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826B1 -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Google Patents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0826B1 KR101360826B1 KR1020120030253A KR20120030253A KR101360826B1 KR 101360826 B1 KR101360826 B1 KR 101360826B1 KR 1020120030253 A KR1020120030253 A KR 1020120030253A KR 20120030253 A KR20120030253 A KR 20120030253A KR 101360826 B1 KR101360826 B1 KR 101360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handle
- protection
- rotation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리프트차량을 이용하는 환자 및 장애인과 운전자 및 도우미들의 안전을 위한 보호범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운행 시 빈번하게 일어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탑승자 보호용으로 U자형 범퍼 본체 및 탑승자 유형별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본체와 하체 거치대(240)를 구비하여 침대형 휠체어 이용자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형 보장구(스쿠터. 전동 휠체어 등)를 격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용자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운전자 및 도우미들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불필요한 동작과 자세를 소멸시킴으로서 보다 안정된 업무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심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고속도로 이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형 보장구(스쿠터. 전동 휠체어 등)를 격리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용자 또한 보호할 수 있도록 됨과 동시에 운전자 및 도우미들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불필요한 동작과 자세를 소멸시킴으로서 보다 안정된 업무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심적 안정감을 부여하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고속도로 이용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 전용 차량인 리프트장착 장애인 콜택시와 개인용 승합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 사고시(추돌, 전복) 급제동, 급회전, 후방충격 사고 등 탑승자에게 있어 최소한의 안전권을 보장해주고자 충격흡수장치 기능을 수행하는 장애인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Lift car indoors bumper)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선천적 장애, 후천적 사고, 노령과 질병 등으로 인해 휠체어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이동권 지원을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애인 리프트 차량 보급에 따라 대중교통 장애인 콜택시 및 각 단체 수용시설과 개인에게 보급(지원)한 리프트 장착 장애인 전용 차량이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복지법 시행령에 따라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현재 이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 장애인이나 재활 통원치료 환자에게 있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는 상황이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2개 자동차 회사에서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장애인 전용차량(리프트장착차량)에 안전장치가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휠체어고정 장치일 뿐이고 탑승자(장애인)를 보호해주는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교통약자 라고 칭하는 장애인들에게 있어 최소한의 행복권 중에 중요한 이동 권을 확보하였으나, 차량을 제작, 관리, 운영하는 비장애인들이 장애인들이 특수성을 세밀하게 고려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곧 정상인(비장애인)이 장치를 제작하여 보급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수리능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지체장애 등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앞으로 지원, 운행될 차량이나 이미 보급된 차량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제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2개 자동차 회사에서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장애인 전용차량(리프트장착차량)에 안전장치가 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휠체어고정 장치일 뿐이고 탑승자(장애인)를 보호해주는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교통약자 라고 칭하는 장애인들에게 있어 최소한의 행복권 중에 중요한 이동 권을 확보하였으나, 차량을 제작, 관리, 운영하는 비장애인들이 장애인들이 특수성을 세밀하게 고려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곧 정상인(비장애인)이 장치를 제작하여 보급하다 보니 장애인들은 수리능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지체장애 등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앞으로 지원, 운행될 차량이나 이미 보급된 차량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제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삭제
삭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고 장애인 전용 리프트 차량을 이용하는 모든 장애인들에게 차량 보급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이와 동반하여 꾸준히 늘고 있는 차량 내부 안전사고에 대비하며 보다 편안하고 장시간 이용에도 육체와 정신적 피로감을 현저히 감소시켜 주며 또한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면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도 업무수행에 있어 실내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소멸시켜 주며, 특히 대중교통차량(단체버스, 장애인 콜택시, 수용시설 실무자) 운전자와 동승자(도우미)들에게 휠체어 고정시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사고 특히 허리부상, 어깨탈골, 머리부상 등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을 막아줄 필요성이 있다.
도 1은 현재 실정을 나타낸 사진으로, 현재 보급되는 스타렉스 리프트 장착 차량이다. 각 전방과 측면에 바닥에 고정한 노란색 파이프가 손잡이(1a) 이다. 바닥에 사방으로 4개의 휠체어 바퀴를 걸어 고정하는 고리 장치(1b)가 있다.
이런 경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 다음 -
이런 경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 다음 -
삭제
삭제
삭제
문제점 1) 도 1의 (1a)와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에 4개의 고정장치가 있다. 이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탑승자를 차량에 리프트를 이용하여 승차시킨 후 후면 고리를 먼저 고정시키고 탑승자 뒤에서 앞으로 머리를 숙여 고정을 하는데 이때 어깨탈골이나 허리 염증을 유발하고 정상 작동법으로는 차량 뒷문을 닫고 측면 문을 개폐한 후 각 각 양 방향에서 전면 하나씩을 고정시키고 난 후 동승자 탑승과 동시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방식인데 이는 시간이 너무 지체된다.
삭제
문제점 2) 도 1의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에 4개의 고정장치가 중형보장구(스쿠터, 전동휠체어)에는 고정이 불가능하고 보장구와 고정장치가 연결되지 않는다.
삭제
문제점 3) 도 1의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에 4개의 고정장치가 휠체어는 고정 시켜주나 휠체어 사용자(탑승자)를 보호해주는 장치는 없다. 각 3곳에 파이프 손잡이가 있을 뿐이다. 이는 곧 흉추 장애인(상체기능이 원활한 자) 즉, 양손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장애인은 그나마 급회전시, 급정차시, 손잡이를 이용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범위를 벗어난 회전이나 급제동시엔 이들도 부상을 피할 수 없다. 이런 사고는(타 차량의 진로방해, 끼어들기, 난폭운전 등) 시내 주행에서 특히 빈번히 발생한다. 그래도 양손 사용이 가능한 장애인은 그나마 나은데 편마비(편마비라 함은, 머리에서 발끝까지 인중을 기점으로 오른쪽, 왼쪽 둘 중 한쪽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장애를 말함), 등 장애가 있는 방향의 부상은 피할 수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문제점 4) 소아나 신체발달장애 등 체구가 외소한 장애인들은 동승자가 안고 승차하여 차량에 부착된 시트(의자)에 앉아서 안전벨트를 하면 어깨에서 배꼽부까지 상체를 완전히 고정시켜주는 안전벨트장치를 이용하게 하게 된다. 그러나, 장애인 차량은 시각, 폐질환, 정신지체 등 휠체어를 사용치 아니하는 장애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차량이다.
삭제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휠체어를 이용함에 있어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지마비장애인, 중증 환자, 노약자, 보행기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휠체어에 앉는 것조차 불가능하여 침대형 휠체어에 누워서 이용하는 장애인은 그 상황에 따라 묶거나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벨트를 개조한 벨트(휠체어와 몸만 묶음)로 묶어서 이용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또한 결박 정도가 심하면 호흡하기가 곤란하고 배꼽 위 상부를 고정시켜주는 방법도 벨트 뿐이다. 그리고 결박상태가 느슨하면 아무 효과가 없고 결박 정도가 심하면 불편함은 물론 사고시 휠체어만 보호되고 탑승자(장애인)는 안전에 무방비 상태이다.
삭제
문제점 5) 도 1의 (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상황은 급정차 시 앞으로 쏠림현상이다. 이는 도 1의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트로 휠체어와 허리 부분을 고정하여도 상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도 1의 (1e)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양측 쏠림에도 그나마 도움은 되나 사지마비, 편마비, 중증장애인들에게는 무용지물이다. 도 1의 (1f)에 나타낸 상황처럼 후방 추돌시에는 휠체어는 고정이 되어 넘어가지 않으나 탑승자(장애인)가 벨트로 결박당한 상태에서 최대한 휠체어 뒤쪽으로 몸을 의지하기에 후방에 수납된 리프트에 부딪혀 부상당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몸이 굳어가는 질병으로 인해 침대형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차량 2열 시트의 중간부를 분리 후 하체를 시트에 결박하여 이용한다. 이는 곧 신체 피로도가 급증함을 의미하며 동승자 또한 정신적 피로감이 급증한다. 이런 실정으로는 장시간 이용은 불가능하고 20 ~ 30분 이상의 이용도 불가하며 또한 벨트 고정을 하면 호흡곤란은 당연하고 낙상 방지 외엔 다른 효과는 없다. 이는 곧 고속주행(고속도로)은 불가능하며, 자동차 전용도로 이용에도 많은 행동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끝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0-0898390호(2009.05.18)에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수동 휠체어 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도 손쉽게 탑재하고, 차량의 리어 플로워에 리프트나 슬로프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휠체어의 출입공간을 넓혀 휠체어를 안전하게 탑재하도록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기위한 장치와 안전 보호구에 대해서는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0-0898390호(2009.05.18)에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수동 휠체어 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도 손쉽게 탑재하고, 차량의 리어 플로워에 리프트나 슬로프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휠체어의 출입공간을 넓혀 휠체어를 안전하게 탑재하도록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휠체어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기위한 장치와 안전 보호구에 대해서는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운전자와 보호자의 신체적 피로도 감소 또는 소멸과 운전자와 보호자의 부상(재해)을 유발하는 동작(자세)을 소멸시키고, 둘째, 중형보장구 이용자 탑승시 보장구 수납방법과 공간 확보 및 탑승자(장애인) 안전성 확보하며, 셋째, 침대형 휠체어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장애인 리프트 차량 탑승자 안전 보호를 위하여 리프트 장착 장애인 전용 차량 이용시 실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추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 보호자에게 부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장애인 리프트 차량 탑승자 안전 보호를 위하여 리프트 장착 장애인 전용 차량 이용시 실내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추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 보호자에게 부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자(척수손상 사지마비)는 장애인 콜택시 (휠체어리프트차량)을 2011년 3월에 처음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그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사고를 경험하여 추후 장애인 콜택시 운전자와 이용자들에게 각종 사고 사례와 개선점을 수집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장치(범퍼)가 차량의 내부구조와 탑승자(장애인) 사이에 신체를 안전하게 의지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기능에 안전성을 제공함에 있어 차량 본체부와 프레임이 결합되고, 충격흡수와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부속물이 구비되고, 결합된 몸체가 전방, 후방, 양 측면으로부터 안전에 충분한 공간 확보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부가 범퍼와 휠체어 등받이에 위치하고, 긴급 상황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장치를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식으로 휠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운전자나 동승자가 바닥에서 고정 장치를 탈,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고정부가 낙하하면서 발등이나 손등을 다치는 재해도 소멸시켰고 이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탑승자를 고정하고 업무시간 단축으로 인해 여유로운 업무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는 곧 장애인과 상대적 대중교통 약자들의 이동권을 확대보장, 지원해주기 위한 정부 시책으로 지원되는 사업(대중교통 수용시설 및 각종 리프트를 장착한 휠체어 이용 가능한 다인승 탑승 차량)에 종사자 및 실무자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보호자들에게 차량 출고 시 미처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에 관해 보다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고속도로에 진입하여도 안전한 이동권, 편리한 이동권을 지원하기 위해 리프트를 장착한 휠체어 이용 가능한 승합차량의 각종 돌발, 추돌시 내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는 범퍼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장치(범퍼)가 차량의 내부구조와 탑승자(장애인) 사이에 신체를 안전하게 의지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그 기능에 안전성을 제공함에 있어 차량 본체부와 프레임이 결합되고, 충격흡수와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부속물이 구비되고, 결합된 몸체가 전방, 후방, 양 측면으로부터 안전에 충분한 공간 확보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부가 범퍼와 휠체어 등받이에 위치하고, 긴급 상황에도 대응이 가능하고, 장치를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식으로 휠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운전자나 동승자가 바닥에서 고정 장치를 탈,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고정부가 낙하하면서 발등이나 손등을 다치는 재해도 소멸시켰고 이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탑승자를 고정하고 업무시간 단축으로 인해 여유로운 업무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는 곧 장애인과 상대적 대중교통 약자들의 이동권을 확대보장, 지원해주기 위한 정부 시책으로 지원되는 사업(대중교통 수용시설 및 각종 리프트를 장착한 휠체어 이용 가능한 다인승 탑승 차량)에 종사자 및 실무자들의 안전사고 예방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보호자들에게 차량 출고 시 미처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에 관해 보다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 자동차 전용도로와 고속도로에 진입하여도 안전한 이동권, 편리한 이동권을 지원하기 위해 리프트를 장착한 휠체어 이용 가능한 승합차량의 각종 돌발, 추돌시 내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는 범퍼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 범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전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안전성을 제공한다.
둘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전자와 도우미들에게 위험한 동작과 자세를 소멸시킴으로서 부상 및 재해를 소멸시켰다.
셋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운행에 필요한 동작횟수를 줄임으로써 업무환경을 개선하였다.
넷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추돌사고나 돌발 상황 시 차량 내부에서 일어나는 2차 부상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다섯째, 휠체어 리프트차량 이용시 기립성 저혈압이나 순간 쇼크 발생시 대응이 가능하다.
여섯째, 침대형 휠체어 이용자와 중형보장구 이용자도 보호하게 되었다.
일곱째, 장시간 이용시 휴식이 가능하고 고속도로 이용도 가능하다.
도 1은 기존 차량에 따른 사고 실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를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다.
도 3은 기존 리프트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 사용 제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의 장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이다.
도 6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입체도이다.
도 7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기능별 기호도이다.
도 8은 체결부 기능별 세부 기호도이다.
도 9는 조임볼트부 세부 기호도이다.
도 10은 회전수납부 기능별 세부 기호도이다.
도 11은 중심부 기호도이다.
도 12는 굴절 회전고정부 기호도이다.
도 13은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의 충격흡수재 기호도이다.
도 14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의 마감부 기호도이다.
도 15는 손잡이부 기능설명도이다.
도 16은 중앙결속부 상세도이다.
도 17은 볼베어링식 본체 상세도이다.
도 18은 하부몸체 상세도이다.
도 19는 바닥회전부 상세도이다.
도 20은 하체거치대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를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다.
도 3은 기존 리프트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 사용 제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의 장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이다.
도 6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입체도이다.
도 7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기능별 기호도이다.
도 8은 체결부 기능별 세부 기호도이다.
도 9는 조임볼트부 세부 기호도이다.
도 10은 회전수납부 기능별 세부 기호도이다.
도 11은 중심부 기호도이다.
도 12는 굴절 회전고정부 기호도이다.
도 13은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의 충격흡수재 기호도이다.
도 14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의 마감부 기호도이다.
도 15는 손잡이부 기능설명도이다.
도 16은 중앙결속부 상세도이다.
도 17은 볼베어링식 본체 상세도이다.
도 18은 하부몸체 상세도이다.
도 19는 바닥회전부 상세도이다.
도 20은 하체거치대 상세도이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를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며, 도 3은 기존 리프트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 사용 제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의 장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대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기능별 기호도이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12, 도 13, 및 도 16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각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도 15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를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은 하부몸체(10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차량에 장착된 손잡이용 파이프와 탑승자(장애인) 보호 장치를 결합(조립)하여 사고(돌발, 위급상황)시 최소한의 안정권을 부여하고 또한 탑승자(장애인)의 충격 흡수 및 보호를 위한 보호범퍼(보호 장치)를 장착한다. 도 2의 (2a)는 기존 차량이용 형태이며, 도 2의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을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다. 이는 돌발 상황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 대응하고 장시간 이용이 가능하며 신체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의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곳이 아닌 2곳만 손잡이가 장착되어 초기에 보급된 차량에도 설치될 수 있는 보호범퍼이다.
도 4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는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며 탑승자의 신체높이 또는 휠체어 높이 등 사용자가 선택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탑승자의 신체(체격)넓이와 키에 맞춰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양팔을 범퍼에 올려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 및 측면에 탑승자 본인의 결정에 따라 의지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성에 결여되지 않는다.
도 5의 하부몸체(101)는 신규제작 차량에 적용되며 장시간이용 시 뒤로 누울 수 있어 휴식이 가능하고 침대형 휠체어 사용자에게도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L(Left)은 스쿠터, 전동 휠체어 등의 중형의 보장구를 이용시 핸들과 또는 동작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회전수납부(130)가 위치한다. R(Right)의 손잡이 공작부(132, 도 15)는 탑승자가 신체 필요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이고, 손잡이부(180)는 손잡이 공작부(132)를 사용치 않을 경우 팔꿈치와 손목 등을 의지하여 신체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는 효과와 심적 안정감을 부여하게 하였다.
회전수납부(130)는 중형보장구 수납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본체(100)와 접촉면이 원형을 선택함이 편리하나 잦은 회전으로 인한 마모를 줄이기 위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연결부(120)와 회전수납부(130)를 결합함에 있어 회전수납부연결부(134)와 각부의 연결부 보강구(135)를 결합하여 조립된다. 회전수납부(130)는 뒤틀림과 충격에 대비하여 충격완화, 분산, 및 자세유지를 위해 양방향 복원 스프링(133)을 사용하여 그 기능을 충족하였다. 회전수납부(130)는 본체 중심부(140)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몸을 양측면으로부터 보호, 방어하며 자세유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우수성은 월등하다.
도 7의 체결부(110)는 본체(100)를 차량 보호바와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수갑(手匣)형식을 채택하였다. 체결부(110)는 본체연결부(120)를 통하여 회전수납부(130)와 결합된다. 체결부(110)와 본체연결부(120)의 결합은 차량운행의 특성상 수많은 진동에 의해 볼트, 너트가 탈출 또는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조임볼트부(118)를 통해 이뤄진다.
조임볼트부(118)는 내부에 리벳형 좌회전나사산(115)이 가공된 리벳형 우회전나사산(113)과 우회전 커버볼트(116)와 체결하고, 리벳형 좌회전나사산(115)는 좌회전 마감 볼트(117)를 체결하여 차량진동에 의한 나사 풀림 현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조임볼트부(118)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커버(119)를 체결한 후 압출 스펀지(162, 도 13)로 은폐시킴으로써 견고함과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영구성을 높였다.
도 11의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의 기능을 지원하는 굴절 회전고정부(170)는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견고함과 동시에 서로 연결관계를 이루는 중심부(140)와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에게 분담되는 부담과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잠금장치 기능이 있어 후방 충격시 부상방지를 해결하였다.
또한,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156)는 자바라 방식의 라텍스 커버를 사용하여 중심부(140),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 굴절 회전고정부(170)가 노출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 침투와 누적을 해결한다.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는 굴절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운전자 및 동승자가 기존 차량 바닥에 장착된 연결고리를 잡기 위해 휠체어 뒤에서 허리를 숙여 머리가 바닥으로 향하는 위험한 동작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허리부상과 피 쏠림으로 인한 순간 어지러움 등을 유발하여 운전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조 고정고리(141)는 기존 차량 바닥 고정부를 사용할 시 이와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납식 고리이다.
도 13의 에어튜브(162)는 굴절 회전고정부(170)를 제외한 프레임 전체를 감싸는 충격흡수 및 분산 기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어 안정성을 극대화 하였다. 에어튜브(163)는 압출스펀지(162)를 사용하여 자세를 유지하고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하여 공기압력에 고른 분산과 효율성을 높였으며 스펀지 레자(167)로 마감하여 오물 등으로 오염 시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청결상태 유지와 사용에 만족도를 높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를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며, 도 3은 기존 리프트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 사용 제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의 장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대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기능별 기호도이다.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12, 도 13, 및 도 16은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의 각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도 15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를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17, 도 18, 도 19, 도 20은 하부몸체(10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차량에 장착된 손잡이용 파이프와 탑승자(장애인) 보호 장치를 결합(조립)하여 사고(돌발, 위급상황)시 최소한의 안정권을 부여하고 또한 탑승자(장애인)의 충격 흡수 및 보호를 위한 보호범퍼(보호 장치)를 장착한다. 도 2의 (2a)는 기존 차량이용 형태이며, 도 2의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을 장착한 설명 투시도이다. 이는 돌발 상황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 대응하고 장시간 이용이 가능하며 신체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의 3d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곳이 아닌 2곳만 손잡이가 장착되어 초기에 보급된 차량에도 설치될 수 있는 보호범퍼이다.
도 4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퍼는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며 탑승자의 신체높이 또는 휠체어 높이 등 사용자가 선택하는 기능을 부여하고 탑승자의 신체(체격)넓이와 키에 맞춰 조절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양팔을 범퍼에 올려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전면 및 측면에 탑승자 본인의 결정에 따라 의지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성에 결여되지 않는다.
도 5의 하부몸체(101)는 신규제작 차량에 적용되며 장시간이용 시 뒤로 누울 수 있어 휴식이 가능하고 침대형 휠체어 사용자에게도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L(Left)은 스쿠터, 전동 휠체어 등의 중형의 보장구를 이용시 핸들과 또는 동작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회전수납부(130)가 위치한다. R(Right)의 손잡이 공작부(132, 도 15)는 탑승자가 신체 필요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이고, 손잡이부(180)는 손잡이 공작부(132)를 사용치 않을 경우 팔꿈치와 손목 등을 의지하여 신체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는 효과와 심적 안정감을 부여하게 하였다.
회전수납부(130)는 중형보장구 수납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본체(100)와 접촉면이 원형을 선택함이 편리하나 잦은 회전으로 인한 마모를 줄이기 위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연결부(120)와 회전수납부(130)를 결합함에 있어 회전수납부연결부(134)와 각부의 연결부 보강구(135)를 결합하여 조립된다. 회전수납부(130)는 뒤틀림과 충격에 대비하여 충격완화, 분산, 및 자세유지를 위해 양방향 복원 스프링(133)을 사용하여 그 기능을 충족하였다. 회전수납부(130)는 본체 중심부(140)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몸을 양측면으로부터 보호, 방어하며 자세유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우수성은 월등하다.
도 7의 체결부(110)는 본체(100)를 차량 보호바와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수갑(手匣)형식을 채택하였다. 체결부(110)는 본체연결부(120)를 통하여 회전수납부(130)와 결합된다. 체결부(110)와 본체연결부(120)의 결합은 차량운행의 특성상 수많은 진동에 의해 볼트, 너트가 탈출 또는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조임볼트부(118)를 통해 이뤄진다.
조임볼트부(118)는 내부에 리벳형 좌회전나사산(115)이 가공된 리벳형 우회전나사산(113)과 우회전 커버볼트(116)와 체결하고, 리벳형 좌회전나사산(115)는 좌회전 마감 볼트(117)를 체결하여 차량진동에 의한 나사 풀림 현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조임볼트부(118)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커버(119)를 체결한 후 압출 스펀지(162, 도 13)로 은폐시킴으로써 견고함과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영구성을 높였다.
도 11의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의 기능을 지원하는 굴절 회전고정부(170)는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견고함과 동시에 서로 연결관계를 이루는 중심부(140)와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에게 분담되는 부담과 피로도를 감소시킴과 함께 잠금장치 기능이 있어 후방 충격시 부상방지를 해결하였다.
또한,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156)는 자바라 방식의 라텍스 커버를 사용하여 중심부(140),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 굴절 회전고정부(170)가 노출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 침투와 누적을 해결한다.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는 굴절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운전자 및 동승자가 기존 차량 바닥에 장착된 연결고리를 잡기 위해 휠체어 뒤에서 허리를 숙여 머리가 바닥으로 향하는 위험한 동작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허리부상과 피 쏠림으로 인한 순간 어지러움 등을 유발하여 운전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보조 고정고리(141)는 기존 차량 바닥 고정부를 사용할 시 이와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납식 고리이다.
도 13의 에어튜브(162)는 굴절 회전고정부(170)를 제외한 프레임 전체를 감싸는 충격흡수 및 분산 기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어 안정성을 극대화 하였다. 에어튜브(163)는 압출스펀지(162)를 사용하여 자세를 유지하고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하여 공기압력에 고른 분산과 효율성을 높였으며 스펀지 레자(167)로 마감하여 오물 등으로 오염 시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청결상태 유지와 사용에 만족도를 높였다.
삭제
삭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자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몸체와 충격을 흡수ㆍ분산 시키는 소재로 구성되어, 스쿠터나 전동휠체어 같은 중형보장구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탑승자도 리프트차량을 이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보장구 구동에 필요한 돌출된 조작부를 격리 수납하고 탑승자를 보호하는 범퍼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부족함이 없다.
또한 전신마비 장애인이나 손을 사용치 못하는 탑승자들이 의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장애유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용도별로 2가지를 부착하였다. 이는 장시간 이용시 신체의 피로도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다. 굴절부는 후방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삭제
삭제
이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100)에 해당하는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각 부 별 기능은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체결부(110)는 수갑(手匣)형식을 채택하여 원형 체결프레임(104),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105) 및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을 통해 차량 본체와 결합한다.
원형 체결프레임(104)은 평행식 차량(도 3d)에 부착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 열식은 양측면만을 고정함에 있어 범퍼의 기능을 저하시킴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 결박이 당연하다.
원형 체결프레임(104)은 평행식 차량(도 3d)에 부착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 열식은 양측면만을 고정함에 있어 범퍼의 기능을 저하시킴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 결박이 당연하다.
삭제
삭제
삭제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105)은 고무 로울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평행식을 제외한 슬루프 방식을 사용하는 차량과 유압이 장착된 모든 차량에 부착한다. 도 3의 3a,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호바 위에 고무종류의 커버가 있거나 스틸류의 보호바가 부착되어 있다.
삭제
삭제
이에 소음발생 원인제거와 본 발명의 범퍼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고 상, 하, 좌, 우로 기동함에 있어 탁월한 기능을 수행함에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105) 방식이 옳다.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은 내부를 보강한 방식이다. 최근에 보급된 차량에 부착된 보호바는 기존형식에다 양측면에 타공을 하여 약 5도의 회전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상, 하로 동작하여 이에 적합하다. 도 8의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돌출부가 존재한다.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은 내부를 보강한 방식이다. 최근에 보급된 차량에 부착된 보호바는 기존형식에다 양측면에 타공을 하여 약 5도의 회전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상, 하로 동작하여 이에 적합하다. 도 8의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돌출부가 존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는 기술한 바와 같이 최근에 보급된 차량에 부착된 보호바가 약간의 회전식이여서 각각의 차량에 위치한 높낮이가 다르다. 이는 곧 상황 발생 시 범퍼에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보호바가 위치하는 각도에 따라 그에 따른 부담 정도가 다름을 의미한다.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에 내부를 보강한 돌출부가 8각이 아닌 크러스에 가장 근접한 6각에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보호바와 프레임 내부 돌출부 사이에 약간의 갭이 있다. 이는 보호바에 전달되는 부담감과 데미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범퍼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각각의 차량에 위치한 보호바에 높낮이가 다름은 범퍼가 회전하는 속도를 감속하며 같은 장소에 입히는 데미지를 최소화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 방식이 옳다.
육각베어링 스라이딩프레임(107)은 신차 제작시 적용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원형 체결프레임(104),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105),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을 차량 본체 보호바와 결합한 후 조임볼트부(118)를 본체연결부(120)에 연결함에 있어 도 9의 리벳형 우회전나사산(113)을 체결부(110)와 본체연결부(120)를 관통하여 타공한 위치에 삽입한 후 우회전 커버볼트(116)를 조립함에 보호커버(119)와 함께 조립하고 리벳형 좌회전나사산(115)에 결합되는 좌회전 마감볼트(117)를 상, 하로 마감함에 있어 우회전 커버볼트(116)는 리벳형 우회전나사산(113)과의 결합방식은 우회전 잠김 방식이고 차량에 무수한 진동에 의해 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리벳형 우회전나사산(113)에 내부에 속하는 리벳형좌회전나사산(115)과 좌회전 마감볼트(117)를 결합하면 나사 풀림을 방지함은 물론 보호커버(119)가 기능수행에 간섭을 제어하고 영구 구속 결박하는 방식이 옳다.
본체연결부(120)는 회전수납부(130)와 결합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수납부(130)는 중형 보장구 격리 수납을 담당하는 회전부로써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잦은 회전과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보강구(135)를 본체연결부(120)와 회전수납부(130)에 각각 삽입된다. 손잡이공작부(132)는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1차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양방향 복원스프링(133)과 고무성형부(136)는 스프링과 성형 압출 고무로 부속물의 규합과 이탈을 방지하며 이는 충격을 흡수와 분산시켜 프레임의 원형의 자세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는 회전수납부(130)가 스프링에 성질과 기능을 유지하고 성형고무의 본질이 유지되는 한 그 기능에 영구성을 부여함에 이 방식이 옳다.
중심부(140)는 회전수납부(130)와 결합하며 탑승자에 양측면과 전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사실상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100)의 중심부다.
삭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140)는 본체연결부(120)와 회전수납부(130)를 관통한다. 중심부(140)는 양방향 복원스프링(133)을 채용한 본체보강용내부프레임(145)이 영구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를 제외한 견고한 몸체를 이룬다.
이에따라, 중심부(140)에 부착된 양방향 복원스프링(133)과 연결보강구(135)의 기능수행함에 있어 동작시 이를 방해하거나 동조하는 행위를 소멸시켰다.
이에따라, 중심부(140)에 부착된 양방향 복원스프링(133)과 연결보강구(135)의 기능수행함에 있어 동작시 이를 방해하거나 동조하는 행위를 소멸시켰다.
삭제
삭제
보조 고정고리(141)는 기존 차량에 부착된 고정장치를 사용할 때 고정장치 벨트나 고리가 쉽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고,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156)는 자바라 형태의 고무 재질이며 이는 회전부를 은폐시키고 탑승자와 운전자에게 부상위험을 소멸시켰다.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는 굴절 회전고정부(170)의 도움을 받아 탑승자 후방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질 플라스틱(151)은 굴절 회전고정부(170)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이는 굴절 회전고정부(170)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156)와 충돌을 방지하고 굴절 회전고정부(170)와 굴절회전 보호 자바라고무(156)사이에 서로 간섭행위를 봉쇄해야 하는 필요에 따라 연질의 플라스틱을 채용하였다. 자바라결박 고정부(152)는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156)를 결박하는 밴드이고 후방보조 결박고리(153)는 필요 정도에 따라 본체(100)를 결속하는 고리이다.
삭제
삭제
굴절 회전고정부(170)는 도 12에서, 손잡이부(180)는 도 1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의 굴절 회전고정부(17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기어 부속물 보호커버(171)는 굴절 회전고정부(170)에 조립되는 부속물에 이탈과 탈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관통타공부(172)는 굴절 회전고정부(170)에 해당하는 모든 부속물을 관통하는 타공부를 의미한다. 회전기어(173)는 회전기능과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원형에 홀을 가공하였고 고정장치 몸체(174)는 잠금장치의 몸체이며 이는 회전기능 견인 및 고정기능 연결부(178)와 결합 된다. 당김스프링(175)은 잠금장치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스프링이며 스프링고정결속구(176)는 고정장치 몸체(174)의 가공된 부분이며 이는 스프링을 영구 고정하기 위해 가공되었고, 회전기능 견인 및 고정기능 연결부(178)몸체에도 같은 방법으로 가공을 하여 이 또한 당김스프링(175)에 해당하는 스프링을 영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정기능 노출손잡이(177)는 고정장치 몸체(174)와 나사산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이는 잠금과 풀림 동작을 조정하는 손잡이 부에 해당하며 외부로 노출된다. 회전기능견인 및 고정기능연결부(178)는 고정장치 몸체(174)와 연결됨과 동시에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와 결합되며 이는 회전을 담당하는 회전기어(173)의 홀 부분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이는 곧 회전기능 견인 및 고정기능 연결부(178)가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와 동시에 회전을 하며 멈추고자 하는 위치에서 회전기어(173)의 홀 부분에 침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관통타공 리벳트(179)는 굴절 회전고정부(17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기어 부속물 보호커버(171), 회전기어(173), 및 회전기능 견인 및 고정기능 연결부(178)를 영구 고정하는 리벳트이다. 이는 곧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140)와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를 연결함과 동시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후방추락을 방지하는 잠금 기능을 확인할 수 있음에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안정성 또한 확인되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 기능은 탑승자의 장애 정도의 선택에 따라 손잡이 공작부(132)와 손잡이부(180)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 기능은 탑승자의 장애 정도의 선택에 따라 손잡이 공작부(132)와 손잡이부(180)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손잡이 공작부(132)의 손잡이는 장애 정도가 중증이고 편마비 등으로 손가락은 사용하나 그 정도의 힘이 미약하여 목표지점을 장시간 이용치 못할 때 손등이나 절단 장애인의 손목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용도이고, 손잡이 볼(184)은 손가락을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의지하는 손잡이이며 미끌림이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에 볼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곧 모든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편리하게 이용함과 동시에 그 안정성에 기능을 확인되었다.
도 13은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160)의 부속물을 설명한다.
부직포(161)는 체결부(110)와 본체연결부(120)를 결합하는 조임볼트부(118)에서부터 굴절 회전고정부(170)와 스프링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감싸며 회전수납부(130)에 연결보강구(135)를 영구 구속하며 동시에 조임볼트부(118)를 영구 구속하기 위한 첫 단계이며 또한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160)에 부속물들이 서로 엉킴이나 노후시 상호 접착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도차에 따른 습기를 흡수하여 다른 부속물들이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와준다.
압출스펀지(162)는 압출 성형 스펀지로서 에어튜브(163)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과 에어튜브(163)에 공기 주입 시 일정한 공기의 분산과 높낮이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에어튜브(163)는 라텍스로 제작되어 있으며 공기주입구(112)를 가지고 있다. 이는 범퍼 전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싸며 범퍼에 충격 흡수를 담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직포(161)와 압출스펀지(162)의 도움으로 타 부속물과 접착되지 않고 그 성질이 유지되는 한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영구성을 지속한다.
삭제
엠보싱 스펀지(164)는 압출스펀지(162)와 에어 튜브(163)을 은폐시키고 충격 흡수와 분산을 도우며 탑승자의 부상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폼1(165)은 충격 시 범퍼 내부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고 메모리 폼2(166)보다 단단하며 범퍼 내ㆍ외각을 따라 그에 맞게 성형 제작하였으며, 이는 손잡이 공작부(132)와 손잡이 볼(184)의 기능에도 부합함과 동시에 은폐 용도에 적합하며 탑승자의 부상 방지에 있어 이를 선택함이 옳다.
메모리폼2(166)는 충격 시 탑승자의 부상방지에 일차적인 충격 흡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부드럽고 강해야된다. 따라서, 메모리폼2(166)를 성형함에 있어 메모리폼1(165)보다 부드럽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메모리폼1(165)과 메모리폼2(166)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반 타공을 함이 옳다. 또한 범퍼에 외각선을 따라 성형을 함에 탑승자의 몸체와 팔을 이용하여 의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스펀지 레자(167)는 마감제로 사실상 외관에 속하며, 내부 부속물에 준하는 약간의 충격흡수와 탑승자가 의지할 시 신체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청결 상태를 유지함에 이 방법이 옳다.
삭제
도 14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160)의 내ㆍ외관 측면도로써 에어주입구(112)는 에어 튜브(163)에 에어를 주입 가능하게 한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80)는 손잡이부 몸체(181), 손잡이 고정부(182), 손잡이 회전부(183), 및 손잡이 볼(184)로 구성되며,
손잡이부 몸체(181)는 본체연결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손잡이 고정부(182)는 본체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손잡이 회전부(183)는 은폐를 시키기 위한 회전부이며 손잡이 볼(184)은 손잡이와 사용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볼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메모리폼1(165)을 재료로 손잡이 형태에 맞춰 제작된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80)는 손잡이부 몸체(181), 손잡이 고정부(182), 손잡이 회전부(183), 및 손잡이 볼(184)로 구성되며,
손잡이부 몸체(181)는 본체연결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손잡이 고정부(182)는 본체에 고정되는 부분이며, 손잡이 회전부(183)는 은폐를 시키기 위한 회전부이며 손잡이 볼(184)은 손잡이와 사용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볼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메모리폼1(165)을 재료로 손잡이 형태에 맞춰 제작된다.
삭제
이로써 도면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및 운전자와 도우미에 부상방지와 안전을 위한 충격 흡수 및 탑승자의 보호를 위한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더불어 신차 제작시 설치될 샤프트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침대형 휠체어 탑승자와 장시간 이용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하부 몸체(101)를 도 16, 도 17, 도 18, 도 1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차 제작시 적용되는 중앙결속부(190)의 결속 방식은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192)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192)은 위에서 이미 기술한 도 7의 체결부(110)에도 적용된다. 중앙결속부(190)의 돌출된 부분은 차량 전복시 탑승자를 안전하게 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192)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어링은 양측에 2열로 제작된다.
삭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192)은 도 7의 체결부(110), 본체연결부(120)를 합한 방식으로써 중앙결속부(190)는 도 7의 본체연결부(120), 회전수납부(130)를 관통하는 중심부(140)와 연결된다. 이는 본체를 더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충격시 체결부(110)의 연결방식을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을 적용하였기에 기존의 차량보다 단단하다.
삭제
샤프트 동작구간 제어구(195)는 중심부(140)의 몸체 내부에 삽입되며 회전수납부 베어링(193)은 중심부(140) 안에 귀속된다. 샤프트 베어링(192)와 회전수납부 베어링(193)은 볼 베어링을 장착하여 탑승자의 체구조절에 사용할 시 더 편하고 소음없이 부드럽게 사용할 수 있고 충격 시 범퍼와 본체에 미치는 힘을 분산 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탑승자와 범퍼 사이에 이탈을 방지한다.
삭제
이는 곧 신차 제작시 분리결합이 아니고 일체 조립을 하기에 가능하며 중앙을 기점으로 좌, 우로 회전하는 기존차량 장착방식 범퍼와 달리 좌, 우 슬라이딩 방식임을 도 16과 도 17에서 확인되었다.
도 18은 대표도의 하부 몸체(101)에 속하며 이 또한 신차 제작시에 적용된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 회전부(230)는 직각 45도 내에서 전, 후로 기동하는 회전부이며 하체거치대(240)은 하체를 거치시키는 장치이며 에어(유압) 잭(215)은 하부 몸체(101)를 전, 후로 기동시킬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상세하게는 하부몸체프레임(210)은 하부 몸체(101)의 프레임이며 타공 조립구(211)는 에어(유압)잭(215)을 거치ㆍ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고 내륜 구속부(213)은 외륜 결합체결부(214)와 결합시 1차 결합되고 볼트 마감부(212)는 에어(유압) 잭(215)과 영구 구속하는 부분이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 회전부(230)는 타공 조립 받침대(211)와 회전부재(232~234)로 구성되어 하부몸체프레임(210)과 결합되어 하부몸체프레임(210)이 앞으로 꺾임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구이며, 결속볼트(2)는 차량 본체와 결속시키는 볼트이다.
도 20은 하체거치대(240)의 상세도이며 이는 아래와 같다.
하체거치 그물망(241)은 하체를 거치시킬 수 있는 그물망이고 회전보조부(243)는 회전기어부(244)의 몸체와 나사산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고정버튼 복귀지원 스프링(248)은 잠금과 풀림 동작을 조정하는 부에 해당하며 외부로 노출된다.
거치각도 조절 및 본체(242)는 회전보조부(243)와 회전을 담당하는 회전기어부(244)에 홀 부분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즉,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242)에 고정된 회전보조부(243)는 회전을 하며 멈추고자 하는 위치에서 회전기어부(244)에 홀 부분에 침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기어 보조부(245)는 부속물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기어 보호구이며, 마감커버(246)는 탑승자와 이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커버이다.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242)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고, 회전기어부(243)는 회전을 돕는 보조회전부이고 고정버튼(247)과 고정버튼 복귀지원 스프링(248)은 고정기능을 수행한다. 마감나사산 고무마개(249)는 그물망을 구속하고 부상 방지를 위해 나사산을 채용한 고무재질 마개로 마감함이 당연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로써 도면에서 본 바와 같이 안정성, 기능성, 및 효율성이 확인되었다
100. 본체 101. 하부몸체
104. 원형 체결프레임 105.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
106. 양각요철 체결프레임 107. 육각베어링 슬라이딩프레임
110. 체결부 112. 에어주입구
113. 리벳형 우회전나사산 115. 리벳형 좌회전나사산
116. 우회전 커버볼트 117. 좌회전 마감볼트
118. 조임볼트부 119. 보호커버
120. 본체연결부 121. 중심부연결부
130. 회전수납부
131. 본체프레임 132. 손잡이 공작부
133. 양방향 복원스프링 134. 회전수납부 연결부
135. 연결부보강구 136. 고무성형부
140. 중심부 141. 보조 고정고리
145. 본체보강용 내부프레임 150.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
151. 연질 플라스틱 152. 자바라결박 고정부
153. 후방보조 결박고리 156.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
160.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 161. 부직포
162. 압출스펀지 163. 에어튜브
164. 엠보싱 스펀지 165. 메모리폼1
166. 메모리폼2 167. 스펀지 레자
170. 굴절 회전고정부 171. 회전기어 부속물 보호커버
172. 관통타공부 173. 회전기어
174. 고정장치 몸체 175. 당김스프링
176. 스프링고정 결속구 177. 고정기능 노출손잡이
178. 회전기능견인 및 고정기능연결부 179. 관통타공 리벳트
180. 손잡이부 181. 손잡이부 몸체
182. 손잡이고정부 183. 손잡이 회전부
184. 손잡이 볼 185. 손잡이 메모리폼(은폐공간 확보)
190. 중앙결속부
192. 샤프트 베어링 193. 회전수납부 베어링
194. 샤프트 195. 샤프트동작구간 제어구
210. 하부몸체프레임 211. 타공 조립구
212. 볼트 마감 부 213. 내륜 구속부
214. 외륜결합 체결부 215. 에어(유압)잭
230. 바닥회전부 231. 타공조립 받침대 232(233,234). 회전부재 240. 하체거치대
241. 하체거치 그물망 242.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
243. 회전보조부 244. 회전기어부
245. 회전기어 보조부 246. 마감커버
247. 고정버튼 248. 고정버튼복귀지원 스프링
249. 마감나사산 고무마개 2. 결속볼트
104. 원형 체결프레임 105.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
106. 양각요철 체결프레임 107. 육각베어링 슬라이딩프레임
110. 체결부 112. 에어주입구
113. 리벳형 우회전나사산 115. 리벳형 좌회전나사산
116. 우회전 커버볼트 117. 좌회전 마감볼트
118. 조임볼트부 119. 보호커버
120. 본체연결부 121. 중심부연결부
130. 회전수납부
131. 본체프레임 132. 손잡이 공작부
133. 양방향 복원스프링 134. 회전수납부 연결부
135. 연결부보강구 136. 고무성형부
140. 중심부 141. 보조 고정고리
145. 본체보강용 내부프레임 150.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
151. 연질 플라스틱 152. 자바라결박 고정부
153. 후방보조 결박고리 156.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
160.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 161. 부직포
162. 압출스펀지 163. 에어튜브
164. 엠보싱 스펀지 165. 메모리폼1
166. 메모리폼2 167. 스펀지 레자
170. 굴절 회전고정부 171. 회전기어 부속물 보호커버
172. 관통타공부 173. 회전기어
174. 고정장치 몸체 175. 당김스프링
176. 스프링고정 결속구 177. 고정기능 노출손잡이
178. 회전기능견인 및 고정기능연결부 179. 관통타공 리벳트
180. 손잡이부 181. 손잡이부 몸체
182. 손잡이고정부 183. 손잡이 회전부
184. 손잡이 볼 185. 손잡이 메모리폼(은폐공간 확보)
190. 중앙결속부
192. 샤프트 베어링 193. 회전수납부 베어링
194. 샤프트 195. 샤프트동작구간 제어구
210. 하부몸체프레임 211. 타공 조립구
212. 볼트 마감 부 213. 내륜 구속부
214. 외륜결합 체결부 215. 에어(유압)잭
230. 바닥회전부 231. 타공조립 받침대 232(233,234). 회전부재 240. 하체거치대
241. 하체거치 그물망 242.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
243. 회전보조부 244. 회전기어부
245. 회전기어 보조부 246. 마감커버
247. 고정버튼 248. 고정버튼복귀지원 스프링
249. 마감나사산 고무마개 2. 결속볼트
Claims (10)
- 휠체어 리프트 차량탑승자 보호범퍼에 있어서,
상기 보호범퍼는 차량탑승자의 상체를 보호하는 본체(100)와 차량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해주는 하부몸체(101)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차량 보호바나 하부몸체에 결합되는 체결부(110); 상기 체결부에서 연결되는 본체연결부(120); 상기 본체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회전수납부(130); 상기 본체연결부와 상기 회전수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기본 골격을 이루는 중심부(140); 상기 중심부에서 연장되고 탑승자의 후방을 지지해주는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 상기 중심부와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사이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굴절 회전고정부(170); 상기 체결부와 회전수납부 사이에 위치하는 손잡이부(180); 상기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탑승자의 전방을 지지해주는 샤프트 베어링방식으로 결속이 되는 중앙결속부(190); 및 상기 굴절후방 보호 및 고정부와 상기 굴절 회전고정부를 제외한 전 구성요소를 마감하는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01)는 하부몸체프레임(210)과 바닥회전부(230) 및 하체거치대(24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몸체프레임(210)은 상기 바닥회전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닥회전부(230)는 차량과 결합되어 에어유압잭에 의해 전후로 기동되는 회전부이며,
상기 하체거치대(240)는 탑승자 하체를 거치시키는 하체거치 그물망(241)과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242)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각도조절 및 본체(242)의 일측에는 회전을 통해 하체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기어부(244)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0)는 수갑(手匣)형식의 체결방법을 사용하고, 내부구조는 로울러베어링 체결프레임(105), 양각요철 체결프레임(106), 및 육각베어링 슬라이딩프레임(107)등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110)와 상기 본체연결부(120)를 결속하는 조임볼트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본체연결부를 관통하여 타공한 위치에 삽입한 리벳형우회전나사산, 상기 리벳형우회전나사산과 결합되는 우회전커보볼트, 및 상기 리벳형우회전나사산 내부에 구비된 리벳형좌회전나사산과 결합되는 좌회전마감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 진동에 따라 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회전커버볼트와 좌회전마감볼트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려 영구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적용된 탑승자에 안정감을 주는 손잡이 기능은 상기 손잡이부(180)와 상기 회전수납부에 위치한 손잡이 공작부(132)가 담당하며,
상기 손잡이부(180)는 손잡이부 몸체, 손잡이 고정부, 손잡이 회전부, 및 손잡이 볼로 구성되어 본체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납부(130)는 중형 보장구의 핸들 또는 동작부를 수납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부로써, 잦은 회전에 따라 편마모를 줄이기위해 연결보강구를 통해 본체와 연결되고, 중앙에 양방향복원스프링과 고무성형부를 두어 원형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재 및 마감부(160)는 상기 본체의 외장를 형성하고 외부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온도차에 따른 습기를 흡수하여 다른 부속물들이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부직포;
상기 부직포 상에 압출 성형되는 압출스펀지;
상기 압출스펀지 상에 라텍스를 재질로 제작되어 일단에 에어주입구가 형성된 에어튜브;
상기 압출스펀지와 에어튜브를 은폐시키는 엠보싱 스펀지;
외부 충격시 보호범퍼 내부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메모리폼1;
외부 충격시 탑승자의 부상방지에 일차적 충격흡수를 담당하는 메모리폼2; 및 외관 마감재인 스펀지 레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150)는 후방보호 가이드와 후방본체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보호 가이드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자바라결박 고정부를 통해 굴절회전보호 자바라고무와 굴절 회전고정부의 간섭을 차단하며, 상기 후방본체 프레임은 일측 굴절 회전고정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방보조 결박고리를 가지고 있어 필요에 따라 타측 후방본체 프레임과 결속되며,
상기 굴절 회전고정부(170)는 중앙의 관통타공부에 위치하는 관통타공 리벳트와 상기 관통타공 리벳트와 결합되는 회전기어 부속물 보호커버, 회전기어, 회전기능 견인 및 고정기능 연결부, 고정장치 몸체, 고정기능 노출손잡이, 및 당김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기어 홀 잠금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굴절후방보호 및 고정부의 각도를 회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에 장착되고, 기존 차량의 고정장치와 결속되어 탑승자의 안전을보호하는 보조 고정고리(141)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결속부(190)는 본체보강용 내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샤프트 볼베어링 방식으로 결속되어 탑승자 전방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253A KR101360826B1 (ko) | 2012-03-23 | 2012-03-23 |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0253A KR101360826B1 (ko) | 2012-03-23 | 2012-03-23 |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462A KR20120063462A (ko) | 2012-06-15 |
KR101360826B1 true KR101360826B1 (ko) | 2014-02-14 |
Family
ID=4668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0253A KR101360826B1 (ko) | 2012-03-23 | 2012-03-23 |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08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6482A (ko) | 2015-03-30 | 2016-10-10 | 박택주 | 장애인 대형 보장구와 탑승자 보호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681Y1 (ko) | 2011-01-19 | 2011-05-23 | 정용석 | 휠체어용 안전 벨트 |
-
2012
- 2012-03-23 KR KR1020120030253A patent/KR1013608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681Y1 (ko) | 2011-01-19 | 2011-05-23 | 정용석 | 휠체어용 안전 벨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6482A (ko) | 2015-03-30 | 2016-10-10 | 박택주 | 장애인 대형 보장구와 탑승자 보호장치 |
KR101675360B1 (ko) | 2015-03-30 | 2016-11-17 | 박택주 | 장애인 대형 보장구와 탑승자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462A (ko) | 201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02604A1 (en) | Device for minimizing neck and head injury | |
US20070057557A1 (en) | Bed sea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 |
US8967717B2 (en) | Portable child restraining seat | |
KR20160055238A (ko) | 6점 구속 방식의 개선된 보조 구속 시스템 | |
CN105263366A (zh) | 用于增强旅行舒适性的头部保护装置和座椅 | |
KR20200017268A (ko) | 차량 내장형 카시트 | |
US20150130149A1 (en) | Child restraining seat | |
JP2011513015A (ja) | 生死にかかわる状況にある人を移動させる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
KR101447883B1 (ko) |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 |
KR101360826B1 (ko) | 휠체어 리프트 차량 탑승자 보호범퍼 | |
CN202459186U (zh) | 退步走锻炼用助行车 | |
JP2007082798A (ja) | 障害者用姿勢補助具 | |
Van Roosmalen et al. | Safety, usability, and independence for wheelchair-seated drivers and front-row passengers of private vehicle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 |
KR101743625B1 (ko) | 장애인 대형 보장구와 탑승자 보호장치 | |
EP2459414A2 (de) | Fahrzeugsitzvorrichtung mit fixierenden beinteilen | |
CN212593780U (zh) | 一种康复科护理用下肢康复锻炼器 | |
KR20130004034U (ko) | 우산 탈 부착 기능을 갖는 휠체어 | |
KR200368705Y1 (ko) | 의자에 부착 사용하는 허리 견인장치 | |
CN221541491U (zh) | 一种安全性高的电动座椅 | |
CN219963391U (zh) | 一种医疗辅助行走装置 | |
KR100832883B1 (ko) | 취침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 |
CN2455233Y (zh) | 一种轮椅式保护治疗车 | |
CN208006791U (zh) | 用于车辆的座椅头枕以及具有它的车辆 | |
KR200360675Y1 (ko) | 철도차량용 범 레스트 | |
CN206485303U (zh) | 柔性安全装置及用于运输工具的安全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