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04B1 -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04B1
KR101359404B1 KR1020120040798A KR20120040798A KR101359404B1 KR 101359404 B1 KR101359404 B1 KR 101359404B1 KR 1020120040798 A KR1020120040798 A KR 1020120040798A KR 20120040798 A KR20120040798 A KR 20120040798A KR 101359404 B1 KR101359404 B1 KR 10135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vehicle
axis
driv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992A (ko
Inventor
지창현
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4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4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02B26/08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the reflecting means being moved or deform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5Scanning systems with one or more pivoting mirrors or galvano-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8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constructional details of an associated actuator having a MEMS construction, i.e. constructed using semiconductor technology such as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제작하여 멤스 방식의 엑츄에이터로 구동하는 기술을 이용한 스캐닝 장치를 구현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에 차량운행 정보 이미지를 주사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제작하여 멤스 방식의 엑츄에이터로 구동하는 기술을 이용한 스캐닝 장치를 구현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에 차량운행 정보 이미지를 주사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전에 있어서 초보자라든지, 경력자라든지 길에 대한 정보의 부재에 의해 급하게 차선을 변경하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GPS 등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 등이 활성화되고 있다. 현재 PDA를 이용하고 GPS를 사용하여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하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정보를 수정해 가면서 정확히 찾아갈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 분야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44443호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동차의 길안내 정보 시스템으로서, 자동차 내에 설치된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정보센터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경로 탐색 및 지도 이미지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GPS와 무선데이터통신, 지리정보 CD, 무선 PCS 통신, 유니포인트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취득하게 되고, 취득한 정보들은 정보들은 해당 기기에서 제공하는 작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어진다. 그러나, 운전자는 그 정보를 얻기 위해 소형의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운전을 해야 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운전자의 주의력이 분사되면서 오히려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운행 중에 운전자가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인 네비게이션 또는 계기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짧게는 1초, 길게는 3초 동안 시선을 전방 도로에서 떼게 된다. 따라서, 시선 이동에 평균 2초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가정할 때, 자동차가 시속 약 100㎞/h로 운행되고 있었다면 55m 동안은 전방 도로를 보지 않고 운전하게 되어 사고 발생 확률이 높다.
한편, 운전자는 운전 중에 직진 주행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차선 이동, 좌/우 회전 또는 후진 등의 주행을 병행하게 된다. 따라서, 차선 이동, 좌/우 회전 또는 후진 등의 주행시, 좌/우 또는 후방에 위치한 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이동시켜야 한다. 좌/우 또는 후방으로의 시선 이동은 운전자의 전면에 위치한 네비게이션 또는 계기판 정보를 확인하는 것보다 더 긴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좌/우 또는 후방으로의 시선 이동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이를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방사형 자기장을 이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가 장착된 스캐닝 장치를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로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이미지(점,선,도형,글자,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또는 양측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하는 빔을 변조하여 반사광을 생성하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를 포함하며,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장착되어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는 방사형 자기장(radial magnetic field)을 이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개방영역이 형성된 기판; 수직 토션빔을 통해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 토션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하는 외측 김블; 수평 토션빔을 통해 상기 외측 김블의 내측에 지지되는 내측 김블; 상기 수평 토션빔을 통해 상기 내측 김블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 토션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내측 김블과 함께 구동하는 반사판; 상기 외측 김블, 내측 김블 및 상기 반사판 상에 위치하며 구동전류가 흐르는 도선; 및 상기 기판의 저면에 위치하며, 구동전류와 상호작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레스터 스캔 방식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도선을 구비하여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도선을 구비하여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다수의 렌즈가 배열되어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광을 노면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합쳐주는 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점 광원인 레이저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광이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입사되는 단계; 및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의해 입사된 광이 변조되어 반사광을 생성하고,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 변조기를 통해 점,선,도형, 글자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차량 및 전,후 및 양측방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방사형 자기장(radial magnetic field)를 사용한 전자력 구동 방식에 의해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제어하고,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레스터 스캔 방식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도선으로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여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도선으로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여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서 변조된 광이 투사 렌즈를 통해 넓은 투사각을 가지며 노면으로 확대 투사되는 방식으로 주사하고,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합쳐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 제어를 통해 노면에 표시영역의 위치를 변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점 광원인 레이저이다.
본 발명은 미세전기기계시스템(MEMS) 기술에 방사형 자기장 방식을 사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한 빔 스캐닝 기술을 적용시키는 스캐닝 장치를 통해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이미지(점,선, 도형, 글자,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차량의 중요한 운행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서 보다 운전자가 주행 방향 정보를 쉽게 취득하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하게 해주어 교통 사고의 감소에 일익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또는 양측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주변 차량 운전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운행 정보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에 구비되는 자석과 도선의 기본 구동 원리를 도식화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레스터 스캔 방식 구동 원리를 도식화환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 구동 원리를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스캔 방식에 따라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를 살펴보면,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장착되어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장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하는 빔을 변조하여 반사광을 생성하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이하, '멤스 광변조기'라 칭함)를 포함하되, 반사형 자기장(radial magnetic field)을 이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장착하는 멤스 광변조기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미세전기기계시스템(MEMS :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이하 '멤스'라고 함)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한 높은 공간 분해능(High spatial resolution)의 빔 스캐닝 기술을 적용시키는 스캐닝 장치로 차량 표시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표시 장치인 스캐닝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운행 정보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200), 즉,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한 멤스 광변조기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200)는 차량(400)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되어 레이저 점 광원의 장점을 활용한 차량 전조등이나 후미 안개등과 같이 단수한 광원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차량주행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500)를 운전자 시선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노면(300)에 주사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한 멤스 광변조기를 스캐닝 장치에 적용하여 이를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차량의 중요한 운행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서 보다 주행 방향 정보를 쉽게 취득하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후미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주변 차량 운전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단순한 표시 기능을 넘어서 긴급사항(강한 연무, 사고) 시 차량의 후방 또는 양측방의 운전자에게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멤스 광변조기에 포함된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100)는 기판(110), 외측 김블(Out gimbal,140), 내측 김블(Inner gimgal,130), 반사판(mirror plate, 120), 도선(190) 및 자석(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측 김블(140)은 수직 토션빔(156)을 통해 기판(110)에 지지되고, 상기 내측 김블(130)은 수평 토션빔(154)을 통해 상기 외측 김블(140)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반사판(120)은 수평 토션빔(154)을 통해 상기 내측 김블(130)의 내측에 지지된다.
상기 외측 김블(140), 내측 김블(130) 및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수직 토션빔(156) 및 상기 수평 토션빔(154)에 의하여 각각 소정의 회전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김블(140)은 수직 토션빔(156)을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되고, 상기 내측 김블(130)과 상기 반사판(120)은 수평 토션빔(154)을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된다.
상기 수직 토션빔(Vertical torsion beam, 156)은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는 구성부로서, 외팔보(cantilever), 비틀림보(torsion), 굴곡보(meander beam) 등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측 김블(140)의 양단에서 회전축의 역할을 하고, 외측 김블(140)이 구동되는 경우 복원력 토크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 토션빔(Horizontal torsion beam, 154)은 역시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는 구성부로서, 외팔보, 비틀림보, 굴곡보 등의 형태를 가지며, 반사판(120)의 양단에서 회전축의 역할을 하고, 반사판(120)이 구동되는 경우 복원력 토크를 제공한다.
상기 반사판(120)은 금속과 유전체를 포함하여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면이 균일한 두께로 편평하거나 중심부가 외곽부보다 두껍게 볼록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수직 토션빔(156)과 수평 토션빔(154)을 이루는 회전축이 수직을 이룰 때 상기 반사판이 2개의 축으로 상하 유동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으나 2개의 축으로 유동되므로 각 축에 대한 반사 영역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선(190)은 하나 이상의 도전체층으로서, 원통형 자석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배치되며 구동전류가 흐른다. 상기 도선(190) 상의 전류 흐름을 통하여 전계가 형성되면, 상기 기판(110)의 저면에 위치되는 자석의 자계와 상호 작용을 일으켜 물리력의 힘을 형성하고, 물리력의 힘이 도선에 적용되면 상기 외측 김블(140)과 상기 반사판(120)은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유동된다.
상기 자석(170)은 상기 기판(110)의 저면에 위치하며, 구동전류와 상호작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한다. 상기 자석(170)은 원통형 자석, 링형 자석 및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자석은 링형 자석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자석(170)은 외측 김블(140)과 반사판(120)이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유동되기 위해서는 자석의 형상과 배치가 중요한데, 본 발명에 의한 자석(170)은 평면상의 중심으로부터 향하는 방사형 자기장(radical magnetic feild)을 형성하고, 이러한 자기장 형태를 통하여 2축 구동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미도시된 부호 180은 제1트렌치, 185는 제2트렌치, 195는 절연층을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에 구비되는 자석(170)과 도선(190)의 기본 구동 원리를 도식화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의 형태가 지지대(172), 링형 자석(174) 및 원통형 자석(176)으로 구성된 자석(170) 위로 도식화되어 있는데 상기 도선(190)은 원통형 자석(176)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선(190) 상에서 선대칭의 동일한 전류(I)가 흐르면 이들은 방사형 자기장(Hr)에 의하여 수직 방향의 힘(F)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토오크(T)가 작용된다.
이러한, 상기 방사형 자기장을 사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레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vector graphic scan) 방식에 의해 차량운행 정보 이미지(점,선,도형,글자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노면에 표시 영역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개의 도선을 구비하여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레스터 스캔 방식에 의하면 하나의 도선 라인을 이용하여 권선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두 개의 축 방향으로 토오크가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위쪽 도선과 아래쪽 도선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Iv)가 흐르게 되므로, 힘이 작용하지 않고, 위쪽 도선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2개의 평행한 권선에는 이론상 토오크가 아닌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레스터 스캔 방식에 의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도선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레스터 스캔 방식의 경우 수평 스캔(horizontal scan)에서는 공진 구동 방식을 적용하고, 수직 스캔(vertical scan)에서는 강제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저주파수(60Hz)의 삼각파와 고주파수(20KHz)의 정현파를 더하여 하나의 도선에 동시에 입력하면 스프링 상수가 작은 외부 토션빔은 60Hz로 강제 구동되어 수직 스캔이 이루어지고, 공진 주파수가 20KHz로 설계된 내부 토션빔은 20KHz로 공진 구동되어 수평 스캔이 이루어지게 되어 간단한 구조로 2축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5b에 의하면,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2개의 도선을 구비하여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에 의하면 아래쪽에 지름이 큰 원형 도선은 외측 김블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위쪽에 지름이 큰 원형 도선은 내측에 결합되는 부분이 되며, 아래쪽 도선에 흐르는 전류(Iv)와 위쪽에 흐르는 전류(Ih)는 수직축과 수평축 구동에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에 의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2개의 도선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의 경우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의 경우 강제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이처럼, 수직 스캔과 수평 수캔 모두를 강제 구동하는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구동각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이미지의 형성이 가능하고, 표시 영역의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에서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멤스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광을 노면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사렌즈는 다수의 렌즈가 배열되어 상기 광변조기에서 구현된 영상에 대응하는 광을 노면에 확대 투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투사렌즈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는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투사되는 광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표시 영역에서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을 담보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레스터 스캔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의 스캔 방식에 따라서 도선의 갯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레스터 스캔의 경우에 1개 이상의 도선을 이용하여 2축 구동을 구현하고, 벡터 그래픽 스캔의 경우에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 이상의 도선을 이용하여 2축 구동을 구현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도선 개수와 그 연결이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주행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광원이 출력되어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멤스 광변조기에 입사되기 전에,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합쳐주는 광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광 장치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는 차량의 전, 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차량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 환경에 따라 세기 및 밝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 대한 조건에서도 운전자에게 보다 선명한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정보 또는 네이게이션 정보 등의 차량운행 정보를 받아서 도로의 정보를 알아내고 추출된 정보에 대한 이미지를 도로 전면에 레이저 광원으로 주사하는 스캐닝 장치를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차량의 중요한 운행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서 보다 운전자가 주행 방향 정보를 쉽게 취득하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하게 해주어 교통 사고의 감소에 일익을 하게 되고, 더불어 후미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주변 차량 운전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차량운행 정보는 소유하고 있는 지리정보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지리정보 등이 가능하고, 또한 노면에 주사하는 차량운행 이미지는 필요에 따라서 표시되는 정보의 그림과 문자는 바뀌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인 스캐닝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은, 먼저, 광원으로부터 광(10)이 출력되면 상기 출력된 광(10)이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멤스 광변조기(101)에 입사하게 되고, 상기 멤스 광변조기(101)에 의해 입사된 광(10)은 변조되어 반사광을 생성하고,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인 수직축 또는 제2축인 수평축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500)를 노면(300)에 주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에 의하여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주사하는 방법은, 방사형 자기장을 이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인 수직축 또는 제2축인 수평축의 온(on)/오프(off)을 제어하는 것으로 어두운 픽셀 또는 밝은 픽셀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레이저 광원 스캐닝 방식으로 주사(도 1 참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스캔 방식에 따라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표시 영역)에 주사하는 방식을 표현하는 도면으로서,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100)는 CRT와 유사하게 빔을 일정 주기로 수직축 또는 수평축으로 스캔하면서 빔의 세기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레스터 스캔(raster scan) 방식으로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이미지를 노면에 형성할 수 있고, 도 7(b)에서와 같이, 레이저 쇼와 유사하게 빔을 그리려고 하는 이미지를 형상대로 움직이는 벡터 그래픽 스캔(vector graphic scan) 방식으로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이미지를 노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도선을 필요로 하게 되고, 수평 스캔(horizontal scan)에서는 공진 구동 방식을 적용하고, 수직 스캔(vertical scan)에서는 강제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2개의 도선을 필요로 하게 되고, 수직 스캔 및 수평 스캔의 경우 모두 강제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에서는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노면에 표시 영역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멤스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광을 노면에 주사하기 전에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외부 환경 변화(뒷차와의 거리, 날씨 등)에 따라 표시영역 위치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은, 멤스 광변조기에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빔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여 차량운행 정보에 대한 이미지(점,선,도형,글자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방법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차량의 중요한 운행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서 보다 운전자가 주행 방향 정보를 쉽게 취득하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하게 해주어 교통 사고의 감소에 일익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에서는 투사 렌즈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조된 광을 노면에 확대 투사하도록 한다. 즉,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멤스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광을 노면에 주사하기 전에, 상기 멤스 광변조기에 변조된 광이 투사렌즈를 통해 넓은 투사각을 가지며 노면으로 확대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사렌즈에 의하여 차량의 전, 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차량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투사되는 광의 범위를 조절하게 되면서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표시영역에서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을 담보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에서는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합쳐주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상기 멤스 광변조기에 입사되기 전에,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합쳐주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차량의 전, 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차량 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외부 환경에 따라 세기 및 밝기 등을 조절하게 되면서 어두운 환경에 대한 조건에서도 운전자에게 보다 선명한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전기기계시스템(MEMS) 기술에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한 높은 공간 분해능의 빔 스캐닝 기술, 바람직하게는 반사형 자기장(radial magnetic field)을 이용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적용시키는 스캐닝 장치로 글자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형성되는 차량의 중요한 운행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서 보다 운전자가 주행 방향 정보를 쉽게 취득하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하게 해주어 교통 사고의 감소에 일익을 하게 되고, 더불어 후미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 상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주변 차량 운전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광 100: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
101: 광변조기 110: 기판
120: 반사판 130: 내측 김블
140: 외측 김블 154: 수평 토션빔
156: 수직 토션빔 170: 자석
172: 지지대 174: 링형 자석
176: 원통형 자석 180: 제1트렌치
185: 제2트렌치 190: 도선
195: 절연층 200: 스캐닝 장치
300: 노면 400: 차량
500: 이미지

Claims (19)

  1. 차량의 전,후 및 양측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장착되어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는
    광원; 및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하는 빔을 변조하여 생성된 반사광을 레스터 스캔 방식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노면에 주사하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를 포함하며,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2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강제 구동하여 상기 축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노면 상의 표시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는,
    개방영역이 형성된 기판;
    수직 토션빔을 통해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 토션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하는 외측 김블;
    수평 토션빔을 통해 상기 외측 김블의 내측에 지지되는 내측 김블;
    상기 수평 토션빔을 통해 상기 내측 김블의 내측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 토션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내측 김블과 함께 구동하는 반사판;
    상기 외측 김블, 내측 김블 및 상기 반사판 상에 위치하며 구동전류가 흐르는 도선; 및
    상기 기판의 저면에 위치하며, 구동전류와 상호작용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도선을 구비하여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도선을 구비하여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다수의 렌즈가 배열되어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광을 노면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는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합쳐주는 광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9. 삭제
  10. 광원으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출력된 광이 전자력 방식으로 구동되는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하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입사되는 단계;
    상기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2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해 강제 구동하여 상기 축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노면 상의 표시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 의해 입사된 광이 변조되어 반사광을 생성하고, 2축 스캐닝 마이크로 미러의 제1축 또는 제2축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운행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노면에 레스터 스캔 방식 또는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주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형 멤스(MEMS) 광 변조기를 통해 점,선,도형,글자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노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차량 및 전,후 및 양측방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차량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도선으로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여 레스터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도선으로 2축 스캐닝 구동을 구현하여 벡터 그래픽 스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하는 단계는 반사형 멤스(MEMS) 광변조기에서 변조된 광이 투사 렌즈를 통해 넓은 투사각을 가지며 노면으로 확대 투사되는 방식으로 주사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광원의 세기, 광원의 밝기 또는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합쳐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 표시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20040798A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KR10135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98A KR101359404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798A KR101359404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92A KR20130117992A (ko) 2013-10-29
KR101359404B1 true KR101359404B1 (ko) 2014-02-10

Family

ID=4963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798A KR101359404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525B1 (ko) * 2013-10-31 2015-03-18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 주행 자동차용 방향 안내 장치
KR101819000B1 (ko) 2015-05-12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70642B1 (ko) 2016-05-16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KR102031757B1 (ko) * 2017-03-29 2019-10-1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리모트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용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
KR102372566B1 (ko) * 2017-08-16 2022-03-08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DE102018108927A1 (de) * 2018-04-16 2019-10-17 HELLA GmbH & Co. KGaA Kommunikation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09823263B (zh) * 2018-05-15 2022-06-03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激光显示装置及其方法
CN109927625A (zh) * 2019-03-12 2019-06-25 北京小马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投影方法及装置
DE102019218468A1 (de) * 2019-11-28 2021-06-02 Robert Bosch Gmbh Mikromechanisches Bauteil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mikromechanisches Bauteil
KR20220026403A (ko) 2020-08-25 2022-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KR20230123597A (ko) 2022-02-17 2023-08-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40161A (ko) 2022-03-29 2023-10-06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230140163A (ko) 2022-03-29 2023-10-06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KR20230140158A (ko) 2022-03-29 2023-10-06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37A (ja) * 2004-04-26 2005-11-04 Denso Corp 移動体用情報表示装置
KR20060124079A (ko) * 2005-05-30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및 전자력 구동 2축 스캐닝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KR100759099B1 (ko) 2007-02-22 2007-09-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력을 이용한 독립적 2축-구동 초미세 전기기계 시스템 미러
KR20080067064A (ko) * 2007-01-15 200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337A (ja) * 2004-04-26 2005-11-04 Denso Corp 移動体用情報表示装置
KR20060124079A (ko) * 2005-05-30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및 전자력 구동 2축 스캐닝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
KR20080067064A (ko) * 2007-01-15 200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캐닝 마이크로미러
KR100759099B1 (ko) 2007-02-22 2007-09-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력을 이용한 독립적 2축-구동 초미세 전기기계 시스템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992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404B1 (ko)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방법
US105516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11333521B2 (en) Head-up display, vehicle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10546561B2 (en)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22091B1 (ko) 표시 장치, 이동체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표시 방법
CN108700744B (zh) 信息显示装置
JP2018060019A (ja) 車両用表示装置
EP3343270A1 (en) Head-up display, vehicle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carrier means
EP3348433B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vehicle apparatus
US20210131818A1 (en) Head-up display, vehicle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CN208459762U (zh) 一种汽车激光显示装置
CN113219655B (zh) 一种多视角显示的车辆显示系统
CN111033607A (zh) 显示系统、信息呈现系统、显示系统的控制方法、程序以及移动体
US10598830B2 (en) Screen memb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bject apparatus
CN105150935A (zh) 平视显示器、平视显示方法以及车载显示装置
US990056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6117345A (ja) 虚像表示装置
JP201817701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2352489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EP3644108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mobile object
JP202111708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CN109823263B (zh) 一种汽车激光显示装置及其方法
JP202015224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移動体、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13219658B (zh) 一种分视角智能显示的车辆平视显示系统
JP2019174519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移動体、表示輝度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