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194A -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194A
KR20100131194A KR1020090049967A KR20090049967A KR20100131194A KR 20100131194 A KR20100131194 A KR 20100131194A KR 1020090049967 A KR1020090049967 A KR 1020090049967A KR 20090049967 A KR20090049967 A KR 20090049967A KR 20100131194 A KR20100131194 A KR 2010013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irection indicator
vehicle
m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김대순
Original Assignee
김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완 filed Critical 김성완
Priority to KR102009004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194A/ko
Publication of KR2010013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미스트 조작신호와 연동하여, 해당 방향지시등의 자동차 진행(회전)방향에 따른 자동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점멸시 예보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향지시등, 방향등, 가속도센서

Description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Automobile's indicator l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운전자의 미스트 조작신호와 연동하여, 해당 방향지시등의 자동차 진행(회전)방향에 따른 자동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점멸시 예보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운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 자동차에게 알리는 운전자 및 차량의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장비로서, 자동차용 방향 지시등의 제어는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운전대) 옆의 방향지시등 스위치(방향지시등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며, 모든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스위치는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진행할 방향을 미리 혹은 진행 중에 상대방 차량에 알리는 경보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르거나 잦은 차선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이 오히려 안전 운행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운전자들은 긴급하거나 잦은 방향 전환시에는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은 채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상대방 차량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을 예고하지 못하여 사고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인바, 이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절실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선 출원 발명(10-2008-120168, 이하 "선원발명"이라 함)을 통해 핸들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방향지시등을 자동 점멸할 수 있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였는데, 상기 선원 발명에 따르면 방향지시등의 수동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방향지시등이 점멸되어 매우 편리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방향지시등이란 것은 경보 내지는 예보적 차원에서도 필요한 것인바, 방향지시등을 회전하고자하는 방향으로 미리 점멸시키기 위해서는 방향지시등 레버를 기존 방식과 같이 입력을 해야만 하는 선출원 발명으로는 자동 점멸기능을 구비한 방향지시등을 예보적 측면에서 활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스트 입력으로 해당 방향지시등의 점멸이 이루어지고 자동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스위치가 수동 조작되면 플레셔 유니트에 의해 점멸주기를 갖는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방향지시등 및 계기판에 송출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 레버 입력 신호(R_IN 또는 L_IN)가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 전환시점을 판단하여 해당 자동신호회로를 구동시키는 자동모드 전환부; 자동모드 전환 후 자동차의 회전 방향을 내부회로에 의해 자동 감지하는 방향 판단부; 및 상기 방향 판단부에서 감지된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지시등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자동차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이 가능하고, 미스트 판단부를 더 구비하여, 미스트 입력이 들어온 것으로 판단되면 트리거A신호 및 미스트가 입력된 방향에 따른 방향신호를 상기 신호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미스트 입력이 있을 때는 수동조작에 의한 스위치 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점등되고, 이후에는 상기 방향 판단부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방향지시등의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향지시등의 예보적 점멸 및 자동점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미스트 판단부는 미스트 입력에 따른 온/오프 토글이 끝나고 LOW상태가 TDA시간만큼 경과하면, 미스트 입력이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 조작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자동으로 방향전환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수동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방향지시등에 점멸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고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따른 방향지시등의 자동 점멸로 상대 차량의 움직임이 정확히 감지되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의 신호 입출력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경제적 구현이 가능하며, 방향지시등 램프와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방향지시등만 교환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볼 수 있어 기존 차량에 대한 적용성이 뛰어나다.
더욱이 미스트 판단부를 도입하여 회전이 발생하기 이전에 방향지시등을 예보적으로 작동시키고 그 이후에는 자동점멸기능이 연동 됨으로써, 도입효과를 극대화하고 자동차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선변경 혹은 차량의 회전시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차량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점멸시키는 자동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선을 바꾸기 위 하여 운전자가 의식적으로 방향지시등을 수동 조작하는 것과 자동 점멸기능의 연계를 통하여 방향지시등의 예보적 기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동조작에 의해 점멸주기를 갖는 점등 신호로 생성되어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을 하면 플레셔 유니트에 의해 점멸주기를 갖는 점등신호가 송출되고 그에 따라 해당 방향지시등에 신호를 송출하여 방향지시등이 점멸하도록 하는 종래의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을 전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수동/자동의 전환이 가능한 제어시스템으로서, 운전자가 종래와 같이 수동조작을 할 수도 있고, 미스트 조작시에는 자동점멸기능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며, 수동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 모드로 진행방향이 감지되어 방향지시등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제어 시스템을 토대로 하여, 자동으로 방향을 감지하여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자동모드 전환부(1), 방향판단부(2), 신호출력부(3) 및 미스트 판단부(4)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1) 및 방향판단부(2)는 선원발명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하며, 본 발명은 선원발명의 기술사상을 토대로 한 미스트 판단부(4)와의 연동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자동모드 전환부(1)-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1)는 자동모드 전환시점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방향을 감지하는 자동신호회로를 구동하는 수단으로서, 수동조작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스위치 회로의 입력단 신호가 LOW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상기 LOW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감지하게 되면 자동모드로 전환하거나, 자동모드 동작 중 수동조작시 자동모드를 인터럽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수동조작에 우선순위를 두어 회로를 구성한다.
즉, 자동모드 전환부(1)는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의 점등여부를 항시 모니터링 하는바, 일정시간 동안 해당 신호 라인(R_IN, L_IN)이 LOW 상태로 지속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모드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자동모드 전환부(1)는 R_IN 및 L_IN 포트를 항시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자동차의 방향전환이 판정되어 자동모드에서 동작 중이더라도 L_IN 혹은 R_IN포트의 전압레벨이 High일 경우에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한 것이므로 자동모드의 출력신호를 모두 OFF 시켜 자동모드를 해제하고 즉시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에 의한 운전자 중심의 제어가 되도록 한다.
-방향판단부(2)-
상기 방향판단부(2)는 선원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모드 전환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회로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속도센서(21), 기울기 측정부(22) 및 문턱값 비교부(23)를 포함하는 회로에 의하여 좌우 방향과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가속도 센서 대신에 핸들 조향각 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21)는 X, Y, Z 3축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축 및 2축의 가속도 센서도 적용 가능하다.
방향판단의 제1실시예는 도 2의 구성에 의하여 가속도 센서의 3축(X, Y, Z) 각각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전후좌우 기울어짐이 없는 차량이 경사도 없는 지면에 정차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Z=0, Y=0, -X=g의 값을 갖는다. 이때 g는 1 중력가속도이다.
그러나 가속도센서를 내장한 본 발명의 방향판단부가 차량에 장착되면 차량의 전후좌우 기울어짐 정도 및 방향판단부의 장착각도 등에 따라 X, Y, Z축은 각각 일정한 중력가속도를 갖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 차량이 진행하는 지면의 기울기는 항상 새롭게 변하며 가속도센서(21)의 특성 자체도 동작온도 등의 영향으로 일정부분 편차를 갖게 된다.
기울기 측정부(22)는 이와 같은 지면의 경사도 및 부품들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지시 혹은 등속주행시 차량의 각 3축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 즉 3축의 기울기 값을 측정하여 기준 기울기 값(기준 중력가속도 값)으로 사용한다.
가속도센서(21)의 3축 중력가속도 값(X, Y, Z)은 기울기측정부(22)의 HPF(High Pass Filter, 고대역필터)(221)로 입력되며 HPF의 출력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문턱값1(222)과 비교된다.
HPF(221)의 출력 값이 높을 경우에는 가속도센서의 출력 값에 변위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차량이 가속 또는 감속중이거나 회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본적인 가속도센서의 잡음이 있고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을 경우 이에 상응하는 진동 등의 요인으로 3축의 중력가속도 값이 변하므로 일정한 수준의 값, 즉 문턱값1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이 정지 혹은 등속주행인 것으로 판단하여 비교기1(223)의 출력은 LOW(OFF)를 유지한다.
문턱값1(222)의 값은 Lookup테이블에 저장한 값들로 변경하여 선택 가능한데, 문턱 값이 작으면 보다 정교한 차량 기울기 측정이 가능하나 계산시간이 오래 걸려 기준 기울기 값의 Update가 느려져 적응제어특성이 안 좋아지는 단점이 있고 문턱 값이 높으면 기준 기울기 값의 Update 시간이 빨라져 적응제어 효율은 좋아지나 정교한 차량기울기 측정은 상대적으로 어렵다.
비교기1(223)의 출력값은 실제 기준 기울기값(기준 중력가속도)을 측정하는LPF2(Low Pass Filter)(224)에 연결되며 비교기1(223)의 출력이 High인 경우에는 차량이 가속/감속 중이거나 회전중이므로 차량의 기울기 값을 얻을 수 없으므로 LPF2(224)를 리셋하게 된다.
하지만 타이머를 적용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비교기1의 출력이 High로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이 정지중이거나 등속주행인 것으로 인정되어 이때의 3축 각각에 대한 중력가속도 측정치인 LPF2(224)의 출력이 기준기울기값 레지스터(225)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울기 측정부(22)의 기능은 자동차가 주행하는 지면의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차량의 가속/감속 및 회전가속도를 측정하는 기준 중력가속도 값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적응제어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준기울기값은 문턱값 비교부(23)로 입력되어 가속도센서(21)의 중력가속도 측정치와 X, Y, Z 각 3축에 대해 비교하게 된다. 상기 중력가속도 측정치는 LPF(231)에 의해 순간잡음 등이 필터링 되도록 한다.
상기 LPF(231)의 출력값 및 기울기 측정부(22)의 기준기울기값(기준중력가속도값)은 문턱값(232)과 비교되어 문턱값의 범위를 넘어설 경우 방향전환 판단을 하게 되며, 해당 방향 스위치쪽으로 ON출력을 내보내어 해당 방향지시등을 점멸하게 된다.
방향판단의 제2실시예는, 도 3의 구성에 의하여 가속도 센서 중력가속도의 변위차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Free-Fall 검출 등에 이용되는 방법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는 각 3축에 대해 항상 일정한 중력가속도 값을 갖지만, 제2실시예는 이전 측정가속도와 현재 측정가속도와의 변위차만을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방향판단부의 제2실시예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 회로로써 구현된다.
가속도센서(41)에 의하여 입력되는 변위값은 차량이 정지해 있을 경우에는 각 3축 모두 Zero의 값에 근접한 값을 갖는다.
필터부(42)는 HPF(421) 및 LPF(422)로 구성되는데, HPF(421)에 의하여 출력된 변위값은 상대적으로 큰 고주파잡음을 가지므로 HPF(421)의 출력 값을 평균화하는 특성이 있는 LPF(422)가 HPF(421)의 차량 가속도 변위값의 지속적인 변화 값, 즉 저주파 성분을 필터링 하는데 사용된다.
필터링된 각 3축의 가속도 변위 값은 문턱값 비교부(43)를 통해 기울기측정 부(44)의 출력과 비교된다.
상기 기울기 측정부(44)는 제1실시예의 기울기 측정부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실시예가 기준중력가속도(기준기울기값)를 문턱값 비교부에 직접 입력하는 것과 달리 가속도 측정방식에서는 이값을 가중치 Lookup테이블(45)로 전송하여 이에 상응하는 가중치 값을 비교부(43)에 전송한다.
이는 제2실시예의 경우 HPF(421)의 출력이 정지 상태에서 3축 각각 모두 Zero이므로 기준 기울기값이 필요 없지만 실제 HPF에서 출력되는 3축 각각의 가속도 변위 값은 각 축의 기울기값(중력가속도값)과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즉 관성운동을 통한 가속도 크기가 동일하다 가정할 경우 기준중력가속도가 클 경우 이에 대한 가속도 변위 차는 작아지고 반대로 기준중력가속도가 작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가속도 변위 차는 커진다. 따라서 가중치 값은 이와 같은 가속도 변위차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문턱값(431)은 가속도 변위차에 대한 문턱 값이며 비교부(43)의 동작방식이나 기타 구성의 동작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하면 된다.
이밖에도 방향판단부는 핸들 조향각 및 조향토크 센서의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핸들조향각센서로부터 스티어링 휠(핸들)의 좌 혹은 우로의 돌림 각도를 입력받고 조향토크 센서로부터 운전자가 핸들을 돌릴 때의 토크값을 입력으로 받는다.
조향각 정보를 해당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값을 넘는 조향각이 검출될 경우 이 정보를 High로 판단하고, 조향토크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 값을 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조향각 정보에 의하여 방향지시등의 신호출력을 결정하되, 조향 토크신호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조건을 전제로 하거나, 조향 토크신호와는 무관하게 조향각 정보 만에 의하여 방향지시등 신호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신호출력부(3)-
상기 신호출력부(3)는 상기 방향판단부(2)의 방향감지 결과 또는 후술하는 미스트 판단부(4)의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의 출력단으로서, 종래의 방향지시등과 같이 점멸되도록 점등신호를 발생한다.
종래 방향지시등 제어 회로에서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선택했을 경우(방향지시등 레버 조작시) 일정주기의 구형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플래셔유니트(일명 깜빡이 릴레이 혹은 방향지시등 릴레이)(A) 는 좌측 혹은 우측 방향지시등과의 전기적 연결이 되어 방향지시등을 주기적으로 점멸하게 된다.
즉 방향지시등은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비상등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에만 작동하게 된다. 예외적인 경우로 외부 신호(ETACM 입력) 가 인가될 경우에 비상등 릴레이가 작동하여 방향지시등이 점멸된다.
본 발명의 신호출력부(3)는 상기 플레셔 유니트에 연결되어 플레셔 유니트의 점멸주기를 이용하여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킬 수 있다.
즉, 방향판단부(2) 또는 미스트 판단부(4)의 결과에 따라 오른쪽(R_OUT) 및 왼쪽(L_OUT)의 포트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를 ON 시켜 플레셔 유니트의 출력신호 를 해당 방향지시등에 연결함으로써 방향지시등의 점멸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자동차가 좌회전할 경우 L_OUT 출력이 ON되어 좌측방향지시등 및 좌측방향계기판지시등이 점멸하게 되며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R_OUT 출력이 ON되어 우측 방향지시등 및 우측방향계기판지시등이 점멸하게 되는데, 이때 방향지시등의 점멸주기는 플레셔유니트의 출력펄스 주기로 결정된다.
상기 신호출력부(3)는 타이머를 내장하여 주기적인 단속파형의 형태로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의 점멸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L_IN 및 R_IN 포트의 전압을 확인하여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여부를 확인하여 만약 High가 감지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를 조작한 것이므로 즉시 자동모드를 해제하여 플레셔유니트의 출력을 방향지시등에 연결하게 된다.
즉, 자동모드일 경우에는 릴레이로 방향지시등의 제어가 이루어지며 수동모드일 경우에는 플레셔유니트에 의해 방향지시등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방향지시등의 점멸주기는 자동모드일 경우 내장된 타이머의 ON/OFF주기이며 수동모드일 경우에는 플레셔유니트의 출력파 주기이다.
방향지시등 제어시스템은 방향지시등과 동시에 자동차 계기판에도 방향지시등 점멸여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종래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자동 및 수동 전환기능을 추가하되 종래와 동일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방향지시등 일체형으로 제공되어 방향 지시등만의 교체로 자동/수동전환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차량에의 적용성을 높일 수 있다.
단, 방향지시등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경우는 도 4와 같이 구성되어, 자동 모 드시에는 자동차 계기판 동반 표시가 불가할 수 있으며 자동 신호부가 수동 모드 회로의 말단에 결합하게 되는바, 모드 전환부는 방향지시등 내부단자로부터의 수동 조작 신호를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일정 기간 LOW일 경우, 상기 방향 판단부의 신호에 따라 신호출력부는 자체 타이머에 의해 점등 신호를 송출하여 방향 지시등을 점멸하도록 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내부 단자의 신호가 HIGH일 경우 상기 내부 단자의 수동조작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 전달(BYPASS)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선원발명에 제시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재차 설명은 생략한다.
-미스트 판단부(4)-
방향지시등의 미스트(Mist) 입력이란 방향지시등 레버를 완전히 꺽지 않고 절반 정도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방향지시등을 한두 번 정도 점등할 때 이용된다.
미스트 판단부(4)는 운전자의 상기 미스트 조작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선택한 방향으로의 방향지시등 점멸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미스트 판단부(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1) 및 방향판단부(2)와 연동되어, 미스트 입력으로 판단되면 수동조작된 방향을 인식하여 신호출력부(3)에 트리거 A신호 및 방향신호(Dir B)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출력부(3)는 미스트 판단부(4)의 출력을 입력받아 해당 방향으로의 지시등을 점멸하도록 제어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방향 판단부(2)는 회전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신호출력부(3)로 하여금 방향지시등 점멸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미스트 판단부는 선원발명의 자동신호부 (즉, 자동모드 전환부, 방향판단부 및 신호출력부)와 연동하고, 신호출력부에는 상기 방향판단부 및 미스트 판단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미스트조작 이후 회전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방향지시등이 점멸될 수 있도록 릴레이를 제어한다.
도 6은 미스트 신호 및 자동점멸신호의 선후관계를 통해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운전자의 방향지시등 수동조작에 의한 R_IN의 신호가 입력되면 미스트 판단부(4)는 이 신호가 미스트 신호인지 아니면 방향레버가 꺾인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미스트 신호일 경우에는 보통의 경우 온/오프 토글신호가 약 3-4회 이전에 멈추므로, 온/오프 토글이 3-4회 이전에 끝나고 LOW상태가 TDA시간(온/오프 토글시 LOW상태 시간보다 약 30%정도 길게 설정함)만큼 경과하면, 미스트 판단부(4)는 미스트 입력이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트리거A신호 및 미스트가 입력된 방향이 오른쪽인지 왼쪽인지에 대한 방향신호인 DirB신호를 발생시킨다.
트리거A 신호가 신호출력부(3)에 인가되면 방향신호에 따라 릴레이의 제어신호가 출력된다.(도면에서는 오른쪽 미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임)
즉, 차량의 회전이 발생하기 전이라도, 신호출력부(3)는 미스트 판단부의 신호에 의해 R_OUT신호를 활성화함으로써 해당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며, 이후 차량이 실제 회전할 때는 방향판단부(2)에서 R_OUT' 신호를 출력하여 방향지시등이 온/오프 토글 되며 회전이 끝나면 R_OUT'신호는 오프 된다.
이후 미스트 판단부는 TDB만큼의 시간이 지난 후 차량의 회전이 완료된 것으 로 판단하고 트리거A신호를 비활성화 하여 R_OUT신호를 오프 한다.
운전자 입장에서 볼 때에는 차량회전 혹은 차선 변경 이전에 단순히 1-2회 정도의 미스트 신호만 입력해도 차량이 회전 또는 차선변경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지정한 방향의 방향지시등이 점멸하고 회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오프된다.
기존의 방향지시등 레버는 차량의 회전각도가 작을 경우 중립방향으로 자동리턴이 되지 않으나, 본 발명은 차량이 직선주행하면 자동으로 회전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므로 운전 시 방향지시등 조작이 편해지고 방향지시등 작동의 오류를 방지할 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운전자가 미스트 입력 이후 의도적으로 신호를 중단하고자 할 때의 조작과정으로서, 미스트 판단부는 운전자가 미스트 입력을 했을 경우 R_IN 신호는 지속적으로 점멸하고, 이때 운전자가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 레버를 조작하여 입력 신호(R_IN 또는 L_IN)를 재차 입력하면 신호 중단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출력부(3)에 대한 트리거A 활성화 신호를 해제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미스트 입력후 기존의 조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레버를 한번 더 인가함으로써 신호를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미스트판단부(4)는 신호출력부(3)가 온/오프 토글 동작 중 오프 상태일 때 R_IN 및 L_IN신호를 모니터링 하여, 오프 상태일 때 High가 검출되면 이는 운전자가 입력한 방향등 레버에 따르고 현재 동작을 취소함으로써 기존의 방향지시등 시스템과 양립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판단부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판단부 제2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이 방향지시등과 일체화하여 결합한 경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판단부를 포함한 회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판단부와 연동한 신호 동작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스트 판단부의 동작 취소시 신호 동작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 : 자동모드 전환부 2 : 방향판단부
3 : 신호출력부 21, 41 : 가속도 센서
22, 44 : 기울기 측정부 23, 43 : 문턱값 비교부
4 : 미스트 판단부

Claims (9)

  1. 방향지시등 스위치가 수동 조작되면 플레셔 유니트에 의해 점멸주기를 갖는 점등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방향지시등 및 계기판에 송출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 레버 입력 신호(R_IN 또는 L_IN)가 없는 경우에 자동모드 전환시점을 판단하여 해당 자동신호회로를 구동시키는 자동모드 전환부;
    자동모드 전환 후 자동차의 회전 방향을 내부회로에 의해 자동 감지하는 방향 판단부; 및
    상기 방향 판단부에서 감지된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지시등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자동차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이 가능하고,
    미스트 판단부를 더 구비하여, 미스트 입력이 들어온 것으로 판단되면 트리거A신호 및 미스트가 입력된 방향에 따른 방향신호를 상기 신호출력부에 출력함으로써,
    미스트 입력이 있을 때는 수동조작에 의한 스위치 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점등되고, 이후에는 상기 방향 판단부가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방향지시등의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향지시등의 예보적 점멸 및 자동점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는 수동조작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없는, 신호가 LOW인 상태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 경과시 상기 방향 판단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플레셔 유니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셔 유니트와 동일한 점멸주기를 갖는 점등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는 내장된 타이머에 의하여 신호를 주기적인 단속 파형의 형태로 출력하여 방향 지시등을 점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 방향판단부 및 신호출력부는 방향 지시등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모드 전환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내부단자로부터의 수동 조작 신호를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일정 기간 LOW일 경우, 상기 방향 판단부의 신호에 따라 신호출력부는 점등 신호를 송출하여 방향 지시등을 점멸하도록 하고, 상기 방향지시등 내부 단자의 신호가 HIGH일 경우 상기 내부 단자의 수동조작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판단부는 미스트 입력에 따른 온/오프 토글이 끝나고 LOW상태가 TDA시간만큼 경과하면, 미스트 입력이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DA시간은 온/오프 토글시 LOW상태 시간보다 30% 길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판단부는 은전자가 미스트 입력 이후 수동조작에 의한 방향지시등 레버 입력 신호(R_IN 또는 L_IN)를 재차 입력하면 신호 중단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출력부에 대한 트리거A 활성화 신호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자동차 방향 지시등.
KR1020090049967A 2009-06-05 2009-06-05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KR20100131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67A KR20100131194A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67A KR20100131194A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194A true KR20100131194A (ko) 2010-12-15

Family

ID=4350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67A KR20100131194A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1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32B1 (ko) * 2013-07-19 2014-02-12 차하경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CN109572542A (zh) * 2018-10-31 2019-04-05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智能型汽车电子闪光器
JP2021128509A (ja) * 2020-02-13 2021-09-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32B1 (ko) * 2013-07-19 2014-02-12 차하경 차속에 의한 차량등 자동 제어시스템
CN109572542A (zh) * 2018-10-31 2019-04-05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智能型汽车电子闪光器
JP2021128509A (ja) * 2020-02-13 2021-09-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80272A (ja) ターンシグナル点灯制御装置
KR101142872B1 (ko)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JP2009190650A (ja) 旋回方向指示装置
KR20100131194A (ko)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JP4793312B2 (ja) 旋回方向指示装置
US7476011B2 (en)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20210097503A (ko) 오토바이용 자동 윙커 제어 장치
KR20160111147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20060096248A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KR100245509B1 (ko) 자동차의 좌우깜박이자동작동장치
KR200431148Y1 (ko)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KR100471210B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 등화장치
JP2010221797A (ja) 方向指示装置
KR200423448Y1 (ko) 자동차용 전자식 방향지시장치
KR100488795B1 (ko) 차량의 제동등 작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0134868Y1 (ko) 후방차량 속도 감지장치
KR0173406B1 (ko) 항법장치에 연동된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자동 점멸장치
JPH1059062A (ja) 産業車輌の方向指示装置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200184853Y1 (ko) 자동차 유턴 표시장치
KR0126095Y1 (ko) 자동차의 조향에 따른 턴시그날램프 작동제어장치
KR100245844B1 (ko) 차량의 방향지시 및 비상등 장치
KR100569997B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의 제어시스템
KR200441916Y1 (ko) 자동차의 비상등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