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13B1 -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13B1
KR101359013B1 KR1020130148655A KR20130148655A KR101359013B1 KR 101359013 B1 KR101359013 B1 KR 101359013B1 KR 1020130148655 A KR1020130148655 A KR 1020130148655A KR 20130148655 A KR20130148655 A KR 20130148655A KR 101359013 B1 KR101359013 B1 KR 10135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ape
housing
block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에이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플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플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는, 공급트레이에 적재된 카메라모듈을 모듈안착판에 안착시키는 모듈 로딩유닛; 상기 모듈하우징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의 모듈하우징 저면에 상기 모듈하우징의 저면을 덮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연결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접어 상기 모듈하우징의 사방 측면을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로 감싸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어 초기 방향으로 복구시키는 모듈 리터닝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을 배출트레이에 적재시키는 모듈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Adhesive tape attach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렌즈 및 모듈하우징의 외측면에 보호테이프를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가 용이하면서 음성정보 및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이 강화된 각종 모바일 기기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 및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화상통신과 사진촬영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소형 카메라모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모듈의 활용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고화질 및 고성능의 카메라모듈이 장착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이전까지 카메라모듈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카메라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렌즈의 외측면을 별도의 렌즈보호 테이프로 덮고, 카메라모듈 내측으로 습기나 먼지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별도의 하우징실링 테이프로 모듈하우징 외측면을 둘러싸 감는 방법이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때, 현재까지는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와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바, 작업자의 숙련도 및 집중도에 따라 테이프 부착 품질에 편차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렌즈보호 테이프나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정상적으로 부착시키지 못하는 경우, 카메라렌즈가 손상을 입거나, 모듈하우징 내측으로 습기 및 먼지가 유입되어, 카메라모듈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보호 테이프와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수작업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카메라모듈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 제품원가를 절감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에 정전기 방지를 위한 쿠션패드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쿠션패드 부착 역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카메라모듈 제작에 많은 시간과 공정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9767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듈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에 렌즈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모듈하우징의 저면 및 측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연성회로기판에 쿠션패드를 부착하는 공정을 모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는, 공급트레이에 적재된 카메라모듈을 모듈안착판에 안착시키는 모듈 로딩유닛; 상기 모듈하우징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의 모듈하우징 저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접어 상기 모듈하우징의 사방 측면을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로 감싸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어 초기 방향으로 복구시키는 모듈 리터닝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을 배출트레이에 적재시키는 모듈 언로딩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는, 상기 모듈하우징의 저면을 덮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연결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은, 승강 가능한 접착수단 이송블록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 하강 시 상기 날개부를 하향으로 90도 절곡시켜 상기 모듈하우징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후면접착블록과, 상기 후면접착블록을 상기 모듈하우징의 후면으로 가압하는 후면가압수단과,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의 양측을 전방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의 좌우측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1 이송수단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2 이송수단과,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의 양끝단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전면접착블록 이송수단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 중 상기 모듈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된 끝단을 상기 모듈하우징 전면으로 가압하는 전면가압블록과, 상기 전면가압블록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면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접착블록은, 상기 날개부의 양측이 안착되는 날개안착면에 다수개의 흡착홀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 로딩유닛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픽업집게 이송블록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집도록 구성되어 상기 픽업집게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모듈 픽업집게와, 상기 모듈 픽업집게를 승강시키는 픽업집게 승강수단과, 상기 모듈 픽업집게가 상기 카메라모듈을 집을 때 상기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되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하는 하측단에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향 이동 가능한 탄성블록을 구비하는 모듈가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터닝유닛은, 승강 가능한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에 장착되는 모듈 흡착봉과, 상기 모듈 흡착봉에 흡착된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잡은 후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테이프 부착유닛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흡착판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하우징테이프 흡착판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을 승강시키는 흡착판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은, 다수개의 흡착공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보다 직경이 작은 흡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 형상의 시트안착홈이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시트안착홈에 인입되도록 결합되는 다공성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 중 카메라렌즈가 위치된 측의 모듈하우징 일면에 렌즈보호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 상기 모듈하우징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 중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한 도전성 테이프 상에 쿠션패드를 부착시키는 쿠션패드 부착유닛; 상기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 위치를 조정하는 모듈 정렬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렌즈테이프 부착유닛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렌즈테이프 흡착봉과, 상기 렌즈테이프 흡착봉을 승강시키는 렌즈테이프 흡착봉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쿠션패드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쿠션패드 흡착봉과,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을 승강시키는 쿠션패드 흡착봉 승강수단과,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이 상기 쿠션패드를 흡착하였을 때 이웃하는 다른 쿠션패드 상면을 하향 가압하되 상기 이웃하는 다른 쿠션패드를 가압하는 하측단에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향 이동 가능한 승강블록을 구비하는 쿠션패드 가압봉과, 다수개의 쿠션패드가 장착되어 수평으로 공급되는 쿠션패드 이형지를 하향으로 90도 이상의 각도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이형지 이송롤러와, 상기 이형지 이송롤러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 저면이 상기 쿠션패드 이형지와 떨어진 쿠션패드의 저면을 상향 지지하는 쿠션패드 지지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정렬유닛은, 승강 가능한 정렬용 승강블록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렬용 고정봉과, 상기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향해 전진될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상기 모듈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기판 조정블록과, 상기 기판 조정블록을 왕복시키는 조정블록 이송수단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모듈하우징을 향해 전진 시 상기 모듈하우징 중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연장된 측의 반대측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블록과, 상기 모듈 지지블록을 왕복시키는 지지블록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모듈이 진공압에 의해 상면에 흡착되는 다수개의 모듈안착판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안착판 사이각과 동일한 각도만큼씩 동일한 주기로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로딩유닛과, 상기 렌즈테이프 부착유닛과,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과, 상기 모듈 터닝유닛과, 상기 모듈 정렬유닛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과, 상기 모듈 리터닝유닛과, 상기 모듈 언로딩유닛은, 각 모듈안착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트레이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를 이용하면, 모듈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에 렌즈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모듈하우징의 저면 및 측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과, 연성회로기판에 쿠션패드를 부착하는 공정을 모두 자동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생산성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카메라모듈에 렌즈보호 테이프와 쿠션패드와 하우징실링 테이프가 부착되는 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로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모듈 로딩유닛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쿠션패드 부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쿠션패드 부착유닛의 동작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터닝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모듈 터닝유닛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정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모듈 정렬유닛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흡착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의 확대사시도 및 저면 확대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에 포함되는 각 이송수단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에 포함되는 각 접착블록들의 이동방향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9 내지 도 32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에 포함되는 각 접착블록들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카메라모듈에 렌즈보호 테이프와 쿠션패드와 하우징실링 테이프가 부착되는 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의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모듈은, 카메라렌즈(10) 및 각종 촬상부품이 내장된 모듈하우징(20)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모듈하우징(20)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카메라렌즈(10)는 모듈하우징(20)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므로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되거나 기타 이물질이 묻을 우려가 있으므로, 별도의 렌즈보호 테이프(40)의 부착이 요구된다. 또한 모듈하우징(2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모듈하우징(20)은 내외부가 완벽하게 격리되도록 밀폐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므로, 외부의 먼지나 습기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듈하우징(20) 중 카메라렌즈(10)가 노출되는 상면에 렌즈보호 테이프(40)를 부착하여 카메라렌즈(10)를 보호하고, 모듈하우징(20)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부착하여 모듈하우징(20) 내측으로 먼지나 습기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30)에는 정전기발생 방지를 위한 도전성 테이프 보호를 위해 쿠션패드(50)를 부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때, 하나의 하우징실링 테이프(60)로 모듈하우징(20)의 저면과 측면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는 모듈하우징(20)의 저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의 몸체부(62)와 모듈하우징(2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는 날개부(6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로 모듈하우징(20)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20)의 상면에 렌즈보호 테이프(40)를 부착하고 연성회로기판(30)의 도전성 테이프에 쿠션패드(50)를 부착한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을 전체적으로 뒤집은 상태에서 몸체부(62)를 모듈하우징(20) 저면에 부착하고 날개부(64)를 아래로 90도 절곡시켜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날개부(64)의 중단이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부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64) 양측을 앞으로 접어 모듈하우징(20)의 좌우측면에 부착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64)의 양측 끝단을 안쪽으로 접어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40)와, 쿠션패드(50)와, 하우징실링 테이프(60)는 별도의 이형지(미도시)에 다수개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별도의 이형지(로부터 떼어낸 후 상기 모듈하우징(20) 및 연성회로기판(30)에 부착시켜야 하는데, 현재까지는 테이프를 떼어낸 후 모듈하우징(20) 및 연성회로기판(30)에 자동으로 부착시키는 장비가 개발된바 없으므로, 상기 언급한 작업들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40)와, 쿠션패드(50)와,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부착을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 부착위치가 정확하게 통일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생산효율이 매우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는 상기와 같은 각 공정을 모두 자동화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트레이(120)에 적재된 카메라모듈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키는 모듈 로딩유닛(200)과, 카메라모듈 중 카메라렌즈(10)가 위치된 측의 모듈하우징(20) 일면(본 실시예에서는 상면)에 렌즈보호 테이프(40)를 부착시키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과, 모듈하우징(20)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30) 중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한 도전성 테이프 상에 쿠션패드(50)를 부착시키는 쿠션패드(50) 부착유과,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유닛(500)과,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30) 위치를 조정하는 모듈 정렬유닛(600)과, 카메라모듈의 모듈하우징(20) 저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부착시키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과,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접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사방 측면을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로 감싸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과, 카메라모듈을 뒤집어 초기 방향으로 복구시키는 모듈 리터닝유닛(900)과, 카메라모듈을 재출트레이(130)에 적재시키는 모듈 언로딩유닛(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트레이(120)로부터 공급된 카메라모듈은 원판 형상의 회전트레이(100) 상의 모듈안착판(110)에 안착되며, 상기 모듈 로딩유닛(200)과,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과, 쿠션패드 부착유닛(400)과, 모듈 터닝유닛(500)과, 모듈 정렬유닛(600)과,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과,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과, 모듈 리터닝유닛(900)과, 모듈 언로딩유닛(1000)은, 각 모듈안착판(110)과 대응되도록 회전트레이(10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회전트레이(100)는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안착판(110) 사이각과 동일한 각도만큼씩 동일한 주기로 회전되는바, 모듈 로딩유닛(200)에 의해 공급트레이(120)로 공급된 카메라모듈은 상기 각 유닛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렌즈보호 테이프(40)와 쿠션패드(50)와 하우징실링 테이프(60)가 모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메라모듈이 안착되는 모듈안착판(110)에는 진공호스(114)와 연통된 진공구멍(112)이 형성되는바, 상기 모듈안착판(11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은 회전트레이(100)가 회전되는 동안 흔들리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진공압에 의해 가공대상물을 고정시키는 기술은 부품제조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로딩유닛(200)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모듈 로딩유닛(200)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듈 로딩유닛(200)은 공급트레이(120)에 적재되어 있는 카메라모듈을 하나씩 집어 모듈 로딩유닛(200) 앞에 위치한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키기 위한 유닛으로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측면(더 명확하게는 모듈하우징(20)의 측면)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 구조로 제작되는 모듈 픽업집게(220)와, 전후방향 및 세로방향의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가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픽업집게 이송블록(210)과, 모듈 픽업집게(220)를 승강시키는 픽업집게 승강수단(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는 픽업집게 이송블록(210)을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고 픽업집게 승강수단(2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모듈이 공급트레이(120) 상의 어느 지점에 적재되어 있더라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 픽업집게(220)가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카메라모듈의 측면에 압착 또는 이격되는 4개의 집게바를 구비하여 카메라모듈을 집거나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카메라모듈을 집어 들고 놓을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픽업집게 승강수단(230) 역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직선 이송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모터 등과 같이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직선 이송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모듈 픽업집게(220)가 카메라모듈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카메라모듈을 놓는 과정에서 4개의 집게바가 모듈하우징(2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점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아니하면, 카메라모듈의 위치가 미세하게나마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모듈의 위치가 약간이라도 변경되면, 렌즈보호 테이프(40) 및 쿠션패드(50)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모듈 로딩유닛(200)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가 카메라모듈의 모듈하우징(20)을 집는 지점까지 하강될 때 연성회로기판(3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모듈 가압봉(240)을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모듈 가압봉(240)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가 모듈하우징(20)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켰을 때 모듈 가압봉(240)은 연성회로기판(30)을 모듈안착판(110)에 압착시키게 되므로, 모듈 픽업집게(220)가 모듈하우징(20)을 놓는 과정에서 모듈하우징(20)에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연성회로기판(30)은 흔들리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성회로기판(30)에 연결된 모듈하우징(20) 역시 최초 안착위치에서 벗어나지 아니하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듈 가압봉(240)이 연성회로기판(30)을 하향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모듈 가압봉(240) 중 연성회로기판(30)과 접촉되는 하측단에는 모듈 픽업집게(220)가 모듈하우징(20)을 집는 위치까지 하강되기 이전에 먼저 연성회로기판(30)에 접촉되되 탄성적으로 상승 가능한 탄성블록(242)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듈 가압봉(240) 하측단에 탄성블록(242)이 구비되면,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은 기준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하향 가압되지 아니하므로, 파손 우려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진공압으로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4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흡착공 내의 진공압 형성 여부에 따라 렌즈보호 테이프(40)를 흡착 또는 흡착 해제하는 렌즈테이프 흡착봉(320)과, 전후방향 및 세로방향의 이송레일을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렌즈테이프 흡착봉(320)이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310)과, 상기 렌즈테이프 흡착봉(320)을 승강시키는 렌즈테이프 흡착봉 승강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흡착 및 이송시키는 장치는 본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흡착공 내의 진공압 크기는 렌즈보호 테이프(40)의 점착성능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쿠션패드 부착유닛(40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쿠션패드 부착유닛(400)의 동작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상기 언급한 렌즈보호 테이프(40)는 상면이 매끈한 얇은 시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단순히 진공압만으로도 안정적으로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지만, 쿠션패드(50)는 기준치 이상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매끄럽지 아니하도록 표면처리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진공압만으로 흡착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진공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매우 큰 진공압으로 쿠션패드(50)를 흡착하면 쿠션패드(50)의 상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큰 진공압 형성을 위해 별도의 고성능 공기압축펌프가 요구되므로 설비비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400)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매우 큰 진공압을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쿠션패드(50)를 하나씩 픽업할 수 있도록,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410)과, 진공압으로 상기 쿠션패드(5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4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쿠션패드 흡착봉(430)과,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을 승강시키는 쿠션패드 흡착봉 승강수단(42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쿠션패드(50)가 장착되어 수평으로 공급되는 쿠션패드 이형지(52)를 하향으로 90도 이상의 각도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이형지 이송롤러(450)와, 상기 이형지 이송롤러(450)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 저면이 상기 쿠션패드 이형지(52)와 떨어진 쿠션패드(50)의 저면을 상향 지지하는 쿠션패드 지지날(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이형지 이송롤러(450)와 쿠션패드 지지날(460)이 구비되면, 상기 쿠션패드(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약 1/3 부위만이 쿠션패드 이형지(52)에 접착되어 있고 전방측 약 2/3 부위는 쿠션패드 이형지(52)로부터 떼어진 상태에서 쿠션패드 흡착봉(430)에 흡착되므로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의 진공압이 매우 크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고, 쿠션패드 이형지(52)로부터 떼어진 쿠션패드(50) 전방측이 쿠션패드 지지날(460)에 의해 지지되므로 쿠션패드(50)를 흡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쿠션패드(50)가 아래로 떨어질 우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쿠션패드 지지날(460) 중 쿠션패드(50)의 저면과 접촉되는 상측 끝단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제작되면 쿠션패드 지지날(460)과 쿠션패드(50)가 큰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쿠션패드(50)의 흡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패드 지지날(460)의 상측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쿠션패드 이형지(52)에 다수개의 쿠션패드(50)가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어느 하나의 쿠션패드(50)를 흡착하여 픽업하였을 때 이웃하는 또 다른 쿠션패드(50)까지 함께 끌어올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400)은, 쿠션패드 흡착봉(430)이 어느 하나의 쿠션패드(50)를 흡착하였을 때 이웃하는 다른 쿠션패드(50)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쿠션패드 가압봉(44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이 쿠션패드(50)를 흡착하기 이전에 쿠션패드 가압봉(440)이 이웃하는 쿠션패드(50)를 미리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패드 가압봉(440)의 하측단에는 쿠션패드 흡착봉(43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되는 승강블록(442)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블록(442)이 이웃하는 쿠션패드(50)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이 흡착대상 쿠션패드(50)와 접촉되도록 더 하강되었을 때, 상기 승강블록(442)이 과도하게 쿠션패드(50)를 가압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승강블록(442)은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향 이동 가능한 구조 즉,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승강블록(442)은 앞서 설명한 모듈 로딩유닛(200)의 모듈 가압봉(2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터닝유닛(500)의 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7은 모듈 터닝유닛(500)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듈 터닝유닛(500)은 모듈하우징(20)의 상면에 렌즈보호 테이프(40)가 부착된 이후, 모듈하우징(20)의 저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부착하기 위해 모듈하우징(20)을 뒤집기 위한 유닛으로서, 승강 가능한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510)과, 진공압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510)에 장착되는 모듈 흡착봉(520)과, 상기 모듈 흡착봉(520)에 흡착된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잡은 후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집게(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모듈 터닝유닛(500)을 이용하여 카메라모듈을 뒤집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흡착봉(520)을 하강시켜 모듈하우징(20)을 흡착한 후 모듈 터닝집게(530)가 위치한 지점까지 상승시키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터닝집게(530)로 모듈하우징(20)의 측면을 잡는다. 모듈 터닝집게(530)가 모듈하우징(20)을 완전히 잡은 이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흡착봉(520)은 흡착을 해제한 후 상승되고, 잡은 모듈 터닝집게(5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는다. 모듈하우징(20)이 뒤집어지면 모듈 흡착봉(520)은 다시 하강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20)을 흡착하고, 모듈 터닝집게(530)는 좌우로 벌어져 모듈하우징(20)을 놓게 되고, 이후 모듈 흡착봉(520)은 더 하강하여 모듈하우징(20)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모듈 터닝집게(530)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면, 모듈하우징(20)을 잡아 상승한 후 모듈하우징(20)을 뒤집어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모듈 흡착봉(520) 없이도 카메라모듈을 뒤집을 수 있다. 그러나 모듈 터닝집게(530)가 모듈하우징(20)을 잡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킨 이후 모듈하우징(20)을 놓게 되면, 모듈하우징(20)을 집는 과정 또는 놓는 과정에서 모듈하우징(20)의 수평위치가 변경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터닝집게(530)가 모듈하우징(20)을 잡거나 놓는 과정에서 모듈하우징(2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모듈 흡착봉(5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모듈 정렬유닛(600)의 사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모듈 정렬유닛(600)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모듈하우징(20)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지면 연성회로기판(30)은 상측에 위치되는데,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면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날개부(64)를 모듈하우징(20) 측면에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간섭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는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부착하기 이전에 연성회로기판(30)을 위로 들어 올려주는 모듈 정렬유닛(600)을 구비한다.
상기 모듈 정렬유닛(6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가능한 정렬용 승강블록(610)과, 상기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610)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연성회로기판(30)과 접촉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기판 조정블록(630)과, 상기 기판 조정블록(630)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시키는 조정블록 이송수단(640)과,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즉,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610)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모듈하우징(20)을 향해 전진 시 상기 모듈하우징(20) 중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연장된 측의 반대측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블록(650)과, 상기 모듈 지지블록(650)을 왕복시키는 지지블록 이송수단(660)과,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을 위로 들어 올리는 동안 카메라모듈이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렬용 고정봉(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조정블록(630)과 모듈 지지블록(650)이 좌우로 벌어져 카메라모듈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정블록 이송수단(640)에 의해 기판 조정블록(630)이 카메라모듈 측으로 이송되면, 연성회로기판(3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조정블록(630)의 경사면을 타고 위로 들어올려진다. 이때 지지블록 이송수단(660)은 모듈 지지블록(650)을 카메라모듈 측으로 이송시켜 카메라모듈이 밀리지 아니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30)이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면 즉, 모듈하우징(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면, 모듈하우징(20)의 측면에 날개부(64)를 부착시킬 때 연성회로기판(30)의 간섭 우려 없이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의 분해사시도이다.
하우징 테이프 부착유닛은 하우징실링 테이프(60)(더 명확하게는 몸체부(62))를 모듈하우징(20)의 저면(모듈하우징(20)이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상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유닛으로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흡착판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을 승강시키는 흡착판 승강수단(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진공압을 이용하여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흡착하는 원리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렌즈보호 테이프(40)는 정사각형 형상이므로 원통 형상의 렌즈테이프 흡착봉(320)으로도 렌즈보호 테이프(40)의 상면 대부분을 흡착할 수 있지만, 하우징실링 테이프(60)는 날개부(64)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흡착하더라도 날개부(64) 양측이 아래로 처지게 되어,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정상적으로 부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흡착공이 형성되는 상판(722)과, 진공압이 저면 전체에 고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722)보다 직경이 작은 흡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722)의 저면에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 형상의 시트안착홈(725)이 형성되는 하판(724)과, 상기 시트안착홈(725)에 인입되도록 결합되는 다공성시트(7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722)과 하판(724)은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금속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금속 재질의 하판(724)에는 흡착공을 아무리 작고 촘촘하게 형성한다 하더라도 흡착공 간의 이격거리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상면 전체가 고르게 흡착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다공성시트(726)는 사람의 육안으로는 보이지 아니할 정도로 작은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724) 저면에 다공성시트(726)가 인입되도록 장착되면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의 사시도이고, 도 24 및 도 25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의 확대사시도 및 저면 확대사시도이며, 도 26 및 도 27은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에 포함되는 각 이송수단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은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몸체부(62)가 모듈하우징(20)의 저면(모듈하우징(20)이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64)를 모듈하우징(20)의 측면에 둘러싸기 위한 유닛으로서, 승강 가능한 접착수단 이송블록(810)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 하강 시 상기 날개부(64)를 하향으로 90도 절곡시켜 상기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후면접착블록(820)과,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을 전방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좌우측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과,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의 양끝단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 중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된 끝단을 상기 모듈하우징(20) 전면으로 가압하는 전면가압블록(8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블록들은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레일(811)을 따라 이송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바,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이 승강됨에 따라 일제히 승강되며, 각각 독립적으로도 이송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은 상기 후면접착블록(820)과 측면접착블록(830)과 전면접착블록(840)과 전면가압블록(850)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면접착블록(820)을 상기 모듈하우징(20)의 후면으로 가압하는 후면가압수단(821)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1 이송수단(831)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2 이송수단(832)과, 상기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전면접착블록 이송수단(841)과, 상기 전면가압블록(85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면가압수단(851)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접착블록(820)과 측면접착블록(830)과 전면접착블록(840)과 전면가압블록(850)을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 가압수단 및 이송수단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각 블록들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밸브나 모터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장치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각 블록들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각 블록들을 직선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28은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에 포함되는 각 접착블록들의 이동방향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9 내지 도 32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에 포함되는 각 접착블록들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을 이용하여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날개부(64)로 모듈하우징(20)의 측면을 감싸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접착블록(820)을 하강시켜 날개부(64)를 하향으로 90도 절곡시키고, 후면가압수단(821)을 작동시켜 상기 후면접착블록(820)을 전진시킴으로써, 절곡된 날개부(64) 중 가운데 부위가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날개부(64)의 가운데 부위가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접착되면, 측면접착블록 제1 이송수단(831)을 작동시켜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모듈하우징(20)의 좌우측면 후단에 위치시킨 후, 측면접착블록 제2 이송수단(832)을 작동시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전진시킨다.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이 전진되면, 날개부(64)의 양측은 전방을 향하도록 90도 절곡되면서 모듈하우징(20)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은 좌우로 연장된 길이가 폭에 비해 매우 커서 쉽게 비틀어질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에 의해 전방으로 절곡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꼬여서 정상적으로 모듈하우징(20) 좌우측면에 부착되지 아니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접착블록(830)은,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이 안착되는 날개안착면(833)에 다수개의 흡착홀(8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접착블록(830)의 날개안착면(833)에 다수개의 흡착홀(834)이 형성되면,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이 날개부(64)의 양측을 미는 동안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이 날개안착면(833)에 흡착되므로 뒤틀리거나 꼬일 우려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날개부(64)의 양측이 모듈하우징(20)의 좌우측면에 정상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날개부(64)의 양측이 모두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면, 전면접착블록 이송수단(841)을 작동시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이 상호 맞닿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날개부(64)의 양측을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날개부(64)의 양측은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되었을 때 끝단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접착되므로, 상기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은 순차적으로 이송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에 의해 날개부(64)의 양단이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된 이후, 상기 날개부(64)의 양단이 보다 확실하게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전면가압수단(851)을 작동시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가압블록(850)을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된 날개부(64) 양단을 압착시킨다. 이와 같이 전면가압블록(850)이 날개부(64) 양단을 모듈하우징(20) 전면으로 가압하게 되면, 날개부(64) 양단이 전면접착블록(840)에 의해 모듈하우징(20) 전면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부착되지 아니하고 뜨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전면가압블록(850)에 의해 확실하게 부착되므로, 향후 날개부(64)가 모듈하우징(20)으로부터 떼어지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우징실링 테이프(60)의 부착이 완료되면, 카메라모듈은 모듈 리터닝유닛(900)에 의해 다시 한 번 180도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된 후, 모듈 언로딩유닛(1000)에 의해 재출트레이(130)에 적재된다. 이때 모듈 리터닝유닛(900) 및 모듈 언로딩유닛(1000)은, 상기 설명한 모듈 터닝유닛(500) 및 모듈 로딩유닛(200)과 비교하였을 때 방향성의 차이만 있을 분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닛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렌즈 20 : 모듈하우징
30 : 연성회로기판 40 : 렌즈보호 테이프
50 : 쿠션패드 52 : 쿠션패드 이형지
60 : 하우징실링 테이프 62 : 몸체부
64 : 날개부 100 : 회전트레이
110 : 모듈안착판 112 : 진공구멍
114 : 진공호스 120 : 공급트레이
130 : 배출트레이 200 : 모듈 로딩유닛
210 : 픽업집게 이송블록 220 : 모듈 픽업집게
230 : 픽업집게 승강수단 240 : 모듈 가압봉
242 : 탄성블록 300 : 렌즈테이프 부착유닛
310 :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 320 : 렌즈테이프 흡착봉
330 : 렌즈테이프 흡착봉 승강수단 400 : 쿠션패드 부착유닛
410 :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 420 : 쿠션패드 흡착봉 승강수단
430 : 쿠션패드 흡착봉 440 : 쿠션패드 가압봉
442 : 승강블록 450 : 이형지 이송롤러
460 : 쿠션패드 지지날 500 : 모듈 터닝유닛
510 :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 520 : 모듈 흡착봉
530 : 모듈 터닝집게 600 : 모듈 정렬유닛
610 : 정렬용 승강블록 620 : 정렬용 고정봉
630 : 기판 조정블록 640 : 조정블록 이송수단
650 : 모듈 지지블록 660 : 지지블록 이송수단
700 :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 710 : 흡착판 이송블록
720 : 하우징테이프 흡착판 722 : 상판
724 : 하판 725 : 시트안착홈
726 : 다공성시트 730 : 흡착판 승강수단
800 :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 810 : 접착수단 이송블록
820 : 후면접착블록 821 : 후면가압수단
830 : 측면접착블록 831 : 측면접착블록 제1 이송수단
832 : 측면접착블록 제2 이송수단 833 : 날개안착면
834 : 흡착홀 840 : 전면접착블록
841 : 전면접착블록 이송수단 850 : 전면가압블록
851 : 전면가압수단 900 : 모듈 리터닝유닛
1000 : 모듈 언로딩유닛

Claims (11)

  1. 공급트레이(120)에 적재된 카메라모듈을 모듈안착판(110)에 안착시키는 모듈 로딩유닛(200);
    상기 모듈하우징(20)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유닛(500);
    상기 카메라모듈의 모듈하우징(20) 저면에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부착시키는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접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사방 측면을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로 감싸는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어 초기 방향으로 복구시키는 모듈 리터닝유닛(900);
    상기 카메라모듈을 재출트레이(130)에 적재시키는 모듈 언로딩유닛(1000);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는,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저면을 덮는 몸체부(62)와, 상기 몸체부(62)의 후단에 연결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64)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은, 승강 가능한 접착수단 이송블록(810)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 하강 시 상기 날개부(64)를 하향으로 90도 절곡시켜 상기 모듈하우징(20)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후면접착블록(820)과, 상기 후면접착블록(820)을 상기 모듈하우징(20)의 후면으로 가압하는 후면가압수단(821)과,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을 전방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좌우측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1 이송수단(831)과, 상기 한 쌍의 측면접착블록(830)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측면접착블록 제2 이송수단(832)과,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의 양끝단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과, 상기 한 쌍의 전면접착블록(840)을 좌우로 이송시키는 전면접착블록 이송수단(841)과, 전후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접착수단 이송블록(810)에 장착되며 상기 날개부(64) 중 상기 모듈하우징(20)의 전면에 부착된 끝단을 상기 모듈하우징(20) 전면으로 가압하는 전면가압블록(850)과, 상기 전면가압블록(85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전면가압수단(8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접착블록(830)은, 상기 날개부(64)의 양측이 안착되는 날개안착면(833)에 다수개의 흡착홀(8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로딩유닛(200)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픽업집게 이송블록(210)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집도록 구성되어 상기 픽업집게 이송블록(2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모듈 픽업집게(220)와,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를 승강시키는 픽업집게 승강수단(230)과, 상기 모듈 픽업집게(220)가 상기 카메라모듈을 집을 때 상기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30)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되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을 가압하는 하측단에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향 이동 가능한 탄성블록(242)을 구비하는 모듈 가압봉(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터닝유닛(500)은,
    승강 가능한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510)과, 진공압으로 상기 카메라모듈을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 흡착봉 이송블록(510)에 장착되는 모듈 흡착봉(520)과, 상기 모듈 흡착봉(520)에 흡착된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잡은 후 수평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뒤집는 모듈 터닝집게(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테이프 부착유닛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흡착판 이송블록과, 진공압으로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흡착판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을 승강시키는 흡착판 승강수단(7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테이프 흡착판(720)은,
    다수개의 흡착공이 형성되는 상판(722)과, 상기 상판(722)보다 직경이 작은 흡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면이 상기 상판(722)의 저면에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실링 테이프(60) 형상의 시트안착홈(725)이 형성되는 하판(724)과, 상기 시트안착홈(725)에 인입되도록 결합되는 다공성시트(7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 중 카메라렌즈(10)가 위치된 측의 모듈하우징(20) 일면에 렌즈보호 테이프(40)를 부착시키는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
    상기 모듈하우징(20)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연성회로기판(30) 중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한 도전성 테이프 상에 쿠션패드(50)를 부착시키는 쿠션패드 부착유닛(400);
    상기 카메라모듈의 연성회로기판(30) 위치를 조정하는 모듈 정렬유닛(6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310)과, 진공압으로 상기 렌즈보호 테이프(4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테이프 흡착봉 이송블록(3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렌즈테이프 흡착봉(320)과, 상기 렌즈테이프 흡착봉(320)을 승강시키는 렌즈테이프 흡착봉 승강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400)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410)과, 진공압으로 상기 쿠션패드(50)를 흡착하는 흡착공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 이송블록(4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쿠션패드 흡착봉(430)과,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을 승강시키는 쿠션패드 흡착봉 승강수단(420)과, 상기 쿠션패드 흡착봉(430)이 상기 쿠션패드(50)를 흡착하였을 때 이웃하는 다른 쿠션패드(50) 상면을 하향 가압하되 상기 이웃하는 다른 쿠션패드(50)를 가압하는 하측단에 하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향 이동 가능한 승강블록(442)을 구비하는 쿠션패드 가압봉(440)과, 다수개의 쿠션패드(50)가 장착되어 수평으로 공급되는 쿠션패드 이형지(52)를 하향으로 90도 이상의 각도로 전환하여 이송시키는 이형지 이송롤러(450)와, 상기 이형지 이송롤러(450)가 위치된 지점을 지나 저면이 상기 쿠션패드 이형지(52)와 떨어진 쿠션패드(50)의 저면을 상향 지지하는 쿠션패드 지지날(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정렬유닛(600)은,
    승강 가능한 정렬용 승강블록(610)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렬용 고정봉(620)과, 상기 카메라모듈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610)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연성회로기판(30)과 접촉되는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을 향해 전진될 때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을 상기 모듈하우징(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시키는 기판 조정블록(630)과, 상기 기판 조정블록(630)을 왕복시키는 조정블록 이송수단(640)과,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한 구조로 상기 정렬용 승강블록(610)의 저면에 장착되되 상기 모듈하우징(20)을 향해 전진 시 상기 모듈하우징(20) 중 상기 연성회로기판(30)이 연장된 측의 반대측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블록(650)과, 상기 모듈 지지블록(650)을 왕복시키는 지지블록 이송수단(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카메라모듈이 진공압에 의해 상면에 흡착되는 다수개의 모듈안착판(110)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며, 이웃하는 두 개의 모듈안착판(110) 사이각과 동일한 각도만큼씩 동일한 주기로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트레이(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로딩유닛(200)과, 상기 렌즈테이프 부착유닛(300)과, 상기 쿠션패드 부착유닛(400)과, 상기 모듈 터닝유닛(500)과, 상기 모듈 정렬유닛(600)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부착유닛(700)과, 상기 하우징테이프 폴딩유닛(800)과, 상기 모듈 리터닝유닛(900)과, 상기 모듈 언로딩유닛(1000)은, 각 모듈안착판(110)과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트레이(10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KR1020130148655A 2013-12-02 2013-12-02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KR10135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655A KR101359013B1 (ko) 2013-12-02 2013-12-02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655A KR101359013B1 (ko) 2013-12-02 2013-12-02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13B1 true KR101359013B1 (ko) 2014-02-06

Family

ID=5027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655A KR101359013B1 (ko) 2013-12-02 2013-12-02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41B1 (ko) * 2014-06-24 2016-04-06 (주)드림텍 모바일 기기의 테이프 부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76B1 (ko) 2007-06-08 2009-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렌즈 보호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76B1 (ko) 2007-06-08 2009-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렌즈 보호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41B1 (ko) * 2014-06-24 2016-04-06 (주)드림텍 모바일 기기의 테이프 부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3747B (zh) 一种自动fpc贴合机及贴板方法
CN108235678B (zh) 一种电子产品自动化组装生产线
US9126393B2 (en)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bonding component on substrate using the same
CN204869961U (zh) 贴合连线机
US20140069053A1 (en) Packaging device
KR20110108128A (ko) 반도체 소자 실장 장치
KR101359012B1 (ko)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CN108400096A (zh) 半导体制造装置及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KR20140086361A (ko) 다이 본딩 방법 및 장치
KR20130079031A (ko) 반도체 칩 실장 장치
KR20080013529A (ko) 반도체 검사 및 포장장치
KR101722312B1 (ko) 마스크팩용 시트 자동분리장치
CN216728388U (zh) 贴合材料的清洁设备
KR101359013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KR101605077B1 (ko) 웨이퍼 상에 칩을 정밀하게 본딩하기 위한 장치
KR101359014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제조장치
JP5775956B2 (ja) Ledチップ用蛍光フィルムピックアップ装置
CN218856074U (zh) 贴合机
JP6086435B2 (ja) 基板クランプ装置
CN211075025U (zh) 柔性屏3d贴合设备
CN107013543A (zh) 缓冲弹片的全自动贴合设备
KR20090116465A (ko)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CN115431552A (zh) Fpc折弯设备
JP2020155628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KR101278197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필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