준속도의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기울기에 따른 회전방향이 감지되면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점멸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센서부의 방향센서로부터 직선주행이 감지되면 상기 차량등의 방향지시등을 소등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KR1020130085508A 2013-07-19 2013-07-19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KR10136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08A KR101360932B1 (ko) 2013-07-19 2013-07-19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08A KR101360932B1 (ko) 2013-07-19 2013-07-19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932B1 true KR101360932B1 (ko) 2014-02-12

Family

ID=5027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508A KR101360932B1 (ko) 2013-07-19 2013-07-19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9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04B1 (ko) 2015-08-05 2016-08-08 강인식 운송수단 상황에 따른 운송수단 외관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70017740A (ko) 2016-08-01 2017-02-15 강인식 운송수단 상황에 따른 운송수단 외관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80068052A (ko) * 2016-12-13 2018-06-21 안수호 관상용 모형 자동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214A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전조등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100380500B1 (ko) * 1999-02-22 2003-04-1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장치
KR20100131194A (ko) * 2009-06-05 2010-12-15 김성완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KR20120003158A (ko) * 2010-07-02 2012-01-10 (주) 사운드웨이브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214A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전조등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100380500B1 (ko) * 1999-02-22 2003-04-1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장치
KR20100131194A (ko) * 2009-06-05 2010-12-15 김성완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KR20120003158A (ko) * 2010-07-02 2012-01-10 (주) 사운드웨이브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104B1 (ko) 2015-08-05 2016-08-08 강인식 운송수단 상황에 따른 운송수단 외관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70017740A (ko) 2016-08-01 2017-02-15 강인식 운송수단 상황에 따른 운송수단 외관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80068052A (ko) * 2016-12-13 2018-06-21 안수호 관상용 모형 자동차
KR101959027B1 (ko) 2016-12-13 2019-03-15 안수호 관상용 모형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8298B2 (en)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CA3135623C (en)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US11590887B2 (en)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US7221264B2 (en) Method for adjusting interior illumination
CN113767030A (zh) 高能见度车灯光通信系统的控制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360932B1 (ko)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KR101197181B1 (ko)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장치
US10059253B1 (en) ATV daytime running light control
JP3224121U (ja) 車両用謝意表示装置
KR200382677Y1 (ko) 순차표시기능을 갖는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CN112644369A (zh) 一种车用标识灯控制方法及系统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102594986B1 (ko) 안전 운행을 위한 자동차 브레이크등 제어시스템
KR200428217Y1 (ko) 차량용 후미시야확보장치
KR2014014492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20110117294A (ko) 자동차용 후방보조램프장치
KR20170013560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30132847A (ko) 고가시성 차량 라이트 통신 시스템의 컨트롤
KR20230036885A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제어 방법
WO2022241025A1 (en) High visibility lighting for autonomous vehicles
KR20140073296A (ko) 차량 전조등 점등 자동 제어 장치
KR20110088180A (ko) 자동차용 다기능 오토 라이트장치
KR19990041481U (ko) 자동차 코너링램프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