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761B1 -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761B1
KR101958761B1 KR1020180113510A KR20180113510A KR101958761B1 KR 101958761 B1 KR101958761 B1 KR 101958761B1 KR 1020180113510 A KR1020180113510 A KR 1020180113510A KR 20180113510 A KR20180113510 A KR 20180113510A KR 101958761 B1 KR101958761 B1 KR 101958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hood
panel
wall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고태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2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 F15D1/005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apertures in the surface, through which fluid is withdrawn from or injected into the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는 터널 후드의 내벽을 이루도록 연결된 복수의 다공판; 격벽을 이루도록 다공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 터널 후드의 외벽을 이루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패널; 및 터널 후드의 내벽 및 외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통풍관을 포함하되, 프레임은 봉강, 강관, 형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고,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서 배치되되, 복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세로바; 및 세로바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로바를 포함하며, 세로바는 횡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고, 가로바는 세로바 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되, 종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세로바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바는 원형강 또는 각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세로바의 길이가 가로바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다공판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이고,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단부는 터널 후드의 상부면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패널은, 터널 후드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다공판과 이격되되, 프레임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다공판과 패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에 의해, 복수의 격실이 형성되는 것이고, 각 격실에는 다공판을 통해 터널 미기압파가 유입되되,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이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를 이웃하는 격실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고,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요철면에 의해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가 소산되는 것이고,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저주파 흡음재에 의해 각 격실로 유입된 압축파를 흡수하는 것이고, 통풍관은 유입구, 중간부 및 유출구로 구성되되,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둘레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유입구는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터널 후드의 내벽의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중간부는 다공판과 패널을 관통하되 터널 후드의 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유출구는 패널로 구성되는 터널 후드의 외벽의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통풍관에 의해, 터널 미기압파가 터널 후드의 외부로 유출된다.

Description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PANEL STRUCTURE OF TUNNEL EXIT HOOD FOR REDUCING THE MICRO PRESSURE WAVES}
본 발명은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이 철도 터널 내부로 진입하면 압력파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압력파는 터널 내부로 전파되어 터널 출구를 통해 미기압파 형태로 외부로 방사된다. 이러한 미기압파는 주변 민가에 충격성 소음 및 저주파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철도 터널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미기압파를 저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터널 미기압파를 줄이기 위해서 종래에는 터널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구조, 열차의 앞 부분을 뾰족하게 하는 구조, 그리고 터널 입구에 단면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나팔형 갱구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터널 단면적을 크게 하는 방법은 터널 공사비 및 유지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열차의 앞 부분을 길게 하거나 터널 입구에 나팔형 갱구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은 미기압파를 줄이는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124163호(발명의 명칭: 경사구조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널 출구에 구비되어,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내벽,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진 외벽,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격벽을 구성하도록 격자로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는 터널 후드의 내벽을 이루도록 연결된 복수의 다공판; 격벽을 이루도록 다공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 터널 후드의 외벽을 이루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패널; 및 터널 후드의 내벽 및 외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통풍관을 포함하되, 프레임은 봉강, 강관, 형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고,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서 배치되되, 복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세로바; 및 세로바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로바를 포함하며, 세로바는 횡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고, 가로바는 세로바 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되, 종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세로바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바는 원형강 또는 각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세로바의 길이가 가로바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다공판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이고,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단부는 터널 후드의 상부면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패널은, 터널 후드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다공판과 이격되되, 프레임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다공판과 패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에 의해, 복수의 격실이 형성되는 것이고, 각 격실에는 다공판을 통해 터널 미기압파가 유입되되,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이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를 이웃하는 격실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고,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요철면에 의해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가 소산되는 것이고,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저주파 흡음재에 의해 각 격실로 유입된 압축파를 흡수하는 것이고, 통풍관은 유입구, 중간부 및 유출구로 구성되되,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둘레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유입구는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터널 후드의 내벽의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중간부는 다공판과 패널을 관통하되 터널 후드의 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유출구는 패널로 구성되는 터널 후드의 외벽의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통풍관에 의해, 터널 미기압파가 터널 후드의 외부로 유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터널에 진입한 고속열차보다 터널출구에 음속으로 먼저 도달한 압력파에 의하여 터널출구에서 방사되는 소닉-붐, 충격성 소음 및 사람과 건물에 전달되는 저주파 진동을 터널 출구에서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판의 형상 및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종류 및 관통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내부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내부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B 및 C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종단면 및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압축파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는 터널 후드(1)의 내벽을 이루도록 연결된 복수의 다공판(10), 격벽을 이루도록 다공판(10)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20) 및 터널 후드(1)의 외벽을 이루도록 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된 패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공판(10)과 패널(30)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20)에 의해, 복수의 격실(D)이 형성되는 것이고, 각 격실(D)에는 다공판(10)을 통해 터널 미기압파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터널 후드(1)의 내벽을 이루는 다공판(10)을 통해 저주파 성분의 압축파를 흡수 및 방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으로 구성된 격실(D)을 통해 흡수된 압축파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판의 형상 및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종류 및 관통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공판(10)은 복수의 홀(11)을 포함하며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홀(11)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병렬 배치될 수 있으며, 홀(11)의 지름은 80mm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공판(10)은 상부면(10a), 좌측면(10c) 및 우측면(10b)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면(10c) 및 우측면(10b)의 상단부는 상부면(10a)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다공판(10)을 연결 및 결합하거나 복수의 다공판(10)으로 구성된 하나의 면(10a, 10b, 10c)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등은 기존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20)은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21)은 각 격실(D)로 유입된 미기압파를 이웃하는 격실(D)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프레임(20)은 다공판(10) 간의 연결부에서 배치되되, 복수의 다공판(10)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세로바(22) 및 세로바(22)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다공판(10)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로바(23)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20)은 봉강, 강관, 형강, 강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H형강(20c)을 세로바(22)로 이용하고, H형강(20c)의 가운데 부분에 직교하도록 원형강(20a) 또는 각강(20b)을 가로바(23)로 이용하는 등 프레임(20)의 배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20)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다공판(10)의 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세로바(22)는 횡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10) 간의 연결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개의 다공판(10)의 너비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가로바(23)는 세로바(22) 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되, 종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10) 간의 연결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즉, 세로바(22)의 길이가 가로바(2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반대로 가로바(23)의 길이가 세로바(22)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로바(23)의 이격 공간 사이에 복수의 세로바(22)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널(30)은 상부면(10a), 좌측면(10c), 및 우측면(10b)을 형성하는 다공판(10)과 이격되되, 프레임(20)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터널 후드(1)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때 패널(30)은 터널 후드(1)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내구성이 강한 성질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패널(30)은 격실(D)로 유입된 압축파를 격실 내부로 한정하며, 반사하는 역할을 하며, 패널(30)의 내벽에 저주파 흡음재를 붙이거나 도포할 경우에는 격실(D)로 유입된 압축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패널(30)의 내벽에 요철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격실(D)로 유입된 압축파를 난반사하여 소산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패널(30)의 내벽이 울퉁불퉁하게 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숏크리트(shotcrete)를 도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내부 단면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내부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내부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의 단면은 복수의 다공판(10) 간의 연결부 마다 프레임(20)이 배치되고, 프레임(20)의 상부에 패널(30)이 형성되어 복수의 격실(D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널 후드 내부의 압축파는 각각의 다공판(10a, 10n)의 홀(11)을 통해 각 격실(D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각 격실(D1)의 내부에서 유입된 압축파가 팽창 및 간섭, 공명현상으로 저감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다공판(10a, 10n)을 그룹으로 묶은 후, 그룹 간의 연결부에 프레임(10)을 배치하여, 도 4의 (a)의 격실(D2)보다 큰 면적을 갖는 하나의 격실(D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널 후드 내부의 압축파는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다공판(10a, 10n)의 홀(11)을 통해 격실(D2)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프레임(2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격실(D2)의 내부에서 유입된 압축파가 팽창 및 간섭, 공명현상으로 저감된다.
다른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의 단면은 복수의 다공판(10) 간의 연결부 마다 프레임(20)이 배치되고, 프레임(20)의 상부에 패널(30)이 형성되어 복수의 격실(D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21)은 각 격실(D3)로 유입된 압축파(또는 미기압파)를 이웃하는 격실(D3)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널 구조체의 단면은 터널 후드 내부의 압축파를 각각의 다공판(10a, 10n)의 홀(11)을 통해 각 격실(D3)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각 결실(D3)로 유입된 압축파를 관통공(21)을 통해 이웃하는 격실(D3)로 유입시키거나 유출시킴으로써, 터널에서 발생하는 미기압파 및 저주파 성분의 압축파를 흡수/방사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압축파의 일부는 격실(D3) 내에서 흡수되거나 팽창파의 형태로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된 팽창파는 다공판(10) 및 관통공(21)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파의 일부와 중첩되면서 이를 상쇄시키거나 감쇄시켜 미기압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추가 실시예를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B 및 C에 대한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종단면 및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의 압축파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추가 실시예로,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는 후드(1)의 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통풍관(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풍관(3)은 유입구, 중간부 및 유출구로 구성될 수 있다. 통풍관(3)의 유입구는 다공판(10)으로 구성되는 후드(1) 내벽의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통풍관(3)의 중간부는 다공판(10)과 패널(30)을 관통하며, 후드(1)의 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통풍관(3)의 유출구는 패널(30)로 구성되는 후드(1)의 외벽의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통풍관(3)은 후드(1)의 내벽의 좌측 및 우측 둘레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풍관(3)은 압축파가 직접적으로 통풍관(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의 (b)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공판(10), 프레임(20) 및 패널(30)로 구성되는 후드(1)는 횡단면이 사각형 형성될 뿐 아니라, 도7의 (a) 및 (d)에 도시된 것처럼 반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 통풍관(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것처럼 후드(1)는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 또는 좌측 또는 우측면에 통풍관(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터널 후드(1a, 1b)는 터널의 출구 또는 입구 양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하행선의 경우 제2 후드(1b)를 통과하는 철도 차량에 의해 형성된 압축파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우측에서 좌측)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진행(이동)하기 때문에, 제1 후드(1a)를 통해 직접적으로 압축파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행선의 경우 제 1 후드(1a)를 통과하는 철도 차량에 의해 형성된 압축파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좌측에서 우측)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진행(이동)하기 때문에, 제 2 후드(1b)를 통해 직접적으로 압축파가 유입될 수 있어, 효율적인 압축파 압력구배 저감과 미기압파 저감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판(10)과 패널(30)의 사이에는 격벽을 이루도록 프레임(20)이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격실(D)이 형성되며, 각각 격실(D)에는 다공판(10)을 통해 터널 미기압파가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입된 미기압파는 각 격실(D)의 내부에서 팽창 및 간섭, 공명현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 격실(D)로 유입된 미기압파는 관통공(21)을 통해 이웃하는 격실(D)로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미기압파는 유출되는 미기압파의 일부와 중첩되면서 이를 상쇄시키거나 감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a, 1b: 후드
3: 통풍관
10, 10a, 10n: 다공판
11: 홀
20, 20a, 20b, 20c: 프레임
21: 관통공
22: 세로바
23: 가로바
30: 패널

Claims (1)

  1.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에 있어서,
    터널 후드의 내벽을 이루도록 연결된 복수의 다공판;
    격벽을 이루도록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터널 후드의 외벽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패널; 및
    상기 터널 후드의 내벽 및 외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통풍관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봉강, 강관, 형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서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세로바; 및
    상기 세로바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되, 하나의 다공판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바는 횡방향으로 나열된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가로바는 상기 세로바 간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되, 종방향으로 나열된 상기 다공판 간의 연결부에 대응하여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세로바는 H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바는 원형강 또는 각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상기 세로바의 길이가 상기 가로바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다공판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상단부는 상기 터널 후드의 상부면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패널은, 상기 터널 후드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되,
    상기 터널 후드의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하는 다공판과 이격되되,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다공판과 상기 패널 사이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에 의해, 복수의 격실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각 격실에는 상기 다공판을 통해 터널 미기압파가 유입되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이 상기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를 이웃하는 격실로 유입 및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요철면에 의해 상기 각 격실로 유입된 터널 미기압파가 소산되는 것이고,
    상기 패널의 내벽에 형성된 저주파 흡음재에 의해 상기 각 격실로 유입된 압축파를 흡수하는 것이고,
    상기 통풍관은 유입구, 중간부 및 유출구로 구성되되, 상기 터널 후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둘레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다공판으로 구성되는 상기 터널 후드의 내벽의 내측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는 상기 다공판과 패널을 관통하되 상기 터널 후드의 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는 상기 패널로 구성되는 터널 후드의 외벽의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통풍관에 의해, 터널 미기압파가 상기 터널 후드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인,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KR1020180113510A 2018-09-21 2018-09-21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KR10195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10A KR101958761B1 (ko) 2018-09-21 2018-09-21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10A KR101958761B1 (ko) 2018-09-21 2018-09-21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75 Division 2017-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761B1 true KR101958761B1 (ko) 2019-03-18

Family

ID=6594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10A KR101958761B1 (ko) 2018-09-21 2018-09-21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253A (zh) * 2021-11-10 2022-03-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超高速铁路隧道洞口双层式渐变开孔缓冲结构
CN114183164A (zh) * 2021-11-30 2022-03-1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高速铁路隧道洞口的扩大型降压缓冲装置及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479Y1 (ko) * 2004-12-27 2005-03-30 이승주 방음터널
KR101445251B1 (ko) * 2013-10-21 2014-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행 방향에 평행한 통풍관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479Y1 (ko) * 2004-12-27 2005-03-30 이승주 방음터널
KR101445251B1 (ko) * 2013-10-21 2014-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행 방향에 평행한 통풍관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5253A (zh) * 2021-11-10 2022-03-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超高速铁路隧道洞口双层式渐变开孔缓冲结构
CN114183164A (zh) * 2021-11-30 2022-03-15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高速铁路隧道洞口的扩大型降压缓冲装置及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761B1 (ko) 출구용 터널 미기압파 저감 패널 구조체
RU2341625C2 (ru) Акустический экран кочетовых
KR101960917B1 (ko) 방음터널용 방음판 고정장치
JP6240446B2 (ja) 箱状ヘルムホルツ共鳴器の組立体とトンネル発破音の低減方法
JP6092658B2 (ja) 共鳴型吸音体
KR101080213B1 (ko) 방음벽 조립체
CN108831431A (zh) 全频扩散消声装置及通风通道消声系统
KR101824209B1 (ko) 저주파 대역을 위한 공명을 이용하는 흡음장치
CN208936495U (zh) 扩散共振消声装置及通风通道消声系统
CN108800517B (zh) 扩散共振消声装置及通风通道消声系统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JP6299100B2 (ja) トンネル用消音装置及びトンネル用消音方法
JP6356988B2 (ja) トンネル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101044368B1 (ko) 소음저감용 방음구조물
CN210667772U (zh) 一种矩阵式消声器
KR200378864Y1 (ko) 소음저감장치
JP6767800B2 (ja) 消音ユニットおよび消音ユニットを用いた消音構造体
JP7342615B2 (ja) 車両の消音構造
KR102542083B1 (ko) 철도 터널과 연결된 갱 풍도의 출구에 배치되는 폭발음 저감 소음기 및 소음 저감 방법
US11536487B2 (en) Diffusion muffling device, diffusion resonance muffling device, full-frequency diffusion muffling device, muffling system for ventilation channel, and muffl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0984260U (zh) 空气冷却器的降噪装置
RU2019136052A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ий кожух с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ми глушителями
JP2012145776A (ja) 音響特性改善構造
JP2017166187A (ja) 立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