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47B1 -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847B1
KR101360847B1 KR1020130059678A KR20130059678A KR101360847B1 KR 101360847 B1 KR101360847 B1 KR 101360847B1 KR 1020130059678 A KR1020130059678 A KR 1020130059678A KR 20130059678 A KR20130059678 A KR 20130059678A KR 101360847 B1 KR101360847 B1 KR 101360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inlet
inlet structure
pressure wav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터널 입구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입구 구조부; 및 상기 입구 구조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터널 입구와 연통하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된 외측 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DUAL STRUCTURE FOR REDUCING TUNNEL MICRO PRESSURE WAVE}
본원은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가 터널 내부로 진입하면 압력파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압력파는 터널 내부로 전파되어 터널 출구를 통해 터널 미기압파 형태로 외부로 방사된다. 이러한 터널 미기압파는 저주파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철도 터널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터널의 입구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갱구(1)가 구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사갱구(1)는 입구 주변 사면의 붕괴를 막아 사면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사면 안정을 주 목적으로 하여 구축된 경사갱구(1)를 통하여서도 상술한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는 효과가 부수적으로 발휘될 수 있음이 확인되고는 있으나, 이는 열차진입속도에 따라 약 10%~20% 정도의 미미한 저감 효과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널 미기압파의 저감 효과를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터널 입구 구조체의 구축이 필요하였다. 특히, 최근에 열차의 주행 속도가 빨라지고 철도 터널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터널 미기압파가 더욱 증가하게 되었는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효율적인 구축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터널 입구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입구 구조부; 및 상기 입구 구조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터널 입구와 연통하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된 외측 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측 후드가 입구 구조부를 둘러싸며 배치됨으로써, 철도차량이 외측 후드에 먼저 진입함으로써 1차적으로 압축된 공기가 입구 구조부와 후드의 이중 구조, 즉, 입구 구조부의 외주면과 외측 후드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의해 2차적으로 압축 지연될 수 있어 압력파의 파면 구배 및 크기의 상승이 효과적으로 지연될 수 있다.
도 1은 벨 마우스 경사갱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입구 구조부가 후드인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부, 전방, 전단부, 후단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1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 또는 면이 전단부,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 또는 면이 후단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이하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벨 마우스 경사갱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내지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13은 입구 구조부가 후드인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입구 구조부(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입구 구조부(1)는 터널 입구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입구 구조부(1)는 철도차량이 터널(0)로 진입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12 각각의 (a)의 입구 구조부(1)의 돌출된 정도와 도 5 내지 도 12 각각의 (b)의 입구 구조부(1)의 돌출된 정도는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 즉, 입구 구조부(1)의 돌출된 정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정도나 형태 이외에도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입구 구조부(1)는 예시적으로, 경사갱구(1)(도 1 내지 도 10 참조), 후드(1)(도 11 및 도 12 참조) 및 터널 입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판(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입구 구조부(1)에 대해서는 외측 후드(3)의 구성을 설명한 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는데 있어서, 입구 구조부(1)에 해당하는 경사갱구 및 후드에는 동일한 도면부호 1을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외측 후드(3)를 포함한다.
외측 후드(3)는 입구 구조부(1)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그 내부에 입구 구조부(1)가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입구 구조부(1)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후드(3)는 터널 입구와 연통하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된다.
외측 후드(3)는 입구 구조부(1)의 외측을 감싸되, 철도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는 개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입구 구조부(1)의 외측이라 함은 입구 구조부(1)의 외주면의 바깥쪽 영역을 전반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 후드(3)는 철도차량이 진입할 수 있을만큼 전방이 개구되어 있다면, 필요에 따라서는 전방의 개구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입구 구조부(1)의 전방의 외측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외측 후드(3)는 철도차량이 입구 구조부(1)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후드(3)의 횡단면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외측 후드(3)의 횡단면의 형상은 아치 형상 또는 제형, 사각형, 7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13에는 횡단면의 형상이 아치 형상인 외측 후드(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입구 구조부(1)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입구 구조부(1)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구 구조부(1)가 후드(1)인 경우,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후드(1)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후드(1)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입구 구조부(1)가 경사갱구(1)인 경우,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경사갱구(1)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경사갱구(1)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의 횡단면의 형상은 외측 후드(3)가 둘러싸고 있는 후드(1)의 횡단면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후드(3)는 후드(1)의 외주면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구 구조부(1)가 터널 입구의 양측(좌측 및 우측, 도 1 기준 8시 방향 및 2시 방향) 각각에 배치되는 경사판인 경우, 좌측에 배치된 경사판의 외측(좌측), 우측에 배치된 경사판의 외측(우측)이 외측이 될 수 있다. 즉, 외측 후드(3)는 양측 경사판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입구 구조부(1)의 외주면과 외측 후드(3)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하 '간격에 의한 영역'이라 함)은 입구 구조부(1)로의 철도차량 진입시 입구 구조부(1)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압력구배 상승이 지연되도록 압축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에 의하면, 입구 구조부(1)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배출은 외측 후드(3)에 의해 한차례 지연되었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입구 구조부(1)로의 철도차량 진입시 입구 구조부(1)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간격에 의한 영역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입구 구조부(1) 내측의 공기 밀도가 저감되어 압력 구배 상승이 지연되며, 간격에 의한 영역의 압력 구배는 철도차량 진입시 입구 구조부(1)에 의해 압축된 공기 중 이동되어 온 공기에 의해 비로소 상승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입구 구조부(1)와 외측 후드(3)를 통해 압축 공기 배출에 있어서의 이중 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압축 공기의 배출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압력 구배의 상승이 일거에 일어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각 영역(입구 구조부(1)의 내측 영역, 간격에 의한 영역)별로 이루어질 수 있어 압력 구배의 상승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터널 미기압파 저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그 후단부가 터널 입구의 주변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후드(3)가 터널 입구의 주변에 맞닿도록 시공되는 경우, 외측 후드(3)의 시공 전에, 터널 입구의 주변이 외측 후드(3)를 소정 이상 지지할 수 있도록 터널 입구의 주변 지반에 대한 보강 공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널 입구의 주변이 경사사면(dip slope)인 경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후드(3)의 후단부는 경사사면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외측 후드(3)는 그 전단부가 입구 구조부(1)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후드(3)의 전방을 향한 돌출 규모를 주변 환경 여건, 터널(0)의 규모, 통과하는 철도차량의 속도 및 제원 등과 함께 고려함으로써, 터널 미기압파를 더욱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입구 구조부(1)의 규모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 후드(3)가 입구 구조부(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면, 철도차량이 입구 구조부(1)보다 외측 후드(3)에 먼저 진입하게 됨으로써 공기가 1차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1차적으로 압축된 공기는 입구 구조부(1)의 외주면과 외측 후드(3)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즉 전술한 간격에 의한 영역을 통하여 2차적으로 그 압축이 지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간격에 의한 영역은 외측 후드(3)로의 철도차량의 진입시 외측 후드(3)에 의해 1차적으로 압축된 공기의 압력구배 상승이 지연되도록 압축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즉, 외측 후드(3)에 의해 1차적으로 압축된 공기는 간격에 의한 영역에 의해 2차적으로 압축 지연된 후 배출될 수 있어 터널 미기압파 저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외측 후드(3)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풍관(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풍관(31)을 통해 외측 후드(3)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압의 일부는 자유단 반사를 통해 팽창파의 형태로 반사되어 통풍관(31)으로 전파되는 공기압을 감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 미기압파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풍관(31)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풍관(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풍관(31)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직으로 연장(도 2 내지 도 13 참조)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통풍관(31)은 터널 미기압파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풍관(31)은 자유단 반사를 통해 형성되는 팽창파에 의해 압력파의 감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통풍관(31)을 통해 방사되는 공기압의 파장을 고려하여 그 길이(높이) 및 내경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통풍관(3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 내지 도 12각각의 (a) 및 도 2 내지 도 4에는 2개의 통풍관(3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12 각각의 (b)에는 3개의 통풍관(3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통풍관(31)은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입구 구조부(1)의 다양한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입구 구조부(1)는 경사갱구일 수 있다.
경사갱구(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 마우스(bell mouth) 경사갱구일 수 있다. 또는, 경사갱구(1)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터널 경사갱구일 수 있다. 벨 마우스 경사갱구 및 터널 경사갱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갱구(1)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정 경사면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참고로, 정 경사면이라는 용어는 후술할 상향 경사구배를 갖는 역 경사면이라는 용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하향 경사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갱구(1)의 전단부의 끝단은 연직 방향으로 모깎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모깎기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창출하는 구조 부분에 대한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경사갱구(1)의 전단부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역 경사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갱구(1)의 하단은 지면을 지지하도록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최근에 철도차량의 속도가 빨라지고 터널(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터널 미기압파가 더욱 증가하게 되는바, 사면 안정이 주 목적인 경사갱구(1)를 터널 입구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터널 미기압파를 거의 저감할 수 없었다.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이러한 입구 구조부(1)의 외측에 외측 후드(3)를 추가 형성시킴으로써 터널(0)의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터널 입구에 기시공되어 있는 경사갱구(1)와 같은 입구 구조부(1)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어, 기시공되어 있는 터널(0)에 대하여도 추가적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한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 및 공사기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가 이와 같이 기시공된 입구 구조부(1)를 갖는 터널(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신규 터널 시공 시에 그 입구에 입구 구조부(1) 및 외측 후드(3)를 모두 신규 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다른 구현예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입구 구조부(1)는 후드(1)일 수 있다. 후드(1)의 횡단면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후드(1)의 횡단면의 형상은 아치 형상 또는 제형, 사각형, 7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13에는 횡단면의 형상이 아치 형상인 후드(1)가 도시되어 있다. 후드(1)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는 입구 구조부(1)가 후드일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 구조부(1)는 경사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사판은 터널 입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경사판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정 경사면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경사갱구(1)의 형태와 같을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정 경사면이라는 용어는 앞서 설명한 상향 경사구배를 갖는 역 경사면이라는 용어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하향 경사구배를 갖는 경사면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또한, 경사판의 전단부의 끝단은 연직 방향으로 모깎기된 것일 수 있다. 끝단이 모깎기 된 경사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경사갱구(1)의 형태와 같을 수 있다.
또한, 경사판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역 경사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경사판의 하단은 지면을 지지하도록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판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경사갱구(1)의 형태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입구 구조부(1)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1)은 입구 구조부(1)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통공을 하나 이상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입구 구조부(1)를 이루는 벽은 다공질벽(porous wall)으로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홀(11)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구 구조부(1)는 터널(0)의 높이(내공 단면적) 이상의 높이(내공 단면적)를 갖는 규모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 내지 도 10에는 입구 구조부(1)의 상단이 터널(0)의 입구의 상단에 대응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입구 구조부(1)는 필요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후드 형상의 입구 구조부(1)와 같이 터널(0)의 높이(내공 단면적) 이상의 높이(내공 단면적)를 갖는 규모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12 각각의 (a)를 참조하면, 외측 후드(3)의 전방에는 경사 구조부(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사 구조부(5)는 경사갱구 또는 경사 구조부(5)의 전단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판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갱구 또는 경사판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경사갱구(1) 또는 경사판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입구 구조부 11: 홀
3: 외측 후드 31: 통풍관
5: 경사 구조부 0: 터널

Claims (10)

  1.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에 있어서,
    터널 입구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입구 구조부; 및
    상기 입구 구조부의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상기 입구 구조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터널 입구와 연통하도록 종방향으로 개구된 외측 후드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 후드는 그 후단부가 상기 터널 입구에 맞닿아 형성되고, 그 전단부가 상기 입구 구조부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입구 구조부로의 철도차량 진입 시 상기 입구 구조부에 의해 압축된 공기의 압력구배 상승이 지연되도록 상기 압축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되는 영역이며,
    상기 외측 후드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내부의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풍관이 형성되는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구조부는 경사갱구, 후드 및 상기 터널 입구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사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갱구 또는 상기 경사판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역 경사면을 가진 형태이되, 그 하단은 지면을 지지하도록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갱구 또는 상기 경사판의 전단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정 경사면을 가진 형태이되,
    상기 경사갱구 또는 상기 경사판의 전단부의 끝단은 연직 방향으로 모깎기 되는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입구의 주변이 경사사면인 경우,
    상기 외측 후드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사면에 맞닿아 형성되는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구조부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것인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10. 삭제
KR1020130059678A 2013-05-27 2013-05-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KR101360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78A KR101360847B1 (ko) 2013-05-27 2013-05-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78A KR101360847B1 (ko) 2013-05-27 2013-05-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847B1 true KR101360847B1 (ko) 2014-02-12

Family

ID=5027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78A KR101360847B1 (ko) 2013-05-27 2013-05-27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8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253A (zh) * 2021-11-10 2022-03-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超高速铁路隧道洞口双层式渐变开孔缓冲结构
CN114183164A (zh) * 2021-11-30 2022-03-1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高速铁路隧道洞口的扩大型降压缓冲装置及设计方法
CN114872739A (zh) * 2022-04-24 2022-08-09 中南大学 可缓解隧道压力波的高速磁悬浮铁路隧道及其构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592A (ja) * 1992-05-25 1993-12-07 Hitachi Ltd 消音トンネル
JPH10115188A (ja) * 1996-10-09 1998-05-06 Hitachi Zosen Corp トンネル形成壁
JP2004027601A (ja) * 2002-06-25 2004-01-29 East Japan Railway Co 管状通路構造
KR20090044166A (ko) * 2007-10-31 2009-05-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열차 터널의 미기압파 저감용 후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592A (ja) * 1992-05-25 1993-12-07 Hitachi Ltd 消音トンネル
JPH10115188A (ja) * 1996-10-09 1998-05-06 Hitachi Zosen Corp トンネル形成壁
JP2004027601A (ja) * 2002-06-25 2004-01-29 East Japan Railway Co 管状通路構造
KR20090044166A (ko) * 2007-10-31 2009-05-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열차 터널의 미기압파 저감용 후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253A (zh) * 2021-11-10 2022-03-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超高速铁路隧道洞口双层式渐变开孔缓冲结构
CN114183164A (zh) * 2021-11-30 2022-03-1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高速铁路隧道洞口的扩大型降压缓冲装置及设计方法
CN114872739A (zh) * 2022-04-24 2022-08-09 中南大学 可缓解隧道压力波的高速磁悬浮铁路隧道及其构筑方法
CN114872739B (zh) * 2022-04-24 2023-10-03 中南大学 可缓解隧道压力波的高速磁悬浮铁路隧道及其构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251B1 (ko) 열차 진행 방향에 평행한 통풍관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US9812852B2 (en) Gromm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360847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KR101480437B1 (ko) 통풍관 조합형 후드 구조체
JP2008267049A (ja) 消音壁
KR101218343B1 (ko)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KR101958761B1 (ko)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JP2014025215A (ja) 発破による騒音を低減する消音装置、消音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06596B1 (ko) 방음터널의 흡음장치
JP6356988B2 (ja) トンネル
JP5997629B2 (ja) 微気圧波低減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トンネル構造
JP4302086B2 (ja) トンネル坑口部構造及び緩衝工装置
KR101472906B1 (ko) 경사구조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CN204185785U (zh) 吸声砖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CN104632336B (zh) 一种后处理传感器安装结构
KR101102189B1 (ko) 소음 흡수 효과가 뛰어난 방음패널
JP2015180797A (ja)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防音扉
JP6029418B2 (ja) 立坑
KR101360846B1 (ko) 각각 다른 횡단면적을 갖는 복수의 후드를 포함하는 후드 구조체
KR100673623B1 (ko) 방음유닛, 방음벽 및 방음터널
KR101708828B1 (ko) 소음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음방지벽
KR20160012840A (ko) 방음벽 패널
JP2012167461A (ja) 防音壁
JP6537276B2 (ja) 緩衝工、及び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