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911B1 -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911B1
KR101359911B1 KR1020120027957A KR20120027957A KR101359911B1 KR 101359911 B1 KR101359911 B1 KR 101359911B1 KR 1020120027957 A KR1020120027957 A KR 1020120027957A KR 20120027957 A KR20120027957 A KR 20120027957A KR 101359911 B1 KR101359911 B1 KR 10135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members
rock bolt
aerial work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220A (ko
Inventor
김영익
유정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1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에 지보재의 시공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수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수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용 바스켓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강지보재를 거치 및 가이드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BASKET FOR HIGH PLACE WORKING AND HIGH PLACE WOR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에 지보재의 시공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수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수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가 높은 곳(고소)에서의 작업, 예컨대 건물의 외벽작업, 천정작업, 교량의 점검 내지 유지보수작업, 터널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 및 바스켓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소작업장치는 바스켓의 승강방식에 따라 씨저형, 관절형, 신축붐형 등으로 구분되고, 승강유닛의 이동방식에 따라 자주식, 견인식, 차량탑재형 등으로 구분된다.
씨저형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위치의 직하방에 승강유닛이 설치되고, 바스켓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으나 도로나 고속도로 등과 같이 차량 통행이 빈번한 경우에는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낮다. 그리고, 관절형 고소작업장치는 복잡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이 있으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대형 바스켓의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터널 내의 굴착 시에 화약 장전, 숏크리트의 타설, 강지보재의 시공, 록볼트의 시공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터널용 고소작업장치(일명 '차징카(charging car)'라고도 함)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터널용 고소작업장치의 바스켓 측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강지보재(steel rib)를 시공하는 경우 강지보재의 전도 내지 이탈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작업효율의 저하 및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바스켓의 일측에 강지보재의 일측을 거치한 후에 바스켓이 상승함에 따라 강지보재를 터널의 굴착면 측에 안정적으로 가이드함으로써 강지보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소작업용 바스켓으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강지보재를 거치 및 가이드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평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들 사이에는 개폐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유닛은 상단에 강지보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상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벽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치벽은 강지보재가 거치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벽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지지관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은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지지관의 끼움홈 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록볼트 부속자재(너트, 캡, 정착판 등)를 거치하기 위한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로서,
차량;
상기 차량 측에 회동 및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 및
상기 붐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고소작업용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소작업용 바스켓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강지보재를 거치 및 가이드하는 거치유닛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유닛은 상단에 강지보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상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벽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치벽은 강지보재가 거치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벽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지지관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은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지지관의 끼움홈 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록볼트 부속자재(너트, 캡, 정착판 등)를 거치하기 위한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소작업용 바스켓의 일측 특히, 전방측에 강지보재를 거치 및 가이드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설치함으로써 고소작업용 바스켓 측에 터널의 굴착면 측에 강지보재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안전사고의 예방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볼트 부속자재(너트, 캡, 정착판 등)를 거치할 수 있는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을 설치함으로써 록볼트 부속자재(너트, 캡, 정착판 등)의 이탈 내지 낙하를 방지하고, 이에 록볼트 부속자재의 보관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에 의해 강지보재를 시공하는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도 2의 화살표 C방향 참조)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소작업장치는 차량(1), 차량(1)의 일측에 회동 및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붐(2), 붐(2)의 타단부에 설치된 고소작업용 바스켓(10)을 포함한다.
차량(1)은 트럭 등과 같이 이동이 자유로운 차량으로 구성되고, 차량(1)의 일측에는 아우트리거(3)가 설치되며, 아우트리거(3)에 의해 작업시에는 차량의 위치가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붐(2)은 복수의 유압실린더(5a, 5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한 붐(2)은 복수의 단위 붐(2a, 2b, 2c)들이 텔레스코프구조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소작업용 바스켓(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지지하는 바닥판(11), 바닥판(11)의 상면에 조립되는 복수의 지지부재(12, 13), 복수의 지지부재(12, 13)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터널(5)의 굴착면(6)에 시공되는 강지보재(50)를 거치 및 가이드하는 거치유닛(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부재(12, 13)는 바닥판(11)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12) 및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12)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평 지지부재(13)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지지부재(12, 13)들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1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거치유닛(20)은 상단에 강지보재(50)가 거치되는 거치부재(21), 거치부재(21)의 상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23)를 포함한다.
거치부재(21)는 몸통부(21a) 및 몸통부(21a)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벽(21b, 21c)을 가지고, 한 쌍의 거치벽(21b, 21c)은 강지보재가 거치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한다.
가이드롤러(23)는 한 쌍의 거치벽(21b, 21c)들 사이를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롤러(23)에 의해 강지보재(50)가 원호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12, 1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지지관(24)이 고정되고, 지지관(24)은 내부에 끼움홈(24a)이 형성되며, 거치부재(21)의 몸통부(21a)가 지지관(24)의 끼움홈(24a) 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부재(12, 13)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록볼트 부속자재(너트, 캡, 정착판 등)들을 거치하기 위한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28)이 설치된다. 록볼트 부속자재는 록볼트용 강봉을 정착시키는 정착판(33), 캡(31), 록볼트용 강봉의 단부를 정착판(33) 측에 고정하는 너트(32)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착판(33), 캡(31), 너트(32) 등은 록볼트용 강봉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정착판(33), 캡(31), 너트(32) 등의 각 관통공은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28) 측에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28)은 복수의 지지부재(12, 13) 중에서 어느 일측의 지지부재(12, 13)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28)를 통해 록볼트 부속자재(캡(31), 너트(32), 정착판(33) 등)가 거치됨에 따라 작업 도중에 록볼트 부속자재(캡(31), 너트(32), 정착판(33) 등)의 이탈 내지 낙하가 방지되고, 이에 록볼트 부속자재(캡(31), 너트(32), 정착판(33) 등)의 보관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어 그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고소작업용 바스켓(10) 및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하여 강지보재(50)를 시공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강지보재(50)를 거치유닛(20)의 거치부재(21) 측에 거치(도 5의 실선 참조)시킨 후에, 붐(2)을 회동 및 신축시켜 고소작업용 바스켓(20)을 터널(5)의 굴착면(6)측으로 상승시킨다(도 5의 점선 참조).
이와 같이, 붐(20)의 회동 및 신축작동에 의해 고소작업용 바스켓(10)이 상승하는 도중에, 거치부재(21)측에 거치된 강지보재(50)는 도 6과 같이 가이드롤러(23)에 의해 원호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고, 이에 터널(5)의 굴착면(6)에서 강지보재(50)의 시공위치가 매우 간편하게 조절되어 강지보재(50)의 시공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고소작업장치의 차량(1)에 대해 좌우 한 쌍의 고소작업용 바스켓(10)이 좌우 한 쌍의 붐(2)을 통해 개별적으로 상하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각 거치유닛(20)의 상승작동에 의해 좌우 한 쌍의 강지보재(50)가 터널(5)의 굴착면(6) 내에서 본 발명의 고소작업장치에 의해 시공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고소작업용 바스켓 11: 바닥판
12: 수직 지지부재 13: 수평 지지부재
15: 도어 20: 거치유닛
21: 거치부재 23: 가이드롤러
24: 지지관 28: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
31: 캡 32: 너트
33: 정착판 50: 강지보재

Claims (7)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고, 강지보재를 거치한 상태에서 강지보재를 그 원호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상단에 강지보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거치부재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벽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치벽은 강지보재가 거치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벽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록볼트 부속자재를 거치하기 위한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이 설치되며,
    상기 록볼트 부속자재는 록볼트용 강봉을 정착시키는 정착판, 캡, 록볼트용 강봉의 단부를 정착판에 고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판, 상기 캡, 상기 너트 각각은 록볼트용 강봉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착판, 상기 캡, 상기 너트의 각 관통공은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에 끼워져 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지지관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은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지지관의 끼움홈 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바스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들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평 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들 사이에는 개폐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바스켓.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로서,
    차량;
    상기 차량 측에 회동 및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붐(boom); 및
    상기 붐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고소작업용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소작업용 바스켓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강지보재를 거치 및 가이드하는 거치유닛을 가지며,
    상기 거치유닛은 상단에 강지보재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상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벽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치벽은 강지보재가 거치될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한 쌍의 거치벽들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일측의 지지부재에는 록볼트 부속자재를 거치하기 위한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이 설치되며,
    상기 록볼트 부속자재는 록볼트용 강봉을 정착시키는 정착판, 캡, 록볼트용 강봉의 단부를 정착판에 고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판, 상기 캡, 상기 너트 각각은 록볼트용 강봉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공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착판, 상기 캡, 상기 너트의 각 관통공은 록볼트 부속자재용 거치봉에 끼워져 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에는 지지관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관은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몸통부가 상기 지지관의 끼움홈 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장치.
KR1020120027957A 2012-03-19 2012-03-19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KR10135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57A KR101359911B1 (ko) 2012-03-19 2012-03-19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957A KR101359911B1 (ko) 2012-03-19 2012-03-19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20A KR20130106220A (ko) 2013-09-27
KR101359911B1 true KR101359911B1 (ko) 2014-02-10

Family

ID=4945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957A KR101359911B1 (ko) 2012-03-19 2012-03-19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695723B1 (ko) 2015-09-24 2017-01-12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1A (ja) * 1995-07-28 1997-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JPH11173086A (ja) * 1997-12-16 1999-06-2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補強板設置装置及び設置方法
JP2001349194A (ja) * 2000-06-12 2001-12-21 Tcm Corp 支保工建込車両
KR200343100Y1 (ko) * 2003-11-05 2004-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차 바스켓의 안전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1A (ja) * 1995-07-28 1997-02-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高所作業車用バケット
JPH11173086A (ja) * 1997-12-16 1999-06-29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補強板設置装置及び設置方法
JP2001349194A (ja) * 2000-06-12 2001-12-21 Tcm Corp 支保工建込車両
KR200343100Y1 (ko) * 2003-11-05 2004-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차 바스켓의 안전 가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723B1 (ko) 2015-09-24 2017-01-12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220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727B1 (ko)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JP5328338B2 (ja) 伸縮トラックフレーム
KR101359911B1 (ko) 고소작업용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장치
WO2020098394A1 (zh) 沿空巷道约束混凝土支柱施工装备及机械化施工方法
CN112096407A (zh) 开采设备
JP5686649B2 (ja) 超低空頭掘削装置、それに使用するケリーロッド、その掘削反力取得方法及びその移動装置
JP2013064232A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JP2012002030A (ja) 法面用仮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CN205349388U (zh) 一种悬挂梁式矿用多臂锚杆钻车
JP6829376B2 (ja) 建設機材の受け台
RU73323U1 (ru) Аварийно-ремон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аботы на слабонесущих грунтах
JP2005306349A (ja) 貨物車輌の保護柵
JP5508488B2 (ja) スケータークレーン
EP3517360B1 (en) Side structure of a cargo space
JP2011247078A (ja) 可動梯子
JPH11229751A (ja) 既設トンネルの拡幅装置
JP5851774B2 (ja) フィードストロークを変更可能な低空頭用掘削装置
JP6764113B2 (ja) 杭孔用作業床
GB2524996A (en) Support assembly
KR100563241B1 (ko) 터널 굴착장비
CN214883189U (zh) 一种煤矿斜巷使用的移动式挡车栏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JP2009203750A (ja) 掘削装置と掘削方法
CN113356914B (zh) 用于薄层倾斜矿体开采支护的掩护支架及施工方法
CN216007884U (zh) 一种土建工程施工用洞口防护安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